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시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시족은 1540년 에르난도 데 소토 원정대와 접촉한 미국 남동부의 원주민 부족이다. 17세기에는 스페인과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으며 플로리다와 사우스캐롤라이나 지역을 오갔고, 1715년에는 영국 식민 개척자들과의 갈등으로 야마시 전쟁을 겪었다. 이후 플로리다로 이주하여 스페인과 동맹을 맺었으나, 질병과 습격으로 흩어졌다. 야마시족은 다양한 부족의 융합체로, 머스코기어족 언어를 사용했으며, 현재는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지명과 문학 작품, 그리고 자칭 후손들의 이름으로 그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머스코기족
머스코기족은 미시시피 문화의 후손으로 미국 남동부에 거주했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으로, 자치적인 마을을 이루어 머스코기 연맹을 형성했으나, 유럽 열강의 식민지 확장 경쟁과 미국 정부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고통을 겪었으며, 현재는 오클라호마주를 중심으로 자치 정부를 운영하며 고유한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나체즈족
미시시피강 하류 지역에 살았던 나체즈족은 플라케민 문화의 후예로, 복잡한 사회 계층과 독특한 문화를 가졌으나 프랑스와의 갈등과 반란 이후 흩어져 다른 부족에 흡수되었고, 현재는 오클라호마주에 후손들이 거주하며 문화와 언어 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카토바족
카토바족은 카토바 강 유역에 거주하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으로, 농경과 수렵을 하며 도자기와 바구니 제작 기술이 뛰어나지만 유럽인과의 접촉 이후 어려움을 겪었고 토지 소유권 합의법을 통해 경제 발전을 모색했다. - 미국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미국의 민족 - 쿠바인
쿠바인은 쿠바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며, 쿠바는 백인, 혼혈, 흑인 등 다양한 인종과 민족 집단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고,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쿠바 혁명 이후 해외에 거주하는 쿠바인 공동체도 형성되었다.
야마시족 | |
---|---|
개요 | |
멸종 여부 | 부족으로서 멸종 |
지역 | 미국 (조지아, 북부 플로리다, 사우스캐롤라이나) |
종교 | 야마시 부족 종교 |
언어 | 야마시어 (멸종) |
관련 부족 | 라 타마 구알레 세미놀 히치티 기타 무스코기어족 부족 |
역사 | |
재발견 | 1960년 제임스 하워드에 의해 재발견됨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Howard, James H. (August 1960). ""The Yamasee: A Supposedly Extinct Southeastern Tribe Rediscovered"". American Anthropologist. 62 (4): 681–683." "Sturtevant, William C. (April 1994). ""The Misconnection of Guale and Yamasee with Muskogean"".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60 (2): 139–148." |
2. 역사
1540년 에르난도 데 소토 원정대가 알타마하 마을을 포함한 야마시족 영역을 여행했다.
1570년 스페인 탐험가들이 야마시 영역에 선교회를 세웠다. 이후 야마시족은 구알레 지방 선교회에 포함되었다. 1675년부터 야마시족은 구알레 지방(조지아 중앙 해안)과 모카마(오늘날의 조지아 남동부, 플로리다 북동부)의 스페인 전도소 인구기록에 정기적으로 언급되었다. 야마시족은 보통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았고, 스페인령 플로리다의 개종한 인디언들과는 다소 거리를 두었다.
