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페인 왕립 학술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1713년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의 주도로 설립된 기관으로, 스페인어의 표준을 정립하고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탈리아어 학회와 프랑스 학술원을 모델로 삼아, 스페인어의 철자법 규정을 제정하고 사전 및 문법서를 발간하는 등 스페인어의 연구와 보급에 기여해 왔다.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와 협력하여 활동하며, 1951년에는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가 설립되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특정 지역의 용례에 치중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현재 46명의 위원이 있으며, 출판, 연구, 언어 관련 사업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어 - 스페인어권
    스페인어권은 스페인어를 모국어나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을 의미하며,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확장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어 약 5억 7천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특히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분포한다.
  • 스페인어 - 야니토
    야니토는 지브롤터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언어로, 안달루시아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코드 스위칭과 믹싱, 다양한 언어 차용과 칼크, 지역 표현 등이 혼합된 독특한 언어이다.
  • 마드리드의 단체 - 이베로아메리카 국가 기구
    이베로아메리카 국가 기구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들의 교육, 과학, 문화 협력을 목표로 1949년 설립되어 198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총회, 이사회, 사무총장으로 구성되고 24개 회원국이 활동하는 국제기구이다.
  • 마드리드의 단체 -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CCAT)는 대서양과 인접 해역의 참치 및 참치 유사 어종 보존과 관리를 목표로 1969년 설립된 국제 기구로, 과학적 연구, 어획량 할당, 어업 규제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이용을 보장하며, 스페인 마드리드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스페인 왕립 학술원
기본 정보
레알 아카데미아 에스파뇰라 문장
레알 아카데미아 에스파뇰라의 문장
공식 명칭레알 아카데미아 에스파뇰라
원어 명칭Real Academia Española
약칭RAE
국가스페인
위치마드리드
언어스페인어
설립일1713년
종류언어 규제 기관 및 연구 기관
목적언어 규범 및 연구
모토Limpia, fija y da esplendor (언어를 정화하고, 고정시키고, 광채를 부여한다)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보호자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
회장산티아고 무뇨스 마차도
주요 조직운영 위원회
제휴 단체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
추가 정보
설립자에스칼로나 공작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
본부 위치스페인, 마드리드 헤로니모스 지구 펠리페 4세 거리 4번지
서비스 제공 지역스페인어 사용 지역 및 인구
비고레알 아카데미아 에스파뇰라는 스페인어를 관장하는 공식 기관이다.
협회 모토는 "Limpia, fija y da esplendor" (언어를 정화하고, 고정시키고, 광채를 부여한다)이다.
문화재 정보
지정 국가스페인
지정 유형비가동성 기념물
지정 기준기념물
지정 날짜1998년
지정 번호RI-51-0010191

2. 역사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1713년 설립 이후 스페인어의 발전과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1741년 '오르토그라피아'(Ortographía, 2판부터는 Ortografía로 표기)를 통해 스페인어 철자법 규정을 처음으로 제정했다. 이 규정은 1844년 왕명으로 스페인의 공식 규정이 되었고, 점차 라틴 아메리카의 스페인어권 국가들에도 채택되었다.[11] 1959년에는 '음운과 철자의 새 규정'(Nuevas Normas de Prosodia y Ortografía)을 통해 몇 가지 개혁을 단행했으며, 이 규정은 다른 국립 언어 학회와 협의를 거쳐 계속 조정되었다. 1999년 '오르토그라피아'(Ortografía)는 22개 스페인어권 아카데미가 공동으로 편집한 최초의 정서법 책이다.[11]

1994년에는 스페인어 자음 '''CH'''(ché)와 '''LL'''(elle)를 각각 '''C'''와 '''L''' 항목에 포함시키고, 단음절 낱말 모음의 강세 표기법을 변경하는 등 추가적인 변화가 있었다.

18세기에는 『모범사전』(1726년-1739년), 『정서법』(1741년), 『문법』(1771년) 등을 잇달아 간행했다. 1780년에는 스페인 전역의 학교에서 왕립 학술원의 문법서를 사용하여 초등 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되었다.

19세기에는 남미 스페인어권 국가들에서도 언어 아카데미가 설립되기 시작했다. 1951년 멕시코에서 제1회 스페인어 아카데미 국제대회가 개최되어 스페인어권 국가, 미국, 필리핀이 참여하는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AALE)가 설립되었다.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 본부는 스페인 왕립 학술원 본부와 같은 건물에 위치한다.

