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기는 지식 습득에 사용되지만, 이해를 동반하지 않아 복잡한 주제를 마스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비판적 사고와 비교하여, 암기는 앵무새 방식, 벼락치기 등 비판적인 용어로 불리기도 하며, 많은 교육 과정에서 권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육 옹호자들은 기초 학문 학습을 위해 암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컴퓨터 과학에서 메모이제이션은 계산 결과를 저장하여 반복 계산을 줄이는 기술로 활용된다. 학교에서는 플래시 카드, 개요 작성, 기억술과 같은 도구를 통해 암기 학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억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기억 - 잠재학습
잠재학습은 명확한 보상이나 처벌 없이 환경 정보를 습득하는 학습으로, 즉각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인지적 요인이 중요하고, 쥐의 미로 실험과 유아의 모방 행동 연구를 통해 특성이 밝혀졌으며 특정 물질과 뇌 신경 물질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학습 방법 - 과외
과외는 학업 능력 향상이나 특정 기술 습득을 위해 학교 교육 외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으로,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에 기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대학 입시를 위한 사교육 형태로 널리 행해지고 있고 과외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학습 방법 - 잠재학습
잠재학습은 명확한 보상이나 처벌 없이 환경 정보를 습득하는 학습으로, 즉각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인지적 요인이 중요하고, 쥐의 미로 실험과 유아의 모방 행동 연구를 통해 특성이 밝혀졌으며 특정 물질과 뇌 신경 물질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교육학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교육학 -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은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 충족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법적으로 규정된 교육 계획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팀에 의해 개발 및 관리되지만, 운영 과정에서 어려움과 비판이 존재하며 국가별 차이가 있다.
암기 | |
---|---|
암기 학습 | |
유형 | 학습 방법 |
설명 | 반복을 기반으로 한 암기 기술 |
목표 | 정보를 기억 속으로 신속하게 불러오는 것 |
세부 사항 | |
방법 | 반복적인 소리내어 읽기, 필사, 시각 보조 도구 사용 |
장점 | 단기간 기억에 효과적, 기본 지식 습득에 유용 |
단점 | 이해 부족, 장기 기억에 취약, 응용력 부족 |
관련 학습법 | 이해 기반 학습 의미 학습 |
2. 비판적 사고와의 비교
암기 학습은 기본적인 지식 습득에 널리 사용되지만, 복잡한 주제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1] 벼락치기처럼 단기적인 학습 효과를 위한 암기는 비판적 사고 능력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2]
대한민국 교육계는 단순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탐구 학습, 토론 학습 등 학생 중심의 참여형 수업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옹호하는 측에서는 암기 학습이 기초 학력 및 구구단과 같은 계산 능력 함양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6]
2. 1. 교육 방식 논쟁
미국의 경우, 새로운 교육 과정 표준은 사실 암기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강조한다. 전미 수학교사 협의회는 수학 교육에서 단순 암기 및 절차 따르기 대신 개념 숙달과 문제 해결 능력에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3] 그러나 전통적 교육 옹호자들은 새로운 표준이 기본적인 사실과 기초 산술 학습을 경시한다고 비판한다.[6] 이들은 학생들이 수학 개념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계산 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암기 학습이 학습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믿는다.[6]대한민국에서도 암기 학습과 창의적 사고 능력 함양을 두고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균형 잡힌 교육 방식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2. 2. 수학 및 과학 교육에서의 활용
수학과 과학에서 공식을 암기하는 것은 문제 해결을 위한 도구로 유용할 수 있다.[4] 공식을 암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습을 통해 공식을 활용하는 경험은 더 큰 이해를 돕는다.[4] 새로운 교육 표준은 학생들이 스스로 공식을 유도하도록 권장하여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4] 임박한 시험을 위해 공식을 빨리 배워야 하는 경우에는 암기 학습이 효과적일 수 있다.[5]전미 수학교사 협의회는 수학 교육에서 단순 암기보다 개념 숙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3] 그러나 전통적 교육 옹호자들은 기본적인 사실과 기초 산술 학습을 경시하는 새로운 교육 표준을 비판하며, 암기 학습이 학습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주장한다.[6]
3. 컴퓨터 과학에서의 암기
컴퓨터 과학에서 암기(메모이제이션)는 계산 결과를 저장하여 동일한 입력에 대한 반복적인 계산을 줄이는 기술이다. 이는 함수의 입력과 출력 쌍을 저장하여, 동일한 입력이 주어질 때 저장된 출력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 → → store ((),())[7]
아서 사무엘의 체커 프로그램은 IBM 701에서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하여 인공 지능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8]
4. 학교에서의 학습 방법
플래시카드, 개요, 기억술 장치는 교과 내용을 암기하기 위한 전통적인 도구이며, 기계적 암기 학습의 예시이다.[9][10][11][12]
참조
[1]
서적
The Curse of Education
Grant Richards
[2]
웹사이트
Why rote memory doesn't help you learn
https://www.betterhe[...]
[3]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Revised NCTM Standards: Arithmetic is Still Missing!
http://www.wgquirk.c[...]
[4]
웹사이트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http://www.nctm.org/[...]
2011-05-06
[5]
논문
Rote memorization, understanding, and transfer: an extension of Katona's card-trick experiments
1953-10
[6]
간행물
Preliminary Report, National Mathematics Advisory Panel, January, 2007
http://www.ed.gov/ab[...]
[7]
학술대회
A Study and Application on Machine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2009-04-25
[8]
웹사이트
Rote Learning
http://www.cs.cf.ac.[...]
[9]
서적
Teaching Study Habits and Skills
Rinehart
1959
[10]
서적
Helping Your Teen-Age Student: What Parents Can Do to Improve Reading and Study Skills
Dutton
1979
[11]
서적
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13
[12]
서적
Learning Theories: An Educational Perspective
Prentice Hall
2008
[13]
서적
Teaching Study Habits and Skills
Rinehart
1959
[14]
서적
Helping Your Teen-Age Student: What Parents Can Do to Improve Reading and Study Skills
Dutton
1979
[15]
서적
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13
[16]
서적
Learning Theories: An Educational Perspective
Prentice Hall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