2. 1. 초기 역사 및 유럽인과의 접촉
1540년 에르난도 데 소토 원정대가 알타마하 마을을 포함한 야마시족 영역을 여행했다.[10][11]1570년, 스페인 탐험가들이 야마시 영역에 선교회를 세웠다.[2] 이후 야마시족은 구알레 지방 선교회에 포함되었다. 1675년부터 야마시족은 구알레 지방(조지아 중앙 해안)과 모카마(오늘날의 조지아 남동부, 플로리다 북동부)의 스페인 전도소 인구기록에 정기적으로 언급되었다. 야마시족은 보통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았고, 스페인령 플로리다의 개종한 인디언들과는 다소 거리를 두었다.[12]
야마시족은 현재 조지아주 남동부, 플로리다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있는 해안 마을에 살았다.[10] 16세기 후반 플로리다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이주하여 유럽 식민지 개척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야마시족은 구알레족이라는 미시시피 문화의 족장 집단 구성원들과 합류하여 그들의 문화가 서로 융합되었다.[8]

1680년 스페인 선교부에 대한 해적 공격으로 야마시족은 다시 이주해야 했다. 일부는 플로리다로 이주했고, 다른 일부는 웨스토족이 멸망한 후 더 안전해진 사바나 강 지역으로 돌아왔다.[12]
2. 2. 영국과의 관계 및 노예 무역
1687년, 일부 스페인인들은 야마시족 포로들을 노예로 서인도 제도로 보내려 했습니다. 야마시족은 스페인 선교사들과 그들의 원주민 동맹군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고, 영국 식민지인 캐롤라이나(현재의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이동했습니다.[13] 그들은 비포트군에 포코탈리고, 톨레마토, 토피퀴를 포함한 여러 마을을 세웠습니다.[2] 아일랜드 출신 식민지 개척자인 존 번웰이 1715년 실시한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포트로열 근처 10개 마을에 1,220명의 야마시족이 살고 있었습니다.[14]1686년부터 찰스 타운(캐롤라이나 식민지)으로 야마시족이 이주한 것은 영국 식민지 개척자들과의 무역 기회를 추구하거나 스페인을 피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15] 찰스 타운에서 일부 야마시족 가족들은 기독교 선교사들을 통해 자녀들에게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고 기독교로 개종시키기를 바랐습니다.[16] 캐롤라이나의 기독교 선교사들은 야마시족과 과레족의 개종에 어느 정도 성공했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두 부족 모두 스페인 선교사들과 친숙해져 다른 부족들보다 개종에 더 개방적이었기 때문입니다.[16]
야마시족은 17세기 후반 미국 남동부에서 가장 큰 노예 약탈 부족 중 하나였으며,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로부터 총기를 얻어 "군사적 노예 사회"로 묘사되어 왔습니다.[24] 다른 부족들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기 위해 노예 습격을 사용한 것은 부분적으로 야마시족이 자신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과 연합했기 때문입니다.[24] 특히 젊은 여성과 어린이를 전쟁 중에 포로로 잡는 것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일반적이었지만, 야마시족은 곧 캐롤라이나로 포로들을 수송하여 찰스턴의 노예 시장에서 팔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곧 포로를 잡아 캐롤라이나에서 팔기 위한 습격을 특별히 수행하기 시작했습니다.
2. 3. 야마시 전쟁 (1715-1717)
수십 년 동안, 야마시족 약탈자들은 (종종 유럽산 화기를 장비하고 캐롤라이나 식민지 개척자들과 공모하여) 미국 남동부의 스페인과 동맹을 맺은 인디언 부족들을 상대로 노예 사냥을 위한 습격을 감행했다. 야마시족은 세인트오거스틴 스페인 식민지 정착지도 습격했다.[17] 야마시족이 사로잡은 인디언 포로들은 캐롤라이나 전역의 식민지 정착지로 이송되어 백인 식민지 개척자들에게 팔렸다. 이 포로들 중 상당수는 다시 웨스트인디즈의 노예 농장으로 되팔리기도 했다.[18]많은 야마시족은 기만적인 식민지 상업 관행으로 인해 자신들이 거래하던 식민지 개척자들에게 빚을 지게 되었다.[15] 식민지 개척자들의 행태에 분노한 야마시족은 그들과 전쟁을 벌이기로 결의하고, 여러 부족의 연합을 형성하여 1715년 4월 15일 찰스턴 식민지 정착지를 공격함으로써 2년간의 전쟁을 시작했다.[16]
야마시족은 그들이 연합에 가입시킨 많은 인디언 부족의 수에 힘입어 캐롤라이나의 다른 식민지 정착지들에 대해 대규모 습격을 감행하여 대부분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국경 지대 정착지를 버리고 찰스턴으로 피신하게 만들었다.[2][19]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찰스 크레이븐은 군대를 이끌고 콤바히 강의 샐키추(Saltketchers 또는 Salkehatchie라고도 함)에서 야마시족을 물리쳤다. 결국 크레이븐은 야마시족을 사바나 강 너머 스페인령 플로리다로 몰아낼 수 있었다.[2]
