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나카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나카촌은 와타라세강, 파파강, 오모이가와강이 합류하는 지점 부근에 위치했던 마을로,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무로마치 시대부터 비옥한 농지로 알려졌으며, 1888년 우치노, 에게노, 시모노미야 3개 촌이 합병하여 성립되었다. 주요 산업은 벼농사와 벽돌 공업이었으며, 아시오 광독 사건의 피해와 유수지 건설 계획으로 인해 1906년 강제 폐촌되었다. 촌민들은 인근 지역과 홋카이도로 이주하였으며, 현재는 야나카 촌 합동 위령비 등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유령 도시 - 하치조코섬
하치조코섬은 도쿄 남쪽 해상에 있는 무인도로, 풍부한 해양 생물과 유배지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현재는 도쿄도 조수 보호구 특별 보호 지구이자 멸종위기종 번식지로 관리된다. - 일본의 유령 도시 - 도쿠야마촌 (기후현)
기후현 이비군에 위치했던 도쿠야마촌은 이비산지의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1987년 도쿠야마댐 건설로 인해 후지하시촌에 편입되어 폐촌되었고, 현재는 망향 광장이 조성되어 있다. - 도치기시의 역사 - 미즈호촌 (도치기현)
미즈호촌은 도야마 촌과 미즈시로 촌의 합병으로 시작되었으나 오히라 촌과 합병하여 노기정이 되면서 소멸된, 바하가와와 나가노가와가 흐르는 지역에 위치했던 과거 도치기현의 촌이다. - 도치기시의 역사 - 후지오카정 (도치기현)
후지오카정은 간토 평야 북부에 위치했던 도치기현의 행정 구역으로, 1889년 정으로 승격된 후 여러 합병과 분리를 거쳐 2010년 주변 지역과 합병하여 소멸했으며, 고카이 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지를 포함하는 지역에 제2차 산업이 발달했다. - 시모쓰가군 - 오야마시
오야마시는 도치기현 남동부에 위치한 관동평야의 교통 요충지로, 하천이 흐르고 도호쿠 신칸센 등이 지나며, 과거 농산물 집산지에서 내륙 공업 도시 및 도쿄의 베드타운으로 발전하여 농업, 제조업, 상업이 균형 있게 발전하고, 다양한 역사 유적과 국제 교류를 진행하는 도치기현 제2의 도시이다. - 시모쓰가군 - 도치기시
도치기시는 일본 도치기현 남부에 위치하며, 1937년 시로 승격되었고, 2010년 주변 정과 합병하여 현재에 이르렀으며, 간토 평야 북부에 위치한 지역 상업 중심지이다.
야나카촌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시모쓰가군 야나카무라 |
![]() | |
행정 | |
폐지일 | 1906년 7월 1일 |
폐지 이유 | 편입 합병 |
폐지 상세 | 야나카무라 → 후지오카정 |
현재 자치체 | 도치기시 |
율금 | 야나카무라 |
자치체 명칭 | 야나카무라 |
구분 | 촌 |
현 | 도치기현 |
군 | 시모쓰가군 |
인접 자치체 | 도치기현: 시모쓰가군후지오카정, 아카마촌, 헤야촌, 나마이촌, 노기촌 군마현: 오라군에비세촌 사이타마현: 기타사이타마군리시마촌, 가와베촌 이바라키현: 사시마군고가정 |
2. 지리
와타라세강·파파강·오모이가와의 합류 지점 부근에 있었다. 마을의 북쪽은 아카마 촌으로, 사이에는 아카마 늪, 아카시부 늪, 이시카와 늪, 마에하라 늪이 있었다. 서쪽은 구 우에노국(군마현) 에비세 지구로, 1918년에 후지오카 대지를 개삭·통수하기 이전에는, 와타라세강이 「7곡선」이라고 불리며 굴곡져 경계를 흐르고. 이것은 현재도 도치기·군마 양현경의 형태로서 계승되고 있다.
무로마치 시대부터 이 땅은 비옥한 농지로 알려져 있었다. 에도 시대에는 주로 후루카와번이 개척했다. 당시부터 홍수가 빈발하고 있었기 때문에, 후루카와번은 이 땅의 연공을 큰폭으로 감면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홍수가 없는 해의 수확은 매우 커서, 1년 수확이 있으면 7년은 먹을 수 있다고 할 정도였다고 한다.
