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맥은 마그마가 기존 암석의 틈을 따라 관입하여 굳어진 판상 구조의 화성암체이다. 암맥은 주변 암석보다 풍화에 강하여 침식 작용으로 자연적인 벽이나 능선 형태로 드러나기도 한다. 암맥은 두께가 수 mm에서 수백 m까지 다양하며, 측면 길이는 수십 km에 달하기도 한다. 암맥은 현무암에서 유문암까지 다양한 조성을 가지며, 얕은 깊이에서 형성된 암맥은 냉각 연변과 주상 절리를 보인다. 암맥은 여러 차례의 마그마 주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중 암맥과 복합 암맥으로 구분된다. 암맥은 급원 암맥, 밑창 주입, 판상 암맥 복합체, 링 암맥, 원추형 암맥, 쇄설성 암맥 등 특수한 형태를 가지며, 한국의 정동심곡 바다부채길과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심성암 - 안산암
안산암은 중간 정도의 실리카 함량과 낮은 알칼리 금속 함량을 가진 화성암으로, 섭입대와 관련된 부가적인 판 연변부에서 생성되며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반심성암 - 유문암
유문암은 밝은 색의 화산암으로, 석영, 사니딘, 사장석 등으로 구성되어 화강암과 유사한 화학 조성을 가지며, 높은 규산 함량과 낮은 철, 마그네슘 함량으로 점성이 높은 용암을 형성하여 폭발적인 분출과 함께 화산쇄설암, 도구, 건축 자재 등으로 사용된다. - 화산학 - 초화산
초화산은 1,000 km³ 이상의 분출물을 내뿜는 대규모 폭발성 화산으로, 토바 호, 옐로스톤, 라 가리타 칼데라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지구 기후와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전 세계적인 사회경제적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 화산학 - 환태평양 조산대
환태평양 조산대는 태평양 주변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여러 지각판의 상호 작용으로 섭입대와 해구가 존재하며 화산의 분포가 뚜렷하다. - 암석학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 암석학 - 용암
용암은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액체 상태의 녹은 암석 물질이거나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뜻하며, 마그마에서 휘발성분이 빠져나온 것으로, 규산염이 주성분이고 온도와 조성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며, 파호이호이 용암, 아아 용암 등의 형태가 있다.
암맥 | |
---|---|
개요 | |
![]() | |
정의 | 기존 암석 덩어리의 파단면을 따라 형성된 판 모양의 관입 암석체 |
어원 | 영어 "dyke" (벽)에서 유래, 스코틀랜드에서는 돌담을 의미 |
유형 | 조성, 크기, 냉각 특징에 따라 다양 |
관련 용어 | 암상 |
특징 | |
형태 | 판상, 때로는 불규칙한 모양 |
크기 | 수 밀리미터에서 수 미터 폭, 수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 길이 |
방향 | 기존 암석의 균열이나 약한 면을 따라 형성,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 |
구성 | 주로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도 가능 |
조직 | 세립질 또는 반상조직, 냉각 속도에 따라 결정 크기 변화 |
색깔 | 주변 암석과 대비되는 색 |
생성 과정 | |
마그마 관입 | 마그마가 지각의 균열을 따라 상승하여 냉각 및 고결 |
균열 형성 | 지각 운동으로 암석에 균열 발생 |
유체 주입 | 수열수 또는 용융 퇴적물이 균열을 채움 |
냉각 및 고결 | 균열 내에서 마그마 또는 유체가 냉각되어 암석으로 굳어짐 |
중요성 | |
지질학적 연구 | 지질 시대의 지각 운동과 마그마 활동 연구에 중요한 정보 제공 |
광상 형성 | 유용한 광물 농집 장소 제공 |
암석 연대 측정 | 주변 암석의 상대적 연대 추정 가능 |
구조 지질학 | 암석의 변형 역사 해석에 기여 |
분포 | |
일반적인 위치 | 화산 지역, 지각 변동 활발 지역, 단층 지역 |
예시 | 스코틀랜드 아이슬란드 미국 남서부 한국 (전국 각지) |
추가 정보 | |
침상 암맥 | 지층을 따라 평행하게 뻗는 암맥 |
방사상 암맥 | 화산 중심부에서 방사형으로 뻗는 암맥 |
환상 암맥 |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암맥 |
2. 암맥의 정의 및 특징
마그마 암맥은 오래된 암석층을 가로지르는 화성암 층이다. 마그마가 오래된 층의 균열을 채운 다음 냉각되고 응고될 때 형성된다.[2][3][4] 암맥 암석은 주변 암석보다 풍화에 강해 침식으로 인해 자연적인 벽이나 능선으로 드러난다.[3]
암맥은 주향 이동 단층 또는 정단층이 형성되는 응력 조건 하에서 형성되며, 암맥의 주향은 최소주응력축(σ3)에 직교하고 최대수평압축주응력축(σHmax)의 방위로 된다. 따라서 암맥의 주향으로 σ3, σHmax 두 가지 응력축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σHmax가 최대주응력축(σ1)인지 중간주응력축(σ2)인지는 암맥의 주향만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주변의 단층, 습곡, 절리, 활성단층 등으로 응력장을 추정하여 보완해야 한다.[11]
지질학자들은 암맥을 연구하여 화산 배관 시스템에 대한 단서를 얻는다.[5] 또한 암맥은 지각이 지각 확장의 고대 에피소드를 기록하는데, 대량의 암맥(암맥 떼)이 지각이 지각판의 힘에 의해 찢어질 때 형성되기 때문이다. 암맥은 최대 확장 방향에 직각으로 형성되므로 확장의 방향을 보여준다.
