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마시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시 전쟁은 1715년부터 1717년까지 사우스캐롤라이나 식민지와 야마시족을 비롯한 여러 원주민 부족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이다. 투스카로라 전쟁의 여파와 백인 상인과의 갈등, 노예 무역 쇠퇴 등 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전쟁은 야마시족의 기습으로 시작되었고, 카토바족, 체로키족 등 다양한 부족들이 참전하여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는 전문 군대와 흑인 노예를 동원했지만, 원주민의 게릴라 전술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체로키족과의 동맹, 크릭족과의 평화 협정 등을 통해 전쟁은 종결되었고,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정치 체제 변화, 조지아 식민지 건설, 흑인 노예제의 강화, 원주민 사회의 변화 등 다양한 결과를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야마시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야마시 전쟁
기본 정보
분쟁야마시 전쟁
일부미국 원주민 전쟁
기간1715년 4월 14일 – 1717년
장소사우스캐롤라이나 동부
결과식민 정부의 승리
결과 상세야마시의 세력 약화
사우스캐롤라이나 식민지 주민, 해안에 대한 확실한 통제 확립
카토바족, 내륙의 지배적인 부족으로 부상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File:Red ensign of Great Britain (1707–1800, square canton).svg|22px]] 사우스캐롤라이나 식민지 민병대
[[File:Red ensign of Great Britain (1707–1800, square canton).svg|22px]] 노스캐롤라이나 식민지 민병대
[[File:Red ensign of Great Britain (1707–1800, square canton).svg|22px]] 버지니아 식민지 민병대
카토바족 (1715년부터)
체로키족 (1716년부터)
교전 세력 2야마시족
오체세 크리크족
카토바족 (1715년까지)
체로키족 (1716년까지)
왁스호족
산티족
지휘관
지휘관 1찰스 크레이븐
로버트 다니엘
지휘관 2# 정보 없음
규모
규모 1# 정보 없음
규모 2# 정보 없음
사상자
사상자 1# 정보 없음
사상자 2# 정보 없음

2. 배경

투스카로라 전쟁과 그 여파는 야마시 전쟁 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3][23] 1711년 투스카로라족이 노스캐롤라이나의 식민지 정착촌을 공격하자, 사우스캐롤라이나는 1712년과 1713년에 민병대를 소집하여 투스카로라족에 대항했다.[3] 이 부대는 주로 야마시를 포함한 동맹 인디언 군대로 구성되었다. 야마시 전사들은 두 캐롤라이나 군대의 핵심을 이루었으며, 카토바, 유치, 아팔라치, 쿠사보, 와터리, 수가리, 왁소, 콩가리, 피디, 케이프 피어 인디언, 체로, 시시파호, 체로키, 그리고 다양한 원시 크리크 집단 등 다양한 부족이 참여했다.[3]

이러한 협력 과정에서 여러 부족들은 서로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었고, 사우스캐롤라이나, 노스캐롤라이나, 버지니아가 투스카로라 전쟁을 두고 갈등하는 모습을 통해 식민지의 불화와 약점을 인지하게 되었다.[4][24] 투스카로라 전쟁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지원했던 거의 모든 부족은 불과 2~3년 후 야마시 전쟁에서 식민지를 공격하는 데 가담했다.[3]

야마시는 과레족과 같은 이전 부족과 족장의 잔재가 합쳐진 부족이었다.[5] 17세기 말, 이들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가장 중요한 인디언 동맹이 되었고, 사바나강 어귀와 포트 로열 사운드 주변에 거주했다.[6]

수년 동안 야마시는 정착민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었으나, 1715년경 사슴이 희귀해지면서 미국 상인들에게 빚을 지게 되었다.[7] 쌀 농장이 번창하면서 야마시가 받은 토지 보호 구역을 탐내는 정착민들이 늘어났다.[7] 각 부족은 야마시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이유로 전쟁에 참여했으며, 부족들은 전쟁을 논의하기 시작했다.[8] 1715년 초, 전쟁에 대한 인디언의 지지가 커지면서 일부 우호적인 인디언들이 식민지인들에게 위험을 경고할 정도였으며, 이들은 오체세 크리크가 선동자라고 제안했다.[8]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경제는 노예 무역과 쌀 플랜테이션 농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7] 야마시족을 비롯한 원주민 부족들은 초기에는 노예 무역에 참여하여 이익을 얻었으나,[25] 점차 노예 공급이 감소하고 쌀 농장이 확대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7][25] 특히 사슴 가죽 무역의 쇠퇴와 백인 상인들에 대한 부채 증가는 원주민들의 불만을 고조시켰다.[7]

야마시족은 오랫동안 영국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어왔으나, 1715년까지 영국이 원하는 두 가지 무역 품목인 사슴 가죽과 인디언 노예를 얻는 것이 어려워졌다.[25] 야마시족 영토 내에는 사슴이 희소해졌고, 투스카로라 전쟁 이후에는 노예를 목적으로 한 습격 기회가 제한되었다.[25] 야마시족은 무역업자에게 빚을 지게 되었고, 쌀 농장이 확산되면서 쌀 재배에 적합한 토지를 빼앗겼다.[7][25] 야마시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남부 경계에 보호 구역을 인정받았지만, 그 토지 또한 쌀 농장에 적합했다.[7]

