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니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니토는 지브롤터에서 사용되는 독특한 언어로, 스페인어와 영어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어원은 불확실하며, 스페인어 "작은 평원"에서 유래되었거나 이탈리아어 이름 "지안니"에서 파생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1713년 지브롤터가 영국에 양도된 이후 영어의 영향이 시작되었으며, 안달루시아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언어의 차용어와 코드 스위칭, 코드 믹싱 등의 특징을 보인다. 야니토는 고유한 표현과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스페인어 본토에도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야니토 보존을 위한 연구와 대중 매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브롤터의 언어 - 영국 영어
    영국 영어는 앵글로색슨 시대 고대 영어에서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역별 방언과 발음의 다양성을 보이며 미국 영어와 철자, 어휘, 문법에서 차이를 보이는, 영연방 국가들의 영어 사용에 영향을 미친 영어의 여러 변종을 통칭하는 말이다.
  • 지브롤터의 언어 - 지브롤터 영어
    지브롤터 영어는 지브롤터에서 사용되는 영어의 한 종류이며, 사회언어학적 역사, 변화 및 변이, 스페인어와의 관계 등에 대한 문헌 연구의 주제이다.
  • 스페인어 - 스페인 왕립 학술원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스페인어의 표준을 정립하고 보존하기 위해 1713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스페인어의 연구와 보급에 기여하며,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와 협력하여 활동한다.
  • 스페인어 - 스페인어권
    스페인어권은 스페인어를 모국어나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을 의미하며,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확장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어 약 5억 7천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특히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분포한다.
  • 혼합 언어 - 수르지크어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혼합어로, 러시아의 지배로 인한 언어적 동화 과정에서 발생하여 우크라이나의 언어 및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복잡한 쟁점을 내포한다.
  • 혼합 언어 - 에로민첼라어
    에로민첼라어는 바스크 지방의 로마니족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혼합 언어로, 로마니어 어휘에 바스크어 문법 체계를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야니토
언어 정보
언어 이름야니토
다른 이름랴니토
사용 민족지브롤터인
사용 국가지브롤터
화자 수정보 없음
ISO 639-3정보 없음
글롯로그정보 없음
IETF 언어 태그es-GI-spanglis
언어학적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군라틴팔리스크어군
분파로망스어군
소분파이탈리아-서부 로망스어군
세분파서부 로망스어군
방언이베리아 로망스어군
소방언서부 이베리아어군
어계카스티야어군
조상 언어스페인어
파생 언어안달루시아 스페인어
지리적 분포
지브롤터 지도
지브롤터 인구의 대다수가 야니토를 사용한다.
기타
특징스페인어와 영어의 혼합

2. 어원

"야니토"라는 명칭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며,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한 가지 설은 스페인어 llanitospa('작은 평원')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이는 '평원의 사람들'을 의미할 수 있다. 지브롤터와 사회적,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스페인의 라 리네아(La Línea) 주민들이 실제로 처음 Llanitosspa로 불렸을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이는 라 리네아가 더 록(The Rock) 주변의 평원과 늪지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다른 설은 이탈리아어 이름 지안니(Gianniita)의 애칭인 "지아니토"(gianitoita)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제노바 속어에서는 'g'를 'j'처럼 발음한다.[8] 18세기 후반, 지브롤터 남성 민간 인구의 34%가 제노바 출신이었으며, Gianniita는 흔한 이탈리아 이름이었다.[9] 오늘날에도 지브롤터인 성씨의 약 20%는 이탈리아계이다.[10] 또한, 영어 이름 "조니"(Johnny)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14]

마지막으로, llanitospa가 원래 일반 지브롤터인들이 사용하는 "평범한 언어"를 지칭하는 말이었고, 이것이 점차 사람들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확장되었다는 가설도 있다.