1888년에 전국에서 시정촌 제도 개정이 있어, 우치노, 에게노, 시모노미야의 3촌이 합병해 야나카촌이 성립하였다.
주요 산업은 벼농사와 농업을 중심으로 삼는 벽돌공장도 있었다. 아카마누마 등에서 어업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전 촌민의 시마다 소조에 의하면 면적 13평방 킬로미터, 인구 2700명, 호수 450호라고 한다.
토지를 늘리기 위해 당시 마을에 있던 아카마누마 둑의 위치를 바꾸려다 실패하였고, 둑이 무너지면서 늪의 물이 마을 안으로 흘러들어 이후 폭우가 쏟아질 때마다 둑이 무너진다고 한다.
야나카 촌에는 우치노, 에게노, 시타미야의 3개 대자가 있었다.
2. 1. 소지역
야나카 촌에는 우치노, 에게노, 시타미야의 3개 대자가 있었다.3. 역사
무로마치 시대부터 이 지역은 비옥한 농지로서 알려져 있었다. 에도 시대에는 주로 고가 번이 개척을 실시했다. 당시부터 홍수가 빈번했기 때문에, 고가 번은 이 지역의 연공을 대폭 감면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홍수가 없는 해의 수확은 매우 컸고, 1년 수확이 있으면 7년은 먹을 수 있다고도 말해질 정도였다고 한다.
1888년에 전국에서 시정촌 제도 개정이 있어, 우치노, 에시모, 시모미야의 3촌이 합병하여 야나카 촌이 성립.
주요 산업은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는 농업으로, 벽돌 공장도 있었다. 아카소 늪 등에서 어업도 행해졌다.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전 촌민인 시마다 소조에 따르면 면적 13제곱킬로미터, 인구 2700명, 호수 450호.
토지를 늘리기 위해 당시 마을에 있던 아카소 늪의 둑 위치를 바꾸려다가 실패[3]。둑이 무너져, 늪의 물이 마을 내로 유입되었다. 이 후, 폭우가 내릴 때마다 둑이 붕괴되었다.
와타라세강・토모에강・오모이가와의 합류 지점 부근에 야나카촌이 있었다. 마을의 북쪽은 아카소 촌으로, 사이에는 아카소 늪・아카시부 늪・이시카와 늪・마에하라 늪이 있었다[1]。서쪽은 구 고즈케국 (군마현) 에비세 지역으로, 다이쇼 7년 (1918년)에 후지오카 대지를 개척・통수하기 전에는, 와타라세 강이 "나나마가리"라고 불리며 굴곡을 이루며 경계를 흘렀다[2]。이것은 현재도 토치기・군마 양 현 경계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메이지 중기 이후, 와타라세강이 범람할 때마다 이타쿠라마치 등과 함께 아시오 광독 사건 피해를 입었고, 이후 광독 반대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902년, 정부는 광독을 침전시킨다는 명목으로 와타라세 강 하류에 유수지를 만들 계획을 세웠으나, 예정지였던 사이타마현 기타사이타마군 가와베 촌, 도리시마 촌(현재의 가조시 기타카와베 지구)의 반대가 심해 이듬해 예정지가 야나카 촌으로 변경되었다.
1903년 1월 16일, 도치기현 현 의회에 제안되었던 야나카 촌 유수지화 안이 폐안되었다. 이때 야나카 촌의 장래에 위기를 느낀 다나카 쇼조는 1904년 7월 30일부터 실질적으로 야나카 촌으로 이주했다.
1904년, 도치기 현은 제방 공사를 명목으로 와타라세 강의 제방을 파괴하여, 이후 야나카 촌은 비가 올 때마다 홍수가 발생했다. 같은 해 12월 10일, 도치기 현 의회는 비밀 회의에서 야나카 촌 매수를 결의했다. 당시 야나카 촌 유적을 지키는 모임에 따르면 인구 2500명, 가구 수 387가구, 면적 1000정보였다. 광독으로 인해 작물이 자라지 않게 된 시점의 가격을 기준으로 매수 가격이 책정되었기 때문에, 1단보(약 991.74m²)당 논은 20엔, 밭은 30엔으로 인근 마을에 비해 매우 쌌다(약 1/5 수준).
말기에는 광독으로 면세가 되면서 많은 촌민이 선거권을 잃어 촌장감이 없어졌고, 이에 따라 마지막 촌장은 시모쓰가 군의 서기관 스즈키 도요조(鈴木豊三)가 관장 촌장이라는 형식으로 겸임했다. 스즈키는 세금 미납 등을 이유로 촌민들의 토지를 압류하는 등 폐촌에 협력하였다.