투스카로라 전쟁과 그 여파는 야마시 전쟁 발발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3] 이 전쟁 동안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도왔던 거의 모든 부족들은 야마시 전쟁 동안 식민지의 정착민들을 공격하는 데 동참했다.[4] 전쟁에 참여한 각 인디언 부족은 야마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자신만의 이유가 있었다.[8] 부족들은 불안이 증가했고 전쟁을 논의하기 시작했다.[8]

사우스캐롤라이나 식민 정부는 원주민과의 관계에서 일관성 없는 정책을 펼쳤다.[7] 백인 정착민들의 토지 침탈과 원주민에 대한 차별은 원주민 사회의 불안을 야기했다. 특히 야마시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남부 경계에 할당된 보호 구역마저 쌀 농장 개발로 인해 위협받는 상황에 놓였다.[7]

투스카로라 전쟁과 그 여파는 야마시 전쟁 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11년 노스캐롤라이나 식민지를 공격한 투스카로라에 대항하여, 1712년1713년 사우스캐롤라이나는 군대를 소집했다.[23] 이 군대는 주로 인디언 전사들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오랫동안 사우스캐롤라이나와 강력한 군사적 동맹 관계를 맺고 있던 야마시족 전사들이 핵심이었다.[23] 이외에도 카토바, 유치, 아팔라치 등 다양한 부족들이 참여했다.[23]

이러한 군사적 협력은 동부 지역 전체의 인디언들을 가깝게 만들었고, 이들은 버지니아를 포함한 영국 식민지들의 약점을 인지하게 되었다.[24] 투스카로라 전쟁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도왔던 거의 모든 부족들은 야마시 전쟁에서 식민지를 공격하는 측으로 돌아섰다.

야마시족은 구알레족 등 여러 부족의 잔재가 융합된 부족이었다.[25] 이들은 17세기에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스페인령 플로리다 사이의 분쟁 지역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17세기 후반 북쪽으로 이동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가장 중요한 동맹 중 하나가 되었다.[25] 야마시족은 사바나강 하구와 포트 로열 사운드 근처에 살았다.[25]

야마시족은 오랫동안 영국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었지만, 1715년까지 사슴 가죽과 인디언 노예를 얻는 것이 어려워졌다.[25] 야마시족의 영토 내에는 사슴이 희귀해졌고, 무역품 거래는 신용으로 이루어져 빚이 늘어갔다. 쌀 농장이 확산되면서 쌀 재배에 적합한 토지가 점유되었고, 야마시족에게 할당된 보호 구역마저 위협받았다.[25]

야마시족 외에도 전쟁에 참여한 다른 인디언 부족들은 각자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많은 부족이 협동 작전을 펼친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불안감이 증폭되었고, 부족 간에 전쟁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25] 1715년 초, 일부 인디언들은 식민지인들에게 위험을 경고하기도 했다.[25]

야마시족은 여러 부족의 잔존 세력이 결합된 집단이었다.[5] 상부 야마시는 원래 조지아 해안 출신의 과레족이었고, 하부 야마시에는 알타마하, 오쿠테, 이치시, (체체시), 그리고 조지아 내륙에서 해안으로 온 유호가 포함되었다.[5] 이들은 17세기에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스페인령 플로리다 사이의 분쟁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6] 17세기 말 북쪽으로 이동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가장 중요한 인디언 동맹이 되었다.[6] 야마시족은 사바나강 어귀와 포트 로열 사운드 주변에 살았다.[6]

수년간 야마시족은 정착민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었으나, 1715년까지 사슴이 희귀해져 미국 상인들에게 빚을 지게 되었다.[7] 쌀 농장이 번창하면서 야마시족의 토지를 탐내는 정착민들이 늘어났다.[7]

투스카로라 전쟁 이후, 원주민 부족들은 서로 긴밀하게 접촉하면서 식민지의 약점을 인식하고 연합 전선을 구축할 가능성을 모색했다.[4]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도왔던 거의 모든 부족들은 불과 2~3년 후 야마시 전쟁 동안 식민지의 정착민들을 공격하는 데 동참했다.[4] 전쟁에 참여한 각 인디언 부족은 야마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자신만의 이유가 있었다.[8] 부족들은 신중하게 계획된 협력으로 행동하지 않았지만, 불안은 증가했고 부족들은 전쟁을 논의하기 시작했다.[8] 1715년 초, 전쟁에 대한 인디언의 지지가 커지고 있다는 소문은 일부 우호적인 인디언들이 식민지인들에게 위험을 경고할 정도로 우려스러웠다.[8]

2. 1. 투스카로라 전쟁의 영향

투스카로라 전쟁과 그 여파는 야마시 전쟁 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3][23] 1711년 투스카로라족이 노스캐롤라이나의 식민지 정착촌을 공격하자, 사우스캐롤라이나는 1712년과 1713년에 민병대를 소집하여 투스카로라족에 대항했다.[3] 이 부대는 주로 야마시를 포함한 동맹 인디언 군대로 구성되었다. 야마시 전사들은 두 캐롤라이나 군대의 핵심을 이루었으며, 카토바, 유치, 아팔라치, 쿠사보, 와터리, 수가리, 왁소, 콩가리, 피디, 케이프 피어 인디언, 체로, 시시파호, 체로키, 그리고 다양한 원시 크리크 집단 등 다양한 부족이 참여했다.[3]

