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나리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기나리속은 콜키쿰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속이다. 히말라야, 인도, 동아시아에 약 20종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애기나리, 윤판나물, 윤판나물아재비, 큰애기나리 4종이 자생한다. 과거 북아메리카에 분포했던 5종은 핵형 및 분자 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프로살테스속으로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키쿰과 - 애기나리
애기나리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산지 숲 속에서 자라며 봄에 흰색 꽃이 피고 땅속줄기로 번식하며 어린순은 식용 가능하나 일부 지역에서는 보호받고 있다. - 콜키쿰과 - 윤판나물
윤판나물은 산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곧게 선 줄기와 뚜렷한 잎맥을 가진 긴 타원형 잎을 가지며, 4~6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검은색 열매를 맺으며, 어린잎은 나물이나 국으로, 꽃은 차로 이용된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옻나무
옻나무는 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관목으로,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어린 새순은 식용으로, 열매는 왁스 추출 및 약재로 이용된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여리고발삼
여리고발삼은 북동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에 분포하는 나무로, 식용 가능한 열매와 잎, 기름진 씨앗을 제공하며 전통 의학 및 농림 복합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애기나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 | |
학명 | Disporum Salisb. ex D.Don |
이명 | Drapiezia Blume |
하위 종 | |
한국어 이름 | 각시둥굴레 (D. calcaratum) D. cantoniense 방울둥굴레 (D. flavens) D. javanicum 애기나리 (D. smilacinum) D. tonkinense 큰애기나리 (D. viridescens) |
학명 | D. calcaratum Maxim. D. cantoniense (Lour. Merr. D. flavens (Kimura & Migo) D. javanicum (Blume) D. smilacinum A. Gray D. tonkinense (Gagnep. D. viridescens (Maxim. |
2. 분류
APG III 분류 체계에 따르면 애기나리속은 콜키쿰과에 속한다.[2] 과거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5종은 핵형 및 화학적 차이, 분자 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프로살테스속(''Prosartes'')으로 분리되어 백합과로 옮겨졌다.[2]
2. 1. 하위 종
애기나리속에는 약 20여 종이 있으며[2],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학명 | 분포 지역 |
---|---|
Disporum acuminatissimum W.L.Sha | 광시 |
Disporum acuminatum C.H.Wright | 미얀마 |
Disporum bodinieri (H.Lév. & Vaniot) F.T.Wang & Tang | 구이저우, 후난, 쓰촨, 티베트, 윈난 |
Disporum calcaratum D.Don | 윈난, 히말라야, 북부 인도차이나 |
Disporum cantoniense (Lour.) Merr. | 중국 남부, 남부 및 동남아시아 |
Disporum hainanense Merr. | 광둥, 하이난 |
Disporum jinfoshanense X.Z.Li, D.M.Zhang & D.Y.Hong | 충칭 |
Disporum kawakamii Hayata | 대만 |
Disporum leucanthum H.Hara | 중국 남부, 동부 히말라야 |
Disporum longistylum (중국 요정 종) (H.Lév. & Vaniot) H.Hara | 중국 중부 및 서남부 |
Disporum lutescens Koidz. | 일본 |
Disporum megalanthum F.T.Wang & Tang | 중국 중부 |
Disporum nantouense S.S.Ying | 대만 |
Disporum sessile (일본 요정 종) (Thunb.) D.Don | 일본, 한국, 쿠릴 열도, 사할린 |
Disporum shimadae Hayata | 대만 |
Disporum smilacinum A.Gray | 일본, 한국, 쿠릴 열도, 사할린, 산둥 |
Disporum tonkinense Koyama | 베트남 북부 |
Disporum trabeculatum Gagnep. | 중국 남부, 베트남 |
Disporum uniflorum Baker ex S.Moore | 중국, 한국 |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 극동 |
과거 북아메리카에 있던 5종은 분자 계통학적 연구 결과 등에 따라 Prosartes D.Don 속으로 분리되어 백합과로 옮겨졌다.
