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에야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에야마어는 류큐어의 한 갈래로, 일본어에서 분화되어 약 2,000년의 역사를 지닌 언어이다. 야에야마 제도 내 섬별로 방언이 존재하며, 이시가키 방언을 기준으로 6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갖는다. 다른 류큐어와 마찬가지로 일본어의 'w'가 'b'로 변하는 특징을 보이며, 고대 일본어의 발음을 보존하는 경우도 있다. 야에야마어는 다양한 동사 및 형용사 활용 형태를 가지며, 독특한 문법 구조를 보인다. 일본의 언어 정책으로 쇠퇴했으나, 현재 보존 및 부흥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큐어파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류큐어파 - 오키나와어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며 오키나와 제도에서 주로 사용되던 언어로, 류큐 왕국 시대에 발전했으나 일본의 류큐 병합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야에야마어 | |
---|---|
개요 | |
이름 | 야에야마어 |
다른 이름 | 야에야마 방언 |
고유 이름 | 스마무니/야이마무니 (八重山物言) |
로마자 표기 | Yaimamuni |
발음 | jaimamuni |
사용 국가 | 일본 |
사용 지역 | 야에야마 제도 |
사용자 수 | 47,600명 (2000년) |
언어 적극성 | 심각하게 위험 |
언어 코드 | |
ISO 639-3 | rys |
Glotto code | yaey1239 |
Glottolog | Yaeyama |
언어 계통 | |
어족 | 일본어족 |
어파 | 류큐어파 |
어군 | 남류큐어군 |
하위 분류 | 광역 야에야마어 |
문자 체계 | |
문자 | 일본어 |
음절 문자 | 히라가나 |
상태 | |
기타 | |
![]() |
2. 역사
류큐어는 화자들이 류큐 제도로 이주하면서 원시 일본어에서 분화되었다.[6][7][8] 류큐어는 지난 2,000년 동안 원시 일본어에서 분화되었으며, 기원전 2년부터 서기 800년까지 다양한 시기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9][10]
야에야마어는 남부 류큐어의 매크로 야에야마 분파로 분류된다. 매크로 야에야마어와 미야코어를 나누는 남부 류큐어의 혁신으로는 "얼마나"에서 톤 클래스 B에서 A로의 "불규칙한 이동"과 "정원"에 대한 특별한 형태가 있다.[11] 야에야마어와 요나구니어를 함께 묶는 매크로 야에야마어의 혁신으로는 "가능 보조사"로서의 '알다'의 "문법화", "싹", "행복", "신선한", "흙"과 같은 여러 특별 형태 사이의 유사성, 그리고 "조카"가 "조카" 또는 "조카딸"을 의미하는 의미론적 융합이 있다.[12] 야에야마 방언은 "팔다"라는 동사를 "사다"의 사역형으로 대체하는 것, "젖다"의 특별한 형태, 그리고 '수염'에서 "*g>n"의 불규칙한 변화와 관련된 혁신으로 요나구니 방언과 구별된다.[10]
일본의 나라 시대인 8세기경 일본어에서 사라진 발음 중 일부는 야에야마어에서 여전히 발견할 수 있다. 한 예로, 일본어에서는 "h"가 된 초성 "p" 소리가 야에야마어에서는 "p"로 남아 있으며, "pu"는 "fu"가 되었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배 | *para | hara | paru |
배 | *punay | fune | funi |
비둘기 | *pato | hato | patu |
야에야마어는 일부 측면에서 특정 발음을 보존한다는 의미에서 더 "보수적"이었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더 혁신적이었다. 한 예로 모음 체계가 있다. 고대 일본어에는 8개의 모음이 있었다(일부는 이중 모음일 수도 있다). 이것은 현대 일본어에서는 5개로 줄었지만, 야에야마어에서는 모음 축약이 더 진행되어 3개의 모음으로 줄었다. 일반적으로 현대 일본어에 "e"가 있으면 야에야마어 동족어는 "i"를 가지며("funi"에서 볼 수 있음), 현대 일본어에 "o"가 있으면 야에야마어 동족어는 "u"를 갖는다("patu"에서 볼 수 있음).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것 | *mənə | mono | munu |
씨앗 | *tanay | tane | tani |
시작하다 | *pansimay | hajime | pazïmi |
그러나, 원시 일본어가 단어의 마지막이 아닌 ''*e'', ''*əy'', 또는 ''*o''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일본어는 야에야마어만큼 보수적이지 않으며, 둘 다 아래에 표시된 것처럼 다른 단계에서 동일한 모음 고양을 겪었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물 | *mentu | mizu | mizï |
나무 | *kəy | ki | kī |
밀 | *monki | mugi | mun |
모든 남부 류큐어와 마찬가지로 야에야마어는 일본어의 "w"에 비해 단어 처음에 "b"를 보인다. 이것은 이전의 "w"에서 온 혁신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또한 "wodori" > "odori"와 같이 한때 초성 "w"를 가지고 있었지만 언어의 역사에서 나중에 삭제된 일본어 동족어를 포함한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창자 | *wata | wata | bada |
어린 | *waka | wakai | bagasan |
춤 | *wəntəri | odori | budurï |
야에야마 제도의 각 섬에는 고유한 방언이 존재하며, 이 방언들 간의 차이가 커서 서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32]
이러한 특징 중 다수는 오키나와어의 역사에서 손실되었거나 다른 모든 일본어에 비해 혁신되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일본 본토에서 오키나와 본섬까지 바다로 여행하는 것이 거의 항상 하나의 섬을 시야에 두면서 가능하지만, 오키나와 본섬과 야에야마 사이에는 더 큰 간격이 있어서, 여러 밤을 공해에서 보내야 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 본토와 야에야마 제도 사이에는 교통량이 적어 언어적 차이가 더 벌어지게 되었다.