2. 1. 암맥의 형태
일반적인 암맥은 판상 형태를 가지며, 양쪽 벽면은 거의 평행하다. 암맥의 두께는 몇 밀리미터에서 수백 미터까지 다양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두께는 약 1m에서 수십 미터 정도이다. 측면 길이는 수십 킬로미터에 달할 수 있으며, 두께가 수십 미터 이상인 암맥은 일반적으로 100km 이상 뻗어 있다. 대부분의 암맥은 가파르게 기울어져 있으며, 거의 수직으로 향한다. 이후의 구조 변형으로 암맥이 통과하는 지층의 순서가 회전하여 암맥이 수평이 될 수 있다.[7]
'계단식' 암맥은 여러 개의 짧은 암맥들이 서로 연결되어 계단 모양을 이룬다. 이러한 패턴은 뉴잉글랜드의 히가넘 암맥 세트에서 볼 수 있다. 이 암맥 세트는 표면에서 일반적으로 길이가 4km, 너비가 최대 60m인 개별 암맥으로 구성된다. 이 짧은 세그먼트는 약 10km까지 뻗어 있는 더 긴 그룹을 형성한다. 전체 암맥 세트는 250km까지 뻗어 있는 선을 형성한다. 개별 세그먼트는 겹치며, 겹치는 부분은 더 얇아서 겹치는 두 부분의 결합된 두께는 단일 세그먼트의 두께와 거의 같다. '계단식' 암맥의 다른 예로는 미국 롱밸리 칼데라의 이니오 암맥,[7] 미국 애리조나주의 재그드 록스 복합체,[7] 그리고 해양 확장 중심의 암맥이 있다.
암맥의 조성은 현무암에서 유문암까지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현무암이다. 조직은 일반적으로 표면에서 분출된 현무암보다 약간 더 거칠며, 휘록암이라고 하는 암석 유형을 형성한다. 얕은 깊이에서 형성된 암맥은 일반적으로 1cm~5cm 두께의 유리질 또는 세립질 냉각 연변을 가지고 있으며, 마그마가 차가운 주변 암석과 접촉하여 급격히 냉각될 때 형성된다. 얕은 암맥은 또한 일반적으로 연변에 수직인 주상 절리를 보인다. 여기에서 암맥 암석은 냉각 및 수축되면서 기둥으로 부서진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5~6각형이지만, 3~4각형 기둥도 흔하다. 이것들은 단일 암맥 내에서 크기가 비교적 균일하지만, 다른 암맥에서는 몇 센티미터에서 0.3m 이상까지 다양하며, 더 넓은 암맥에서는 더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암맥 암석은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고, 소포 (얼어붙은 기포)가 거의 없지만, 소포는 암맥의 가장 얕은 부분에서 보일 수 있다. 소포가 존재할 때, 그것들은 벽과 평행한 띠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흐름 방향으로 길어진다.
암맥은 층상 암석의 층리를 가로질러 절단하는 반면, 암상은 층리 내에서 층리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판상 관입이다.

