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후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하 후유는 1876년 류큐번(현재 오키나와현)에서 태어난 오키나와 출신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이다. 그는 도쿄 제국대학에서 언어학을 전공하고 오키나와 현립 도서관 관장을 역임하며 오키나와 연구 자료 수집에 힘썼으며, 언어학, 민속학, 문화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오키나와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이하 후유는 류큐와 일본의 관계를 연구하며 류큐인의 정체성 형성을 모색했으며, 그의 저서 『고류큐』는 오키나와학 입문서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일본학자 - 오구라 신페이
오구라 신페이는 한국어 연구에 매진하며 조선어 방언 및 향가, 이두 연구에 업적을 남긴 일본의 언어학자로, 일제강점기 조선어 연구에 기여했으나 식민 통치에 협력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일본의 일본학자 - 오카와 슈메이
오카와 슈메이는 일본의 사상가이자 이슬람 연구가, 우익 운동가로, 도쿄제국대학에서 인도 철학을 전공하고 남만주철도 조사부에서 아시아주의를 주창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정신 질환으로 재판이 중단된 후 코란 번역에 몰두했고, 그의 사상은 일본 제국주의와 대동아공영권 구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고쿠가쿠인 대학 교수 - 마루야 사이이치
마루야 사이이이치는 영문학을 전공하고 번역가로도 활동한 일본의 소설가이자 문학 비평가로, 여러 문학 작품과 평론을 통해 일본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문화훈장을 수훈했다. - 고쿠가쿠인 대학 교수 - 아사노 아츠코
아사노 아츠코는 15세 영화 데뷔 후 1980년대 드라마의 연이은 히트로 전성기를 맞이하여 "W 아사노"로 불리며 큰 인기를 얻었고, 이후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하며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조연 여우상을 수상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일본의 배우이다. - 일본의 민속학자 - 야나기타 쿠니오
야나기타 구니오는 근대 일본 민속학의 기초를 세운 민속학자이자 문필가로, 농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민속학 연구에 몰두하여 일본 민속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데 기여했으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연구 부족이라는 한계점도 가진다. - 일본의 민속학자 - 시부사와 게이조
시부사와 게이조는 실업가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손자로, 일본은행 총재, 대장대신을 역임하고, 경제 단체 연합회 상담역 등을 지냈으며, 민속학에도 관심을 가진 인물이다.
이하 후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876년 3월 15일 |
출생지 | 나하, 류큐 왕국 |
사망 | 1947년 8월 13일 |
사망지 | 도쿄, 일본 |
직업 | 학자 및 작가 (오키나와 문화 및 역사) |
장르 | 학술 논픽션 |
사상적 경향 | 오키나와는 독자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일본의 영향을 받음 |
주요 저서 | 《고 류큐》(古琉球) 《오모로 소시》 연구 |
학문 분야 | |
주요 관심사 | 민속학 언어학 오키나와학 |
출신 지역 | 류큐 번 나하시 니시무라 (현재의 오키나와현 나하시) |
모교 | 도쿄 제국대학 |
학위 | 문학사 |
2. 생애
류큐번 나하 니시무라(현재의 나하시 니시)에서 태어난 이하 후유는 1903년 제3고등학교를 졸업하고,[2] 도쿄 제국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했다. 제국대학에서는 하시모토 신키치, 소구라 신페이, 키타이치 쿄스케 등과 함께 니이무라 이즈루의 강의를 수강했고, 우에다 만넨의 강의를 듣던 토리이 류조와도 교류했다.[3] 1904년 오키나와 귀향 후 토리이를 오키나와 조사에 초대했다.[3] 1906년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문학과를 졸업했다.[4]
앞줄 오른쪽부터 소구라 신페이, '''이하 후유''', 간다 조타로. 가운데 줄 오른쪽부터 호시카 타카이치, 야스기 사도토시, 우에다 만넨, 후지오카 쇼지, 니이무라 이즈루. 뒷줄 오른쪽부터 하시모토 신키치, 도쿠자와(도쿠자와 켄조?), 고토 아사타로, 키타이치 쿄스케.
