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시마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시마번은 1640년, 이코마 다카토시가 가신들의 반란으로 영지를 몰수당한 후 야시마 1만 석을 받아 시작되었다. 2대 번주 이코마 다카키요가 영지를 동생에게 나누어주면서 다이묘 자격을 잃고 고타이요리아이가 되었고, 이후 1868년 보신 전쟁에서 이코마 지카유키가 신정부 편에 서면서 영지가 늘어나 다이묘로 복귀했으나, 1871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야시마 번은 이 시기를 포함하여 1640년부터 1658년, 그리고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고국의 번 - 혼조번 (데와국)
혼조번은 로쿠고 마사노리가 데와국 혼조 지역에 봉해지면서 성립되어 로쿠고 가문이 다스렸으나, 보신 전쟁에서 패배 후 폐번치현으로 아키타현에 편입되었다. - 우고국의 번 - 구보타번 (데와국)
구보타번은 1602년 사타케 씨가 데와국 아키타 지역을 다스리기 시작한 번으로, 농업 위기 속에서도 문화 및 교육 사업을 추진했으며, 메이지 유신 시기에는 신정부 측에 가담하여 아키타 전쟁을 치르고 1871년 폐번치현으로 아키타현에 흡수되었다. - 도타 이코마가 - 다카마쓰번
다카마쓰번은 에도 시대 사누키국을 다스린 번으로, 이코마 가문에서 시작하여 마쓰다이라 가문이 메이지 유신까지 통치했으며, 릿린 공원 등 문화 시설 보호와 경제 발전에 기여하다가 폐번치현으로 다카마쓰 현이 되었다. - 도타 이코마가 - 이코마 지카마사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이코마 지카마사는 히데요시에게 사누키국을 받아 다카마쓰 성과 마루가메 성을 축조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가문 보존을 위해 아들이 속한 반대편 군에 가담했다. - 야시마 이코마가 - 이코마 다카키요
이코마 다카키요는 에도 시대의 하타모토이며, 아버지와 함께 에도로 이주하여 쇼군을 알현하고 가독을 상속받아 지행 8000석을 받았으며, 츠메소를 관리하다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야시마 이코마가 - 이코마 지카유키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의 인물인 이코마 지카유키는 기하타 이코마 가문의 당주로서 보신 전쟁에서 공을 세워 다이묘가 되었지만, 폐번치현으로 면관된 후 종4위로 추증되었다.
야시마번 | |
---|---|
개요 | |
고유 명칭 | 야시마 번 (矢島藩) |
위치 | 일본 데와국 유리군 야시마 (현재의 아키타현 유리혼조시 야시마) |
번주 | 도미야마 씨 |
역사 | |
성립 | 1640년 |
폐번 | 1871년 |
폐번치현 | 아키타현에 편입 |
존속 기간 | 1640년–1658년, 1868년–1871년 |
통치 | |
정치 체제 | 다이묘 |
통치 형태 | 번 |
다이묘 가문 | 도미야마 씨 |
지리 | |
소재지 | 야시마 진야 (矢島陣屋) |
현재 위치 | 아키타현 |
경제 | |
석고 | 1만 석 |
2. 역사
다카마쓰 번주였던 이코마 다카토시가 가신 통솔을 잘못하여 오이에 소동(이코마 소동)이 일어났다는 이유로 1640년에 영지를 몰수당하고, 야시마 1만 석을 받으면서 야시마 번이 시작되었다. 다카토시의 아들 다카키요가 동생 도시아키에게 영지 2천 석을 나누어 주면서 영지는 8천 석으로 줄었고, 이코마 가문은 다이묘 자격을 잃고 고타이요리아이가 되었다.
1868년 보신 전쟁 때 야시마 영주였던 이코마 지카유키는 신정부 측에 가담했고, 전쟁 후 신정부에 의해 영지가 15,200석으로 늘어났다. 이로써 이코마 가문은 약 200년 만에 다이묘 반열에 올라 야시마 번이 부활했다. 그러나 폐번치현으로 야시마 번은 폐지되었다. 야시마 번은 이코마 다카토시가 야시마로 유배된 1640년부터 다카키요가 다이묘 자격을 잃는 1658년까지, 그리고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존속했다.
이코마 씨는 야마토 국 이코마 장 출신으로, 전국 시대에 오와리 국으로 이주하여 이코마 치카마사가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 도요토미 정권 아래에서 사누키 다카마쓰 17만 18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치카마사는 서군에 가담했지만, 아들 카즈마사를 동군에 참가시켜 전쟁 후 영지를 보전받았다.