3. 역사

야니토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시기는 다음과 같다.[11]


  •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지브롤터가 영국에 양도되었다. 이 사건은 지브롤터에 영어의 영향력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 스페인 독립 전쟁과 반도 전쟁 이후: 영국 당국은 영국식 교육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지브롤터 내 영어 사용 확산에 기여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브롤터 민간인들을 대피시키는 과정에서 영국 당국은 대부분의 지브롤터 주민들이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시스템에서 스페인어의 비중을 줄이고 외국어 과목으로 격하시켰다.
  • 1969–1982년: 스페인 정부가 "울타리"(육상 국경)를 폐쇄했다. 이 조치로 스페인 노동자들의 지브롤터 출입이 막히면서, 지브롤터 내 직장에서 스페인어 사용의 필요성이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스페인 출신 보모 등의 유입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4. 언어적 특징

야니토는 안달루시아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하며, 영국 영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이는 지브롤터 주변 지역인 캄포 데 히브랄타르에서 사용되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또한 제노바 방언 (500개 이상 단어), 히브리어 (지브롤터의 유대인 인구가 사용하던 유대 스페인어의 일종인 하케티아를 통해 유입), 몰타어, 포르투갈어, 메노르카 카탈루냐어, 다리자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단어를 차용했다.[12] 한때 칼로어에서 차용한 단어도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야니토 사용자들은 스페인어와 영어 사이에서 코드 스위칭(문장 단위로 언어를 바꾸는 것)과 코드 믹싱(한 문장 안에서 단어 단위로 언어를 섞는 것)을 자주 사용한다. 아래는 야니토 문장의 몇 가지 예시이다.

야니토스페인어영어
'Quillo, Im telling you que no puede...''Tío, te digo que no puedes...'Mate, Im telling you you can...
Hay un call pa ti.Hay una llamada para ti.'Theres a call for you.''
Sí, pero at the end of the day...Sí, pero al final del día...Yes, but at the end of the day...
Te llamo p´atra anywayTe devuelvo la llamada de todas manerasI´ll call you back anyway



야니토의 특징 중 하나는 영어 단어를 안달루시아식으로 발음하는 경향이다. 예를 들어, 'bacon'을 ''beki'', 'cake'를 ''keki''로 발음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널리 쓰이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죽'을 의미하는 ''quecaró''는 퀘이커 오츠(Quaker Oats) 브랜드 이름이 스페인어화된 것이다.

음운론적으로 야니토는 다른 안달루시아 방언처럼 단어 끝의 /n/을 비음화하거나, 자음 앞이나 단어 끝의 /l/과 /r/을 중화시키거나 탈락시키고, 단어 끝의 /s/를 약화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다만, 지브롤터 사람들은 비교적 격식적인 상황에서도 이러한 음운 축약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어, 좀 더 표준적인 발음을 사용하려는 다른 안달루시아인들과 차이를 보인다.[14] 이러한 음운 축약은 어휘 재구성으로 이어지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터널'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túnel|투넬spa은 '[ˈtune]'로 발음되고, 복수형은 '[ˈtunele(h)]'가 아닌 '[ˈtune(h)]'로 발음될 수 있다.[14]

야니토는 공식적인 철자법이 없다.[7] 일부 야니토 단어는 이웃한 스페인 도시 라 리네아 데 라 콘셉시온에서도 사용되는데, 이는 오랫동안 지브롤터에서 일해 온 스페인 노동자들의 영향 때문이다.[13]

대부분의 지브롤터인, 특히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표준 스페인어(안달루시아 억양)와 표준 영국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 야니토에 대한 사전으로는 마누엘 카빌라의 ''Diccionario Yanito''(1978)와 티토 바예호의 ''The Yanito Dictionary''(2001) 등이 있다.[15]

4. 1. 차용

야니토에서 영어 단어를 차용할 때 오역이 발생하거나 비공식적인 유희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 ''Echegarai'': '감시인' 또는 '경비'를 의미한다. 이는 영어 표현인 ''"Check Gate"''(확인 게이트)에서 유래했으며, 바스크 성씨인 에체가라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Focona'': 스페인과의 지브롤터 국경을 의미하며, 영어 ''"Four Corners"''(네 개의 모서리)에서 유래했다.
  • ''darle una apología'': '그에게 사과를 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표준 스페인어에서 apologíaes는 '변론'을 의미하며, '사과하다'는 보통 pedirle perdónes으로 표현한다.
  • ''liqueribá'': 스페인어로 regalizes('감초')를 의미하며, 영어 "liquorice bar"에서 유래했다.