학술원 정회원 살바도르 구티에레스(Salvador Gutiérrez)에 따르면, 학술원은 규칙을 제정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연구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제시한다.[12] 언어 규칙은 지속적인 표현 사용의 결과이며, 학술원은 그 일부를 수집한다.

RAE의 출판물 표지에 있는 모토


1894년 알폰소 13세에 의한 마드리드 RAE 건물 개관

2. 1. 설립 배경

1713년 스페인 왕립 학술원이 창설되었다. 이 기관은 이탈리아어 학회(1582년)와 프랑스 학술원(1635년)을 모델로 하여 '카스티야어의 소리와 어휘를 품위있고 세련되며 순수하게 정하기 위해' 생겼다.[3] 펠리페 5세1714년 10월 3일에 학술원 창설을 승인하고, 국왕의 보호하에 두었다.[7]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는 왕립 학술원의 목적을 표준어를 시대에 맞게 발전적으로 정비하여 '스페인어 언중들이 언제나 세르반테스를 읽을 수 있게끔' 하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

1700년에 스페인 부르봉 왕조가 성립되면서 중앙집권 국가 체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스페인어가 스페인 유일의 공용어로 제정되었고, 공문서 등에서 지역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프랑스의 프랑스 학술원을 본떠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가 초안을 작성하였고, 펠리페 5세의 칙령에 따라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impia, fija y da esplendor"(언어를 정화하고, 고정시키고, 그에 광채를 더한다)라는 표어가 내걸렸으며, "스페인어의 순수성과 우아함을 기르고, 정착시키는 것"이 목적으로 정해졌다.

초기에는 지식인들의 정례회에 불과했지만, 1754년에는 페르난도 6세에 의해 본부가 왕립 궁전으로 이전되었고, 1793년에는 카를로스 4세에 의해 구 증류주 전매국 건물이 제공되면서, 1894년에는 프라도 미술관에 인접한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였다.

2. 2. 초기 설립 과정

1713년 스페인 왕립 학술원이 창설되었다. 이 기관은 이탈리아어 학회(Accademia della Crusca, 1582년)와 프랑스 학술원(Académie française, 1635년)을 모델로 하여 '카스티야어의 소리와 어휘를 품위있고 세련되며 순수하게 정하기 위해' 생겼다.[3][4] 펠리페 5세는 1714년 10월 3일에 학술원 창설을 승인하고, 국왕의 보호하에 두었다.[7] 이는 아카데미 회원들이 왕실 가족의 하인들에게 주어지는 특권과 면제를 누릴 수 있음을 의미했다.[3]

왕립 학술원을 세운 귀족인 비예나 후작이자 에스칼로나 공작인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는 왕립 학술원의 목적을 표준어를 시대에 맞게 발전적으로 정비하여 '스페인어 언중들이 언제나 세르반테스를 읽을 수 있게끔' 하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

1711년, 스페인은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과 달리 포괄적이고 학술적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어휘 목록을 담은 대규모 사전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미래 아카데미의 초기 핵심은 같은 해 마드리드 레알 데스칼사스 광장에 있는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 백작이자 에스칼로나 공작이자 비예나 후작의 궁전 도서관에서 만난 8명의 혁신가들에 의해 형성되었다.[2]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Real Academia Española)는 파체코의 주도로 1713년 8월 3일 설립되었으며, 그 목적은 "카스티야어의 어휘와 단어들을 가장 적절하고 우아하며 순수하게 고정하는 것"이었다.[3] 목표는 16세기에 이르러 완성된 상태로, 17세기에 확립된 언어를 고정하는 것이었다.

새로운 단체의 첫 공식 회의는 1713년 7월 6일 파체코의 저택에서 열렸으며, 이는 1713년 8월 3일에 시작된 회의록에 기록되어 있다.[5]

24명의 선출된 회원들[6]로 구성된 아카데미의 설립은 1714년 10월 3일 펠리페 5세의 왕령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아카데미는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라고 불릴 권리를 얻었다.[7] 아카데미는 처음에는 발베르데 거리 26번지에 위치했으며, 이후 알라르콘 거리와 펠리페 4세 거리 모퉁이에 있는 현재의 자리로 이전했다.[8]

선택된 문장은 불 속에 놓인 뜨거운 도가니이며, 그 문구는 Limpia, fija y da esplendores("정화하고, 고정하고, 광채를 더하다")였다.[9] [10]

집단적 유용성이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의 주요 특징이 되었으며, 황금기 시대에 우후죽순 생겨났고 단순한 임시 문학 모임으로 여겨졌던 다른 아카데미들과 차별화되었다.

