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앤드루 스트로민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드루 스트로민저는 영국의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이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블랙홀 열역학, 칼라비-야우 다양체, dS/CFT 및 Kerr/CFT 대응성 등이며, 2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앤드루 스트로민저는 오스카 클라인 메달, 아이젠버드 상, 디랙 메달, 획기적인 기초 물리학상, 구겐하임 펠로우십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끈이론학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끈이론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이론물리학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이론물리학자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동문 - 길버트 뉴턴 루이스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열역학, 화학 결합, 산-염기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미국의 물리화학자이다.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동문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앤드루 스트로민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앤드루 에번 스트로민저
로마자 표기Aendeu Ebeun Seuteurominjeo
출생일1955년 7월 30일
출생지미국
국적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의 앤드루 스트로민저
2004년의 스트로민저
학력
학사하버드 대학교 (1977)
석사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1979)
박사MIT (1982)
박사 학위 논문양자장론에서의 큰 대칭 근사
박사 지도교수로만 야츠키프
경력
직장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하버드 대학교
연구 분야
분야물리학
세부 분야끈 이론
양자 중력
CGHS 모형
dS/CFT 대응성
Kerr/CFT 대응성
SYZ 추측
S-brane
수상
주요 수상기초 물리학 분야의 획기적인 상 (2017)
클라인 메달 (2014)
디랙 메달 (2014)
대니 하이네만 상 (2016)
구겐하임 펠로우십 (2020)
제자
주요 제자루스 브리토
사브리나 곤살레스 파스테르스키
아나스타샤 볼로비치
시인

2. 생애

하버드 대학교의 생화학자 잭 레너드 스트로민저(Jack Leonard Strominger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1977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82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이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하버드 대학교의 유명한 생화학자 Jack Leonard Strominger|잭 레너드 스트로민저영어의 아들로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인 The Cambridge School of Weston|케임브리지 스쿨 오브 웨스턴영어을 졸업하였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1977년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82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로만 자키우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경력

하버드 대학교의 유명한 생화학자였던 잭 레너드 스트로민저(Jack Leonard Strominger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인 케임브리지 스쿨 오브 웨스턴(The Cambridge School of Weston영어)을 졸업하였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1977년 학사 학위를 받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1982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하버드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이다.

3. 주요 연구 업적

앤드루 스트로민저는 끈 이론블랙홀 연구에 큰 기여를 한 이론물리학자이다.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컴런 바파와 함께 블랙홀 열역학의 미시적 기원을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스티븐 호킹과 제이콥 베켄슈타인이 열역학적으로 계산한 것을 끈 이론에서 유도하였다.[2]
  • 필립 캔델라스, 게리 호로비츠, 에드워드 위튼과 함께 1980년대에 칼라비-야우 다양체끈 이론으로부터 표준 모형을 얻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다룬 논문을 발표했다.
  • dS/CFT 대응성 및 Kerr/CFT 대응성(AdS/CFT 대응성의 변형)을 논의한 다른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 S-브레인(D-브레인의 변형)에 대해 연구했다.
  • 시라즈 민왈라, 네이선 세이버그와 함께 OM-이론을 연구했다.
  • 아나스타샤 볼로비치, 시라즈 민왈라, 라제시 고파쿠마르와 함께 비가환 솔리톤을 연구했다.
  • D3-브레인이 감겨 있는 형태의 질량이 없는 블랙홀로, 원뿔곡면의 물리학을 조절하고 위상 변화를 허용하는 현상을 연구했다.
  • 에릭 자슬로우, 싱퉁 야우와 함께 SYZ 추측, T-쌍대성의 특별한 경우로서의 호몰로지 거울 대칭에 대한 해석을 연구했다.
  • 끈장 이론을 위한 순수한 3차 작용을 연구했다.
  • 비틀림을 가진 초대칭 끈을 연구했다.
  • 점근적 평탄 시공간의 점근적 대칭, 소프트 정리 및 기억 효과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
  • 빠르게 회전하는 블랙홀로의 극단적 질량비 나선형 강하(EMRI)에서 방출되는 중력파 스펙트럼의 정확한 분석 계산 (이러한 중력파는 eLISA와 같은 미래의 우주 기반 중력파 검출기를 통해 감지될 것으로 예상됨)을 연구했다.