이하 후유 탄생 100주년 기념회 편 『이하 후유 : 1876-1947 탄생 100주년 기념 앨범』1976년, 19쪽.
귀향 후 오키나와 현립 도서관 관장을 역임하며 오키나와 연구 자료 수집에 힘썼고, 히가 하루시오와 에스페란토 학습 활동 및 성경 강의를 했다.[10] 동생 이하 게츠조[5]는 오키나와 매일신문 기자로 활동했다.
이하 후유는 언어학, 민속학, 문화인류학, 역사학, 종교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오키나와 연구를 통해 "오키나와학" 발전에 기여하여 "'''오키나와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오무로소시』 연구에 공헌하고 류큐와 일본을 잇는 연구를 수행하며 류큐인의 정체성 형성을 모색했다. 일류 동조론은 이러한 탐구의 일환이다. 토리코시 켄사부로는 이하 후유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자료에 치우치고 결론을 서두른 나머지 논리적 비약과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6]
이하 후유의 사상은 근대 일본의 오키나와 차별에 대한 비판이 약했고, 천황제 국가에 오키나와를 편입하는 정책에 이용되었다는 평가도 있다.[7]
야나기타 구니오, 오리구치 시노부, 가와카미 하지메 등과 교류했다. 히가시온나 칸준은 우라소에 성터 현창비에 이하 후유를 "오키나와를 알았고, 사랑했고, 걱정했던 학자이자 애향가, 예언자"라고 새겼다.
사후 1973년, 오키나와 타임스사는 이하 후유의 업적을 기려 ""을 제정했다.[8][9]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이하 후유는 1876년 류큐번 나하 시 니시무라(현재의 나하시 니시)에서 하급 무사(페친(家臣))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79년 폐번치현으로 오키나와현이 설치되었다. 1891년 오키나와현 진죠 중학교(현 오키나와현 스리 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1895년 진죠 중학교 파업 사건의 주동자 중 한 명으로 제적되었다. 주모자는 한나 겐와(漢那憲和)였다.1896년 상경하여 메이지 기카이 중학교에 편입, 다음 해 졸업했다. 1900년 제3고등학교(현 교토 대학의 전신)에 입학, 1903년 졸업하고 도쿄제국대학 문학과 언어학 전문 과정에 입학했다. 1906년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귀향하여 문헌·민속자료 수집에 전념했다.
1910년 오키나와현립도서관장(촉탁)에 임명되었다. 1916년 오키나와 연합 교회를 설립하고, 1917년 2월 2일부터 에스페란토 강습회를 지도했다.[10] 1918년에는 교회에서 성경 강의를 담당했다. 1921년 오키나와현립도서관장에 정식으로 임명되었으나, 1924년 사임하고 다시 상경했다. 1935년 고쿠가쿠인 대학에서 오무로 강의를 담당했다. 1945년 초대 오키나와인 연맹 회장에 취임했다. 1947년 8월 13일 오키나와의 미래를 걱정하며, 임시 거처인 히가 하루시오(比嘉春潮) 자택에서 사망했다. 향년 71세였다.
2. 2. 오키나와 연구 활동
류큐번 나하 니시무라(현재의 나하시 니시)에서 태어난 이하 후유는 1903년 제3고등학교를 졸업하고,[2] 도쿄 제국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했다. 제국대학에서는 하시모토 신키치, 소구라 신페이, 키타이치 쿄스케 등과 함께 니이무라 이즈루의 강의를 수강했고, 우에다 만넨의 강의를 듣던 토리이 류조와도 교류했다.[3] 1904년 오키나와 귀향 후 토리이를 오키나와 조사에 초대했다.[3] 1906년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문학과를 졸업했다.[4]귀향 후 오키나와 현립 도서관 관장을 역임하며 오키나와 연구 자료 수집에 힘썼고, 히가 하루시오와 에스페란토 학습 활동 및 성경 강의를 했다.[10] 동생 이하 게츠조[5]는 오키나와 매일신문 기자로 활동했다.