3. 방언
일본의 나라 시대인 8세기경 일본어에서 사라진 발음 중 일부는 야에야마어에서 여전히 발견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 "h"로 변한 초성 "p" 소리가 야에야마어에서는 "p"로 남아 있다("pu"는 "fu"가 됨).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배 | *para | hara | paru |
배 | *punay | fune | funi |
비둘기 | *pato | hato | patu |
고대 일본어는 8개의 모음이 있었으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5개로 줄었고, 야에야마어에서는 모음 축약이 더 진행되어 3개의 모음으로 줄었다. 일반적으로 현대 일본어에 "e"가 있으면 야에야마어는 "i"를, "o"가 있으면 "u"를 갖는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것 | *mənə | mono | munu |
씨앗 | *tanay | tane | tani |
시작하다 | *pansimay | hajime | pazïmi |
원시 일본어가 단어의 마지막이 아닌 ''*e'', ''*əy'', ''*o''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일본어와 야에야마어는 둘 다 모음 고양을 겪었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물 | *mentu | mizu | mizï |
나무 | *kəy | ki | kī |
밀 | *monki | mugi | mun |
모든 남부 류큐어와 마찬가지로 야에야마어는 일본어의 "w"에 비해 단어 처음에 "b"를 보인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창자 | *wata | wata | bada |
어린 | *waka | wakai | bagasan |
춤 | *wəntəri | odori | budurï |
이러한 특징 중 다수는 오키나와어의 역사에서 사라졌거나 다른 모든 일본어에 비해 혁신되었다. 일본 본토에서 오키나와 본섬까지는 섬을 보면서 항해가 가능했지만, 오키나와 본섬과 야에야마 사이에는 더 큰 간격이 있어, 여러 밤을 공해에서 보내야 했다. 이 때문에 일본 본토와 야에야마 제도 사이에는 교통량이 적어 언어적 차이가 더 커졌다.
하테루마 방언은 7개의 모음(장단 모음 구별 없음)과 16개의 자음을 가지며, 다른 어떤 방언보다 많은 모음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인두음 ''e''는 "원시 야에야마 이중 모음 '*ai와 *aɨ'의 융합"의 결과로 여겨진다.[13]
하토마 방언은 가장 단순한 동사 활용과 형태음운론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이시가키의 미야라 방언은 21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많은 류큐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e''와 ''o''는 항상 장모음으로 발음된다.[17]
이시가키섬에서는 지역별로도 약간의 방언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이시가키섬 오하마 지구에서는 중설 모음이 쇠퇴하고 있다.[33]
4. 음운
야에야마어의 모음 체계는 이시가키 방언을 기준으로 /i, ï, e, a, o, u/의 6모음으로 구성되며[59], 표준 일본어와 비교했을 때 중설모음 /ï/의 존재가 특징적이다. /ï/는 [sï] 또는 [zï]와 같이 마찰음을 동반하여 발음되기도 한다. 하테루마 방언 및 이시가키섬 일부 방언에서는 /ë/를 포함한 7모음 체계가, 하토마, 구로시마, 이리오모테 일부 방언에서는 /ï/와 /i/가 통합된 5모음 체계가 나타나기도 한다.[60] 반모음 /j, w/도 존재하며 이들은 /a, o, u/ 와만 결합한다.
야에야마어는 일본어에서 사라진 발음 중 일부를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 "h"로 변한 초성 "p" 소리가 야에야마어에서는 "p"로 남아 있으며, "pu"는 "fu"가 되었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배(腹) | *para | hara | paru |
배(船) | *punay | fune | funi |
비둘기 | *pato | hato | patu |
고대 일본어에는 8개의 모음이 있었으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5개로 줄었다. 야에야마어에서는 모음 축약이 더 진행되어 일반적으로 3개의 모음으로 줄었으나,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현대 일본어에 "e"가 있으면 야에야마어는 "i"를, 현대 일본어에 "o"가 있으면 야에야마어는 "u"를 가진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것 | *mənə | mono | munu |
씨앗 | *tanay | tane | tani |
시작하다 | *pansimay | hajime | pazïmi |
원시 일본어가 단어의 마지막이 아닌 ''*e'', ''*əy'', 또는 ''*o''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일본어와 야에야마어는 아래 표와 같이 다른 단계에서 동일한 모음 고양을 겪었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물 | *mentu | mizu | mizï |
나무 | *kəy | ki | kī |
밀 | *monki | mugi | mun |
모든 남부 류큐어와 마찬가지로 야에야마어는 일본어의 "w"에 비해 단어 처음에 "b"를 보인다.
