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수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액체 수소는 수소를 액화한 상태로, 1898년 제임스 듀어에 의해 처음 액화되었다. 액체 수소는 로켓 연료, 내연 기관 및 연료 전지 연료, 중성자 냉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수소 분자는 오르토와 파라의 두 가지 스핀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하며, 액체 수소는 보관 중 파라 수소로의 변환에 따른 열 발생으로 액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촉매를 사용하여 파라 이성질체로 변환한다. 액체 수소는 높은 비에너지와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극저온으로 인한 안전 문제와 가연성, 보관 및 유통의 어려움 등의 과제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과학 -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중합으로 만들어지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밀도와 분자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각종 용기, 필름, 파이프 등에 사용되고 생분해되지 않아 폐기물 관리의 어려움을 야기한다. - 1898년 과학 - 퓨린
퓨린은 아데닌과 구아닌을 포함하는 질소 염기의 일종으로, 핵산을 구성하며 DNA와 RNA의 뉴클레오티드를 형성하고 ATP, GTP와 같은 생체 분자의 구성 성분으로서 대사 및 신호 전달에 관여하지만 과잉 섭취 시 요산으로 대사되어 통풍을 유발할 수 있다. - 저온물리학 - 자기공명영상
자기공명영상(MRI)은 강한 자기장과 라디오파를 사용하여 인체 내부를 영상화하는 기술로, 수소 원자핵의 자기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신체 조직의 이완 시간 차이를 통해 영상을 얻으며, 다양한 부위의 질환 진단에 활용되지만 검사 시간이 길고 비용이 높으며 금속성 물질에 의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저온물리학 - 액체 산소
액체 산소는 맑은 청록색을 띠는 극저온 물질로 강력한 산화제이며, 산업, 의료, 로켓 추진 등에 사용되며, 1883년 지그문트 브워블레프스키와 카롤 올셰프스키가 최초로 생산했다. - 수소물리학 - 보어 모형
보어 모형은 닐스 보어가 러더퍼드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 개념을 도입하여 전자의 궤도와 각운동량이 양자화된다는 가정으로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을 설명했지만, 다전자 원자와 불확정성 원리의 모순으로 양자역학에 의해 대체된 원자 모형이다. - 수소물리학 - 수소 이온
수소 이온(H⁺)은 양성자와 같지만 수용액에서 물 분자와 결합하여 다양한 수화 이온을 형성하고, pH 농도 측정과 산-염기 반응, 전기 전도도, 생명체의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현상과 관련이 있다.
액체수소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 | |
IUPAC 이름 | 수소 |
계통명 | 액체 수소 |
다른 이름 | 수소 (극저온 액체) 냉장 수소 LH₂ 파라-수소 |
화학식 | H₂ (l) |
분자량 | 2 |
외형 | 무색 액체 |
밀도 | 0.07085 g/cm³ |
녹는점 | -259.14 °C |
끓는점 | -252.87 °C |
식별 | |
약어 | 해당 없음 |
CAS 등록번호 | 1333-74-0 |
PubChem CID | 783 |
UN 번호 | 1966 |
RTECS 번호 | MW8900000 |
UNII | 7YNJ3PO35Z |
ChEBI | 33251 |
KEGG | C00282 |
ChemSpider ID | 762 |
표준 InChI | 1S/H2/h1H |
표준 InChIKey | UFHFLCQGNIYNRP-UHFFFAOYSA-N |
SMILES | [H][H] |
위험성 | |
GHS 그림 문자 | |
신호어 | 위험 |
H 문구 | H220 H280 |
P 문구 | P210 P377 P381 P403 |
NFPA 704 | 건강: 3 화재: 4 반응성: 0 특별: CRYO |
자연 발화점 | 571 °C |
폭발 한계 | LEL: 4.0% (공기 중) UEL: 74.2% (공기 중) |
관련 정보 | |
NASA 블로그 | NASA 블로그 |
액체 수소 전달 | 에너지부 액체 수소 전달 |
수소 가스 압축 에너지 요구 사항 | 미국 에너지부 수소 및 연료 전지 프로그램 기록 |
2. 역사
thumb의 오토비전 박물관에 있는 린데 AG 액체 수소 탱크]]
1885년 지그문트 플로렌티 브루블레프스키는 수소의 임계 온도, 임계 압력, 끓는점을 발표했다. 1898년 제임스 듀어는 재생 냉각과 자신의 발명품인 진공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수소를 액화시켰다. 1929년에는 파울 하르테크와 카를 프리드리히 본회퍼가 액체 수소의 안정적인 이성질체 형태인 파라수소를 처음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2. 1. 초기 연구
1885년, 지그문트 플로렌티 브루블레프스키는 수소의 임계 온도를 33,000, 임계 압력을 13.3atm, 끓는점을 23,000로 발표했다.수소는 1898년 제임스 듀어가 재생 냉각과 그의 발명품인 진공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액화했다. 액체 수소의 안정적인 이성질체 형태인 파라수소의 첫 번째 합성은 1929년 파울 하르테크와 카를 프리드리히 본호퍼가 달성했다.