이하 후유는 언어학, 민속학, 문화인류학, 역사학, 종교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오키나와 연구를 통해 "오키나와학" 발전에 기여하여 "'''오키나와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오무로소시』 연구에 공헌하고 류큐와 일본을 잇는 연구를 수행하며 류큐인의 정체성 형성을 모색했다. 일류 동조론은 이러한 탐구의 일환이다. 토리코시 켄사부로는 이하 후유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자료에 치우치고 결론을 서두른 나머지 논리적 비약과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6]
이하 후유의 사상은 근대 일본의 오키나와 차별에 대한 비판이 약했고, 천황제 국가에 오키나와를 편입하는 정책에 이용되었다는 평가도 있다.[7]
야나기타 구니오, 오리구치 시노부, 가와카미 하지메 등과 교류했다. 히가시온나 칸준은 우라소에 성터 현창비에 이하 후유를 "오키나와를 알았고, 사랑했고, 걱정했던 학자이자 애향가, 예언자"라고 새겼다.
사후 1973년, 오키나와 타임스사는 이하 후유의 업적을 기려 ""을 제정했다.[8][9]
2. 3. 말년
이하 후유는 1924년 오키나와 현립 도서관장 직을 사임하고 도쿄로 돌아가 연구를 계속했다.[10] 1935년에는 고쿠가쿠인 대학에서 오무로 강의를 담당했다. 1945년에는 오키나와인 연맹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10] 1947년 8월 13일, 도쿄에서 오키나와 출신 역사가 히가 슌초(比嘉春潮)의 집에서 71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0] 그의 묘는 우라소에 성(Urasoe Castle) 유적 근처, 우라소에 공원(Urasoe Park)에 있다. 묘비에는 히가시오나 칸준(Higashionna Kanjun)이 지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3. 주요 업적
이하 후유는 옛 류큐어와 일본어 단어("akaru, akezu, akatonki, amori, etsuri, fuguri"(음낭), "fuku, hae"(영광), "hau, hiji, hiraku, hoso"(지렁이), "kanashi, iga, ikasarete, ikibui, ikutokoro, ime, iriki, kabuchi, kotoi, kuwanari, magu, majimono, mamaki, maru, minjai, mitsumi, monowata, mumuji, naegu, nai"(지진), "nasu, nuuji, sakuri, sayumi, shichiyadan, shishi, taani, tane"(음경), "tsukakamachi, tsukura, tubi, ugonaari, uwanari, wa, watamashi, yagusami, yokoshi, yomu", "yuimaharu" 등)를 연구하여 오키나와와 일본이 같은 모어를 공유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
이하는 류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사이 온(蔡温), 하네지 초슈(羽地朝秀)(쇼 쇼켄(向象賢)), 그리고 기완 초호(儀間朝貢)를 꼽았다. 이들은 사쓰마와 중국 사이에서 류큐를 통치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하는 오키나와 사범학교에서 그들에 대해 강연했다.
사이 온은 왕에게 중국과의 협상은 어렵지 않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고 조언했다. 그는 단 한 장의 종이로 왕의 지위를 잃을 수 있으며, 그것은 일본 때문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오키나와는 중국을 누가 통치하든 중요하지 않으며, 정의를 고수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오키나와 사람들은 살기 위해 모든 것을 견디며, 누구든 먹을 것을 주는 자가 주인이 된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였다. 이는 오키나와 현 설치일까지 오키나와 사람들의 운명이었다. 일본은 오키나와 현 설치 직후 오키나와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몰랐다.