원시 일본어 | 현대 일본어 | 야에야마어 | |
---|---|---|---|
창자 | *wata | wata | bada |
어린 | *waka | wakai | bagasan |
춤 | *wəntəri | odori | budurï |
이는 일본 본토와 야에야마 제도 사이의 거리 때문에 언어적 차이가 벌어진 결과로 설명된다.
야에야마어에서는 연모음이 융합하지 않지만, 특정 단어나 방언에 따라 융합하는 경우가 있다. (예) [mai] (쌀 - 이시가키 방언 등), [sau] (장대 - 하토마 방언 등), [meː] (앞 - 하테루마 방언), [soː] (장대 - 이시가키 방언 등)[41] 무성 자음에 끼인 협모음이 무성음화되는 현상은 류큐 제어에 공통되지만, 하테루마섬, 코하마섬, 이리오모테섬 등에서는 이 외의 조건에서도 모음의 무성음화가 현저하다.
야에야마어에는, 북 류큐 제어와 요나구니어에 있는 것과 같은 유기음과 무기 후두화음의 대립은 없다. 또한, 성문 파열음 ʔ도, 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도 변별적 특징은 아니다. 쿠로섬에는 순치음 f, v가 존재한다. 하토마섬에는 f는 있지만 v는 없다[42]. 또한 이리오모테섬 소노나 타케토미섬에는 비모음이 나타난다[43].
야에야마어의 대부분에서는 일본어의 'e'가 'i'로 변화한 반면, 일본어의 'i'는 중설 모음 ï로 변화하여 에단과 이단의 구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ï는 점차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리오모테지마 소나(西表島祖納)나 하토마지마(鳩間島), 쿠로시마(黒島)에서는 ï가 'i'로 통합되었다. 타케토미지마(竹富島)에서도 ï는 s, c, z 뒤에만 나타나며, 그 외의 음절에서는 'i'로 통합되었다.[45]
일본어 | 아 | 이 | 우 | 에 | 오 |
---|---|---|---|---|---|
이시가키지마(石垣島), 코하마지마(小浜島), 신조지마(新城島), 하테루마지마(波照間島), (타케토미지마(竹富島)) | /a/ | /ï/ | /u/ | /i/ | /u/ |
이리오모테지마소나(西表島祖納), 하토마지마(鳩間島), 쿠로시마(黒島) | /a/ | /i/ | /u/ | /i/ | /u/ |
카행에서는 일본어의 '키'는 이시가키 방언에서는 kï이지만, 타케토미지마(竹富島)나 하테루마지마(波照間島) 등에서는 /sï/ 또는 /si/가 대응한다. (예) [ʃinuː] (어제)[46] 일본어의 '쿠'는 /hu/가 된다. (예) [ɸutʃirï] (약)[47] 어중의 카행 자음은 [ʔagairu] (적색) [48]처럼 탁음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인접한 요나구니어에서는 이것이 규칙적이다.
타행에서는 t가 s로 변화한 예가 많이 관찰된다. (예) [pusu] (사람・하토마 방언), [ʃiː] (손・하테루마 방언), [ʃiː] (피・쿠로시마 방언, 하토마 방언), [sïkeɴ] (달・하테루마 방언) [49] 타행 및 사행에서는 일본어의 우단이 이단으로 통합되어 치와 츠, 시와 스의 구별이 없어졌다.
일본어의 어두의 하행 자음은 야에야마어 전역에서 p가 된다. 단, 우단의 '후'는 야에야마어에서는 /hu/([ɸu] 또는 [fu])가 된다. 미야코 방언에서는 후는 fu이며, 야에야마어에서도 옛날에는 fu였다고 생각된다(pu→fu→ɸu)[50] (예) [pana] (꽃), [pïː] (불), [ɸuni] (배)[51]
일본어의 와행 자음은 야에야마어에서 b에 대응한다. 남 류큐 제어 전체에 공통되는 현상으로, 하행 전호에 의한 와행음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예) [barauɴ] (웃다), [butu] (남편). 좁은 모음에 이어진 라행 자음이 s에 대응한다. (예) [kisuɴ] (입다), [ssuɴ] (자르다)[52]
4. 1. 하테루마 방언
하테루마 방언은 7개의 모음을 포함하며, 장단 모음의 구별이 없고 16개의 자음이 있다. 하테루마 방언은 다른 어떤 방언보다 더 많은 모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두음 ''e''는 "원시 야에야마 이중 모음 '*ai와 *aɨ'의 융합"의 결과로 여겨진다.[13]하테루마 방언에는 하강, 수평, 상승의 세 가지 억양 고저가 존재한다. 고저를 상관시키기 위해 "A, B, C" 시스템 하에 세 가지 단어 종류가 있으며, A 종류의 단어는 하강 고저와 관련되고 B와 C 종류는 "수평 및 상승 패턴과 불균등한 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14]
하테루마 방언은 야에야마어의 혁신적인 변종으로 여겨진다. 인두 eˤ, 소리없는 자음 무성음화, 명사-말 자음 삽입 및 모음 *i 앞에서 무성 연구개 파열음의 마찰음화를 특징으로 하는 야에야마 그룹의 유일한 방언이다. 또한 야에야마 방언 중에서 가장 강한 기식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며, 비음 및 유음 무성음화를 나타내는 유일한 변종이기도 하다.[13]