1700년에 스페인 부르봉 왕조가 성립되면서 중앙집권 국가 체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스페인어가 스페인 유일의 공용어로 제정되었고, 공문서 등에서 지역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프랑스의 아카데미 프랑세즈를 본떠 빌례나 후작 J. M. 페르난데스 파체코가 초안을 작성하였고, 펠리페 5세의 칙령에 따라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impia, fija y da esplendor"(언어를 정화하고, 고정시키고, 그에 광채를 더한다)라는 표어가 내걸렸으며, "스페인어의 순수성과 우아함을 기르고, 정착시키는 것"이 목적으로 정해졌다.

초기에는 지식인들의 정례회에 불과했지만, 1754년에는 페르난도 6세에 의해 본부가 왕립 궁전으로 이전되었고, 1793년에는 카를로스 4세에 의해 구 증류주 전매국 건물이 제공되면서, 1894년에는 프라도 미술관에 인접한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였다.

2. 3. 발전 과정

1713년 스페인 왕립 학술원이 창설되었다. 이 기관은 이탈리아어 학회(1582년)와 프랑스 학술원(1635년)을 모델로 하여 '카스티야어의 소리와 어휘를 품위있고 세련되며 순수하게 정하기 위해' 생겼다.[4] 펠리페 5세는 1714년 10월 3일에 학술원 창설을 승인하고, 국왕의 보호하에 두었다.[7]

왕립 학술원을 세운 귀족인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는 왕립 학술원의 목적을 표준어를 시대에 맞게 발전적으로 정비하여 '스페인어 언중들이 언제나 세르반테스를 읽을 수 있게끔' 하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처음으로 스페인어 철자법 규정을 만들어 1741년에 '오르토그라피아'(Ortographía, 2판부터는 Ortografía로 표기했다) 1판을 발행했다. 왕립 학술원의 규정은 1844년에 왕의 칙령을 통해 스페인에서 공식 규정으로 자리 잡았으며, 점차 라틴 아메리카의 스페인어권 국가에도 채택되었다.[11] 1959년 '음운과 철자의 새 규정'(Nuevas Normas de Prosodia y Ortografía)에서 몇몇 개혁이 단행되었는데, 이 규정은 다른 국립 언어 학회와 협의를 통해 계속 조정을 거쳤다. 현행 규정과 실제 권고는 1999년 '오르토그라피아'(Ortografía) 최신판에 나와있다.[33]

1994년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스페인어 자음 '''CH'''(ché)와 '''LL'''(elle)를 각각 '''C'''와 '''L''' 항목에 포함시키도록 했다. 또 단음절 낱말의 모음의 경우 단어의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 한 그 모음의 강세를 없애도록 했다.

1711년 스페인은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과 달리 포괄적이고 학술적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어휘 목록을 담은 대규모 사전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미래 아카데미의 초기 핵심은 후안 마누엘 페르난데스 파체코의 궁전 도서관에서 만난 8명의 혁신가들에 의해 형성되었다.[2]

1713년 8월 3일 파체코의 주도로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가 설립되었으며, 그 목적은 "카스티야어의 어휘와 단어들을 가장 적절하고 우아하며 순수하게 고정하는 것"이었다.[3] 1713년 7월 6일 파체코의 저택에서 새로운 단체의 첫 공식 회의가 열렸으며, 이는 1713년 8월 3일에 시작된 회의록에 기록되어 있다.[5]

1754년에는 페르난도 6세에 의해 본부가 왕립 궁전으로 이전되었고, 1793년에는 카를로스 4세에 의해 구 증류주 전매국 건물이 제공되면서, 1894년에는 프라도 미술관에 인접한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였다.

18세기에는 『모범사전』(1726년-1739년), 『정서법』(1741년), 『문법』(1771년) 등을 잇달아 간행했다. 당시 대학에서는 라틴어가 사용되었지만, 18세기에 라틴어에서 스페인어로 전환이 진행되었다. 대학 교육은 라틴어에서 스페인어로 바뀌었고, 왕립 아카데미의 문법을 표준으로 하는 스페인어가 초등 교육을 포함한 교육 언어로 채택되었다. 1780년에는 스페인 전역의 학교에서 레알 아카데미아 에스파뇨라의 문법서를 사용하여 초등 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되었다.

