맨위로가기

알프레트 나우요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프레트 나우요크스는 나치 독일의 친위대(SS) 대원이자 첩보 요원으로, 1939년 글라이비츠 방송국 공격 사건을 지휘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빌미를 제공한 인물이다. 1931년 나치당에 입당하여 친위대에 들어간 그는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심복으로 암살, 도청, 위조 등 공작 활동에 종사했다. 1939년 벤로 사건에도 관여했으며, 1943년부터 덴마크에서 테러 행위를 주도했다. 종전 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증언했으며, 덴마크에서 1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어 석방되었다. 이후 사업가로 활동하며, 나치 전범들의 도피를 돕는 데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1966년 함부르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S돌격대지도자 - 에른스트 헤르만 힘러
    에른스트 헤르만 힘러는 1905년 뮌헨에서 태어나 나치당과 친위대에서 활동했으며, 베를린 전투에서 사망한 인물이다.
  • SS돌격대지도자 - 오토 귄셰
    오토 귄셰는 나치 독일 아돌프 히틀러의 개인 부관으로,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그의 시신을 화장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종전 후 소련군 포로로 수감 생활을 하다 석방되어 자신의 과거를 숨기고 평범하게 살았다.
  • 리투아니아계 독일인 - 헤르만 민코프스키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수론, 기하학, 수리물리학에 기여한 독일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수의 기하학을 창시하고,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4차원 시공간 개념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하여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리투아니아계 독일인 -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공작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공작은 호엔촐레른 가문 출신으로, 튜튼 기사단장으로서 프로테스탄트로 개종 후 폴란드 왕의 봉신으로 프로이센 공국을 건국하고 종교 및 교육 개혁을 추진했으나, 치세 후반에는 혼란에 직면했다.
  • 킬 출신 - 유태웅
    유태웅은 1991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94년 MBC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였고 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 킬 출신 - 표트르 3세
    표트르 3세는 1762년 잠시 러시아 황제였으며, 엘리자베타 여제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재위 6개월 만에 아내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폐위된 후 사망했고,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최근 개혁적인 면모가 재평가되고 있다.
알프레트 나우요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2. 초기 생애 및 SS 입대

킬에서 태어나 킬 대학교에서 공학을 공부했다.[1] 1931년 정밀 기계공 견습 과정을 마치지 못한 채 나치당과 친위대(SS)에 입대했다.[2] 그는 유명한 아마추어 권투 선수였으며, 공산주의자들과 자주 싸움을 벌였다.[2] 1934년, 그는 보안국 SD-동부 지역 사령부(베를린)의 하급 운전병으로 입대했지만, 곧 살인과 같은 특별 임무를 맡게 되었다. 함께 입당한 옛 지인인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부름을 받고 나치당의 첩보 기관인 SD(보안 첩보부)에 들어갔다. 이후 하이드리히의 심복이 되어 암살, 도청, 위조 등 공작 활동에 종사했다.

2. 1. SS 입대와 하이드리히와의 만남

알프레트 나우요크스는 킬에서 태어나 킬 대학교에서 공학을 공부했다.[1] 1931년 나치당과 친위대(SS)에 입당했다.[2] 아마추어 권투 선수였기 때문에, 나치의 가두 투쟁 시대에 공산당원과의 싸움에서 활약했다.[2] 1934년, 함께 입당한 옛 지인인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부름을 받고 나치당의 첩보 기관인 SD(보안 첩보부)에 들어갔다. 이후 하이드리히의 심복이 되어 암살, 도청, 위조 등 공작 활동에 종사했다.

3. SD에서의 활동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서 알게 되면서, SS에 입대했던 나우요크스는 1934년 하이드리히를 따라 SS보안방첩부로 옮겼다.[12]

== 비밀 공작 임무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나치 좌파 오토 슈트라서의 부하인 루돌프 포르미스를 암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오토 슈트라서는 검은 전선이라는 반 히틀러 조직을 결성하고 프라하에서 반 히틀러 활동을 하고 있었다. 1935년 1월 10일, 나우요크스는 "상인 한스 뮐러"로 위장하여 프라하에 잠입, 포르미스가 방송을 하는 호텔방을 알아냈다. 1월 23일, 나우요크스는 포르미스를 체포하려 했으나, 포르미스가 권총을 발포하자 그를 사살했다. 송신기를 찾지 못한 채 베를린으로 귀환한 나우요크스는 하이드리히에게 질책을 받았지만, 아돌프 히틀러는 오히려 반 나치 분자 제거를 높이 평가했다.