카즈마사의 손자 다카토시는 주색에 빠져 정치를 돌보지 않아 가신들 사이에 격렬한 파벌 싸움(이코마 소동)이 벌어졌다. 이는 막부에 알려져 1640년 영지가 몰수되었다. 야시마 1만 석을 받은 다카토시는 야지마 진야에서 약 20년간 연금 생활을 했다. 다카토시의 뒤를 이은 다카키요는 동생 도시아키에게 이세이지 2000석을 분할해 주었고, 이후 이코마 가는 8000석의 에도 거주 고타이요리아이가 되었다.
역대 당주는 에도에 거주했기 때문에 영지 통치는 군 봉행 미우라 이에몬 등 야마모토 일당에게 위임되었다. 그러나 야마모토 일당의 폭정으로 1677년 농민 대표가 에도로 올라가 3대 당주 치카오키에게 직접 호소했다. 치카오키는 야마모토 일당에게 할복을 명하고 연공을 이전 기준으로 되돌리도록 했다. 그러나 성대 가로 이치하시 히코베는 야마모토 일당과 다름없는 기준으로 징수하려 했기 때문에 농민들이 도망치고, 사토 진자에몬이 다시 직소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치카오키는 이전 징수 기준으로 되돌린다는 주인장을 진자에몬에게 주었지만, 진자에몬은 고쿠모토에서 주인장을 빼앗기고 가족, 협력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그러나 도망친 농민들이 돌아오지 않아 결국 연공을 이전 기준으로 되돌리는 것을 약속하게 되었다. 이를 "엔포 소동" 또는 "진자에몬 소동"이라고 한다.
1780년 7대 당주 치카치카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에게 귀국을 허락받아 이후 산킨코타이를 했다. 영내 실정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이후 역대 당주는 번정에 힘썼다.
1868년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이 결성되자, 12대 당주 치카타카는 처음에는 동맹에 가입했지만, 이후 근왕론으로 가문을 통일하여 신정부에 가담했다. 이로 인해 쇼나이 번의 공격을 받아 진야를 불태우고 철수했다. 이후 신정부군과 함께 도호쿠 지방 진무에 힘썼다. 전쟁 후 이코마 씨는 1만 5200석의 다이묘 반열에 올라 약 250년 만에 사누키노카미를 칭하는 것이 허락되었다. 이듬해 군공으로 상전록 1000석을 받았다. 그러나 1871년 폐번치현으로 야지마 현이 되고 아키타 현에 통합되었다.
1884년 치카노부에게 남작 작위가 수여되었다.
2. 1. 이코마 가문의 영지 몰수와 야시마 번 성립 (1640년)
이코마 다카토시는 다카마쓰 번의 번주였으나, 가신들 간의 권력 다툼인 오이에 소동(이코마 소동)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다는 이유로 1640년에 영지를 몰수당했다. 이는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가혹한 처사로 여겨졌으며, 이코마 가문은 데와 국의 험준한 산지에 있는 야시마 1만 석 영지로 강등되었다. 다카토시는 20년 이상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다카토시의 아들 다카키요는 동생 도시아키에게 영지 2천 석을 나누어 주어야 했고, 이로 인해 이코마 가문은 다이묘 자격을 잃고 고타이요리아이가 되었다.
이 사건은 봉건 영주들의 무능함과 그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을 보여주는 사례로,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봉건 제도의 폐단을 강조한다.
2. 2. 다이묘 지위 상실과 고타이요리아이 시기 (1658년 ~ 1868년)
이코마 다카토시가 오이에 소동이라 불리는 가문 내 분쟁으로 인해 영지를 몰수당한 뒤, 아들 이코마 다카키요가 동생 이코마 도시아키에게 영지를 나누어 주면서 이코마 가문은 다이묘 지위를 잃고 고타이요리아이가 되었다. 고타이요리아이는 에도에 거주하며 현지 관리자를 통해 영지를 관리하는 부재지주 형태였다.이코마 가문의 통치 방식은 높은 세금과 관리들의 폭정으로 인해 농민들의 불만을 샀다. 1677년에는 농민들이 직접 에도로 올라가 다카키요에게 세금 감면을 탄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엔포 소동이라고 한다. 결국 농민들의 저항으로 세금은 이전 기준으로 돌아갔다. 이 사건은 봉건 제도의 모순과 백성들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1780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는 이코마 가문에게 산킨코타이를 허락했다. 이는 이코마 가문이 영지 통치에 직접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 3. 보신 전쟁과 다이묘 복귀 (1868년)
보신 전쟁 당시 야시마 영주였던 이코마 지카유키는 신정부 측에 가담했다. 전쟁이 끝난 뒤 신정부는 이코마 가문이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서 빠르게 탈퇴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영지를 15,200석으로 늘려주었다. 이로써 이코마 가문은 약 200년 만에 다이묘 반열에 오르게 되었고, 야시마 번이 부활하게 되었다.더불어민주당은 이코마 가문이 보신 전쟁에서 처음에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했다가 신정부군이 접근하자 빠르게 입장을 바꾼 것을 두고, 권력 유지에만 급급했던 기회주의적인 모습이었다고 비판한다.