이러한 협력 과정에서 여러 부족들은 서로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었고, 사우스캐롤라이나, 노스캐롤라이나, 버지니아가 투스카로라 전쟁을 두고 갈등하는 모습을 통해 식민지의 불화와 약점을 인지하게 되었다.[4][24] 투스카로라 전쟁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지원했던 거의 모든 부족은 불과 2~3년 후 야마시 전쟁에서 식민지를 공격하는 데 가담했다.[3]

야마시는 과레족과 같은 이전 부족과 족장의 잔재가 합쳐진 부족이었다.[5] 17세기 말, 이들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가장 중요한 인디언 동맹이 되었고, 사바나강 어귀와 포트 로열 사운드 주변에 거주했다.[6]

수년 동안 야마시는 정착민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었으나, 1715년경 사슴이 희귀해지면서 미국 상인들에게 빚을 지게 되었다.[7] 쌀 농장이 번창하면서 야마시가 받은 토지 보호 구역을 탐내는 정착민들이 늘어났다.[7] 각 부족은 야마시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이유로 전쟁에 참여했으며, 부족들은 전쟁을 논의하기 시작했다.[8] 1715년 초, 전쟁에 대한 인디언의 지지가 커지면서 일부 우호적인 인디언들이 식민지인들에게 위험을 경고할 정도였으며, 이들은 오체세 크리크가 선동자라고 제안했다.[8]

2. 2. 경제적 요인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경제는 노예 무역과 쌀 플랜테이션 농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7] 야마시족을 비롯한 원주민 부족들은 초기에는 노예 무역에 참여하여 이익을 얻었으나,[25] 점차 노예 공급이 감소하고 쌀 농장이 확대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7][25] 특히 사슴 가죽 무역의 쇠퇴와 백인 상인들에 대한 부채 증가는 원주민들의 불만을 고조시켰다.[7]

야마시족은 오랫동안 영국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어왔으나, 1715년까지 영국이 원하는 두 가지 무역 품목인 사슴 가죽과 인디언 노예를 얻는 것이 어려워졌다.[25] 야마시족 영토 내에는 사슴이 희소해졌고, 투스카로라 전쟁 이후에는 노예를 목적으로 한 습격 기회가 제한되었다.[25] 야마시족은 무역업자에게 빚을 지게 되었고, 쌀 농장이 확산되면서 쌀 재배에 적합한 토지를 빼앗겼다.[7][25] 야마시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남부 경계에 보호 구역을 인정받았지만, 그 토지 또한 쌀 농장에 적합했다.[7]

투스카로라 전쟁과 그 여파는 야마시 전쟁 발발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3] 이 전쟁 동안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도왔던 거의 모든 부족들은 야마시 전쟁 동안 식민지의 정착민들을 공격하는 데 동참했다.[4] 전쟁에 참여한 각 인디언 부족은 야마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자신만의 이유가 있었다.[8] 부족들은 불안이 증가했고 전쟁을 논의하기 시작했다.[8]

2. 3. 정치적, 사회적 요인

사우스캐롤라이나 식민 정부는 원주민과의 관계에서 일관성 없는 정책을 펼쳤다.[7] 백인 정착민들의 토지 침탈과 원주민에 대한 차별은 원주민 사회의 불안을 야기했다. 특히 야마시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남부 경계에 할당된 보호 구역마저 쌀 농장 개발로 인해 위협받는 상황에 놓였다.[7]

투스카로라 전쟁과 그 여파는 야마시 전쟁 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11년 노스캐롤라이나 식민지를 공격한 투스카로라에 대항하여, 1712년1713년 사우스캐롤라이나는 군대를 소집했다.[23] 이 군대는 주로 인디언 전사들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오랫동안 사우스캐롤라이나와 강력한 군사적 동맹 관계를 맺고 있던 야마시족 전사들이 핵심이었다.[23] 이외에도 카토바, 유치, 아팔라치 등 다양한 부족들이 참여했다.[23]

이러한 군사적 협력은 동부 지역 전체의 인디언들을 가깝게 만들었고, 이들은 버지니아를 포함한 영국 식민지들의 약점을 인지하게 되었다.[24] 투스카로라 전쟁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도왔던 거의 모든 부족들은 야마시 전쟁에서 식민지를 공격하는 측으로 돌아섰다.

야마시족은 구알레족 등 여러 부족의 잔재가 융합된 부족이었다.[25] 이들은 17세기에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스페인령 플로리다 사이의 분쟁 지역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17세기 후반 북쪽으로 이동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가장 중요한 동맹 중 하나가 되었다.[25] 야마시족은 사바나강 하구와 포트 로열 사운드 근처에 살았다.[25]

야마시족은 오랫동안 영국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었지만, 1715년까지 사슴 가죽과 인디언 노예를 얻는 것이 어려워졌다.[25] 야마시족의 영토 내에는 사슴이 희귀해졌고, 무역품 거래는 신용으로 이루어져 빚이 늘어갔다. 쌀 농장이 확산되면서 쌀 재배에 적합한 토지가 점유되었고, 야마시족에게 할당된 보호 구역마저 위협받았다.[25]

야마시족 외에도 전쟁에 참여한 다른 인디언 부족들은 각자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많은 부족이 협동 작전을 펼친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불안감이 증폭되었고, 부족 간에 전쟁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25] 1715년 초, 일부 인디언들은 식민지인들에게 위험을 경고하기도 했다.[25]