== 위조 신분증 제작 ==

1939년, 나우요크스는 하인츠 요스트가 부서장으로 있는 SD외국부 제3과(제국보안본부에서는 6부로 변경)에서 F그룹을 맡았다.[12] F그룹은 외국에서 활동하는 첩보원들을 위해 각종 위조 신분증, 가짜 여권 등을 만드는 비밀 조직이었다.[12] 사무실은 베를린 델부르크 가에 있었다.[12]

3. 1. 비밀 공작 임무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나치 좌파 오토 슈트라서의 부하인 루돌프 포르미스를 암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오토 슈트라서는 검은 전선이라는 반 히틀러 조직을 결성하고 프라하에서 반 히틀러 활동을 하고 있었다. 1935년 1월 10일, 나우요크스는 "상인 한스 뮐러"로 위장하여 프라하에 잠입, 포르미스가 방송을 하는 호텔방을 알아냈다. 1월 23일, 나우요크스는 포르미스를 체포하려 했으나, 포르미스가 권총을 발포하자 그를 사살했다. 송신기를 찾지 못한 채 베를린으로 귀환한 나우요크스는 하이드리히에게 질책을 받았지만, 아돌프 히틀러는 오히려 반 나치 분자 제거를 평가했다.

3. 2. 위조 신분증 제작

나우요크스는 1939년 하인츠 요스트가 부서장으로 있는 SD외국부 제3과(제국보안본부에서는 6부로 변경)에서 F그룹을 맡았다.[12] F그룹은 외국에서 활동하는 첩보원들을 위해 각종 위조 신분증, 가짜 여권 등을 만드는 비밀 조직이었다.[12] 사무실은 베를린 델부르크 가에 있었다.[12]

4.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8월 10일, 나우요크스는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게 불려갔다. 8월 31일, 그는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명령을 받고 글라이비츠 방송국 공격을 지휘했다. 이 사건은 폴란드가 독일-폴란드 국경 지대에서 일으킨 21개 공격 사건 중의 하나라고 주장되었고, 아돌프 히틀러는 9월 1일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한 후 행한 제국 의회 연설에서 이 사건을 언급하며 "폴란드를 응징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전쟁을 정당화했다.

글라이비츠 사건을 기념하는 현장 기념패


1939년 11월, 나우요크스는 벤로 사건에 관여되었다. 이 사건은 네덜란드에서 영국 비밀정보부(Secret Intelligence Service, SIS) 소속 영국 요원 리처드 스티븐슨 소령, 지기스문트 페인 베스트 대위, 네덜란드의 디르크 클로프 중위를 나우요크스와 그의 부하들이 국경을 무단으로 넘어 공격하여 클로프 중위를 죽이고, 나머지 2명을 납치한 사건이다.

1941년, 나우요크스는 하이드리히의 명령을 거부한 후 SD(Sicherheitsdienst)로부터 해고되어 일반 SS부대로 보내졌다. 친구였던 하이드리히는 이제 나우요크스를 일선 전투부대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하인리히 히믈러는 그가 "국가 비밀 기관에서 근무"했다는 이유로 하이드리히의 주장을 일축하고 1943년부터 서부 전선으로 보내져 벨기에의 점령 기관에서 경제 감독관으로 일하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나우요크스는 몇몇 벨기에 지하운동가들의 처형에 관여했다.

1944년 11월, 나우요크스는 미군에 항복했다. 그는 이미 전쟁범죄자 명단에 올라와 있었다.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나우요크스는 글라이비츠 방송국 공격 사건이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와 하인리히 뮐러(게슈타포 수장)의 명령에 의한 것이었다고 증언했다.

1943년 12월부터 1944년 가을까지 나우요크스는 덴마크에서 "페터 그룹"의 지도자로서 덴마크 국민에 대한 사보타주 및 테러 행위에 참여했다. ''오버슈투름퓌러''(Obersturmführer, 상급 중위)로 진급한 그는 루터교 목사인 카이 뭉크의 살해를 포함한 여러 테러 행위를 주도했다. 이후 SS-야크트페르반데의 SS-하웁트슈투름퓌러 오토 알렉산더 프리드리히 슈베르트가 지도자직을 이어받았다.