인두 eˤ는 특히 90세 이상인 사람들에게 ɛ|ɛ일본어로 지역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15]
또한, 하테루마 방언에는 다음과 같은 16개의 자음이 있다:[15]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파열음 | p, p~pˢ, b | t, d | c, t͡s|t͡s일본어~t͡ɕ|t͡ɕ일본어 | k, ɡ | |
비음 | m | n, n~ŋ~ɴ~m | |||
마찰음 | f (ɸ) | s, s~ɕ, z, z~ʑ~d͡z~d͡ʑ | h, h~ç | ||
유음 | r, r~ɾ | ||||
접근음 | w | j |
4. 2. 하토마 방언
하토마 방언은 '음조 범주' 두 개를 가지며, 이는 각각 표시된 것과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낸다. 표시된 부류의 단어는 "두 번째 모라를 포함하는 음절에서 높은 음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며, 표시되지 않은 단어는 낮은 음조로 시작하여 낮은 음조로 끝난다.[16] 특정 명사와 부사에서 "주변 음조 부류" 또한 나타난다.[16]하토마 방언은 야에야마 방언 중 가장 단순한 동사 활용과 형태음운론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의 음운론적 과정은 가벼운 음절에 'i'가 위치할 경우 'i' 다음에 'e'가 오면 'e'가 되고, 무거운 음절에 'i'가 위치할 경우 'i' 다음에 'e'가 오면 'ja(a)'가 되는 것이다.[16] 또한, 가벼운 음절에 'u'가 위치할 경우 'u' 다음에 'a'가 오면 긴 'o'가 되고, 무거운 음절에 'u'가 위치할 경우 'u' 다음에 'a'가 오면 'uwa(a)'가 되는 과정도 있다.[16]
4. 3. 미야라 방언
이시가키의 미야라 방언은 21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많은 류큐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e''와 ''o''는 항상 장모음으로 발음된다.[17] 장모음은 종종 모라적 비음 앞에서 단축된다.[17]
, , 뒤에서 기저 는 로 중화된다. 비음 (, ), 활음 (, ), 치경 파열음 (, ) 또는 , , 뒤에는 고중설 모음 가 나타나지 않는다.[17]
5. 문법
하테루마어는 동사와 형용사에 형태론과 접미사를 사용한다. 파생 형태론(언어학)은 동사에서 사동 및 수동 형태를 나타내며, 가능형은 수동 형태와 같다.[18] 동사 굴절(inflection)은 두 가지 유형의 직설법, 명령 형태, 그리고 협동형과 금지 어미를 표현한다.[19] 형용사, 명사 및 동사는 특히 형용사에서 부사를 생성할 때 복합 및 중복되기도 한다.
하테루마어는 9개의 격 표시와 조사가 있는 격 체계를 가지고 있다.[20] 법과 상의 형태를 나타내는 11개의 보조 동사가 있다.[21]
미야라 야에야마어는 형용사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왔으나, 음운론적 조건, 즉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i'와 현재 시제 지시어 '-u' 사이에 삽입되는 '-r' 표지(연속적인 모음 배열을 피하기 위해)가 암묵적인 형용사 표지를 설명한다는 증거가 있다.[23]
야에야마어에서 의문사는 표준 일본어의 "ka"와 대조적으로 ''du''로 표시된다.
주어 의문문과 답변 | 목적어 의문문과 답변 |
---|---|
의문사에서 ''du''를 생략하는 것은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부사 또는 부가어 의문문의 경우, ''du'' 표시는 선택 사항이다. 여러 의문사가 있는 질문에서는 하나만 ''du''로 표시할 수 있다.[2] 야에야마어의 의문사에 대해 더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5. 1. 동사
야에야마어는 지역에 따라 동사 활용에 큰 차이를 보인다. 하테루마어는 동사와 형용사에 형태론과 접미사를 사용하며, 파생 형태론(언어학)을 통해 동사의 사동 및 수동 형태를 나타낸다. 가능형은 수동 형태와 같다.[18] 동사는 두 가지 유형의 직설법, 명령 형태, 협동형, 금지 어미를 통해 굴절(inflection)된다.[19]하테루마어는 9개의 격 표시와 조사를 가진 격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20] 11개의 보조 동사를 통해 법과 상의 형태를 나타낸다.[21]
5. 1. 1. 이시가키 방언