전쟁 후, 야마시족은 남쪽으로 세인트오거스틴과 펜사콜라 주변 지역으로 이주하여 스페인 식민 행정부와 동맹을 맺었다. 이 야마시족은 1727년까지 플로리다에 거주했는데, 천연두 유행과 존 팔머 대령(캐롤라이나 민병대 50명과 인디언 100명을 이끌고)의 습격으로 인해 남은 야마시족 대부분이 흩어져 일부는 세미놀족이나 크리크족에 합류했다.[20] 일부는 스페인이 영국에 도시를 넘겨줄 때까지 세인트오거스틴 근처에 남아 있었다. 그때 그들은 야마시족 약 90명을 데리고 아바나로 갔다.[21]
3. 문화
역사학자 스티븐 J. 오티스는 야마시족을 구알레족, ''라 타마족'', 아팔라치족, 코위타족, 커시타 크리크(Cussita Creek) 등 여러 남은 인디언 부족들의 다민족적 융합체로 묘사한다. 역사학자 체스터 B. 드프래터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초기의 야마시족 마을들이 주로 히치티어를 사용하는 인디언들이 거주하는 하부 마을과 주로 구알레족 인디언들이 거주하는 상부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설명한다.[22][23]
3. 1. 외교
1713년,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앵글리칸 선교사들은 "왕자" 또는 "조지 왕자"로 불린 야마시족 남성(실제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의 찰스턴에서 런던으로의 여정을 후원했다.[25] 역사가들은 "왕자"의 런던 방문 동기가 야마시족과 영국 식민지 주민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선교사들의 "종교 외교"의 한 형태였다고 지적한다.[25] 선교사들은 "왕자"가 런던에서 기독교로 개종하면 야마시족이 영국 식민지 주민들의 확고한 동맹국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왕자"가 런던으로 여행할 당시 야마시족은 스페인에 의한 문화 동화를 크게 거부하고 영국 식민지 주민들과 더 강력한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25] "왕자"는 야마시 전쟁이 발발하고 그의 가족이 캐롤라이나 습격자들에게 포로로 잡혀 노예로 팔린 직후인 1715년에 찰스턴으로 돌아왔다.[26]4. 언어
"야마시어"라는 이름은 아마도 머스코기어의 ''yvmvsē''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온순한, 조용한"이라는 뜻이다. 또는 카타우바어의 ''yį mus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는데, 문자 그대로 "고대의 사람들"이라는 뜻이다.[27]
야마시어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선교사 도밍고 바에스(Domingo Báez)의 저술에서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디에고 페냐(Diego Peña)는 1716년에서 1717년 사이에 터스키기 마을의 체로키족도 야마시어를 사용한다고 전해 들었다.[28]
한(Hann, 1992)은 야마시어가 머스코기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식민지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것인데, 보고서에 따르면 히치티어 마을에 잠입한 야마시족 스파이가 히치티어를 이해할 수 있었고 야마시족으로 발각되지 않았다고 한다. 프랜시스 르 조(Francis Le Jau)는 1711년에 야마시족이 크리크어를 이해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이 지역 전역의 많은 인디언들이 크리크어와 쇼니어를 공용어이자 일반적인 무역 언어로 사용했다고 언급했다. 1716년에서 1717년 사이에 디에고 페냐는 야마시어와 히치티-미카수키어가 별개의 언어로 여겨졌다는 정보를 얻었다.[29]
야마시어는 많은 머스코기어와 유사하지만, 특히 크리크어와 유사한데, 많은 단어를 공유하기 때문이다.[30] 플로리다의 많은 스페인 선교사들은 개종을 목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야마시어와 같은 원주민 언어를 배우는 데 전념했다. 또한 선교사들은 이를 통해 사람들의 종교에 대해 배우고 기독교 사상을 전달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25]
야마시어가 구알레어와 유사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제한적이고 불확실한 증거가 있다. 이는 다음 세 가지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 1681년 플로리다 선교부 인구 조사 사본에는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칸델라리아 데 라 타마(Nuestra Señora de la Candelaria de la Tama)''의 주민들이 "la lengua de Guale, y Yamassa" [구알레어와 야마시어]를 사용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 스페인 플로리다 주지사가 보낸 두 통의 1688년 편지를 요약한 내용에는 "ydioma Yguala y Yamas, de la Prova de Guale" [구알레 지방의 이구알라어와 야마스어]를 사용하는 포로들이 언급되어 있다.