도치기 현은 1906년 3월, 4월 17일까지 촌민들에게 이주를 명령했다. 3월 31일, 마을에 있던 3개의 초등학교 중 2개가 야나카 촌 회의 의결 없이 강제 폐교되었다 (나머지 하나는 후지오카 정립으로 1913년 3월 말까지 존속). 4월 15일, 야나카 촌 회는 후지오카 정으로의 편입 합병안을 부결했다. 5월 11일, 도치기 현은 7월 1일에 야나카 촌을 후지오카 정에 편입한다고 발표했고, 7월 1일 관장 촌장인 스즈키는 도치기 현에 야나카 촌이 후지오카 정에 편입되었다고 보고하여 야나카 촌은 강제 폐촌되었다. 당시 인구는 시마다의 추계로 1000명, 가구 수는 140호였으나, 일부 촌민은 마을에 계속 살았다.
1907년 1월, 정부는 토지 수용법 적용을 발표하고, 마을에 남으면 범죄자가 되어 체포하겠다는 협박으로 많은 촌민을 마을 밖으로 내몰았다. 대부분은 인근 후지오카 정이나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후루카와 정(현재의 후루카와시) 등의 친척 집에 의지했다. 이 해 시마다의 추계로 마을 인구는 400명, 가구 수는 70호였다. 끝까지 물러서지 않았던 촌민의 집은 6월 29일부터 7월 2일에 걸쳐 강제 집행으로 파괴되었다. 파괴된 가구 수는 16가구(제내 13가구, 제상 3가구)였으나, 이들(다나카 쇼조 포함)은 그 후에도 마을에 계속 살았다(후에 1가구 감소).
1908년 7월 21일, 정부는 야나카 촌 전역을 하천 지역으로 지정했다.
1911년, 옛 야나카 촌민의 홋카이도 도코로군 사로마베츠 벌판으로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이 땅은 현재의 도코로 군 사로마정 도치기이다. 그러나 이주민 대부분이 정착하지 못하고 이후 귀현 활동으로 변천하게 되었다.
1912년, 매수액을 부당하다고 하는 재판의 판결이 나왔다. 매수액은 늘었지만 촌민들은 불만이라며 항소했다. 1919년에는 매수액을 50% 증가하라는 판결이 나왔지만, 촌민들에게는 이미 재판을 계속할 기력이 남아 있지 않아 그대로 확정되었다.
1914년, 잔류 촌민들이 다나카 쇼조의 영혼을 모시는 다나카 레이사(田中靈祀)를 건립하다가 하천법 위반으로 연행되어 재판에서 벌금형을 받았다. 이와 같은 재판은 이전에도 여러 건 있었는데, 모두 판잣집에 살던 전 촌민이 판잣집 수리를 했을 때 하천법 위반으로 추궁당한 것이었다.
1917년 2월 25일경 잔류 촌민 18명이 후지오카 정으로 이주하여 대부분 무인 상태가 되었고, 다나카 레이지도 같은 해 3월 후지오카 정으로 이주했다.
그 후 현재까지 사람이 없는 상태이지만, 도치기시 후지오카 지역 내에 구 야나카 촌 합동 위령비가, 와타라세 유수지 내에 야나카 촌 동사무소 터, 카미나리덴 신사 터 등의 유구가 있어 견학이 가능하다.[4]
메이지 중기 이후, 야나카촌은 와타라세 강 범람으로 인해 아시오 광독 피해를 입었고, 광독 반대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902년 정부는 와타라세 강 하류에 유수지를 만들 계획을 세웠으나, 예정지였던 사이타마현 기타사이타마군 가와베촌, 도시마촌(현재의 가조시 기타카와베 지구)의 반대가 심해 이듬해 야나카촌으로 변경되었다.
1903년, 도치기현회는 야나카촌 유수지화안을 폐기했으나, 1904년 도치기현은 제방 공사를 명목으로 와타라세 강의 제방을 파괴하여 야나카촌에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같은 해 12월, 도치기현회는 비밀리에 야나카촌 매수를 결의했다. 당시 야나카촌 유적을 지키는 모임에 따르면 인구는 2500명, 가구 수는 387가구, 면적은 1000정보였다. 매수 가격은 광독 피해로 작물이 자라지 않게 된 시점을 기준으로 책정되어 인근 마을에 비해 매우 낮았다.