19세기에 남미 스페인어권 국가들에서도 잇따라 언어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1] 1951년에는 멕시코에서 제1회 스페인어 아카데미 국제대회가 개최되었고, 스페인어권 국가들, 미국, 필리핀이 참여하여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AALE)가 설립되었다.[1]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 본부는 스페인 왕립 학술원 본부와 같은 건물에 있다.[1]

3. 주요 사업 및 활동



스페인 왕립 학술원(RAE) 정회원 살바도르 구티에레스는 학술원이 언어 규칙을 제정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연구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제시한다고 말한다. 언어 규칙은 지속적인 표현 사용을 통해 만들어지며, 그중 일부를 학술원에서 수집한다. 그는 또한 올바르게 읽고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12]

스페인 왕립 학술원 규정 제1조는 다음과 같다.[13]

3. 1. 출판

스페인 왕립 학술원(RAE)과 스페인어 학술원 협회는 공동으로 여러 출판물을 발행하고 있다. 주요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 ''스페인 왕립 학술원 회보''(Boletín de la Real Academia Española): 1914년에 처음 출판된 학술원의 공식 학술지이다.
  • 스페인어 사전(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1780년에 초판이 출판되었고, 2014년에 23판이 출판되었다.[17] 2017년 10월부터 온라인으로 무료 열람이 가능하다.[18]
  • ''스페인어 기본 사전''(Diccionario esencial de la lengua española): 2006년에 스페인어 사전 22판의 요약본으로 출판되었다.[19]
  • 스페인어 표기법(Ortografía de la lengua española): 1741년에 초판이 출판되었고, 2010년에 최신판이 출판되었다. 1999년판은 히스패닉 세계 전체를 다룬 최초의 철자법 책이다.
  • 스페인어 새로운 문법(Nueva gramática de la lengua española): 1771년에 초판이, 2009년에 최신판이 출판되었다.[20][21] 3가지 버전(완전판(3,800쪽), 매뉴얼판(750쪽), 기본 문법(305쪽))으로 제공된다.
  • 범히스파닉 의문 사전(Diccionario panhispánico de dudas): 2005년에 초판이 출판되었고, 스페인어 사용 관련 의문점을 해결해 준다. 2006년부터 온라인 열람이 가능하다.[26]
  • ''학생 사전''(Diccionario del estudiante): 2005년에 초판이 출판되었고,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중등 교육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27]
  • ''학생 실용 사전''(Diccionario práctico del estudiante): 2007년에 초판이 출판되었고, ''학생 사전''의 라틴 아메리카 개정판이다.[28]
  • ''아메리카니즘 사전''(Diccionario de americanismos): 2010년에 출판되었고, 아메리카 대륙의 스페인어 용어와 그 의미를 나열한다.[29]


18세기에는 『모범사전』(1726년-1739년), 『정서법』(1741년), 『문법』(1771년) 등을 간행했다. 20세기 말 이후로도 『스페인어 정서법』(1999년)과 『스페인어 사전』(2001년)을 간행했다.

스페인 왕립 학술원의 출판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스페인어 사전』(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DRAE)이다. 1780년 초판 발행 이후 2014년 23판까지 출판되었다.

발행 연도
초판1780년
제2판1783년
제3판1791년
제4판1803년
제5판1817년
제6판1822년
제7판1832년
제8판1837년
제9판1843년
제10판1852년
제11판1869년
제12판1884년
제13판1899년
제14판1914년
제15판1925년
제16판1936/1939년
제17판1947년
제18판1956년
제19판1970년
제20판1984년
제21판1992년
제22판2001년
제23판2014년


3. 2.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 (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AALE)

19세기에 남미 스페인어권 국가들에서도 잇따라 언어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1].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오랫동안 castellanoes(카스티야어)를 사용했지만, 20세기에 들어 españoles(스페인어)로 변경했다[2]. 1951년에는 멕시코에서 제1회 스페인어 아카데미 국제대회가 개최되었고, 스페인어권 국가들, 미국, 필리핀이 참여하여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AALE)가 설립되었다[1].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 본부는 스페인 왕립 학술원 본부와 같은 건물에 있다[1].