2. 4. 원주민 부족 간의 관계

야마시족은 여러 부족의 잔존 세력이 결합된 집단이었다.[5] 상부 야마시는 원래 조지아 해안 출신의 과레족이었고, 하부 야마시에는 알타마하, 오쿠테, 이치시, (체체시), 그리고 조지아 내륙에서 해안으로 온 유호가 포함되었다.[5] 이들은 17세기에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스페인령 플로리다 사이의 분쟁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6] 17세기 말 북쪽으로 이동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가장 중요한 인디언 동맹이 되었다.[6] 야마시족은 사바나강 어귀와 포트 로열 사운드 주변에 살았다.[6]

수년간 야마시족은 정착민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얻었으나, 1715년까지 사슴이 희귀해져 미국 상인들에게 빚을 지게 되었다.[7] 쌀 농장이 번창하면서 야마시족의 토지를 탐내는 정착민들이 늘어났다.[7]

투스카로라 전쟁 이후, 원주민 부족들은 서로 긴밀하게 접촉하면서 식민지의 약점을 인식하고 연합 전선을 구축할 가능성을 모색했다.[4]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도왔던 거의 모든 부족들은 불과 2~3년 후 야마시 전쟁 동안 식민지의 정착민들을 공격하는 데 동참했다.[4] 전쟁에 참여한 각 인디언 부족은 야마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깊이 뿌리내린 자신만의 이유가 있었다.[8] 부족들은 신중하게 계획된 협력으로 행동하지 않았지만, 불안은 증가했고 부족들은 전쟁을 논의하기 시작했다.[8] 1715년 초, 전쟁에 대한 인디언의 지지가 커지고 있다는 소문은 일부 우호적인 인디언들이 식민지인들에게 위험을 경고할 정도로 우려스러웠다.[8]

3. 전쟁의 경과

1715년 4월 15일, 성 금요일 이른 아침, 야마시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단을 기습 공격하여 살해했다.[9] 이는 야마시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정부는 오체세 크릭족의 봉기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받고, 포코탈리고(오늘날의 예마시 근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대표단은 오체세 크릭 지도자들과의 긴급 회담을 주선하기 위해 야마시족의 지원을 얻고자 했다.

대표단은 사무엘 워너, 윌리엄 브레이, 토머스 네언, 존 라이트, 세이무어 버로스, 그리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우스캐롤라이나인 2명으로 구성되었다. 1715년 4월 14일 저녁, 이들은 야마시족과 회의를 갖고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으며, 크레이븐 주지사가 곧 방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날 밤, 야마시족은 회의 끝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단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전투 화장을 한 야마시족은 대표단을 공격했고, 6명 중 세이무어 버로스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한 명만이 탈출에 성공했다. 버로스는 포트 로열 사운드 정착지에 경고를 알렸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생존자는 늪에 숨어 네언이 고문 끝에 죽는 것을 목격했다.[9] 네언, 라이트, 워너, 브레이는 모두 살해되었다.

3. 1. 포코탈리고 학살

1715년 4월 15일, 성 금요일 이른 아침, 야마시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단을 기습 공격하여 살해했다.[9][26] 이는 야마시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정부는 오체세 크릭족의 봉기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받고, 포코탈리고(오늘날의 예마시 근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대표단은 오체세 크릭 지도자들과의 긴급 회담을 주선하기 위해 야마시족의 지원을 얻고자 했다.

대표단은 사무엘 워너, 윌리엄 브레이, 토머스 네언, 존 라이트, 세이무어 버로스, 그리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우스캐롤라이나인 2명으로 구성되었다. 1715년 4월 14일 저녁, 이들은 야마시족과 회의를 갖고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으며, 크레이븐 주지사가 곧 방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날 밤, 야마시족은 회의 끝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단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전투 화장을 한 야마시족은 대표단을 공격했고, 6명 중 세이무어 버로스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한 명만이 탈출에 성공했다. 버로스는 포트 로열 사운드 정착지에 경고를 알렸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생존자는 늪에 숨어 네언이 고문 끝에 죽는 것을 목격했다.[9] 네언, 라이트, 워너, 브레이는 모두 살해되었다.[26]

야마시족의 초기 공격은 식민지 개척 마을을 목표로 했으며, 전쟁 초기에 남동부 전역에서 활동하던 약 100명의 무역업자 중 90명이 살해당했다.[26]

3. 2. 야마시족의 초기 공세

야마시족은 1715년 4월 15일, 포코탈리고 사건이 있던 날 늦게 수백 명 규모의 두 개의 전투 부대를 조직하여 즉시 공세에 나섰다. 한 부대는 포트 로열을 공격했지만, 존 반웰의 농장에 도착한 세이모어 버로스가 경고를 발령하여 많은 정착민이 피신할 수 있었다. 마침 포트 로열 항구에 정박해 있던 나포된 밀무역선에 수백 명의 정착민들이 피신했고, 다른 이들은 카누를 타고 도망쳤다.

야마시족의 두 번째 부대는 세인트 바솔로뮤 교구를 침략하여 농장을 약탈하고 불태웠으며, 100명 이상의 정착민과 노예를 살해하고 포로로 잡았다. 일주일 안에 대규모 야마시족 군대가 사우스캐롤라이나 민병대와 교전할 준비를 했고, 다른 야마시족들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임시 요새에서 피난처를 찾았다.