특정 균열을 따라 여러 차례의 마그마 주입이 일어날 수 있다. 여러 차례의 주입이 모두 비슷한 조성을 가질 경우, 이 암맥을 '다중 암맥'이라고 한다. 그러나 후속 주입은 때때로 조성 면에서 상당히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암맥은 '복합 암맥'이라고 불린다. 복합 암맥의 조성 범위는 다이아베이스에서 화강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 -|]]
- -|]]
- -|]]


- -|]]
2. 2. 암맥의 조직
암맥의 조직은 표면에서 분출된 현무암보다 약간 더 거칠며, 휘록암이라고 하는 암석 유형을 형성한다. 입자 크기는 암맥 전체에서 체계적으로 변화하며, 가장 거친 입자는 일반적으로 암맥의 중심에 있다.[7] 얕은 깊이에서 형성된 암맥은 마그마가 차가운 주변 암석과 접촉하여 급격히 냉각될 때 형성되는 1~5cm 두께의 유리질 또는 세립질 냉각 연변을 가진다. 얕은 암맥은 또한 연변에 수직인 주상 절리를 보인다. 암맥 암석은 냉각 및 수축되면서 기둥으로 부서지는데, 보통 5~6각형이지만 3~4각형 기둥도 흔하다. 단일 암맥 내에서 기둥 크기는 비교적 균일하지만, 다른 암맥에서는 몇 센티미터에서 0.3미터 이상까지 다양하며, 더 넓은 암맥에서 더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더 큰 기둥은 더 느린 냉각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7]암맥 암석은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고, 소포 (얼어붙은 기포)가 거의 없지만, 암맥의 가장 얕은 부분에서는 소포가 보일 수 있다. 소포가 존재할 때, 벽과 평행한 띠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흐름 방향으로 길어진다.[7] 암맥의 연변에 있는 반정 (더 큰 결정)은 흐름 방향으로 정렬을 보인다.[7]
3. 암맥의 형성 과정
암맥은 마그마가 지각의 약한 틈을 따라 상승하면서 형성된다. 마그마는 최소 주응력에 수직인 방향으로 틈을 벌리고 관입한다.
얕은 깊이에서 마그마는 기존의 열린 균열로 상승한다. 예를 들어 하와이 제도의 젊고 얕은 암맥에서는 마그마가 암맥 벽에 거의 침투하지 않고, 벽 물질이 용융된 마그마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도 거의 없다. 이는 지각 깊은 곳의 마그마 방으로 채워지는 마그마 위로 암반층이 팽창하면서 균열이 열렸기 때문으로 보인다.[3]
그러나 열린 균열은 표면 근처에만 존재할 수 있다. 지각 깊은 곳에서 마그마는 암반을 뚫고 지나가야 하며, 이때 항상 최소 주응력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경로를 연다. 얕은 깊이에서 암반이 깨지기 쉬울 때, 마그마는 수압 파쇄를 통해 주변 암석을 점진적으로 파괴하며 관입한다. 이때 마그마는 주변 암반에 비해 약간의 압력만으로도 파괴 팁에 엄청난 응력을 집중시켜 암반을 쐐기 모양으로 갈라놓는다. 더 깊은 곳에서 암반이 뜨겁고 깨지기 쉬울 때는 마그마가 암맥 측면에 35도 각도로 기울어진 취성 전단면을 따라 암반을 밀어낸다. 가장 깊은 곳에서는 전단면이 연성 단층이 되어 암맥 측면에서 45도 각도로 기울어진다. 암반이 완전히 가소성인 깊이에서는 암맥 대신 다이어피어(상승하는 마그마 플러그)가 형성된다.[3]
미국 메인주의 120미터 두께의 메드포드 암맥이나 그린란드의 500미터 두께의 가르다르 암맥과 같이 일부 큰 암맥은 팽창을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마그마가 암반을 갈라놓는 대신, 전진하는 팁에서 암반을 파괴하고 붕괴시키는 스토핑에 의해 형성되었을 수 있다. 다른 암맥들은 좁은 균열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균열에 가장 가까운 암반의 화학적 조성을 변화시키는 변질에 의해 형성되었을 수 있다.[3]
암맥의 폭과 최대 확장 사이에는 대략적인 관계가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표현된다.[3]
:
여기서 는 암맥의 두께, 는 측면 확장, 는 모암에 상대적인 마그마의 과잉 압력, 는 모암의 밀도, 는 모암의 P파 속도(암석에서의 소리 속도)이다. 이 공식은 암맥이 표면 아래 더 깊은 곳에서 더 길고 좁아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두께와 길이의 비율은 표면 근처에서 약 0.01 ~ 0.001이지만 깊이에서는 0.001 ~ 0.0001 범위이다. 두께가 10미터인 표면 암맥은 약 3km까지 확장될 것이고, 깊이에 있는 유사한 두께의 암맥은 약 30km까지 확장될 것이다. 침투하는 마그마가 얕은 깊이에서 더 짧은 균열을 형성하는 이러한 경향은 사다리꼴 암맥의 설명으로 제시되었다.[3] 그러나 사다리꼴 암맥은 마그마가 지각의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 상승함에 따라 최소 주응력의 방향이 변하는 결과로 설명되기도 한다.[7]
균열을 통해 용융된 마그마가 빠르게 흐르면 마그마가 벽 암반을 녹이거나 벽 암반 조각을 찢어내어 벽을 침식시키기도 한다. 반대로 흐름이 덜 빠른 곳에서는 마그마가 벽 옆에서 굳어지면서 균열을 좁힐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흐름이 몇몇 지점에 집중되도록 한다. 하와이에서는 분출이 종종 수 킬로미터 길이의 균열 전체를 따라 용암이 분출하는 불의 장막으로 시작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 킬로미터 미만의 짧은 세그먼트에 집중된다.[3]
3. 1. 응력장과의 관계
응력(Stress)은 최대 주응력축(σ1), 중간 주응력축(σ2), 최소 주응력축(σ3)의 3가지 기본 성분의 방향과 크기로 표현된다. 이들은 서로 직교하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나뉜다. 암맥은 주향 이동 단층 또는 정단층이 형성되는 응력 조건에서 형성되며, 암맥의 주향(走向, strike)은 최소 주응력축(σ3)에 수직이고 최대 수평 압축 주응력축(σHmax)의 방위와 같다.[11]그러나 암맥의 주향만으로는 σHmax가 최대 주응력축(σ1)인지 중간 주응력축(σ2)인지를 결정할 수 없다. 주변의 단층, 습곡, 절리, 활성단층 등을 통해 응력장을 추정하여 이를 보완해야 한다.[11]
3. 2. 암맥군
암맥군은 단일 관입 사건 동안 거의 동시에 형성된 수백 개의 암맥 집합체이다.[3] 암맥군은 거의 항상 휘록암으로 구성되며, 대부분 홍수 현무암과 거대한 화성암 지역과 관련이 있다.암맥군은 발산 경계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뉴잉글랜드의 쥐라기 암맥군과 스코틀랜드 서부와 잉글랜드 북부로 뻗어 있는 고생대 암맥군은 대서양의 초기 개방을 기록한다. 암맥군은 현재 아이슬란드를 통과하는 발산 경계를 따라 형성되고 있다. 암맥군은 종종 큰 누적 두께를 갖는데, 아이슬란드의 암맥은 폭이 평균 3m~5m이지만, 53km의 해안 구간은 총 두께가 3km에 달하는 약 1000개의 암맥을 가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암맥군은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의 매켄지 암맥군이다.[8]
암맥군 (''암맥 복합체''라고도 함)은 하와이 화산의 침식된 열곡대에서 노출된다. 대부분의 다른 마그마 암맥과 마찬가지로, 이들은 용암이 표면에 도달하는 틈새였다. 암맥군은 일반적으로 폭이 2.5km~5km이며, 개별 암맥의 폭은 약 1m이다. 암맥군은 화산 정상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화산 방패의 긴 축과 평행하다. 암상과 스톡은 가끔 복합체에 존재한다. 그들은 정상 칼데라의 가장자리에서 갑자기 잘린다.
열곡대 중심부에는 킬로미터당 약 50~100개의 암맥이 있지만, 밀도는 킬로미터당 500개까지 높아질 수 있으며 암맥은 암석 부피의 절반을 차지한다. 밀도는 열곡대 중심에서 멀어지면 킬로미터당 5~50개로 떨어지다가 갑자기 암맥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떨어진다. 암맥 수는 깊이에 따라 증가하여 해저 수준에서 킬로미터당 300~350개의 전형적인 값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어떤 면에서, 이 암맥군은 대서양 개방에 앞서 발생한 홍수 분출과 관련된 스코틀랜드 서부의 암맥군과 유사하다.
암맥은 종종 중앙 화산 또는 관입으로부터 방사상 암맥군을 형성한다.[3] 중앙 관입에서 기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암맥은 종종 관입과는 다른 연대와 조성을 갖는다. 이러한 방사상 암맥군은 관입 위에 형성되었고 나중에 상승하는 마그마체에 의해 잘렸을 수 있으며, 또는 지각이 이미 지역적 인장을 경험하고 있었고 관입이 틈새 형성을 유발했을 수 있다.