마지막 촌장은 시모쓰가 군 서기관 스즈키 도요조(鈴木豊三)가 관장 촌장으로 겸임했으며, 그는 세금 미납 등을 이유로 촌민들의 토지를 압류하는 등 폐촌에 협력했다. 1906년 도치기현은 촌민들에게 강제 이주를 통보했고, 야나카촌은 후지오카정에 강제 편입되어 폐촌되었다.
1907년, 정부는 토지 수용법을 적용하여 남은 촌민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다. 대부분은 인근 지역이나 친척집으로 이주했으나, 일부는 끝까지 저항하다 강제 집행으로 파괴되었다. 1908년, 야나카촌 전역은 하천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911년, 구 야나카촌민들은 홋카이도 도코로군 사로마베츠 벌판(현재의 사로마정 도치기)으로 이주를 시작했으나, 대부분 정착하지 못하고 귀향했다. 1912년, 매수액을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재판이 열렸고, 1919년에는 매수액을 50% 증액하라는 판결이 나왔지만, 촌민들은 이미 재판을 계속할 기력이 없어 그대로 확정되었다.
1914년, 잔류 촌민들이 다나카 쇼조의 영혼을 모시는 다나카 레이사(田中靈祀)를 건립하다 하천법 위반으로 연행되어 벌금형을 받았다. 1917년, 잔류 촌민 18명이 후지오카정으로 이주하면서 대부분 무인 상태가 되었고, 다나카 레이지도 같은 해 후지오카정으로 이주했다.
현재까지 야나카촌은 무인 상태이지만, 도치기시 후지오카 지역 내에 구 야나카촌 합동 위령비, 와타라세 유수지 내에 야나카촌 동사무소 터, 가미나리덴 신사 터 등의 유구가 남아있다.
주요 이주 지역은 다음과 같다.[5]
지역 | 가구 수 |
---|---|
이바라키현고가시 | 120호 |
도치기현후지오카정 (도치기시) | 90호 |
도치기현 노기정 | 66호 |
도치기현 나스군・시오야군 | 46호 |
군마현이타쿠라마치 (에비세) | 33호 |
사이타마현기타카와베정 (가조시) | 18호 |
도치기현 오야마시 (나마이) | 13호 |
기타 (도쿄・후카가와, 미부정 (구니야), 홋카이도 등) | 수~십 호 |
3. 1. 아시오 광독 사건과 강제 폐촌
메이지 중기 이후, 와타라세강이 범람할 때마다 이타쿠라마치 등과 함께 아시오 광독 사건 피해를 입었고, 이후 광독 반대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1902년, 정부는 광독을 침전시킨다는 명목으로 와타라세 강 하류에 유수지를 만들 계획을 세웠으나, 예정지였던 사이타마현 기타사이타마군 가와베 촌, 도리시마 촌(현재의 가조시 기타카와베 지구)의 반대가 심해 이듬해 예정지가 야나카 촌으로 변경되었다.
1903년 1월 16일, 도치기현 현 의회에 제안되었던 야나카 촌 유수지화 안이 폐안되었다. 이때 야나카 촌의 장래에 위기를 느낀 다나카 쇼조는 1904년 7월 30일부터 실질적으로 야나카 촌으로 이주했다.
1904년, 도치기 현은 제방 공사를 명목으로 와타라세 강의 제방을 파괴하여, 이후 야나카 촌은 비가 올 때마다 홍수가 발생했다. 같은 해 12월 10일, 도치기 현 의회는 비밀 회의에서 야나카 촌 매수를 결의했다. 당시 야나카 촌 유적을 지키는 모임에 따르면 인구 2500명, 가구 수 387가구, 면적 1000정보였다. 광독으로 인해 작물이 자라지 않게 된 시점의 가격을 기준으로 매수 가격이 책정되었기 때문에, 1단보(약 991.74m²)당 논은 20엔, 밭은 30엔으로 인근 마을에 비해 매우 쌌다(약 1/5 수준).
말기에는 광독으로 면세가 되면서 많은 촌민이 선거권을 잃어 촌장감이 없어졌고, 이에 따라 마지막 촌장은 시모쓰가 군의 서기관 스즈키 도요조(鈴木豊三)가 관장 촌장이라는 형식으로 겸임했다. 스즈키는 세금 미납 등을 이유로 촌민들의 토지를 압류하는 등 폐촌에 협력하였다.