야마시 전쟁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민병대의 첫 번째 주요 시험이었다. 크레이븐 주지사는 약 240명의 민병대를 이끌고 야마시족에 맞섰다. 야마시족은 크레이븐의 민병대와 교전하기 위해 병력을 통합했다. 살케해치 강의 살케해치 인디언 마을 근처의 개방된 지형에서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는 크레이븐과 민병대 장교들이 원했던 조건이었고 인디언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수백 명의 야마시족 전사들이 민병대를 공격하여 측면을 공격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몇 명의 주요 전사가 죽은 후, 야마시족은 전투를 포기하고 인근 늪으로 흩어졌다. 양측 모두 약 24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결과는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결정적인 승리였다. 다른 소규모 민병대 부대들도 야마시족을 압박하여 일련의 승리를 거두었다.

인디언 전쟁 경험이 풍부한 알렉산더 매케이는 부대를 이끌고 남쪽으로 가서 울타리로 요새화된 야영지에서 피난처를 찾은 약 200명의 야마시족을 공격했다. 비교적 소규모의 캐롤라이나 부대가 요새 벽을 넘어 두 차례 출격하자, 야마시족은 후퇴하기로 결정했다. 요새 밖에서 야마시족은 매케이와 약 100명의 병사들에게 매복 공격을 받아 궤멸되었다.

1715년 여름, 다우퍼스키 전투로 알려진 더 작은 전투가 벌어졌다. 캐롤라이나 보트 정찰대는 야마시족 그룹을 매복하여 35명을 사살하고, 1명의 사상자만 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생존한 야마시족은 알타마하 강 부근으로 더 남쪽으로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야마시족이 식민지 정착지에 대한 주요 관심사였지만, 동남부 전역에서 활동하던 영국 상인들 또한 분쟁에 휘말렸다. 대부분이 사망했으며, 전쟁 발발 당시 현장에 있던 약 100명의 상인 중 90명이 첫 몇 주 안에 살해되었다. 공격자에는 크릭 족(오치세, 탈라푸사, 아베이카, 앨라배마 족), 아팔라치 족, 치카소 족, 촉토 족, 카토바 족, 체로키 족 등이 포함되었다.

3. 3. 북부 전선

카토바족과 체로키족 등 북부의 원주민 부족들도 전쟁 초기 사우스캐롤라이나를 공격했다. 1715년 5월, 카토바족은 약 400명의 전사를 파견했고, 70여명의 체로키족이 합류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 북부를 공격했다.[10][11] 이들은 토마스 바커 대위가 이끄는 90명의 기병대를 매복 공격하여 전멸시켰다.[12] 또한 벤자민 쉔킨의 농장에 있던 요새를 공격하여 20여명을 살해하는 등 찰스 타운 북부 지역에 큰 위협을 가했다.

그러나 북부 원주민 부족들은 어떤 노선을 택할지에 대해 의견이 분열되어 있었다. 특히 체로키족은 자신들의 마을이 위협받는다는 소식을 듣고 대부분의 병력을 철수시켰다. 남은 카토바족은 1715년 6월 13일, 폰즈 전투에서 조지 치킨이 이끄는 민병대에게 패배했다. 이들은 회전과 같은 전투 방식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큰 피해를 입었다.

결국 카토바족은 휴전을 결정하고, 1715년 7월 버지니아에 외교 사절을 파견하여 영국과 평화 협정을 맺고, 더 나아가 사우스캐롤라이나를 군사적으로 지원할 의향이 있음을 밝혔다.

3. 4. 크리크족과 체로키족의 역할

오체스 크릭족(Ochese Creekmus)은 야마시족 못지않게 전쟁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높다. 전쟁이 발발하자 다른 크릭족, 촉토족, 치카소족, 체로키족과 마찬가지로 영토 내에 있던 모든 사우스 캐롤라이나 상인들을 즉시 살해했다.

오체스 크릭족은 유치족, 사바나 강 쇼니족, 아팔라치족, 아팔라치콜라와 같은 여러 소규모 인디언 집단에 의해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격리되어 있었다. 1715년 여름, 이 인디언들은 사우스 캐롤라이나 정착지에 여러 차례 성공적인 공격을 가했다. 오체스 크릭족은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반격이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후 신중해졌다. 소규모 인디언 집단은 사바나 강 지역에서 도망쳤다.

많은 사람들이 오체스 크릭족에게 피난처를 찾았고, 그곳에서 다음 단계의 전쟁 계획이 세워졌다. 상부 크릭족은 전쟁을 벌이는 데 그다지 열성적이지 않았으며, 오체스 크릭족에 대한 강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다. 조건이 유리했다면 그들도 침략에 참여했을 것이다. 쟁점은 무역 상품이었다. 크릭족은 사우스 캐롤라이나에서 온 영국 무역 상품에 의존하게 되었다. 영국과의 전쟁 가능성에 직면한 크릭족은 프랑스와 스페인을 가능한 시장으로 보았다. 프랑스와 스페인은 크릭족에게 기꺼이 물품을 공급하려 했지만, 영국이 제공했던 것과 같은 양이나 품질의 상품을 제공할 수 없었다. 크릭족이 사우스 캐롤라이나를 침략하려면 머스킷 총, 화약, 총알이 특히 필요했다. 상부 크릭족은 여전히 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꺼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릭족은 야마시 전쟁 동안 프랑스 및 스페인과 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오체스 크릭족은 치카소족, 체로키족과 같은 다른 연결고리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치카소족은 영국 상인들을 살해한 후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재빨리 평화 협정을 맺었다. 그들은 자기 마을에서 상인들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크릭족에게 돌렸다. 이는 사우스 캐롤라이나가 기꺼이 받아들인 변명이었다. 체로키족의 입장은 전략적으로 중요해졌다.