- 구알레족은 쿠사보족을 ''Chiluque''라고 불렀는데, 이는 아마도 "붉은 모이어티"를 의미하는 머스코기어 ''čiló·kki''와 관련이 있다.[29]
언어학자들은 스페인 문서가 원본이 아니며 나중에 편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Chiluque''라는 이름은 아마도 차용어일 가능성이 높은데, 티무쿠아어에도 흡수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야마시어와 머스코기어의 연관성은 뒷받침되지 않는다.[29]
영국 식민지 기록 보관소의 한 문서는 야마시족이 원래 이로쿼이어족 언어인 체로키어를 사용했지만 다른 언어를 배웠다는 것을 시사한다.[31] 한때 체로키족과 동맹을 맺었지만, 별개의 민족으로 여겨진다. 1715년 조지 치킨(George Chicken) 대령은 야마시족이 체로키족의 고대 민족이라고 들었다고 말했다.[32]
5. 유산
야마시족의 이름은 야마시 전쟁이 시작된 곳 근처의 저지대에 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예마시 마을 이름으로 남아 있다. 또한 윌리엄 길모어 심스의 1835년 역사 소설인 ''예마시: 캐롤라이나의 로맨스''의 제목으로도 사용되며,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의 공식 문학 저널인 ''예마시''에도 사용된다.
현재 플로리다와 다른 곳에 자칭 야마시 후손들이 있으며,[33][34] 드와이트 요크와 관련된 흑인 우월주의 단체인 누와비안 네이션도 ''크리크족 야마시 원주민 무어인''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35]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Native American Tribes
https://books.google[...]
Checkmark Books
2006-07-15
[2]
웹사이트
Yamasee Indian Tribe History.
http://www.accessgen[...]
2010-11-20
[3]
서적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21
[4]
문서
Green et al 13
[5]
웹사이트
Yamassee War
https://www.scencyc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Institute for Southern Studies
2022-02-15
[6]
웹사이트
Yamassee Nation: Yamassee Indian Tribe of Seminoles
http://yamasseenatio[...]
2022-02-15
[7]
웹사이트
Yemassee Indians: Native Americans in SC
https://www.sciway.n[...]
2022-02-15
[8]
학술지
The Yamasee: A Supposedly Extinct Southeastern Tribe Rediscovered
1960-08
[9]
학술지
The Misconnection of Guale and Yamasee with Muskogean
1994-04
[10]
학술지
Spiritual Diplomacy, the Yamasees, and the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Reinterpreting Prince George's Eighteenth-Century Voyage to England
2014
[11]
문서
Green et al 14-15
[12]
서적
The Indian Slave Trade: The Rise of the English Empire in the American South, 1670-1717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2-07-14
[13]
서적
Native American History of Savannah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20-04-12
[14]
문서
Gene et al 14
[15]
서적
Encyclopedia of Native American History
Facts On File
2011
[16]
서적
The Yamasee Indians from Florida to South Carolina
U of Nebraska Press
2018-11
[17]
서적
The Indian Slave Trade: The Rise of the English Empire in the American South, 1670-1717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2-07-14
[18]
서적
A Colonial Complex: South Carolina's Frontiers In The Era Of The Yamasee War, 1680-173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2-07-14
[19]
서적
The Yamasee War: A Study of Culture, Economy, and Conflict in the Colonial Sou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2-07-14
[20]
서적
Florida's Frontier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Seminoles of Florid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3
[22]
NRHP
Dr. Chester B. DePratter, "The Foundation, Occupation, and Abandonment of Yamasee Indian Towns in the South Carolina Lowcountry, 1684-1715"
National Park Service
[23]
서적
A Colonial Complex: South Carolina's Frontiers in the Era of the Yamasee War, 1680-1730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4]
서적
The Yamasee Indians from Florida to South Carolina
U of Nebraska Press
2018-11
[25]
학술지
Spiritual Diplomacy, the Yamasees, and the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Reinterpreting Prince George's Eighteenth-Century Voyage to England
2014
[26]
학술지
The Mystery of the Lost Yamassee Prince
1962
[27]
서적
Native American placenames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1-04-11
[28]
문서
Hudson 1990
[29]
문서
Goddard 2005
[30]
학술지
The Muskogean Connection of the Guale and Yamasee
1991
[31]
문서
Anderson & Lewis (1983) p. 269
[32]
문서
Chicken 1715:330 (1894)
[33]
뉴스
UNF professor tries to shed light on Southeastern Indian tribe
https://www.jacksonv[...]
2022-02-15
[34]
웹사이트
Yamassee Nation: Yamassee Indian Tribe of Seminoles
http://yamasseenatio[...]
2022-02-15
[35]
웹사이트
Nuwaubian Nation of Moors
https://www.splcente[...]
Southern Poverty Law Center
202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