또한, 야니토는 "back"으로 끝나는 영어 구동사의 사용을 반영하여 para atráses 또는 p'atráses('뒤로')와 같은 구어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16] 이러한 표현들은 표준 스페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거나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 ''Te llamo p'atrás'': 영어 구문 "I'll call you back"을 스페인어로 직역한 표현이다. 표준 스페인어에서는 보통 "전화 다시 걸어드릴게요"라는 의미로 Te devuelvo la llamadaes 또는 Te devolveré la llamadaes라고 말한다.
  • ''dar p'atrás'': 영어 "To give back" (돌려주다)에 해당한다.
  • ''venir p'atrás'': 영어 "To come back" (돌아오다)에 해당한다.
  • ''hablar p'atrás'': 영어 "To talk back" (말대답하다)에 해당한다.
  • ''pagar p'atrás'': 영어 "To pay back" (갚다)에 해당한다.


p'atráses 표현의 사용은 미국 스페인어나 Isleño Spanish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16] 다른 영어 구동사들은 거의 스페인어로 번역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p'atráses 표현은 독특한 사례로 여겨진다.[16] 이는 해당 표현이 스페인어의 구조와 일치하면서도 영어 표현과는 구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언어적 차용이라기보다는 개념적 차용의 결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반대로 스페인어 표현을 영어로 직역하는 경우도 있다.

  • '''Don't give me the tin영어''': 스페인어 표현 No me des la lataes("나를 귀찮게 하지마")를 직역한 것이다.
  • '''What a영어 cachónesfinger!영어''': 영국 영어로 '놀림'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단어 cachondeoes에 기반한 유머러스한 표현이다. 단어의 끝 부분인 deoes는 구어체 안달루시아 스페인어에서 dedoes(손가락)가 발음되는 방식과 유사하여, 이를 영어 단어 'finger'와 결합한 `''cachónesfinger영어''` 형태가 되었다.

4. 2. 지역 표현

¿Tú quién te crees que eres? ¿El hijo del Melbil?|es는 직역하면 "너는 네가 누구라고 생각하니? 멜빌의 아들?" 이라는 뜻으로, 누군가가 지나치게 잘난 체할 때 사용된다. Melbil|es은 영국의 이름 ''Melville''의 스페인어 발음 근사치이며, 이 표현은 19세기 초에 두각을 나타낸 멜빌 경과 관련된 것이다. 선대 멜빌 경은 전쟁 장관 (1794–1801)이었고, 해군 장관 (1804–1805)이었으며, 그의 아들인 젊은 멜빌 경은 후에 해군 장관 (1812-1827)이 되었다.

5. 스페인어에 미친 영향

많은 야니토 용어는 인접한 스페인 도시 라 리네아 데 라 콘셉시온의 안달루시아 스페인어 방언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 방언은 '리넨세'로 알려져 있다. 더 나아가, 지브롤터의 언어학자 티토 바예호에 따르면 스페인 전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부 단어들도 야니토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멋진' 또는 '훌륭한'을 의미하는 chachi|차치es와 '큰 코'를 의미하는 napia|나피아es가 있다.[17]

바예호는 chachi|차치es윈스턴 처칠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당시 처칠은 지브롤터에서 매우 귀하게 여겨졌던 영국 수입품과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napia|나피아es는 특히 큰 코를 가졌던 것으로 알려진 총독 로버트 네이피어 제1대 매그달라 남작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고 설명한다.[17]

그러나 chachi|차치es의 어원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도 존재한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 단어가 스페인 속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칼로어의 용어 chachipén|차치펜es(‘진실’을 의미)이 줄어든 형태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8]

6. 보존 노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어 교수 로라 라이트(Laura Wright)의 감독 아래, 지브롤터인 학부생 소피 맥도날드(Sophie Macdonald)가 2022년에 야니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라이트 교수는 연구를 위해 지브롤터 정부에 보조금을 신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대신, 그녀는 한 장관을 설득하여 야니토 보존을 그의 선거 공약에 포함시키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작가인 M. G. 산체스의 도움을 받았다.