《오모로소시》(おもろさうし)는 13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걸쳐 지어진, 22권으로 구성된 노래 모음집이다. 1553편(중복 제외 1267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키나와의 《만엽집》(万葉集)이라고 불린다. "오모로(Omoro)"는 "오모리 우타(Omori uta)", 즉 류큐의 신성한 장소에서 불리던 노래의 약칭이다. 오모로는 류큐어(Ryukyuan languages) 연구의 주요 자료이다.
중국은 류큐 왕족 등이 중국에서 공부하는 것을 허락했지만, 초기에는 성과가 좋지 않았다. 쇼신(尚真) 왕은 128년 전 중국에서 온 구메(久米) 마을 사람들에게 유학을 허락했고, 그들은 중국어를 구사하며 높은 성과를 거두었다. 18세기 말, 슈리(首里)의 류큐 정부는 교육과 정치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깨닫고 슈리 출신 학생들을 보내려 했으나, 구메 사람들의 파업으로 저항에 부딪혔다. 이를 간쇼(관정,勘所) 문제 또는 소동(騒動)이라고 한다.
류큐 방언에서 P → F → H로의 음운 변화는 역사적 일본어에서 P를 거쳐 F, H로의 변화를 시사한다. 이는 고류큐어(古琉球語)임에 유의해야 한다.[1]
항목 | 슈리 | 쿠니가미 | 야에야마 | 미야코지마 | 아마미오시마 |
---|---|---|---|---|---|
잎 | fa | pa | pa | pa | ha |
무덤 | faka/haka | paka | paka | paka | haka |
꽃 | hana | pana | pana | pana | hana |
불 | fi | pi | pi | (umatsu) | (umatsu) |
태양 | tiida | pi | pi | pi | hi, hyuru |
돛, 천 | fu | pu | pu | pu | fu |
중고 일본어에는 원시 일본어에는 *[p]가 있었지만, 고일본어에서는 이미 [ɸ]가 되었고, 그 후 근대 일본어 초기에는 [h]가 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류큐학(Okinawaology)은 독립적인 학문 분야가 아니라 오키나와 연구의 여러 측면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류큐학은 이하 후유(伊波)의 『고류큐(古琉球)』(Ko Ryūkyū)에서 유래하였다.
류큐 왕국이 일본 제국에 병합된 이후, 오키나와 사람들은 일본 본토 문화에 강제로 동화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하 후유는 일본 본토와 오키나와 양쪽의 문화, 특히 오키나와의 언어와 역사를 연구했다. 그는 오키나와 사람들과 일본 사람들이 공통의 조상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연구는 『오모로소시(おもろそうし)』에서 시작하여 역사, 언어학, 인류학, 고고학, 종교 연구, 신화, 문명 연구, 민족학, 문학 등을 망라했다. 오키나와어를 사용하여 그는 오키나와 사람들의 고향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려고 노력했다. 그의 주장은 오키나와학의 기초로 자리 잡았다. 오키나와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학자들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오키나와학은 정치, 경제, 법률, 자연 환경 등 많은 다른 분야를 포함한다.