이시가키 방언은 방위를 표현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유명하다. 이시가키 화자들은 다른 원어민 화자에게 말할 때, "북쪽"과 "남쪽"을 표준 일본어의 ''기타''("북")와 ''미나미''("남") 대신 "올라가다, 오르다"를 의미하는 동사 ''아가루''와 "내려가다"를 의미하는 ''오리루''로 내재적 기준틀에서 표현하는 "내재적" 및 "상대적" 기준틀 시스템을 사용한다.[22] 대부분의 화자들은 "동쪽"과 "서쪽"을 상대적 기준틀에서 표준 일본어의 ''히다리''("왼쪽")와 ''미기''("오른쪽")로 표현한다.[22]다음은 이시가키 이시가키의 활용을 나타낸다. 이시가키 방언의 미연형에는 nu(아니다), suN(시키다), ï|일본어miruN(시키다), riN(되다), ba(만약 ~라면) 등의 접사가 붙는다. 명령형1은 비교적 부드러운 어조의 명령, 명령형2는 비교적 강한 어조의 명령이다. 연용형에는 ï|일본어saːN(-하고 싶다), hazimiruN(-하기 시작하다) 등의 접사가 붙는다. 접속형에는 te(て) 외에도 kiː(から, 이유), tta(た, 과거), uN(-하고 있다) 등이 붙는다.[53]
지향형 | 미연형 | 명령형1 | 명령형2 | 연용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금지형 | 조건형 | 접속형 | |
---|---|---|---|---|---|---|---|---|---|---|---|
쓰다 | /kaka/ | /kaka/ | /kaki/ | /kakja/ | /kakï일본어/ | /kaku/ | /kakuN/ | /kaku/ | /kaku(na)/ | /kaku(kaː)/ | /kaki(te)/ |
누르다 | /usa/ | /usa/ | /usi/ | /usja/ | /usï일본어/ | /usï일본어/ | /usï일본어N/ | /usï일본어/ | /usï일본어(na)/ | /usï일본어(kaː)/ | /usi(te)/ |
하다 | /saː/ | /saː/ | /si/ | /sjaː/ | /sï일본어ː/ | /sï일본어ː/ | /sï일본어N/ | /sï일본어ː/ | /sï일본어ː(na)/ | /sï일본어ː(kaː)/ | /siː(te)/ |
있다 | /ura/ | /ura/ | /uri/ | /urja/ | /urï일본어/ | /uN/ /uruN/ | /uru/ | /uru(na)/ | /uru(kaː)/ | /uri(te)/ |
iku(가다), ï|일본어nu(죽다), tubu(날다), jumu(읽다), turu(취하다) 등 많은 동사는 kaku(쓰다)와 같은 활용을 한다(모든 어형은 종지형이다. 이하 동일). ï|일본어sï일본어(누르다)와 같은 활용을 하는 것은 kï|일본어sï일본어(입다, 자르다), tacï일본어(서다) 등이며, 야에야마어에서는 일본어의 ス가 シ로, ツ가 チ로 통합되어 이러한 체계가 되었다.
지향형 | 미연형 | 명령형1 | 명령형2 | 연용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금지형 | 조건형 | 접속형 | |
---|---|---|---|---|---|---|---|---|---|---|---|
웃다 | /baːraː/ | /baːraː/ | /baːrai/ | /baːraija/ | /baːrai/ | /baːroː/ | /baːroːN/ | /baːroː/ | /baːroː(na)/ | /baːroː(kaː)/ | /baːrai(te)/ |
사다 | /kaː/ | /kaː/ | /kai/ | /kaija/ | /kai/ | /kau/ | /kauN/ | /kau/ | /kau(na)/ | kau(kaː) | kai(te) |
먹다 | /hwaː/ | /hwaː/ | /hoi/ | /hoija/ | /hoi/ | /hoː/ | /hoːN/ | /hoː/ | /hoː(na)/ | /hoː(kaː)/ | /hoi(te)/ |
생각하다 | /umoː/ | /umoː/ | /umui/ | /umuija/ | /umui/ | /umoː/ | /umoːN/ | /umoː/ | /umoː(na)/ | /umoː(kaː) | /umui(te)/ |
지향형 | 미연형 | 명령형1 | 명령형2 | 연용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금지형 | 조건형 | 접속형 | |
---|---|---|---|---|---|---|---|---|---|---|---|
보다 | /mjuː/ | /mjuː/ | /miːri/ | /miːrja/ | /miː/ | /miːN/ | /miː/ | /miː(na)/ | /miː(ka)/ | /mjaː(te)/ |
지향형 | 미연형 | 명령형1 | 명령형2 | 연용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금지형 | 조건형 | 접속형 | |
---|---|---|---|---|---|---|---|---|---|---|---|
일어나다 | /uku/ /ukira/ | /uku/ /ukira/ | /ukiri/ | /ukirja/ | /ukï일본어/ | /ukiN/ /ukiruN/ | /ukï일본어/ /ukiru/ | /uki(na)/ | /ukiQ(kaː)/ | /ukeː(te)/ | |
심다 | /ibu/ /ibira/ | /ibu/ /ibira/ | /ibiri/ | /ibirja/ | /ibï일본어/ | /ibiN/ /ibiruN/ | /ibi/ /ibiru/ | /ibi(na)/ | /ibiː(kaː)/ | /ibeː(te)/ |
utiN(떨어지다), ukiN(받다), idiN(나오다)도 3류에 속한다.
「오다」는 위에 있는 어떤 것과도 다른 불규칙 활용을 한다.