4. 비판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엘리트적이며 변화가 느리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마드리드 지역의 용례에 집착하고 스페인의 다른 지역이나 스페인어권 국가들의 다양한 용례를 무시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스페인어 사전의 개정이 더뎌서 특히 스페인어권 아메리카 국가에서 비판을 받았다.[1]

사전의 편파적인 정의와 용례 범위도 비판의 대상이었다. 학술원 지지자들은 왕립 학술원의 목적이 일시적인 스페인어 표현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카스티야 언어를 보호하고, 언어 변형으로 인해 다른 스페인어 사용자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을 예방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

비판자들도 스페인 왕립 학술원의 스페인어 사전(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de la Real Academia Española) 20판, 21판, 현행 22판이 상당한 발전을 보였음을 인정한다. 1992년 왕립 학술원에서 페이퍼백으로 책을 낸 것도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받았다. 텔레포니카, IBM,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회사와 제휴하여 스페인어 사전을 무료 온라인 버전([http://www.rae.es Real Academia Española])으로 제공하여 정보통신 시대에 적응하려는 노력도 보여주었다.[1]

그러나 현재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역사적인 스페인어 기록을 모으면서 공적 지원을 받으면서도, 그 성과물을 무료 콘텐츠로 제공하지 않아 비난을 받고 있다.[1]

5. 조직 구성

스페인 왕립 학술원(RAE)의 위원은 "아카데미코스 데 누메로(Académicos de número)"라고 불리며, 예술 및 과학 분야의 명사들과 "로스 임모르탈레스(Los Inmortales, "불후의 명성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으로 프랑스 학술원 회원도 같은 표현을 쓴다)"라고 불리는 일부 스페인어 작가들 중에서 선출된다. 이들은 왕립 학술원의 다른 위원들에 의해 선출되어 평생 동안 재직한다. 각 학자는 스페인어 알파벳 문자(대문자와 소문자 구분)가 새겨진 자리를 받는다.

라파엘 마리아 바랄트 시대부터 학술원에는 라틴 아메리카 회원들이 포함되었지만, 일부 스페인어 사용 국가에는 자체 언어 학술원이 있다.

스페인 왕립 학술원 도서관 부분 전경


스페인어 학술원이 있는 국가들

5. 1. 현재 위원

학술원 회원(정회원)은 여러 스페인어 작가를 포함한 예술 및 과학 분야의 저명한 인사들 중에서 선출된다. 이들은 프랑스 아카데미처럼 "불멸자들"(Los Inmortales|로스 인모르탈레스es)로도 알려져 있다.[14] 정회원들은 다른 학자들에 의해 종신직으로 선출된다. 각 회원은 스페인어 알파벳의 문자로 표시된 좌석을 갖고 있으며, 대문자와 소문자는 별도의 좌석을 나타낸다. 현재 스페인 왕립 학술원의 좌석에는 과거에도 없었고 현재도 없는 알파벳 여덟 글자(v, w, x, y, z, Ñ, W, Y)가 있다.[14]

라파엘 마리아 바랄트 시대부터 학술원에는 라틴 아메리카 회원들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일부 스페인어 사용 국가에는 자체 언어 학술원이 있다.

좌석회원선출 연도
O페레 힘페레르 토렌스1985
p프란시스코 리코 만리케 (연임 대기 중)[15]1987
c빅토르 가르시아 데 라 콩차1992
l에밀리오 예도 이니고1994
C루이스 고이티솔로 가이1995
L마리오 바르가스 요사1996
u안토니오 무뇨스 몰리나1996
V후안 루이스 세브리안 에차리1997
t이냐시오 보스케 무뇨스1997
ñ루이스 마리아 안손 올리아르트1998
I루이스 마테오 디에스 로드리게스2001
N기예르모 로호 산체스2001
k호세 안토니오 파스쿠알 로드리게스2002
E카르멘 이글레시아스 카노2002
T아르투로 페레스-레베르테 구티에레스2003
G호세 마누엘 산체스 론2003
j알바로 폼보 가르시아 데 로스 리오스2004
o안토니오 페르난데스 알바 (연임 대기 중)[16]2006
h호세 마누엘 블레쿠아 페르디세스2006
a페드로 가르시아 바레뇨2006
S살바도르 구티에레스 오르도녜스2008
D다리오 비야누에바 프리에토2008
m호세 마리아 메리노 산체스2009
g솔레다드 푸에르톨라스 비야누에바2010
P이네스 페르난데스-오르도녜스 에르난데스2011
Q페드로 알바레스 데 미란다 데 라 간다라2011
e후안 질 페르난데스2011
f호세 B. 테르세이로 롬바2012
r산티아고 무뇨스 마차도2013
b미겔 사엔스 사가세타 데 일루르도스2013
n카르메 리에라 기예라2013
Z호세 루이스 고메스 가르시아2014
B아우로라 에히도 마르티네스2014
F마누엘 구티에레스 아라곤2016
H펠릭스 데 아수아 코멜라2016
U클라라 하네스 나달2016
s마리아 파스 바타네르 아리아스2017
J카를로스 가르시아 구알2019
M후안 안토니오 마요르가 루아노2019
K호세 마리아 베르무데스 데 카스트로 리수에뇨2022
i팔로마 디아스-마스2022
d돌로레스 코르벨라 디아스2023
q아순시온 고메스 페레스2023
X클라라 산체스2023
A페드로 마누엘 카테드라 가르시아2024
R하비에르 세르카스2024