- 『이하 부유 전집 제1권』 평범사(平凡社),1974년 (일괄복간: 1993년 6월 (제3판)/※전자책, 2016년)
::편집위원: 하토리 시로(服部四郎),나카소네 마사요시(仲宗根政善),소토마 모리요시(外間守善)
:수록 「고류큐(古琉球)」,「고류큐의 정치(古琉球の政治)」,「역사론고(歴史論考)」,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2권』 평범사(平凡社),1974년
:수록 「남도사고(남도를 중심으로 한)(南島史考(琉球を中心としたる))」,「고도고의 류큐사(孤島苦の琉球史)」,「오키나와 역사 이야기 - 일본의 축도(沖縄歴史物語 - 日本の縮図)」
:「역사론고(歴史論考)」,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3권』 평범사(平凡社),1974년
:수록 「교주 류큐 희곡집(校注琉球戯曲集)」,「부록:관선도래와 춤(지하나 아사아키(담)(附録:冠船渡来と踊(知花朝章(談)))」 외」,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4권』 평범사(平凡社),1974년
:수록 「남도방언사고(南島方言史攷)」,「오키나와고(沖縄考)」,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5권』 평범사(平凡社),1974년
:수록 「오나리 신의 섬(をなり神の島)」,「일본 문화의 남진(日本文化の南漸)」,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6권』 평범사(平凡社),1975년
:수록 「류큐 성전 오모로사우시 선석 - 오모로에 나타난 고류큐의 문화(琉球聖典 おもろさうし選釈 - オモロに現はれたる古琉球の文化)」,「교정 오모로사우시(校訂おもろさうし)」
:「오모로 각서 - 류큐 고대 사회의 편영(おもろ覚書 - 琉球 古代社会の片影)」,「오모로론고(おもろ論考)」,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7권』 평범사(平凡社),1975년
:수록 「류큐인종론(琉球人種論)」,「류큐사의 추세(琉球史の趨勢)」,「류큐의 오위인(琉球の五偉人)」,「오키나와 여성사(沖縄女性史)」,「류큐고금기(琉球古今記)」
:「오키나와여 어디로(沖縄よ何処へ)[생략]」,「류큐 풍속사고(琉球風俗史考)」,『류큐국유래기(琉球国由来記)』해설,『류큐국구기(琉球国旧記)』해설
:「역사론고(歴史論考)」,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8권』 평범사(平凡社),1975년
:수록 「류큐희곡사전(琉球戯曲辞典)」,「류큐어 편람(琉球語便覧)」,「언어론고(言語論考)」,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나카모토 마사토모)
- 『이하 부유 전집 제9권』 평범사(平凡社),1975년
:수록 「문학론고(文学論考)」,「민족론고(民族論考)」,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10권』 평범사(平凡社),1976년
:수록 「잡찬(雑纂)」,「사전(辞典)」,「작품(作品)」,「서발(序跋)」,「담화・강연・좌담회(談話・講演・座談会)」,「서간(書簡)」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이하 부유 전집 제11권』 평범사(平凡社),1976년
:수록 「류큐어대사전(초고)(琉球語大辞典(草稿))」,「대사전(이하 집필 류큐 방언 관련 항목)(大辞典(伊波執筆琉球方言関係項目))」,「보유(補遺)」,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해제 보유(소토마 모리요시), 이하 부유의 학문과 사상(소토마 모리요시), 연표(소토마 모리요시, 히야네 테루오)
:저작목록, 총색인, 해제(소토마 모리요시, 히가 미노루)
- 국립정보학연구소(国立情報学研究所) [https://cir.nii.ac.jp/all?q=%E4%BC%8A%E6%B3%A2+%E6%99%AE%E7%8C%B7&count=100&sortorder=3 국립정보학연구소 수록 논문]
- 규슈국제대학(九州国際大学) 이하 후유(伊波普猷), 「오키나와 사람의 조상에 대해」(沖繩人の祖先に就て), 『교양 연구』(教養研究) 15(1), 212-177, 2008-07, [https://cir.nii.ac.jp/crid/1050564289177150336 IFA FUYU, Okinawajin no Sosen ni tsuite]
3. 1. 오키나와학의 정립
이하 후유(伊波普猷)는 오키나와학(沖縄学)의 창시자로, 그의 저서 『고류큐(古琉球)』는 오키나와학 입문서로서 고전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 류큐학(Okinawaology)은 독립적인 학문 분야는 아니지만, 오키나와 연구의 여러 측면을 포괄하는 용어이다.류큐 왕국이 일본 제국에 병합된 후, 오키나와 사람들은 일본 본토 문화에 강제로 동화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하 후유는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 양쪽의 문화, 특히 오키나와의 언어와 역사를 연구했다. 그는 오키나와 사람들과 일본 사람들이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고 주장하며, 오모로소시(おもろそうし) 연구를 시작으로 역사, 언어학, 인류학, 고고학, 종교 연구, 신화, 문명 연구, 민족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오키나와어를 사용하여 오키나와 사람들의 자긍심을 높이고자 했던 그의 주장은 오키나와학의 기초가 되었다.