7. 대중 매체

지브롤터 방송 공사(GBC)는 야니토를 사용하여 여러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그중 하나인 ''토크 어바웃 타운''(''Talk About Town'')은 세 명의 진행자가 거리 표지판 교체 필요성부터 중요한 정치 문제까지 다양한 지역 현안을 논의하는 토론 시리즈였다.

또한, 요리 프로그램인 ''페페의 팟''(''Pepe's Pot'')에서도 야니토가 사용되었다.[19][20]

2011년에는 야니토 언어의 특징, 역사, 문화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피플 오브 더 록: 지브롤터의 야니토''(''People of the Rock: The Llanito of Gibraltar'')[21]가 제작되었다. 이 영화에는 GBC ''페페의 팟'' 진행자인 페페 팔레로, 2009년 미스 월드 우승자 카이아네 알도리노, 그리고 ''야니토 사전''의 저자인 티토 바예호 등이 인터뷰에 참여했다.

8. 사전

1978년, 마누엘 카비야(Manuel Cavilla, OBE)는 Diccionario Yanito|디크시오나리오 야니토es(야니토 사전)를 지브롤터의 MedSUN 출판사(Mediterranean SUN Publishing Co Ltd)에서 출간했다. 이후 2001년에는 티토 바예호(Tito Vallejo)가 The Yanito Dictionary. Including Place Names and Yanito Anecdotes영어라는 제목의 사전을 출판했다.

참조

[1] 간행물
[2] 서적 Glottolog 4.6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3] 웹사이트 Culture of Gibraltar http://www.everycult[...] Everyculture 2007-10-05
[4] 서적 Language Change and Variation in Gibraltar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8-01
[5] 뉴스 Gibraltar fears loss of identity over Yanito decline.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22-11-17
[6] 뉴스 The decline of Llanito: Gibraltar struggles to preserve its singular linguistic identity. https://english.elpa[...] English.elpais.com 2023-03-31
[7] 간행물 Gibraltar, LLanito and Marlboro Men https://www.english.[...] 2024-04
[8] 문서 Gli Italiani Dimenticati"; Chapter: Gibilterra
[9] 서적 Language change and variation in Gibraltar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0] 서적 Gibraltar, identity and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뉴스 El llanito: tres claves para entender cómo Gibraltar desarrolló su 'spanglish' con acento andaluz https://www.eldiario[...] ElDiario.es 2021-05-18
[12] 웹사이트 Gibraltar Ethnologue profile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07-09-21
[13] 웹사이트 Linense Dictionary http://www.geo.ya.co[...] La Línea de la Concepción 2007-10-05
[14] 간행물 Sobre el bilingüismo anglo-hispánico en Gibraltar https://johnlipski.g[...] 1986
[15] 서적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Gibraltarian identity in the printed pres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Gibraltar issue (PhD Thesis) http://hera.ugr.es/t[...] Universidad de Granada 2008-10-13
[16] 간행물
[17] 뉴스 'The Yanito Dictionary' ahonda en el gibraltareño https://www.elmundo.[...] El Mundo 2020-12-04
[18] 뉴스 ¿Cuál es el origen del término 'chachi'? https://blogs.20minu[...] 20 minutos 2020-12-04
[19] 웹사이트 "Pepe's Pot con Vanessa (Programa de cocina de la GBC - TV Gibraltar)" https://www.youtube.[...] 2012-02-21
[20] 간행물 Gibraltar and its hinterland: Sociolinguistic exchanges between two neighbouring communities https://scholar.goog[...]
[21] 웹사이트 The People of the Rock: Llanitos of Gibraltar http://grubstreeteng[...] 2010-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