체로키족은 분열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살았던 하부 체로키족은 전쟁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부는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산티 강 정착지에 대한 카토바족의 공격에 참여했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살았던 오버힐 체로키는 사우스 캐롤라이나와의 동맹과 크릭족과의 전쟁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와의 동맹을 가장 선호했던 체로키 지도자 중 한 명은 중부 체로키 마을의 추장인 시저였다.

1715년 말, 두 명의 사우스 캐롤라이나 상인이 체로키족을 방문하여 많은 체로키 대표단과 함께 찰스 타운으로 돌아왔다. 동맹이 맺어졌고, 크릭족과의 전쟁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그 다음 달에 체로키족은 계획대로 사바나 타운에서 사우스 캐롤라이나인들과 만나지 못했다. 그러자 사우스 캐롤라이나는 1715년 12월에 도착하는 300명이 넘는 병력의 원정대를 체로키족에게 보냈다. 그들은 분산되어 주요 하부, 중부, 오버힐 마을을 방문했고, 체로키족이 얼마나 분열되었는지를 재빨리 알게 되었다. 겨울 동안 체로키 지도자 시저는 체로키 마을을 돌아다니며 크릭족과의 전쟁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투갈루의 주술사 차리티 헤이지를 포함한 다른 명망 있고 존경받는 체로키 지도자들은 신중함과 인내심을 촉구했다. 투갈루는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가장 가까운 하부 마을 중 하나였다. 많은 하부 마을 체로키족은 사우스 캐롤라이나와의 평화에 열려 있었지만, 유치족과 사바나 강 쇼니족 외에는 누구와도 싸우는 것을 꺼렸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인들은 하부 마을에서 크릭족에게 "휴전 깃발"이 보내졌고, 크릭족 족장 대표단이 오겠다고 약속했다는 말을 들었다. 차리티 헤이지와 그의 지지자들은 크릭족과 사우스 캐롤라이나인 사이의 평화 회담을 중재하려 하는 듯했다. 그들은 사우스 캐롤라이나인들이 전쟁 계획을 변경하도록 설득했다. 대신 사우스 캐롤라이나인들은 겨울을 보내며 시저와 친전쟁 체로키족을 설득하려 했다.

3. 5. 투갈루 학살

1716년 1월 27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민들은 투갈루(Tugaloo)에서 크리크족 대표단을 만났는데, 이 자리에서 체로키족이 크리크족 대표단 11명 또는 12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체로키족은 크리크 대표단이 실제로는 수백 명의 크리크족과 야마시족 전사들로 구성되어 사우스캐롤라이나 군대를 매복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투갈루에서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체로키족과 크리크족이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민 없이 은밀히 만났다는 사실은 체로키족이 크리크족과 연합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를 공격할지, 아니면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연합하여 크리크족을 공격할지에 대해 여전히 의견이 분열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영국과의 무역에 비교적 늦게 참여한 체로키족은 크리크족을 대신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주요 무역 파트너가 되기를 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

투갈루 학살은 포코탈리고 학살과 마찬가지로 예측 불가능하고 격렬한 논쟁이 살인으로 해결된 교착 상태의 결과였을 것이다. 이 사건 이후, 체로키족과 크리크족 사이에는 전쟁이, 체로키족과 사우스캐롤라이나 사이에는 동맹이 맺어졌다.

체로키족과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동맹은 크리크족의 대규모 사우스캐롤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꺾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는 체로키족에게 무기와 무역 물품을 제공했지만, 친전쟁 체로키족이 기대했던 군사적 지원은 제공하지 않았다. 1717년에 체로키족은 승리했지만, 크리크족의 반격은 체로키족의 전투 의지를 약화시켰다.

투갈루 학살과 체로키족의 공격에 대응하여, 오체스 크릭족은 1716년 초에 전략적 방어 조정을 했다. 그들은 모든 마을을 오컴룰지 강 유역에서 채터후치 강으로 옮겼다. 오체스 크릭족은 원래 채터후치 강을 따라 살았지만,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더 가까워지기 위해 1690년경에 마을을 오컴룰지 강과 그 지류인 오체스 크릭(여기에서 "크릭"이라는 이름이 유래됨)으로 옮겼었다. 따라서 1716년의 채터후치 강으로의 복귀는 후퇴라기보다는 이전 상태로의 복귀에 가까웠다. 채터후치와 찰스 타운 사이의 거리는 그들을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했다.