도치기 현은 1906년 3월, 4월 17일까지 촌민들에게 이주를 명령했다. 3월 31일, 마을에 있던 3개의 초등학교 중 2개가 야나카 촌 회의 의결 없이 강제 폐교되었다 (나머지 하나는 후지오카 정립으로 1913년 3월 말까지 존속). 4월 15일, 야나카 촌 회는 후지오카 정으로의 편입 합병안을 부결했다. 5월 11일, 도치기 현은 7월 1일에 야나카 촌을 후지오카 정에 편입한다고 발표했고, 7월 1일 관장 촌장인 스즈키는 도치기 현에 야나카 촌이 후지오카 정에 편입되었다고 보고하여 야나카 촌은 강제 폐촌되었다. 당시 인구는 시마다의 추계로 1000명, 가구 수는 140호였으나, 일부 촌민은 마을에 계속 살았다.
1907년 1월, 정부는 토지 수용법 적용을 발표하고, 마을에 남으면 범죄자가 되어 체포하겠다는 협박으로 많은 촌민을 마을 밖으로 내몰았다. 대부분은 인근 후지오카 정이나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후루카와 정(현재의 후루카와시) 등의 친척 집에 의지했다. 이 해 시마다의 추계로 마을 인구는 400명, 가구 수는 70호였다. 끝까지 물러서지 않았던 촌민의 집은 6월 29일부터 7월 2일에 걸쳐 강제 집행으로 파괴되었다. 파괴된 가구 수는 16가구(제내 13가구, 제상 3가구)였으나, 이들(다나카 쇼조 포함)은 그 후에도 마을에 계속 살았다(후에 1가구 감소).
1908년 7월 21일, 정부는 야나카 촌 전역을 하천 지역으로 지정했다.
1911년, 옛 야나카 촌민의 홋카이도 도코로군 사로마베츠 벌판으로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이 땅은 현재의 도코로 군 사로마정 도치기이다. 그러나 이주민 대부분이 정착하지 못하고 이후 귀현 활동으로 변천하게 되었다.
1912년, 매수액을 부당하다고 하는 재판의 판결이 나왔다. 매수액은 늘었지만 촌민들은 불만이라며 항소했다. 1919년에는 매수액을 50% 증가하라는 판결이 나왔지만, 촌민들에게는 이미 재판을 계속할 기력이 남아 있지 않아 그대로 확정되었다.
1914년, 잔류 촌민들이 다나카 쇼조의 영혼을 모시는 다나카 레이사(田中靈祀)를 건립하다가 하천법 위반으로 연행되어 재판에서 벌금형을 받았다. 이와 같은 재판은 이전에도 여러 건 있었는데, 모두 판잣집에 살던 전 촌민이 판잣집 수리를 했을 때 하천법 위반으로 추궁당한 것이었다.
1917년 2월 25일경 잔류 촌민 18명이 후지오카 정으로 이주하여 대부분 무인 상태가 되었고, 다나카 레이지도 같은 해 3월 후지오카 정으로 이주했다.
그 후 현재까지 사람이 없는 상태이지만, 도치기시 후지오카 지역 내에 구 야나카 촌 합동 위령비가, 와타라세 유수지 내에 야나카 촌 동사무소 터, 카미나리덴 신사 터 등의 유구가 있어 견학이 가능하다.[4]
3. 2. 촌민들의 이주와 이후의 역사
메이지 중기 이후, 야나카촌은 와타라세 강 범람으로 인해 아시오 광독 피해를 입었고, 광독 반대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902년 정부는 와타라세 강 하류에 유수지를 만들 계획을 세웠으나, 예정지였던 사이타마현 기타사이타마군 가와베촌, 도시마촌(현재의 가조시 기타카와베 지구)의 반대가 심해 이듬해 야나카촌으로 변경되었다.1903년, 도치기현회는 야나카촌 유수지화안을 폐기했으나, 1904년 도치기현은 제방 공사를 명목으로 와타라세 강의 제방을 파괴하여 야나카촌에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같은 해 12월, 도치기현회는 비밀리에 야나카촌 매수를 결의했다. 당시 야나카촌 유적을 지키는 모임에 따르면 인구는 2500명, 가구 수는 387가구, 면적은 1000정보였다. 매수 가격은 광독 피해로 작물이 자라지 않게 된 시점을 기준으로 책정되어 인근 마을에 비해 매우 낮았다.