4. 1. 글라이비츠 방송국 공격 사건 (힘러 작전)

1939년 8월 10일,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알프레트 나우요크스에게 글라이비츠 방송국 공격을 지휘하도록 명령했다. 이 사건은 폴란드가 독일-폴란드 국경 지대에서 일으킨 21개 공격 사건 중 하나로 주장되었으며, 아돌프 히틀러1939년 9월 1일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한 후 제국 의회 연설에서 이 사건을 언급하며 "폴란드를 응징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전쟁을 정당화했다.[5]

8월 초, 히틀러의 명령을 받은 하이드리히는 폴란드 개전 구실을 만들기 위해 '힘러 작전'을 입안했다. 이 작전은 폴란드 군인으로 위장하여 폴란드 국경 근처 글라이비츠 라디오 방송국을 습격, 폴란드어로 반독 연설을 하고 시체를 남겨두는 것이었다. 하이드리히는 이 계획의 실행 책임자로 나우요크스를 선택했다.

나우요크스는 8월 10일, 5명의 SD대원과 폴란드어 통역 1명을 이끌고 글라이비츠로 향했다. 그는 방송국을 사전 조사한 후, 하이드리히의 암호 '할머니 사망'을 기다렸다. 8월 31일 오후 4시, 나우요크스는 하이드리히로부터 '할머니 사망'이라는 작전 개시 명령을 받았다. 나우요크스 일행은 하인리히 뮐러에게 연락하여 작전용 시체('통조림')를 받았고, 폴란드 군복으로 갈아입은 후, 오전 8시 직전 글라이비츠 방송국을 습격했다. 나우요크스와 부하들은 방송국 직원들을 제압하고, 폴란드어로 약 4분간 반독일 감정의 연설을 방송했다. 이 방송을 들은 독일인은 수천 명 정도였다. 방송 후, 나우요크스 일행은 방송국 현관에 '통조림'을 놓고 철수했다.

1939년 9월 1일, 아돌프 히틀러는 국회 연설에서 '폴란드군'에 의한 글라이비츠 사건을 비판하며, 폴란드 공격을 선언했고, 이로써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5]

4. 2. 벤로 사건

1939년 11월, 나우요크스는 벤로 사건에 관여했다.[2] 이 사건은 네덜란드에서 영국 비밀정보부(SIS) 소속 영국 요원 리처드 스티븐슨 소령, 지기스문트 페인 베스트 대위, 네덜란드의 디르크 클로프 중위를 나우요크스와 그의 부하들이 국경을 무단으로 넘어 공격하여 클로프 중위를 죽이고, 나머지 2명을 납치한 사건이다.[5]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후에도 영국은 전면전 외의 타개책을 모색하고 있었고, 독일 국방군의 반 히틀러 세력 이용도 그 중 하나였다.[5] SD는 독일인 망명자를 가장한 첩보원 피셔를 통해 독일 국방군의 일부 장교에 의한 히틀러 정권 전복 음모가 진행 중이라는 정보를 흘렸다. 9월부터 11월까지 여러 차례의 회합에서 영국 SIS는 이 정보를 믿었지만, 회합에 참가한 반 히틀러 장교 슘멜은 사실 SD 외국 정보 부문의 발터 셸렌베르크 친위대 소령이었다.[5] 거사를 이틀 앞둔 마지막 회합에 슘멜은 음모의 중심인 장군을 데려오겠다고 약속했지만, 1939년 11월 9일, 회합 장소에 나타난 것은 나우요크스가 이끄는 SD 요원이었다. SIS 첩보원 베스트와 스티븐스, 그리고 두 사람을 지원하던 네덜란드군 장교 디르크 클롭영어 중위와 그의 운전사가 체포되었다. 이 성과는 전날 일어난 게오르크 엘저의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과 결부되어, 네덜란드가 스스로의 중립성을 깬 증거로 간주되었다.[5] 나우요크스는 이 공로로 히틀러에게 직접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2]

4. 3. SD 해고와 전선 복무

1941년, 나우요크스는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명령을 거부한 후 SD(Sicherheitsdienst)에서 해고되어 무장 친위대(Waffen-SS)로 전출되었다.[2] 친구였던 하이드리히는 나우요크스를 일선 전투부대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하인리히 히믈러는 그가 "국가 비밀 기관에서 근무"했다는 이유로 하이드리히의 주장을 일축했다. 1943년, 건강이 악화되어 서부 전선으로 보내졌고, 벨기에 점령 기관에서 경제 감독관으로 일하며 몇몇 벨기에 지하운동가들의 처형에 관여했다.[2] 1944년 11월, 나우요크스는 미군에 항복했고, 전쟁 범죄자 명단에 올라 있었다.[2]