1716년1717년에 체로키족과 영국의 대규모 공격이 현실화되지 않자, 로어 크릭족은 강화된 위치에서 영국, 체로키족, 카토바족 등 적들을 습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영국과의 무역 단절로 탄약, 화약, 총기 공급에 문제가 생겼다. 반면에 체로키족은 영국의 무기를 잘 공급받았다. 영국 무역의 유혹은 크릭족 내 반영국 세력을 약화시켰다. 1717년 초, 찰스 타운에서 온 사절단이 로어 크릭 영토로 갔고, 몇몇 크릭족은 찰스 타운으로 가서 평화 과정을 시작했다. 동시에 다른 로어 크릭족은 계속 싸울 방법을 찾고 있었다. 1716년 말, 많은 무스코지아 크릭 부족을 대표하는 그룹이 뉴욕주이로쿼이 연맹으로 여행했다. 크릭족의 외교에 감명받은 이로쿼이족은 20명의 대사를 파견하여 크릭족을 고향으로 동행하게 했다. 이로쿼이족과 크릭족은 주로 카토바족과 체로키족과 같은 공통의 적에 대한 공격을 계획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그러나 사우스캐롤라이나는 로어 크릭 마을에 사절단을 파견하고 무역 물품 선물을 대량으로 보내 크릭-이로쿼이 동맹을 막으려 했다.

3. 6. 전선의 교착과 종전

야마시 전쟁에는 매우 다양한 부족들이 참전했고, 참여 양상도 수시로 변했기 때문에 이 분쟁에 대한 단 하나의 결정적인 종결은 없었다. 어떤 면에서 주된 위기는 한두 달 안에 끝났다. 영주들은 식민지가 처음 몇 주 후에는 더 이상 치명적인 위험에 처해 있지 않다고 믿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1716년 초 체로키 동맹이 전쟁의 종말을 알렸다.

야마시족과 카토바족이 물러간 후, 사우스캐롤라이나 민병대는 버려진 정착지를 재점령하고 변경을 확보하려 했으며, 여러 농장 주택을 임시 요새로 만들었다. 민병대는 선제 공격 전투에서는 선전했지만, 습격 부대로부터 식민지를 방어할 수 없었다. 1715년 여름 동안 민병대 대원들이 대규모로 탈영하기 시작했다. 일부는 자신의 재산과 가족을 걱정했고, 다른 이들은 아예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떠났다.

민병대의 실패에 대응하여 크레이븐 총독은 이를 전문 군대로 교체했다. 1715년 8월까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새 군대는 약 600명의 사우스캐롤라이나 시민, 400명의 흑인 노예, 170명의 우호적인 인디언, 그리고 노스캐롤라이나와 버지니아에서 온 3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사우스캐롤라이나 민병대가 해산되고 전문 군대가 소집된 최초의 사례였다. 또한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무장한 흑인 노예의 수가 많았다는 점(그리고 그들의 주인이 급여를 받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이 군대조차 식민지를 확보할 수 없었다. 적대적인 인디언들은 정면 대결을 거부하고 대신 예측할 수 없는 기습 공격과 매복을 사용했다. 게다가 인디언들은 너무 넓은 영토를 점령하여 그들을 상대로 군대를 파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체로키 동맹이 1716년 초에 맺어진 후 군대는 해산되었다.

1717년 말에는 다양한 크릭족 및 기타 머스코기족과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그러나 일부 부족은 평화에 동의하지 않았고, 모든 부족이 무장 상태를 유지했다. 야마시족과 아팔라치콜라족은 남쪽으로 이동했지만, 1720년대까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정착촌을 계속 습격했다. 변경 지역의 불안정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었다.

4. 전쟁의 결과

4. 1. 정치적 변화

야마시 전쟁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정치 체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식민지 주민들은 영주 소유 식민지 체제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고, 전쟁의 첫 단계 이후인 1715년에 변화의 요구가 높아졌다.[13] 1720년까지 소유 식민지에서 왕립 식민지로 전환되는 과정이 시작되었고,[13] 1729년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노스캐롤라이나는 공식적으로 왕립 식민지가 되었다.[13][27]

야마시 전쟁은 조지아 식민지 건설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조지아 건국에는 다른 요인들도 있었지만, 야마시의 철수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14][28] 남아있는 소수의 야마시는 토모치치의 지도 하에 야마크라로 알려지게 되었다.[14] 제임스 오글소프는 서배너에 수도를 세울 부지를 얻기 위해 야마크라와 협상했다.[14][28]

4. 2. 조지아 식민지 건설

4. 3. 인디언 노예 무역의 쇠퇴와 흑인 노예제의 강화

1670년 설립 이후, 캐롤라이나는 남동부 원주민 노예 무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아팔라치 학살과 같은 습격으로 1715년 이전에 최대 5만 명의 아메리카 원주민이 영국 정착민과 그들의 원주민 동맹에게 노예로 잡혀갔다.[15][16] 감소하는 원주민 인구로 인해 무역이 점점 더 지속 불가능해졌다. 야마시 전쟁의 영향은 결정타가 되었고, 남캐롤라이나에서 아프리카 노예 제도에 대한 전적인 의존으로의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식민지 내에서 인종 경계를 더욱 엄격하게 구분하는 결과를 낳았다.[18] 남캐롤라이나 가구 중 원주민 노예를 보유한 가구의 비율은 1714년 26%에서 1730년 2%로 감소했다.[17] 이러한 감소는 아프리카와 원주민 혈통의 노예 모두를 전적으로 아프리카인으로 간주하는 법적 변화에 의해서도 부분적으로 주도되었으며, 많은 원주민 유산 노예가 역사 기록에서 지워졌다.[18]