이시가키 방언의 동사 활용 체계를 정리하면 기본 어간(갑), 기본 어간(을), 연용 어간, 접속 어간의 4종류 어간에 활용 어미가 접속하게 된다.[53] 다만, 기술 방법으로 이런 각종 어간을 세우지 않는 설도 있다. 오키나와어(슈리 방언)에서는 「쓰다」라면 kak과 kac, 「읽다」라면 jum, jun, jud와 어간이 교체되므로 연용 어간, 음편 어간 등을 세워 기술하지만, 야에야마어에서는 이런 어간 교체가 인정되지 않는다.[54]
분류 | 어형 | 기본 어간(갑) | 기본 어간(을) | 연용 어간 | 접속 어간 | |||||||||||
---|---|---|---|---|---|---|---|---|---|---|---|---|---|---|---|---|
어간 | 지향형 | 미연형 | 어간 | 명령형1 | 명령형2 | 어간 | 연용형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금지형 | 조건형 | 어간 | 접속형 | ||
1A류 | 쓰다 | kak | a | a | kak | i | ja | kak | ï일본어 | u | uN | u | u | u | kak | i |
1B류 | 웃다 | baara | a | a | baara | i | ija | baara | i | baara | i | |||||
baaro | o | oN | o | o | o | |||||||||||
2류 | 보다 | mju | u | u | miir | i | ja | mi | i | iN | i | i | i | mi | jaa | |
3류 | 떨어지다 | ut | u | u | utir | i | ja | ut | ï일본어 | iN | ï일본어 | i | iː | ut | ee | |
utir | a | a | utir | uN | u |
5. 1. 2. 가와히라 방언
이시가키섬 가와히라 방언의 여러 동사 중 대표적인 "쓰다", "웃다", "일어나다"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53][55] 아래 표는 음소가 아닌 음성 표기이다.지향형 | 미연형 | 조건형1 | 명령형 | 연용형 | 음편형 조건형2 | 종지형1 | 종지형2 | 연체형 | 접속형 | |
---|---|---|---|---|---|---|---|---|---|---|
쓰다 | kakaː | kaka | kaki(ba) | kakiː | kakï | kakï | kakï | kakïn | kakï | kaki |
웃다 | baːraː | baːraː | baːrai(ba) | baːraiː | baːroː baːrai | baːroː | baːrau | baːroːn | baːroː baːrau | baːrai |
일어나다 | ɸukoː | ɸuku ɸukira | ɸukiri(ba) | ɸukiriː | ɸuki | ɸuki | ɸukiː | ɸukirun | ɸuki | ɸuki |
가와히라 방언의 각 활용형 중 지향형은 권유를 나타낸다. 미연형에는 nu(아니), sïn(시키다), sïmirun(하게 하다), rirun(되다), ba(바, 조건) 등의 접사가 붙는다. 연용형에는 tsan(-하고 싶다), uːsïn(-할 수 있다), taŋgaː(뿐) 등이 붙는다. 음편형(조건형2)에는 ta(타, 과거), tara(타라) 등이 붙는다. 연체형에는 체언 외에 maːdi(까지), biki(해야 한다), na(나, 금지) 등이 붙는다. 접속형에는 ʃiti(-해서), ki(부터, 이유), du(에), un(-하고 있다) 등이 붙는다.[53][55]
5. 1. 3. 하토마 방언
하토마 방언은 "음조 범주" 두 개를 가지며, 이는 각각 표시된 것과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낸다. 표시된 부류의 단어는 "두 번째 모라를 포함하는 음절에서 높은 음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며, 표시되지 않은 단어는 낮은 음조로 시작하여 낮은 음조로 끝난다.[16] 특정 명사와 부사에서 "주변 음조 부류" 또한 나타난다.[16]하토마는 야에야마 방언 중 가장 단순한 동사 활용과 형태음운론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의 음운론적 과정은 가벼운 음절에 'i'가 위치할 경우 'i' 다음에 'e'가 오면 'e'가 되고, 무거운 음절에 'i'가 위치할 경우 'i' 다음에 'e'가 오면 'ja(a)'가 되는 것이다.[16] 또한, 가벼운 음절에 'u'가 위치할 경우 'u' 다음에 'a'가 오면 긴 'o'가 되고, 무거운 음절에 'u'가 위치할 경우 'u' 다음에 'a'가 오면 'uwa(a)'가 되는 과정도 있다.[16]
하토마 섬 방언의 "쓰다", "사다", "일어나다"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하토마 방언에서는 문어에서 2단 활용을 하는 동사가 파생·유추 변화하여, "쓰다"와 같은 4단 활용화된 형태("일어나다" 단 상단)와, 라행 4단 활용화된 형태("일어나다" 단 하단)의 2종류의 활용형을 가지고 있다.[56]
지향형 | 미연형 | 명령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융합형1 | 융합형2 | |
---|---|---|---|---|---|---|---|---|
쓰다 | kaka | kaka | kaki | kaki | kakuN | kaku | kakee | kakoo |
사다 | kaa | kaa | kai | kai | kauN | kau | kaija | kaioo |
일어나다 | uka ukira | uka ukira | uki ukiri | uki | ukuN ukiruN | uku ukiru | ukee | ukoo |
하토마 방언의 지향형은 의지·권유를 나타낸다. 미연형에는 nu(않다), ba(-면), riN(-되다), suN(-시키다)가 붙는다. 연용형에는 ti(-서), du(-네), beː(n)(-있다) 등이 붙는다. 연체형은 du의 계리 맺음으로 사용하는 외에 체언, na(금지), ba(-부터)가 붙는다. 융합형 1에는 N(완료), ti(-니까), ba(-부터), taN(-했다), naːnu(않다) 등이 붙는다. 융합형 2에는 ruN(-되다)이 붙는다.[56]
5. 2. 형용사