오키나와학은 학자들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법률, 자연 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이하 후유의 연구 업적은 『이하 부유 전집』(전11권, 평범사(平凡社), 1974-1976)에 집대성되어 있다. 편집위원은 하토리 시로(服部四郎), 나카소네 마사요시(仲宗根政善), 소토마 모리요시(外間守善)이다.
3. 2. 일류동조론
이하 후유(伊波普猷)는 규슈국제대학(九州国際大学)의 『교양 연구』(教養研究) 15(1)에 기고한 「오키나와 사람의 조상에 대해」(沖繩人の祖先に就て)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 이 논문은 국립정보학연구소(国立情報学研究所)에 수록되어 있다.3. 3. 《오모로소시》 연구
《오모로소시》(おもろさうし)는 13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걸쳐 지어진, 22권으로 구성된 노래 모음집이다. 1553편의 시와 (중복을 제외하면) 1267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키나와의 《만엽집》(万葉集)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오모로(Omoro)"는 "오모리 우타(Omori uta)" 즉, 류큐의 신성한 장소에서 불리던 노래의 약칭이다.오모로의 주제는 류큐의 기원, 왕, 영웅, 항해, 시인, 풍경, 천국과 별, 그리고 매우 드물게는 낭만 등을 포함한다. 오모로는 류큐어(Ryukyuan languages)와 이데올로기를 연구하는 주요 자료이다.
이하 후유(伊波普猷)는 규슈국제대학(九州国際大学)의 『교양 연구』(教養研究)에 「오키나와 사람의 조상에 대해」(沖繩人の祖先に就て)라는 논문을 기고했다. 국립정보학연구소(国立情報学研究所)에는 이하 후유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
3. 4. 류큐어 연구
이하 후유는 옛 류큐어와 일본어 단어("akaru, akezu, akatonki, amori, etsuri, fuguri"(음낭), "fuku, hae"(영광), "hau, hiji, hiraku, hoso"(지렁이), "kanashi, iga, ikasarete, ikibui, ikutokoro, ime, iriki, kabuchi, kotoi, kuwanari, magu, majimono, mamaki, maru, minjai, mitsumi, monowata, mumuji, naegu, nai"(지진), "nasu, nuuji, sakuri, sayumi, shichiyadan, shishi, taani, tane"(음경), "tsukakamachi, tsukura, tubi, ugonaari, uwanari, wa, watamashi, yagusami, yokoshi, yomu", "yuimaharu" 등)를 연구하여 오키나와와 일본이 같은 모어를 공유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류큐 방언에서 P → F → H로의 음운 변화는 역사적 일본어에서 P를 거쳐 F, H로의 변화를 시사한다. 이는 고류큐어(古琉球語)임에 유의해야 한다.[1]
항목 | 슈리 | 쿠니가미 | 야에야마 | 미야코지마 | 아마미오시마 |
---|---|---|---|---|---|
잎 | fa | pa | pa | pa | ha |
무덤 | faka/haka | paka | paka | paka | haka |
꽃 | hana | pana | pana | pana | hana |
불 | fi | pi | pi | (umatsu) | (umatsu) |
태양 | tiida | pi | pi | pi | hi, hyuru |
돛, 천 | fu | pu | pu | pu | fu |
중고 일본어에는 원시 일본어에는 *[p]가 있었지만, 고일본어에서는 이미 [ɸ]가 되었고, 그 후 근대 일본어 초기에는 [h]가 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4. 사상과 비판
4. 1. 일류동조론과 오키나와 정체성
4. 2. 비판
5. 저서
이하 후유는 류큐와 오키나와를 연구한 학자로서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고류큐』(古琉球)가 있으며, 이 책은 오키나와학 입문서로서 고전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 『고류큐』는 여러 차례 재판되었으며, 1911년 오키나와공론사에서 초판이 발행된 이후 1916년, 1922년, 1942년, 1977년, 2000년에 각각 다른 출판사에서 재판 또는 복각되었다.