3. 수소의 스핀 이성질체
수소 분자는 각 원자핵(프로톤)의 핵 스핀 배향에 따라 오르토(ortho) 수소와 파라(para) 수소, 두 종류의 이성질체로 존재한다. 오르토 수소는 두 핵의 스핀이 평행한 상태이고, 파라 수소는 반평행한 상태이다. 파라 수소가 더 안정적이며, 액체 수소를 장기간 보관할 때 손실을 줄이기 위해 파라 수소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3. 1. 오르토-파라 변환
이수소 분자의 두 핵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핵 스핀이 반평행인 파라수소는 두 개의 스핀이 평행인 오르토수소보다 더 안정적이다. 실온에서 기체 수소는 열 에너지로 인해 대부분 오르토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하지만, 오르토가 풍부한 혼합물은 저온에서 액화될 때만 준안정 상태가 된다. 이는 천천히 발열 반응을 거쳐 파라 이성질체가 되며, 열로 방출되는 에너지가 액체의 일부를 끓게 할 만큼 충분하다.[8]수소 분자는 각 원자핵(프로톤)의 핵 스핀 배향에 따라 오르토(ortho)와 파라(para)의 두 종류의 이성체가 존재한다. 상온 이상에서는 오르토 수소와 파라 수소의 존재 비율은 대략 3:1이지만, 저온이 될수록 파라 수소의 존재 비율이 증가하여 절대 영도 부근에서는 거의 100% 파라 수소가 된다.[18] 오르토 수소에서 파라 수소로의 변화는 523kJ/kg의 발열 반응이며, 증발 잠열 446kJ/kg보다 많다.[19] 반응에는 며칠이 걸리기 때문에 며칠 보관해두면 반응열로 액체 수소가 기화해 버리는데, 이를 수소의 보일 오프 문제라고 한다.[20]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촉매를 사용하여 발열 반응을 미리 끝내두는 것이 좋다. 오르토-파라 변환을 일으키는 촉매는 활성탄이나 철 등의 금속 일부, 상자성 물질 또는 이온 등이 있다.
장기간 보관 시 액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산화철(III), 활성탄, 백금화 석면, 희토류 금속, 우라늄 화합물, 산화크롬(III), 또는 일부 니켈 화합물과 같은 촉매를 사용하여 생산 과정의 일부로 의도적으로 파라 이성질체로 변환한다.[8] 파라 수소를 오르토 수소로 되돌리려면 1주일 가까이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촉매를 사용하거나, 800℃ 가까이 가열하면 된다.[21]
4. 용도
액체 수소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친환경적인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액체 수소는 중성자 산란에 사용될 중성자를 냉각하는 데 사용된다. 중성자와 수소 핵은 비슷한 질량을 가지므로 상호 작용당 운동 에너지 교환이 최대이다.( 탄성 충돌) 과열된 액체 수소는 많은 거품 상자 실험에 사용되었다.
최초의 열핵무기인 아이비 마이크는 핵융합을 위해 중수소(수소-2)를 사용했다.