야에야마어는 오키나와어 및 고대 일본어와는 달리 형용사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i'와 현재 시제 지시어 '-u' 사이에 '-r' 표지(연속적인 모음 배열을 피하기 위해)가 삽입되는 것은 암묵적인 형용사 표지를 설명한다는 증거가 된다.[23] 야에야마어의 형용사는 원래 어간에 "사아리"가 접속한 형태가 변화한 것이다.이시가키 방언과 하토마 방언의 형용사 활용에 대해서는 각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5. 2. 1. 이시가키 방언
이시가키 방언은 방위를 표현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유명하다. 이시가키 화자들은 다른 원어민 화자에게 말할 때, "북쪽"과 "남쪽"을 표준 일본어의 ''기타''("북")와 ''미나미''("남") 대신 "올라가다, 오르다"를 의미하는 동사 ''아가루''와 "내려가다"를 의미하는 ''오리루''를 써서 내재적 기준틀에서 표현하는 "내재적" 및 "상대적" 기준틀 시스템을 사용한다.[22] 대부분의 화자들은 "동쪽"과 "서쪽"을 상대적 기준틀에서 표준 일본어의 ''히다리''("왼쪽")와 ''미기''("오른쪽")로 표현한다.[22]이시가키시(石垣市) 이시가키(石垣)의 형용사 활용은 어간 말에 s를 포함하는 것과 ʃ를 포함하는 것, 두 종류로 나뉜다.[53]
미연형 | 연용형 | 조건형 | 종지형 | 연체형 | 접속형 | |
---|---|---|---|---|---|---|
높다 | takasaːra(ba) | takasaː | takasaːru(ba) | takasan | takasaːnu | takasaːri(te) |
무섭다 | nuguriʃaːra(ba) | nuguriʃaː | nuguriʃaːru(ba) | nuguriʃan | nuguriʃaːnu | nuguriʃaːri(te) |
과거의 da는 연용형에 붙는다. 이 외에도 takasanu(높아서)의 형태로 이유를 나타낸다.
5. 2. 2. 하토마 방언
하토마 방언은 "음조 범주" 두 개를 가지며, 이는 각각 표시된 것과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낸다. 표시된 부류의 단어는 "두 번째 모라를 포함하는 음절에서 높은 음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며, 표시되지 않은 단어는 낮은 음조로 시작하여 낮은 음조로 끝난다.[16] 특정 명사와 부사에서 "주변 음조 부류" 또한 나타난다.[16]하토마 방언은 야에야마 방언 중 가장 단순한 동사 활용과 형태음운론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의 음운론적 과정은 가벼운 음절에 'i'가 위치할 경우 'i' 다음에 'e'가 오면 'e'가 되고, 무거운 음절에 'i'가 위치할 경우 'i' 다음에 'e'가 오면 'ja(a)'가 되는 것이다.[16] 또한, 가벼운 음절에 'u'가 위치할 경우 'u' 다음에 'a'가 오면 긴 'o'가 되고, 무거운 음절에 'u'가 위치할 경우 'u' 다음에 'a'가 오면 'uwa(a)'가 되는 과정도 있다.[16]
하토마 방언의 경우, 형용사는 어간 말의 음절 구조에 따라 어미 교체가 일어난다.[57]
- 어간 말에 CVCV 구조가 올 때 (C는 자음, V는 모음을 나타냄)
- * 마지막 V가 a → aːn (takaːn)
- * 마지막 V가 i → eːn (pirakeːn)
- * 마지막 V가 u → oːn (karoːn)
- 어간 말에 CVV 구조가 올 때
- * 마지막 V가 i → ijan (sanijan)
- * 마지막 V가 u → uwan (suːwan)
미연형은 ba (때문에, 확정)가 붙는 형태, 조건형은 kaː (가정)가 붙는 형태로, 과거형에는 ta (과거)나 tan (완료)가 붙는다. 접속형에는 ti (때문에) 등이 붙는다.[57]
5. 3. 의문문
야에야마어에서 의문사는 표준 일본어의 "ka"와 대조적으로 ''du''로 표시된다.[1]주어 의문문과 답변 | 목적어 의문문과 답변 |
---|---|
누가 소바를 먹었니? | 크리스가 무엇을 먹었니? |
의문사에서 ''du''를 생략하는 것은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부사 또는 부가어 의문문의 경우, ''du'' 표시는 선택 사항이다. 여러 의문사가 있는 질문에서는 하나만 ''du''로 표시할 수 있다.[2] 야에야마어의 의문사에 대해 더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6. 보존 및 부흥
야에야마어 화자는 약 7,000명에서 10,000명으로 추산되며, 주로 가정에서 사용된다.[25] 류큐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많은 부흥 단체와 운동이 설립되었다. 가장 초기의 언어 부흥 운동은 1955년에 설립된 코자 문화 협회의 일환으로 여겨진다.[26] 류큐어 보존 및 부흥에 큰 기여를 한 단체는 오키나와어 보급 협회(우치나구치 후큐 쿄기카이)로, 이 협회의 헌장은 방언 강좌 및 오키나와 교사 훈련 프로그램 개시, 그리고 단일 오키나와 정자법을 향해 나아가는 데 전념하고 있다.[26] 오키나와 라디오 방송, "발표회와 연극", 지역 학교 교육 과정에 통합된 언어 강좌에서도 류큐어 생존을 위한 주목할 만한 하위 운동이 존재한다.[26]
류큐어의 멸종 위기는 역사적, 정부적 요인에 기인한다. 1872년 오키나와 제도가 일본에 병합되고 1879년 오키나와현이 설치된 이후, "류큐 열도의 일본화"라고 불리는 움직임이 있었다.[24] 이로 인해 국어 운동이 발전했는데, 1907년 방언 규제 조례가 시행되어 다양한 류큐어를 "방언" (호겐)으로 격하시키고 일본 학교 시스템에서 이러한 방언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했다.[24]
7. 예문
다음은 이시가키 방언의 예문이다.[61]
- dzïː ju kaka (字を書こう|지지오 카코ryu, 글자를 쓰자)
- ukunu / ukiranu (起きない|우키누 / 우키라누ryu, 일어나지 않는다)
- dzïː ju kaku na (字を書くな|지지오 카쿠나ryu, 글자를 쓰지 마라)
- takasaːra ba kaː ru n (高かったら買えない|타카사라 바 카루운ryu, 비싸다면 살 수 없다)