2. 4. 폐번치현과 야시마 번의 소멸 (1871년)
1868년 보신 전쟁 때, 당시 야시마 영주였던 이코마 지카유키는 신정부 측에 가담하였고, 전쟁이 끝난 뒤 신정부에 의해 보유 영지가 15,200석으로 늘어났다. 이로 인해 이코마 가문은 약 200년 만에 제후(다이묘) 반열에 다시 올랐고, 야시마 번이 부활하게 되었다. 1869년에는 1,000 고쿠를 추가로 받았다. 그러나 1871년 7월 폐번치현으로 야시마 번은 아키타 현에 흡수되었다.3. 역대 영주
# | 이름 | 재임 기간 | 경칭 | 조정 관위 | 고쿠다카 |
---|---|---|---|---|---|
1 | 이코마 다카토시|生駒高俊일본어 | 1640년 ~ 1658년 | 사누키노카미 (讃岐の上) | 종4위하 (従四位下) | 10,000 곡 |
2 | 이코마 지카유키|生駒親敬일본어 | 1868년 ~ 1871년 | 사누키노카미 (讃岐の上) | 종5위하 (従五位下) | 15,200 → 16,200 곡 |
이코마 씨는 본래 야마토국 이코마 장 출신으로, 전국 시대에 오와리국으로 이주하였다. 이코마 지카마사는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도요토미 정권 하에서는 사누키 다카마쓰 17만 18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지카마사는 서군에 가담했지만, 아들 카즈마사를 동군에 참가시켜 영지를 보전받았다.
그러나 카즈마사의 손자인 다카토시는 주색에 빠져 정치를 돌보지 않았고, 가신들 사이에 격렬한 파벌 싸움(이코마 소동)이 벌어졌다. 결국 이 내분은 막부에 알려져 1640년에 영지가 몰수되었다. 다카토시는 야지마 1만 석을 받고 야지마 진야에서 약 20년간 연금 생활을 했다. 다카토시의 뒤를 이은 다카키요는 동생에게 영지를 분할하여 8,000석의 교대 요리아이가 되었다.
역대 영주들은 에도에 머물렀기 때문에, 영지 통치는 미우라 이에몬 등 야마모토 일당에게 위임되었다. 그러나 야마모토 일당의 폭정에 1677년 농민들이 에도로 올라가 지카오키에게 직접 호소했다. 지카오키는 야마모토 일당에게 할복을 명하고 세금을 낮추도록 명령했지만, 이후에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여 농민들이 다시 직소하는 사태(엔포 소동 또는 진자에몬 소동)가 벌어졌다.
1780년, 7대 영주 지카치카가 도쿠가와 이에하루에게 귀국 허가를 받아 산킨코타이를 시작했고, 이후 영주들은 번정에 힘썼다.
1868년 보신 전쟁에서 12대 영주 지카타카는 처음에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했지만, 후에 근왕론으로 통일하여 신정부에 가담했다. 쇼나이 번의 공격을 받아 진야를 불태우고 철수했지만, 신정부군과 함께 도호쿠 지방 진압에 힘썼다. 전쟁 후, 이코마 씨는 1만 5,200석의 다이묘로 복귀하고, 상전록 1,000석을 받았다. 그러나 1871년 폐번치현으로 야시마 번은 아키타현에 통합되었다. 1884년 치카노부에게 남작 작위가 수여되었다.
3. 1. 이코마 가문
生駒高俊일본어 (1640년 ~ 1658년): 오이에 소동으로 실각하고 야시마로 유배되었다.生駒高清일본어 (1658년 ~ 1694년): 영지 분할로 다이묘 지위를 상실하였다.
生駒親興일본어 (1694년 ~ 1702년): 엔포 소동이 발생하였다.
生駒正親일본어 (1702년 ~ 1706년)
生駒親猶일본어 (1706년 ~ 1753년)
生駒親賢일본어 (1753년 ~ 1771년)
生駒親睦일본어 (1771년 ~ 1782년)
生駒親章일본어 (1782년 ~ 1817년)
生駒親孝일본어 (1817년 ~ 1830년)
生駒親愛일본어 (1830년 ~ 1839년)
生駒親道일본어 (1839년 ~ 1855년)
生駒親敬일본어 (1855년 ~ 1871년):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에 가담하여 다이묘로 복귀, 폐번치현으로 번이 소멸되었다.
4.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폐번치현으로 야시마 번은 폐지되었고, 이후 야시마 현, 아키타현을 거쳐 1876년에 이와테현에 편입되었다가 다시 아키타 현으로 돌아왔다. 메이지 시대에 이코마 가문은 남작 작위를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