5. 2. 과거 저명한 위원

참조

[1] 웹사이트 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http://www.asale.org[...] 2017-10-28
[2] 서적 La Real Academia Española. Vida e historia Grupo Planeta Spain 2014-06-10
[3] 웹사이트 Ortografía de la lengua española https://www.rae.es/o[...] Real Academia Española 2024-07-10
[4] 학술지 The Real Academia Española in the Age of Social Networks 2023-06-12
[5] 서적 La Real Academia Española. Vida e historia Grupo Planeta Spain 2014-06-10
[6] 서적 La Real Academia Española. Vida e historia Grupo Planeta Spain 2014-06-10
[7] 학술지 The Founding Date of the Real Academia Española 1960
[8] 서적 Las calles de Madrid. Ediciones La librería 2011
[9]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Spanish: The Making of a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0] 웹사이트 The feat of the Real Academia Española https://languagecoll[...] Cambridge University Libraries 2017-10-03
[11] 서적 Ortografía de la Lengua Española https://archive.org/[...] 2009-02-07
[12] 웹사이트 Dequeístas, leístas y compañía... hay una salida http://www.elmundo.e[...] 2018-06-15
[13] 웹사이트 ESTATUTOS Y REGLAMENTO DE LA REAL ACADEMIA ESPAÑOLA http://www.rae.es/si[...] 2017-10-28
[14] 웹사이트 Académicos https://www.rae.es/a[...]
[15] 웹사이트 Académico Francisco Rico Manrique https://www.rae.es/a[...]
[16] 웹사이트 Academico Antonio Fernandez de Alba https://www.rae.es/a[...]
[17] 웹사이트 Ediciones del diccionario académico http://www.rae.es/si[...] 2017-10-29
[18] 웹사이트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http://www.rae.es/ob[...] 2017-10-29
[19] 서적 Diccionario esencial de la lengua española http://www.rae.es/ob[...] Real Academia Española 2017-10-29
[20] 웹사이트 Prólogo http://www.rae.es/si[...] Real Academia Española 2017-10-29
[21] 서적 Nueva gramática de la lengua española http://www.rae.es/ob[...] Real Academia Española 2017-10-29
[22] 뉴스 El diccionario de americanismos incluye setenta mil entradas http://www.abc.es/20[...] 2010-04-04
[23] 웹사이트 La Real Academia Española y la 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presentan la Nueva gramática de la lengua española.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La Real Academia Española y la 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presentan la Nueva gramática de la lengua española. https://archive.toda[...]
[25] 웹사이트 Nueva gramática básica https://archive.toda[...] 2015-10-30
[26] 웹사이트 Diccionario panhispánico de dudas https://archive.toda[...] 2017-10-30
[27] 웹사이트 Diccionario del estudiante https://archive.toda[...] 2017-10-30
[28] 웹사이트 Diccionario práctico del estudiante https://archive.toda[...] 2017-10-31
[29] 웹사이트 Diccionario de americanismos https://archive.toda[...] 2017-10-31
[30] 웹사이트 80年振り!共通『スペイン語文法書』 http://palabras.jp/2[...]
[31] 웹사이트 Los ciudadanos y las ciudadanas, los niños y las niñas http://www.rae.es/co[...] 2019-01-13
[32] 웹사이트 外国語e-Learning用ポータルサイト http://www.erp.sophi[...]
[33] 서적 Ortografía de la Lengua Española https://web.archive.[...] 2009-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