3. 1. 블랙홀 열역학

컴런 바파와 함께 블랙홀 열역학의 미시적 기원을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스티븐 호킹과 제이콥 베켄슈타인이 열역학적으로 계산한 것을 끈 이론에서 유도하였다.[2]

3. 2. 칼라비-야우 다양체

필립 캔델라스, 게리 호로비츠, 에드워드 위튼과 함께 1980년대에 칼라비-야우 다양체끈 이론으로부터 표준 모형을 얻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다룬 논문을 발표했다.

3. 3. dS/CFT 및 Kerr/CFT 대응성

컴런 바파와 함께 블랙홀 열역학의 미시적 기원을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스티븐 호킹과 제이콥 베켄슈타인이 열역학적으로 계산한 것을 끈 이론에서 유도한 것이다.[2] 또한 dS/CFT 대응성 및 Kerr/CFT 대응성(AdS/CFT 대응성의 변형)을 논의한 다른 논문들도 발표하였다.

3. 4. 기타 연구


  • 컴런 바파와 함께 블랙홀 열역학의 미시적 기원을 설명하는 논문을 썼다. 이 논문은 스티븐 호킹과 제이콥 베켄슈타인이 열역학적으로 계산한 것을 끈 이론에서 유도했다.[2]
  • 필립 캔델라스, 게리 호로비츠, 에드워드 위튼과 함께 1980년대에 칼라비-야우 다양체끈 이론으로부터 표준 모형을 얻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다룬 논문을 썼다.
  • dS/CFT 대응성 및 Kerr/CFT 대응성(AdS/CFT 대응성의 변형)을 논의한 다른 논문들을 썼다.
  • S-브레인(D-브레인의 변형)에 대해 연구했다.
  • 시라즈 민왈라, 네이선 세이버그와 함께 OM-이론을 연구했다.
  • 아나스타샤 볼로비치, 시라즈 민왈라, 라제시 고파쿠마르와 함께 비가환 솔리톤을 연구했다.
  • D3-브레인이 감겨 있는 형태의 질량이 없는 블랙홀로, 원뿔곡면의 물리학을 조절하고 위상 변화를 허용하는 현상을 연구했다.
  • 에릭 자슬로우, 싱퉁 야우와 함께 SYZ 추측, T-쌍대성의 특별한 경우로서의 호몰로지 거울 대칭에 대한 해석을 연구했다.
  • 끈장 이론을 위한 순수한 3차 작용을 연구했다.
  • 비틀림을 가진 초대칭 끈을 연구했다.
  • 점근적 평탄 시공간의 점근적 대칭, 소프트 정리 및 기억 효과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
  • 빠르게 회전하는 블랙홀로의 극단적 질량비 나선형 강하(EMRI)에서 방출되는 중력파 스펙트럼의 정확한 분석 계산 (이러한 중력파는 eLISA와 같은 미래의 우주 기반 중력파 검출기를 통해 감지될 것으로 예상됨)을 연구했다.

4. 수상 내역

앤드루 스트로민저는 여러 상, 펠로우십, 명예 교수직을 수여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3]

연도상 이름
2014년압두스 살람 국제 이론 물리학 센터 디랙 메달
2014년스웨덴 왕립 과학원 오스카 클라인 메달
2016년하네만상
2017년기초 물리학상 (쿰런 바파, 조셉 폴친스키와 공동 수상)
2020년구겐하임 펠로우십


참조

[1] Youtube The Dirac Roundtable https://www.youtube.[...]
[2] 논문 Microscopic origin of the Bekenstein-Hawking entropy 1996
[3] 웹사이트 Guggenheim Fellowship in 2020 https://www.gf.org/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