마지막 촌장은 시모쓰가 군 서기관 스즈키 도요조(鈴木豊三)가 관장 촌장으로 겸임했으며, 그는 세금 미납 등을 이유로 촌민들의 토지를 압류하는 등 폐촌에 협력했다. 1906년 도치기현은 촌민들에게 강제 이주를 통보했고, 야나카촌은 후지오카정에 강제 편입되어 폐촌되었다.
1907년, 정부는 토지 수용법을 적용하여 남은 촌민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다. 대부분은 인근 지역이나 친척집으로 이주했으나, 일부는 끝까지 저항하다 강제 집행으로 파괴되었다. 1908년, 야나카촌 전역은 하천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911년, 구 야나카촌민들은 홋카이도 도코로군 사로마베츠 벌판(현재의 사로마정 도치기)으로 이주를 시작했으나, 대부분 정착하지 못하고 귀향했다. 1912년, 매수액을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재판이 열렸고, 1919년에는 매수액을 50% 증액하라는 판결이 나왔지만, 촌민들은 이미 재판을 계속할 기력이 없어 그대로 확정되었다.
1914년, 잔류 촌민들이 다나카 쇼조의 영혼을 모시는 다나카 레이사(田中靈祀)를 건립하다 하천법 위반으로 연행되어 벌금형을 받았다. 1917년, 잔류 촌민 18명이 후지오카정으로 이주하면서 대부분 무인 상태가 되었고, 다나카 레이지도 같은 해 후지오카정으로 이주했다.
현재까지 야나카촌은 무인 상태이지만, 도치기시 후지오카 지역 내에 구 야나카촌 합동 위령비, 와타라세 유수지 내에 야나카촌 동사무소 터, 가미나리덴 신사 터 등의 유구가 남아있다.
주요 이주 지역은 다음과 같다.[5]
지역 | 가구 수 |
---|---|
이바라키현고가시 | 120호 |
도치기현후지오카정 (도치기시) | 90호 |
도치기현 노기정 | 66호 |
도치기현 나스군・시오야군 | 46호 |
군마현이타쿠라마치 (에비세) | 33호 |
사이타마현기타카와베정 (가조시) | 18호 |
도치기현 오야마시 (나마이) | 13호 |
기타 (도쿄・후카가와, 미부정 (구니야), 홋카이도 등) | 수~십 호 |
4. 폐촌 이후
4. 1. 주요 이주지
야나카촌 주민들은 강제 퇴거 이후 뿔뿔이 흩어졌다. 주요 이주지는 다음과 같다.[5]- 이바라키현고가시: 120호
- 도치기현후지오카정 (현재는 합병으로 도치기시): 90호
- 도치기현 노기정: 66호
- 도치기현 나스군・시오야군: 46호
- 군마현이타쿠라마치 (에비세): 33호
- 사이타마현기타카와베정 (현재는 합병으로 가조시): 18호
- 도치기현 오야마시 (나마이): 13호
그 외에도 도쿄・후카가와, 미부정 (구니야), 홋카이도 등지로 이주한 가구도 각각 수십 호 정도 있었다. 시모미야(下宮)에서는 이바라키현고가시로, 우치노(内野)에서는 도치기현후지오카정으로, 에게노(恵下野)에서는 노기정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1911년에는 홋카이도 도코로군 사로마베츠 벌판(현재의 도코로군 사로마정 도치기)으로 이주가 시작되었으나, 대부분 정착하지 못하고 귀향하였다.
5. 종교 시설
야와타 신사는 시모노미야에서 고가시 미야마에초로 이전되었다.[1] 라이덴 신사는 에시타노에서 노기마치 노와타로 이전되었다.[1] 고즈 텐노샤는 우치노에서 후지오카마치 시모노미야로 이전되었다.[1]
시모노미야에 있는 라이덴 신사와 엔메이인은 현재 야나카 호코쿠의 사적 보존 구역 내에 남아 있다. 건물은 없지만, 남겨진 사사지에서 제사가 계속되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渡良瀬遊水地見学会 資料 2020年2月11日
http://suigenren.jp/[...]
渡良瀬遊水池を守る利根川流域住民協議会
2020-07-15
[2]
웹사이트
歴史的農業環境閲覧システム
http://habs.dc.affrc[...]
農業環境技術研究所
[3]
서적
佐江
[4]
웹사이트
月別・地区別世帯数及び人口
https://www.city.toc[...]
栃木市
2022-11-20
[5]
논문
谷中村村民の移住先と村落(ムラ)の再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