- anu jama takasaː neːru kaja (あの山は高くないだろうか|아누 야마 타카사 네루 카쟈ryu, 저 산은 높지 않을 것인가)
- andʒi takasaːru kaː kaː ru n (そんなに高かったら買えない|안지 타카사루 카 카룬ryu, 그렇게 비싸다면 살 수 없다)
『류큐 방언 문법의 연구』에서는 위와 동일한 문례를 이시가키 방언으로 제시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e18
[2]
웹사이트
Yaeyama in Japan {{!}} UNESCO WAL
https://en.wal.unesc[...]
[3]
웹사이트
八重山のデータ
http://www.zephyr.ju[...]
[4]
논문
The Ryukyus and the New, But Endangered, Languages of Japan
http://apjjf.org/-Pa[...]
2017-02-09
[5]
논문
The Ryukyus and the New, But Endangered, Languages of Japan
2009-05-09
[6]
간행물
The Japonic Languages: an Introduction
https://brill.com/di[...]
Brill
2024-01-21
[7]
서적
Okinawa: History of an Island People
1957
[8]
학위논문
Ryūkyūan language history
https://altaica.ru/L[...]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9]
논문
The historical position of the Ryukyuan Languages
https://hal.science/[...]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2011
[10]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11]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12]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13]
논문
Conservative and Innovative Features in the Phonology of Hateruma Dialect
[14]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15]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2015-02-17
[16]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Routledge
[17]
간행물
11. Tense, Aspect, and Mood in Miyara Yaeyaman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4-01-21
[18]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19]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20]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21]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22]
논문
Language and Gesture on Ishigaki Island
http://journals.ling[...]
2007
[23]
서적
Japanese/Korean Linguistics 23
https://cmdavis.org/[...]
2014
[24]
논문
The Ryukyus and the New, But Endangered, Languages of Japan
http://apjjf.org/-Pa[...]
2009
[25]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26]
논문
Language Loss and Revitalization in the Ryukyu Islands
http://apjjf.org/-Pa[...]
2005
[27]
웹사이트
Yaeyama at Ethnologue (18th ed., 2015)
http://www.ethnologu[...]
[28]
뉴스
島の子どもに文化伝えたい スマムニ民話集発刊
https://ryukyushimpo[...]
琉球新報
2016-07-16
[29]
웹사이트
消滅の危機にある方言・言語,文化庁
https://www.bunka.go[...]
[30]
웹사이트
八丈語? 世界2500言語、消滅危機 日本は8語対象、方言も独立言語 ユネスコ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03-29
[31]
문서
"アイヌ語]](15人)より話者数が多い"
2009年2月19日
[32]
서적
岩波講座 日本語11方言
岩波書店
1977
[33]
문서
中本(1976)228頁
[34]
뉴스
「島の言葉は島の心」 竹富
http://www.y-mainich[...]
八重山毎日新聞
2014-09-11
[35]
뉴스
20年ぶり方言大会復活 西表小中校学対に大勢の住民
http://www.y-mainich[...]
八重山毎日新聞
2008-12-22
[36]
간행물
八重山語波照間島方言について
https://www.bunka.go[...]
琉球大学島嶼地域科学研究所
2020
[37]
서적
1976
[38]
서적
1984
[39]
서적
1984
[40]
서적
1984
[41]
서적
1984
[42]
서적
1976
[43]
서적
1976
[44]
서적
1976
[45]
서적
1976
[46]
서적
1984
[47]
서적
1984
[48]
서적
1984
[49]
서적
1984
[50]
서적
1976
[51]
서적
1976
[52]
서적
1984
[53]
서적
1984
[54]
서적
1984
[55]
서적
1984
[56]
서적
1984
[57]
서적
1984
[58]
웹사이트
Yaeyama
https://www.ethnolog[...]
2015
[59]
서적
1976
[60]
서적
1984
[61]
서적
琉球方言文法の研究
笠間書院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