4. 한국의 암맥
한국에는 여러 암석을 관입한 암맥이 많이 발달하며, 특히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와 정동심곡바다부채길에서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4. 1. 강릉 정동심곡 바다부채길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에서는 평안 누층군을 관입한 여러 암맥들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이곳의 암맥들은 해안 절벽을 따라 드러나 있어 접근하기 쉽고, 학술적, 경관적 가치가 높다.[1]




4. 2.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는 다양한 암맥들이 습곡된 퇴적암층을 관입하고 있어, 암맥과 습곡의 선후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역이다.4. 3. 기타 지역
한국에는 여러 암석을 관입한 암맥이 무수히 많이 발달하며 특히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와 정동심곡바다부채길에서 암맥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5. 특수한 형태의 암맥
특수한 형태의 암맥으로는 판상 암맥, 링 암맥, 원추형 암맥, 쇄설성 암맥 등이 있다.
판상 암맥 복합체는 해양 지각의 암석에서 발견되며, 마그마가 해저로 분출되는 통로를 보존한다. 링 암맥과 원추형 암맥은 칼데라 화산 활동과 관련되어 얕은 마그마 챔버 주변에 형성된다. 쇄설성 암맥은 퇴적암이 다른 암석층을 가로지르는 수직 형태를 띠는 것을 말한다.
5. 1. 판상 암맥 복합체

해양 지각의 암석에서 해저로 분출된 베개 용암은 대양 분출구에서 마그마가 해저에 도달하는 통로를 보존하는 판상 암맥 복합체에 의해 지배된다.[4] 이러한 판상 암맥은 특징적으로 한쪽 면에만 냉각된 가장자리를 보여주는데, 이는 각 암맥이 후속 마그마 분출에 의해 반으로 갈라졌음을 나타낸다.[4]
5. 2. 링 암맥과 원추형 암맥

링 암맥과 원추형 암맥은 칼데라 화산 활동과 관련된 특수한 유형의 암맥으로, 얕은 마그마 챔버 주변에 분포한다. 원추형 암맥은 마그마가 얕은 마그마 챔버로 주입되어 그 위의 암석층을 들어 올리고 파괴할 때 형성되며,[3] 파괴는 마그마 챔버로 비교적 얕은 각도로 기울어진 일련의 동심원추 형태를 취한다.[3] 칼데라가 폭발적인 화산 활동으로 비워지면, 마그마 챔버의 지붕이 링 파단으로 둘러싸인 암석 플러그로 붕괴된다. 이때 링 파단으로 상승하는 마그마는 링 암맥을 생성한다.[9] 링 암맥과 원추형 암맥의 좋은 예는 스코틀랜드의 아드너머컨 반도에서 발견된다.[3]
5. 3. 쇄설성 암맥
쇄설성 암맥(sedimentary dikes)은 다른 암석층을 가로지르는 수직 형태의 퇴적암이다. 쇄설성 암맥은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얕은 깊이에서 아직 굳어지지 않은 퇴적물이 알갱이가 굵은 층과 투과성이 없는 점토층으로 번갈아 쌓일 때, 알갱이가 굵은 층 내부의 유체 압력이 압밀 응력의 과중으로 인해 임계값에 도달할 수 있다. 유체 압력에 의해 퇴적물은 상부 층을 뚫고 올라가 암맥을 형성한다.[1]
- 토양이 영구 동토층 조건 하에 있을 때 공극수는 완전히 얼어붙는다. 그러한 암석에 균열이 생기면 위에서 떨어진 퇴적물로 채워질 수 있다. 그 결과는 수평층을 가로지르는 수직 형태의 퇴적물, 즉 암맥이 된다.[1]
참조
[1]
서적
Essentials of Geology
[2]
서적
Volcanoes in the sea : the geology of Hawaii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3
[3]
서적
Petrology : igneous, sedimentary, and metamorphic.
W.H. Freeman
1996
[4]
서적
Principles of igneous and metamorphic petr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
서적
Volcanic and Igneous Plumbing Systems: Understanding Magma Transport, Storage, and Evolution in the Earth's Crust
Elsevier
2018-01-01
[6]
학술지
Dykes and structures of the NE rift of Tenerife, Canary Islands: a record of stabilisation and destabilisation of ocean island rift zones
https://doi.org/10.1[...]
2012-07-01
[7]
학술지
Dikes, sills, and stress-regime evolution during emplacement of the Jagged Rocks Complex, Hopi Buttes Volcanic Field, Navajo Nation, USA
2015-03
[8]
학술지
Removing varying directional trends in aeromagnetic data
[9]
서적
The Alnö Carbonatite Complex, central Sweden
https://www.worldcat[...]
2018-07-03
[10]
서적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97
[11]
저널
Early and Middle Miocene Dike Swarms and Regional Tectonic Stress Field in the Janggi Peninsula (1) 장기반도의 마이오세 전기-중기의 암맥군과 광역지구조응력장(1)
https://www.dbpia.co[...]
199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