4. 4. 원주민 사회의 변화

야마시 전쟁으로 야마시족은 인구의 약 4분의 1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19] 생존자들은 17세기에 자신들의 고향이었던 알타마하강 남쪽으로 이동했지만, 그곳에서도 안전을 찾지 못하고 난민이 되었다.[19] 야마시족은 전쟁 이후 분열되었는데, 생존자의 약 3분의 1은 로어 크릭에 정착하여 크릭 연맹의 일부가 되었다.[19] 나머지 대부분은 아팔라치콜라 난민들과 합류하여 1715년 여름 세인트 오거스틴 인근으로 이주했다.[19]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민과 야마시족 간의 갈등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고, 스페인령 플로리다의 야마시족은 질병 등으로 약해져 세미놀족이나 히치티족의 일부가 되었다.[19]

야마시 전쟁 이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북서쪽의 원주민을 묘사한 그림. 야마시 전쟁 이후 찰스턴 (''왼쪽'')과 버지니아 (''오른쪽'') 사이의 부족에 대한 사슴 가죽 카토바 지도에 대한 영어 복사본.


다양한 프로토-크릭 무스코게어 부족들은 야마시 전쟁 이후 더욱 가까워졌다.[19] 오체세 크릭이 챗터후치강을 재점유하고, 아팔라치콜라, 아팔라체, 야마시 등의 잔존 세력이 유럽인들에게 새로운 인디언 정체성을 대표하는 것처럼 보였고,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다. 스페인에게는 17세기의 ''아팔라치콜라 지방''이 부활한 것처럼 보였고, 영국인들에게는 ''로어 크릭''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19]

피에몬트 지역에서 카토바 연맹은 야마시 전쟁 이후 가장 강력한 인디언 세력으로 부상했으며, 특히 투스카로라족이 북쪽으로 이주하여 이로쿼이족에 합류했기 때문이다.[19] 1716년, 카토바족이 사우스캐롤라이나와 평화를 맺은 지 1년 후, 일부 산티족과 왁쇼족 인디언들이 여러 식민지 주민을 살해하자, 사우스캐롤라이나 정부는 카토바족에게 "그들을 공격하여 제거하라"고 요청했고, 카토바족은 그렇게 했다.[19] 동시대인들에 따르면, 살아남은 왁쇼족은 체라족에 합류하거나 야마시족과 함께 플로리다 남쪽으로 여행했다.[19] 살아남은 산티족은 이티완 부족과 결혼한 것으로 알려져[20] 합병 가능성을 시사한다. 체라족은 수년 동안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했다.[19]

5. 현대적 의의

5. 1. 역사적 교훈

5. 2. 대중 문화

1904년 애니 마리아 반스(Annie Maria Barnes)의 소설 "The Laurel Token: A Story of the Yamasee War"가 출판되었다.[21]

참조

[1] 웹사이트 Yamassee War. https://www.scencycl[...] South Carolina Encycloped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Institute for Southern Studies 2016-07-07
[2] 문서 A Colonial Complex
[3] 문서 The Indian Slave Trade
[4] 문서 The Indian Slave Trade
[5] 문서 Worth 1993
[6] 간행물 "The Foundation, Occupation, and Abandonment of Yamasee Indian Towns in the South Carolina Lowcountry, 1684–1715" National Park Service
[7] 서적 The Indian Slave Trade: The Rise of the English Empire in the American South, 1670–1717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A Colonial Complex: South Carolina's Frontiers in the Era of the Yamasee War, 1680–1730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9] 문서 A Colonial Complex
[10] 서적 The Goose Creek Bridge: Gateway to Sacred Places Authorhouse
[11] 서적 The Carolina Chronicle of Dr. Francis Le Jau University of California
[12] 서적 The Carolina Chronicle of Dr. Francis Le Jau University of California
[13] 문서 A Colonial Complex
[14] 문서 A Colonial Complex
[15] 서적 Epidemics and Enslavement http://dx.doi.org/10[...] UNP – Nebraska 2007
[16] 서적 Mapping the Mississippian Shatter Zone: The Colonial Indian Slave Trade and Regional Instability in the American South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
[17] 웹사이트 SC Institute for Archeology and Anthropology {{!}}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https://sc.edu/study[...] 2022-10-28
[18] 서적 The Yamasee War http://dx.doi.org/10[...] UNP – Nebraska 2008
[19] 문서 World of Toil and Strife 2007
[20] 서적 South Carolina Indians, Indian traders, and other ethnic connections beginning in 1670. Reprint Company Publishers
[21] 웹사이트 The laurel token; a story of the Yamasee uprising https://archive.org/[...] Boston, Lee and Shepard 2018-06-03
[22] 문서 A Colonial Complex
[23] 문서 The Indian Slave Trade
[24] 문서 The Indian Slave Trade
[25] 웹사이트 The Foundation, Occupation, and Abandonment of Yamasee Indian Towns in the South Carolina Lowcountry, 1684-1715 http://pdfhost.focus[...] National Register Multiple Property Submission by Dr. Chester B. DePratter
[26] 문서 A Colonial Complex
[27] 문서 A Colonial Complex
[28] 문서 A Colonial Comple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