그의 저서 중에는 『개정 오모로소시』(1925), 『국어방언학: 류큐 방언』(1933), 『오나리가미섬』(1938, 1942) 등이 있다. 또한, 『이하 후유 선집』(전2권, 1962)과 『이하 후유 전집』(전11권, 1976, 1993)이 출판되었다.
이하 후유는 『류큐인종론』(1911), 『류큐사의 추세』(1911) 등 류큐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책을 저술하였다. 그는 류큐의 역사, 언어, 민속,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류큐학, 오키나와학 연구에 기여하였다.
이하 후유는 다른 학자들과 공동 저술을 하기도 했다. 『인생과 종교』(1915), 『류큐의 5대 위인』(1916), 『오키나와 여성사』(1919), 『오키나와 역사의 다섯 사람』(1974) 등이 그 예이다.
이 외에도 『류큐사료총서』(전5권, 1942, 1962), 『오키나와 문화총설』(1947, 1969, 1975, 2022) 등 류큐 및 오키나와 관련 자료를 엮거나 다른 학자들과 함께 저술한 책들이 있다.
이하 후유는 논문도 발표하였는데, 국립정보학연구소와 규슈국제대학에서 그의 논문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규슈국제대학에 수록된 「오키나와 사람의 조상에 대해」(2008)는 그의 연구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6. 같이 보기
- 하시모토 신키치(橋本信吉)
- 핫토리 시로(服部四郎)
- 히가 슌초(比嘉春潮)
- 히가시오나 칸준(東恩納寛惇)
- 호카마 슈젠(普久原修善)
- 이하 게쓰죠(伊波月壌)
- 카나구스쿠 키코(金城毅)
- 칸나 켄와(金城賢和)
- 카와카미 하지메(川上肇)
- 킨다이치 쿄스케(金田一京助)
- 킨죠 초에이(金城長英)
- 키사바 에이준(喜捨場栄順)
- 코다마 키하치(児玉喜八)
- 마지키나 안코(真喜名安孝)
- 미나카타 쿠마구스(南方熊楠)
- 나카하라 젠츄(仲原善州)
- 나카소네 세이젠(仲宗根盛善)
- 니시메 고로(西銘吾郎)
-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 오리쿠치 시노부(折口信夫)
- 사사키 노부츠나(佐々木信綱)
- 시부자와 케이조(渋沢敬三)
- 쉼부쿠로 겐이치로(新垣源一郎)
- 신무라 이즈루(新村出)
- 타지마 리사부로(田島理三郎)
- 테루야 히로시(照屋寛)
- 토리이 류조(鳥居龍藏)
- 야나기 소에쓰(柳宗悦)
- 야나기타 쿠니오(柳田國男)
참조
[1]
간행물
Ko Ryukyu
2000
[2]
웹사이트
第三高等学校一覧 明治37年9月起明治38年8月止
https://dl.ndl.go.jp[...]
第三高等学校
1904
[3]
뉴스
伊波普猷 鳥居龍蔵の沖縄調査に同行
https://www.topics.o[...]
徳島新聞
2022-02-03
[4]
웹사이트
官報
https://dl.ndl.go.jp[...]
1906-07-12
[5]
서적
伊波月城 琉球の文芸復興を夢みた熱情家
リブロポート
1988
[6]
서적
琉球宗教史の研究
[7]
서적
琉球・沖縄 歴史人物伝
2006
[8]
뉴스
伊波普猷賞
https://ryukyushimpo[...]
琉球新報社
2003-03-01
[9]
웹사이트
伊波普猷賞の盾
http://www.rekishi-a[...]
那覇市歴史博物館
2022-01-30
[10]
서적
日本エスペラント運動資料1906-1926
日本エスペラント運動50周年紀年行事委員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