4. 1. 로켓 연료
액체 수소는 로켓 공학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액체 로켓 연료이다.[9] NASA와 미국 공군에서는 최대 3800kL의 개별 용량을 가진 다수의 액체 수소 탱크를 운영하고 있다.[9]액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로켓 엔진에서, 액체 수소는 먼저 노즐과 다른 부품을 냉각시킨 후, 일반적으로 액체 산소와 혼합되어 연소되어 소량의 오존과 과산화 수소를 포함한 물을 생성한다. 실용적인 H₂–O₂ 로켓 엔진은 연료가 풍부하게 작동하므로 배기 가스에 일부 연소되지 않은 수소가 포함된다. 이는 연소실과 노즐 침식을 줄여준다. 또한 불완전 연소에도 불구하고 비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기 가스의 분자량을 감소시킨다.
LH2(Liquid H2)로 약칭되는 액체 수소는 로켓 엔진 추진제로 사용되며, 액체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한 로켓 엔진은 실용화된 화학 추진 로켓 중 가장 높은 비추력을 자랑한다. 액체 수소는 매우 가벼운 액체로, 그 밀도는 20,000일 때 70.8kg/m3이다. 따라서 로켓 연료로 가장 효율적이다.
4. 2. 대체 에너지 (수소 연료)
액체 수소는 대체 에너지의 수소 연료로서 다음 용도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료 전지: 수소는 산소와 결합하여 에너지와 물을 생성하며, 연료 전지는 이 반응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다만, 현재 가정용 연료 전지는 천연 가스를 수증기 개질하여 수소를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내연 기관 연료: 수소 자동차와 같이 내연 기관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 항공 연료: 액체 수소는 항공기의 무탄소 연료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체적 에너지가 낮아 연소에 필요한 수소의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NASA와 미국 공군은 대용량 액체 수소 탱크를 운영하며, 액체 수소는 로켓 연료로 흔히 사용된다.[9] 대부분의 로켓 엔진에서 액체 수소는 냉각 후 액체 산소와 혼합되어 연소된다.[9] 212형 잠수함, 214형 잠수함, DeepC, BMW H2R 등과 같은 다양한 수소 자동차가 액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한다.[9]
현재 수소는 천연가스나 석유를 원료로 하여 저렴하게 대량 생산되지만, 이는 재생 가능 에너지는 아니다.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방법도 있지만, 전기 분해에 의한 대량 생산은 가격 문제가 커서 실현되지 않고 있다.
4. 2. 1. 연료 전지
수소는 산소와 결합하여 에너지와 물을 생성하는데, 이는 물의 전기 분해의 역반응이다. 연료 전지는 이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연료 전지는 매우 고가이며 부품에 소모품이 많다. 반응 온도가 100℃를 초과하므로 물은 수증기로 배출된다.현재 가정용 연료 전지는 천연 가스를 수증기 개질하여 수소를 추출하여 사용한다. 한편, 자동차 등에서는 가스통 등에 채운 수소를 직접 사용하는 연료 전지가 실용화되어 있다. 탄화수소로부터 직접 수소를 추출하는 타입의 연료 전지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도 기대되고 있지만, 아직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4. 2. 2. 내연 기관 연료
수소는 내연 기관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소 자동차가 실용화되고 있다.[9] 212형 잠수함, 214형 잠수함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잠수함과 DeepC, BMW H2R 등과 같은 개념 수소 자동차가 이 형태의 수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9] 내연 기관에서는 배기 가스 중에 질소 산화물이나 과산화수소와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해야 한다.[9] 또한, 가솔린 엔진에 비해 출력이 낮은 문제가 있다.[9]4. 2. 3. 항공 연료
액체 수소는 항공기의 무탄소 연료로 연구되고 있다. 체적 에너지가 낮아 연소에 필요한 수소 부피는 크다. 직접 분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심각한 가스 변위 효과로 인해 최대 흡입이 방해받고 펌핑 손실이 증가한다.[9]최근 JAXA나 소련 등 항공우주 기업을 중심으로 석유 대체 연료로 액체수소를 사용하는 여객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액체수소 연료 사용 여객기는 (액체수소 제조 과정은 별개로 하고) 비행 중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환경 부하가 낮다고 여겨진다.[9]
JAXA 등은 마하 5급 초음속 수송기 엔진으로, 액체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며 고온 공기를 액체수소로 냉각하는 예냉 터보제트 엔진(Precooled jet engine)을 연구하고 있다.[9]
