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펄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런 펄리스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프로그래머로, 1966년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과 컴파일러 구축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튜링상을 수상했다.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 학위를 받은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를 거쳐 MIT에서 수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퍼듀 대학교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컴퓨터 과학 학과의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고, 1962년에는 컴퓨팅 기계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71년 예일 대학교로 옮겨 컴퓨터 과학과 학과장으로 활동했으며, 1982년에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통찰을 담은 "프로그래밍 에피그램"을 발표했다. 펄리스는 1990년 예일 대학교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과학자 - 메이 제미슨
메이 제미슨은 미국의 의사이자 NASA 우주 비행사로, 1992년 엔데버 우주왕복선 STS-47 미션에 참여하여 우주를 비행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이며, NASA 퇴사 후에는 컨설팅 회사 설립 및 과학 교육 옹호,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미국의 과학자 - 데이비드 호
타이완 출신 미국 과학자 데이비드 호는 에이즈 유행 초창기부터 HIV 발병 기전 연구와 복합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 개발에 기여하여 타임지 1996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제프리 힌턴
제프리 힌턴은 심층 신경망 연구의 선구자로서, 역전파 알고리즘 개선 및 효과적인 학습 방법 개발에 기여하여 튜링상을 수상하고 볼츠만 머신 공동 발명, t-SNE 시각화 기법 개발 등 다양한 신경망 연구에 기여했으며, AI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을 퇴사하고 존 호프필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인지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자 - 시모어 페퍼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수학자이자 MIT 교수인 시모어 페퍼트는 구성주의를 발전시키고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및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기여하는 등 교육 기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자 - 존 매카시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는 LISP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기여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로서, 가비지 컬렉션 기법 발명,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 제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앨런 펄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앨런 제이 펄리스 |
출생일 | 1922년 4월 1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
사망일 | 1990년 2월 7일 |
사망지 |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
분야 | 컴퓨터 과학 |
소속 | ACM 카네기 멜론 대학교 예일 대학교 퍼듀 대학교 |
학력 | 카네기 멜론 대학교 (화학 B.S., 1943) MIT (수학 M.S. 1949; 수학 Ph.D., 1950) |
박사 지도교수 | 필립 프랭클린(Philip Franklin) |
박사 제자 | 게리 린드스톰(Gary Lindstrom) 조하르 만나(Zohar Manna) 데이비드 파나스(David Parnas) 존 R. 레빈(John R. Levine)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적분 방정식, 반복 및 해석적 연속에 의한 해법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50년 |
주요 업적 | IT 알골 APL |
수상 | 튜링상 (1966) 컴퓨터 파이오니어 상 (1985) |
2. 생애
앨런 펄리스는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나 카네기 기술대학교와 MIT에서 교육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컴퓨터 과학 분야의 선구자로 활동하며 튜링상을 수상하는 등 큰 업적을 남겼다. 1982년에는 ACM의 SIGPLAN 저널에 "프로그래밍 에피그램"이라는 글을 발표하여 프로그래밍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펄리스는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939년 테일러 올더다이스 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1943년 카네기 기술대학교에서 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육군에 복무하며 수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MIT에서 수학 석사 학위(1949년)와 박사 학위(1950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은 "적분 방정식, 반복에 의한 해 및 해석적 연속"이었다.2. 2. 경력
펄리스는 1952년 프로젝트 훨윈드에 참가하였다.[3] 퍼듀 대학교에서 교원으로 재직하였으며, 1956년에 카네기 기술대학교로 이직했다. 카네기 기술대학교에서 수학과 학과장 및 컴퓨터 과학 학과의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1966년,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과 컴파일러 구조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튜링상을 받았다.[6] 이는 펄리스가 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팀의 일원으로 기여한 것을 말한다.
1971년, 예일 대학교로 이직하여 컴퓨터 과학과 학과장이 되었고, 유진 히긴스 석좌 교수를 역임했다. 1977년에는 미국 공학 한림원 회원이 되었다.