4. 4. 덴마크에서의 활동

1943년 12월부터 1944년 가을까지 나우요크스는 덴마크에서 "페터 그룹"의 지도자로서 덴마크 국민에 대한 사보타주 및 테러 행위에 참여했다.[2] ''오버슈투름퓌러''(Obersturmführer, 상급 중위)로 진급한 그는 루터교 목사인 카이 뭉크의 살해를 포함한 여러 테러 행위를 주도했다.[2] 이후 SS-야크트페르반데의 SS-하웁트슈투름퓌러 오토 알렉산더 프리드리히 슈베르트가 지도자직을 이어받았다.[2]

5. 전쟁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나우요크스는 게슈타포의 수장이자 자신의 상관인 하인리히 뮐러의 명령에 따라 글라이비츠 라디오 타워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종전 후 재판을 받을 만큼 고위 간부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증인으로 소환되었다.[8]

1947년, 나우요크스는 재판을 받기 위해 덴마크로 인도되었다. 그는 덴마크 레지스탕스 요원 살해에 가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1950년, 나우요크스의 형량은 4년으로 감형되었고, 즉시 석방되었다.[9]

재판 이후 나우요크스는 함부르크에서 사업가로 일했으며, 결국 자신의 이야기를 언론에 '전쟁을 시작한 남자'라는 제목으로 팔았다. 그는 오토 스코르체니와 함께 ODESSA를 운영하는 데 관여했다고 알려졌으며, 스코르체니는 스페인 정부와 계약을 처리하고 여권을 제공하며 자금을 마련했다. 나우요크스와 그의 동료들은 라틴 아메리카로 가는 전 나치 전범들을 처리하고 그들을 그곳에서 접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2] 나우요크스는 1966년 4월 4일 함부르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향년 54세였다.[10][11]

5. 1. 체포와 재판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나우요크스는 게슈타포의 수장이자 자신의 상관인 하인리히 뮐러의 명령에 따라 글라이비츠 라디오 타워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종전 후 재판을 받을 만큼 고위 간부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증인으로 소환되었다.[8]

1944년 11월 미군에 투항했지만, 영국에서 심문을 받았다.[2] 종전 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그의 증언이 일부 채택되었다. 그러나 1946년에 탈옥했고, 이듬해 체포되어 덴마크로 이송되었다. 코펜하겐에서 '경미한 전쟁 범죄 재판'( Kleiner Kriegsverbrecherprozess)에 회부되어 1심에서 징역 15년,[9] 1950년에 항소심에서 징역 4년의 판결을 받았지만, 사면으로 즉시 석방되었다.[9]

5. 2. 오데사(ODESSA) 활동

전쟁 후 알프레트 나우요크스는 함부르크에서 사업가로 변신했으며, 자신의 이야기를 《전쟁을 시작한 남자》(The Man who Started the War)라는 제목으로 언론에 팔았다.[2] 그는 오토 스코르체니와 함께 SS 장교들의 남아메리카 도피를 지원하는 조직인 오데사(ODESSA)에 관여했다는 주장이 있다.[8] 스코르체니는 스페인 정부와 계약을 처리하고 여권을 제공하며 자금을 마련했고, 나우요크스와 그의 동료들은 라틴 아메리카로 가는 전 나치 전범들을 처리하고 그곳에서 접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2]

5. 3. 죽음

알프레트 나우요크스는 1966년 4월 4일 함부르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향년 54세).[10][11] 오래된 자료에는 "1960년 사망"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오류이다.[8] 만년에 독일 당국이 루돌프 포르미스 살해에 대해 나우요크스를 기소할 준비를 진행했지만, 그의 사망으로 중단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2] 서적 Who's Who in Nazi German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3] 서적 Vítejte v první republice Havran
[4] 웹사이트 Alfred Naujocks: Eine verflixt heikle Geschichte (in German) http://www.georg-els[...] 2007-10-12
[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Third Reich
[6] 서적 Enigma U-Boats; Breaking the Code Naval Institute Press
[7] 서적 Hitler : a study in tyranny https://archive.org/[...] New York : Bantam Books 1958
[8] 웹사이트 Brief of Interrogation of Alfred Naujocks / Office of U.S.; Chief of Counsel / APO 403, U.S. Army / Interrogation Division http://lawcollection[...] 2021-07-03
[9] 웹사이트 DeSSperado. Wszystkie zbrodnie Alfreda Naujocksa https://naszahistori[...] 2023-03-01
[10] 웹사이트 Stalin enthauptet die Rote Armee: Der Fall Tuchatschewskij (in German) https://web.archive.[...] 2009-12-06
[11] 뉴스 Vor fünfzig Jahren kam der Film "Der Fall Gleiwitz" in die Kinos https://www.berliner[...] Berliner Zeitung 2011-09-17
[1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