앞서 언급했듯이 극히 큰 연료 탱크가 필요하며, 비행 중 증발, 극저온 연료 취급, 연료 공급 체제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9]
5. 수소 연료의 과제
수소 연료는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이지만,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수소 원자나 분자는 매우 작아 금속에 침투하여 수소 취성을 일으킬 수 있다.[16] 이 때문에 스테인리스강 같은 일반적인 금속 용기에는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 대한민국에서는 수소 취성이 일어나지 않는 재료, 수소 흡장 합금, 고압 수소용 CFRP 용기, 액화 수소 운반 및 보관 방법 등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수소는 산소가 없으면 연소하지 않아 순수한 상태에서는 발화하기 어렵지만, 산소와 혼합되면 쉽게 발화한다. 이는 가솔린과 마찬가지로 위험한 특성이므로, 수소 이용 시에는 충분한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16]
수소 연료의 제조, 유통, 소비를 위해서는 완전히 새로운 기반 시설 구축이 필요하다. 2023년 6월 기준 대한민국에서는 170곳의 수소 스테이션이 운영되고 있다.[16] 수소 스테이션에는 가스 연료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방식과, 정유소나 화학 공장 등에서 제조된 수소를 수송하여 공급하는 방식 두 종류가 있다.[17]
5. 1. 원료 및 제조
현재 대량 생산되는 수소의 원료는 천연 가스 및 석유이다. 현 상태에서 수소는 화석 연료가 형태를 바꾼 것이다. 물에서 제조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과 마찬가지로 저렴하고 대량의 전력이 필요하다.수소는 가장 가벼운 원소이며, 지상에서는 수소 단체의 형태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에너지 자원으로서 수소를 직접 채취·이용할 수 없으며, 필요한 양은 모두 수소 화합물로부터 에너지를 사용하여 추출해야 한다. 가장 가까운 수소 화합물은 물이다.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기술적으로 쉽게 수소를 얻을 수 있지만, 전기 분해에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는 얻어진 수소를 반응시켜 다시 얻을 수 있는 전기 에너지보다 크기 때문에, 손익을 따지면 손실이 된다. 에탄올이나 석유 정제품으로부터 수소를 추출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 수고와 비용을 생각하면, 그대로 에탄올이나 석유 정제품을 연료로 사용하는 편이 경제적이다. 현재로서는 수소는 천연 가스와 물에서 촉매를 거치는 수증기 개질로 만들어지고 있다.[16][17]
5. 2. 보관
수소 원자나 수소 분자는 매우 작기 때문에, 금속 내부에 침투하여 열화시키는 수소 취성을 일으킨다.[16] 그 때문에 스테인리스강 등의 일반적인 금속 용기에서는 장기 보관이 어렵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는 수소 취성이 일어나지 않는 재료, 수소를 흡장하는 수소 흡장 합금, 고압 수소용 CFRP 봄베, 냉각하여 액체 수소로 운반·보관하는 방법 등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5. 3. 가연성
수소는 산소가 없으면 연소하지 않으므로, 순도가 높은 단체 상태에서는 발화하기 어렵지만, 산소와 혼합된 기체에서는 쉽게 발화한다. 따라서 가연성 측면에서는 가솔린과 마찬가지로 위험하다. 연료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생성된 수소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연료에 대해서도 충분한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16]5. 4. 유통
제조·유통·소비의 각 단계에서 완전히 새로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수소 연료 대응 자동차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2023년 6월 기준 대한민국에서는 170곳의 수소 스테이션이 운영되고 있다.[16] 이러한 수소 스테이션에는, 가스 연료에서 수소 스테이션 내에서 수소를 제조하는 방식과, 정유소나 화학 공장 등에서 제조된 수소를 수송하여 수소 스테이션에서 공급하는 방식의 2종류가 있다.[17]6. 성질
액체 수소는 순수한 산소 환경에서 연소될 경우 물만 생성한다. 그러나 대기 중에서 연소될 때는 높은 연소 온도로 인해 질소(N≡N) 결합이 파괴되어, 배기 가스 정화 없이는 유독한 질소 산화물(NOx)이 생성될 수 있다.[10] 물은 환경에 무해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수소 연소 엔진은 "무배출"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항공 분야에서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수증기가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CO2보다는 덜함).[11] 액체 수소는 가솔린, 천연 가스, 디젤보다 비에너지가 훨씬 높다.[12]
액체 수소의 밀도는 70.85 kg/m³ (20 K에서)이며, 상대 밀도는 0.07에 불과하다. 비에너지는 다른 연료보다 두 배 이상 높지만, 에너지 밀도는 매우 낮아 다른 연료보다 훨씬 떨어진다.