1982년, ACM의 SIGPLAN 저널에 "프로그래밍 에피그램"이라는 글을 기고하여, 프로그래밍에 대해 배운 점들을 한 문장으로 요약했다. 이 에피그램들은 널리 인용되었다.[4][7]
1990년 사망할 때까지 예일 대학교에서 재직했다.
2. 3. 프로그래밍 경구
1982년, 펄리스는 ACM의 SIGPLAN 저널에 ''Epigrams on Programming''(프로그래밍 경구)을 발표했다. 이는 그가 경험을 통해 배운 것을 추출하여 한 문장의 경구로 만든 것이다. 이 경구의 말은 널리 인용되었다[6].2. 4. 사망
펄리스는 1990년 예일 대학교 재직 중에 사망했다.[7]3. 주요 업적
앨런 펄리스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컴파일러 구축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컴퓨터 과학자이다. 특히, ALGOL 언어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1966년 최초의 튜링상을 수상했다.[5]
펄리스는 ACM 회장(1962년)을 역임했으며,[5] 1977년에는 전미 기술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1982년에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통찰을 담은 경구집인 ''프로그래밍에 관한 경구''를 발표하여 널리 인용되었다.[6]
펄리스의 주요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5]
연도 | 제목 | 공동 저자 |
---|---|---|
1957 | 내부 번역기(IT): 650용 컴파일러 | J. W. 스미스, H. R. 반 조렌 |
1960 | 스레드 목록을 이용한 기호 조작 | C. Thornton |
1965 | 컴퓨터 프로그래밍 입문 | 로버트 T. 브래든 |
1970 |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고찰 | 버나드 A. 갤러 |
1975 | 컴퓨터 과학 입문 | |
1977 | [http://www.jsoftware.com/papers/perlis77.htm APL 찬양: 서정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 |
1978 | [http://www.jsoftware.com/papers/perlis78.htm 거의 완벽한 인공물은 작은 방식으로만 개선됩니다: APL은 영어보다 프랑스어에 가깝습니다] | |
1981 | 소프트웨어 메트릭스: 분석 및 평가 | 프레데릭 세이워드, 메리 쇼 |
1986 | FAC: 기능적 APL 언어 | 투 하이첸 |
4. 저서
- 1957년. 《내부 번역기(IT): 650용 컴파일러》. J. W. 스미스, H. R. 반 조렌 공저.[5]
- 1960년. 《스레드 목록을 이용한 기호 조작》. A. J. 펄리스, C. Thornton 공저. ACM 통신 3권 4호, 195–204쪽.
- 1965년. 《컴퓨터 프로그래밍 입문》. 로버트 T. 브래든 공저.[5]
- 1970년.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고찰》. 버나드 A. 갤러 공저.[5]
- 1975년. 《컴퓨터 과학 입문》[5]
- 1977년. 《APL 찬양: 서정적인 프로그래밍 언어》[5]
- 1978년. 《거의 완벽한 인공물은 작은 방식으로만 개선됩니다: APL은 영어보다 프랑스어에 가깝습니다》[5]
- 1981년. 《소프트웨어 메트릭스: 분석 및 평가》. 프레데릭 세이워드, 메리 쇼 공저.[5]
- 1986년. 《FAC: 기능적 APL 언어》. 투 하이첸 공저.[5]
5. 앨런 펄리스에 관한 저서
참조
[1]
서적
History of Computing: Software Issues
2002
[2]
웹사이트
A.M Turing Award Winners: Alan J. Perlis
https://amturing.acm[...]
2018-01-21
[3]
간행물
Alan Jay Perlis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1979
[4]
문서
Computer science quotations
http://cpsc.yale.edu[...]
[5]
문서
Alan J. Perlis Papers, 1942–1989
http://purl.umn.edu/[...]
Charles Babbage Institute,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1951-1988
[6]
문서
Epigrams in Programming
https://cpsc.yale.ed[...]
[7]
웹인용
Computer Science quotations
http://www.cs.yale.e[...]
2014-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