2. 1. 1. 기타
학명 |
---|
애기나리 D. smilacinum A.Gray |
윤판나물 D. uniflorum Baker |
윤판나물아재비 D. sessile (Thunb.) D.Don ex Schult. & Schult.f. |
큰애기나리 D. viridescens (Maxim.) Nakai |
D. acuminatissimum W.L.Sha |
D. acuminatum C.H.Wright |
D. bodinieri (H.Lév. & Vaniot) F.T.Wang & Tang |
D. calcaratum D.Don |
D. cantoniense (Lour.) Merr. |
D. cantoniense var. multiflorum (Blume) H.Hara |
D. hainanense Merr. |
D. × hishiyamanum K.Suzuki |
D. jinfoshanense X.Z.Li, D.M.Zhang & D.Y.Hong |
D. kawakamii Hayata |
D. leucanthum H.Hara |
D. longistylum (H.Lév. & Vaniot) H.Hara |
D. lutescens (Maxim.) Koidz. |
D. megalanthum F.T.Wang & Tang |
D. nantouense S.S.Ying |
D. shimadae Hayata |
D. tonkinense Koyama |
D. trabeculatum Gagnep. |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없고 줄기 잎이 있으며, 잎은 어긋난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다소 분지한다. 꽃은 줄기 또는 가지 끝에 1~수 개가 옆 또는 아래를 향해 달린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며 떨어져 있고, 기부에 부풀어 오른 주머니가 있다. 수술은 6개, 꽃밥은 긴 타원형이며 반쯤 바깥쪽을 향한다. 자방은 상위이며 3실이고, 보통 각 실에 2개의 배주가 있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며 검은색으로 익는다.[3]
애기나리속은 히말라야, 인도, 동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약 20종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에는 4종이 자생하며, 일본에는 4종과 자연 교잡종이 분포한다. 과거 애기나리속으로 분류되었던 북아메리카의 5~6종은 현재 프로살테스속(Prosartes)으로 분리되었다.[2]
[1]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4 Page 154 万寿竹属 wan shou zhu shu Disporum Salisbury ex D. Don, Prodr. Fl. Nepal. 50. 1825.
http://www.efloras.o[...]
3. 특징
4. 분포
다음은 애기나리속(''Disporum'') 종의 목록이다.종명 분포 지역 Disporum acuminatissimum 중국 광시 Disporum acuminatum 미얀마 Disporum bodinieri 중국 구이저우, 후난, 쓰촨, 티베트, 윈난 Disporum calcaratum 중국 윈난, 히말라야, 북부 인도차이나 Disporum cantoniense 중국 남부, 남부 및 동남아시아 Disporum hainanense 중국 광둥, 하이난 Disporum jinfoshanense 중국 충칭 Disporum kawakamii 대만 Disporum leucanthum 중국 남부, 동부 히말라야 Disporum longistylum (중국 요정 종) 중국 중부 및 서남부 Disporum lutescens 일본 Disporum megalanthum 중국 중부 Disporum nantouense 대만 Disporum sessile (일본 요정 종) 일본, 한국, 쿠릴 열도, 사할린 Disporum shimadae 대만 Disporum smilacinum 일본, 한국, 쿠릴 열도, 사할린, 중국 산둥 Disporum tonkinense 베트남 북부 Disporum trabeculatum 중국 남부, 베트남 Disporum uniflorum 중국, 한국 Disporum viridescens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 극동
참조
[2]
논문
Recognition of the New World Disporum Section Prosartes as Prosartes (Liliaceae) Based on the Sequence Data of the rbcL Gene
[3]
서적
日本の野生植物 草本I単子葉類
[4]
웹사이트
Disporum -The Plant List
[5]
웹사이트
Prosartes -Flora of North America
http://www.efloras.o[...]
[6]
논문
Recognition of the New World Disporum Section Prosartes as Prosartes (Liliaceae) Based on the Sequence Data of the rbcL Ge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