액체 수소는 특수 단열 용기와 같은 저온 저장 기술이 필요하며, 모든 저온 연료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특별한 취급이 필요하다. 이는 액체 산소와 유사하지만 더 까다롭다. 단열 용기를 사용하더라도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수소가 점차 누출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하루에 1% 비율).[12] 또한 다른 형태의 수소와 마찬가지로 여러 안전 문제를 안고 있으며, 대기 중 산소를 액화 또는 고체화시킬 정도로 차가워 폭발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수소의 삼중점은 13.81 K[5], 7.042 kPa이다.[13]
7. 안전
극저온으로 인해 액체 수소는 냉 화상의 위험이 있다. 수소 자체는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이며 기체 상태에서 인체 건강에 미치는 유일한 위험은 산소가 없을 때 질식, 공기와 혼합될 때의 높은 가연성 및 폭발 가능성이다. 액체 수소는 가연성이 높기 때문에 점화할 의도가 없는 한 열이나 불꽃으로부터 멀리 보관해야 한다. 주변 온도에서 기체 상태의 수소는 공기보다 가볍지만, 액체 상태에서 증발된 수소는 매우 차갑기 때문에 공기보다 무거워 가연성인 공기-수소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n
http://webbook.nist.[...]
2012-09-14
[2]
웹사이트
Information specific to liquid hydrogen
https://web.archive.[...]
2009-06-12
[3]
GESTIS
GESTIS 007010
https://gestis.dguv.[...]
[4]
웹사이트
We've Got (Rocket) Chemistry, Part 1
https://blogs.nasa.g[...]
2016-04-15
[5]
웹사이트
IPTS-1968
http://media.iupac.o[...]
2020-01-01
[6]
웹사이트
Liquid Hydrogen Delivery
https://www.energy.g[...]
2022-07-30
[7]
보고서
DOE Hydrogen and Fuel Cells Program Record: Energy requirements for hydrogen gas compression and liquefaction as related to vehicle storage needs
https://www.hydroge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09-10-26
[8]
웹사이트
Liquefaction of "Permanent" Gases
http://www.phys.ufl.[...]
2011
[9]
서적
Cryogenic Engineering, Second Edition, Revised and Expanded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
[10]
학술지
Optimising air quality co-benefits in a hydrogen economy: a case for hydrogen-specific standards for NOx emissions
2021-07-22
[11]
학술지
Greenhouse gas emissions assessment of hydrogen and kerosene-fueled aircraft propulsion
2008-11-10
[12]
웹사이트
Hydrogen As an Alternative Fuel
https://web.archive.[...]
2011-08-28
[13]
서적
Fundamentals of thermal-fluid sciences
McGraw-Hill
2004
[14]
웹사이트
津江・中谷研究室研究紹介予冷ターボジェットエンジン
http://park.itc.u-to[...]
2017-12-06
[15]
웹사이트
極超音速旅客機技術 {{!}} 航空新分野創造プログラム(Sky Frontier) {{!}} JAXA航空技術部門
https://www.aero.jax[...]
2017-12-06
[16]
웹사이트
水素ステーション一覧|トヨタ自動車WEBサイト
https://toyota.jp/mi[...]
[17]
웹사이트
次世代自動車振興センター 水素ステーション整備状況
http://www.cev-pc.or[...]
[18]
웹사이트
オルト水素、パラ水素とは?液化水素プラントの設計で知っておくべき物性について
https://yuruyuru-pla[...]
2023-02-28
[19]
웹사이트
用語解説 パラ水素とオルソ水素
https://rdreview.jae[...]
2023-02-28
[20]
웹사이트
〈研究例紹介〉液化水素用水素分子核スピン転換触媒の開発
https://labs.eng.hok[...]
2020-06-10
[21]
웹사이트
オルソ水素とパラ水素
https://klchem.co.jp[...]
川口液化ケミカル株式会社
2023-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