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간문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 간문제는 남조 양나라의 황제로, 549년 후경의 난으로 즉위하여 꼭두각시 황제 역할을 했다. 그는 503년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총명함을 보였으며, 특히 문학에 뛰어나 궁체시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531년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후경의 난으로 폐위되어 551년 살해되었다. 간문제는 뛰어난 문재를 바탕으로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옥대신영》 편찬을 후원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03년 출생 - 진패선
진패선은 남조 양나라의 장군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진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국가 기틀을 다지고 북제의 침공을 막아내는 등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 503년 출생 - 리비 (베트남)
리비는 6세기 베트남에서 양나라에 저항하여 반란을 일으켜 반쑤언이라는 독립 국가를 세우고 황제를 칭했으며, 비록 패퇴했지만 그의 노력은 베트남 독립 정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양 무제의 황자 - 소기
소기는 양 무제의 아들로, 익주자사 재임 중 쓰촨성 지역을 발전시키고 후경의 난 이후 황제를 칭했으나, 이복형 양 원제 소역과의 갈등과 서위의 침공으로 인해 살해당했다. - 양 무제의 황자 - 양 원제
양 원제는 남조 양나라의 황족으로, 형주 자사를 거쳐 후경의 난 이후 황위에 올랐으나, 서위의 침공으로 피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외교적 실책과 미신 의존으로 국가를 쇠퇴하게 했다고 평가받는다. - 551년 사망 - 소대기
소대기는 양나라 건문제의 아들로, 후경의 난에서 활약 후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폐위되어 살해당했으며, 사후 애황태자로 추증된 비극적인 인물이다. - 551년 사망 - 서위 문제
서위 문제(507~551)는 남북조 시대 서위의 초대 황제로서, 북위 황족 출신으로 우문태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동안 우문태의 실권 장악과 동위와의 대립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하였다.
양 간문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소강(蕭綱) |
자 | 세상(世讃) |
소자 | 육통(六通) |
묘호 | 고종(高宗) → 태종(太宗) |
시호 | 명황제(明皇帝) → 간문황제(簡文皇帝) |
능호 | 장릉(莊陵) |
연호 | 대보(大寶) (550년 ~ 551년) |
출생일 | 천감(天監) 2년 10월 28일 (503년 12월 2일) |
사망일 | 천정(天正) 원년 10월 2일 (551년 11월 15일) |
정치 | |
재위 기간 | 태청(太淸) 3년 5월 27일 - 천정(天正) 원년 10월 2일 (549년 7월 7일 - 551년 11월 15일) |
정치 체제 | 양나라 황제 |
즉위 | 태청(太淸) 3년 5월 27일 (549년 7월 7일) |
선임자 | 무제(武帝) |
후임자 | 회음왕(淮陰王) |
연호 | 대보(大寶) |
가족 관계 | |
부친 | 소연(蕭衍) |
모친 | 목황태후(穆皇太后) 정령광(丁令光) |
배우자 | 간문간황후(簡文簡皇后) 왕영빈(王靈賓) |
후궁 | 참조 |
기타 정보 | |
출생명 | 소육통(蕭六通) |
아버지 | 양 무제 |
어머니 | 목황후 |
장례 장소 | 장릉(莊陵) (현재의 단양, 장쑤성) |
가문 | 난릉 소씨 |
2. 생애
503년 12월, 소강은 건강 현양전에서 소연과 정령광의 삼남으로 태어났다.[7] 4살에 진안왕에 책봉되었고,[7] 523년에 옹주자사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기억과 이해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6살에 글을 짓고 7살에 시를 지었다. 장성해서는 한 눈에 10행을 읽고 한 번 본 것은 반드시 기억했으며, 유가학술의 책을 많이 읽어 현리에 정통했다. 11살부터 친히 정무를 처리했다.
531년 4월, 장남 소명태자 소통이 사망하자, 소연은 5월에 소강을 태자로 책봉했다. 당시 순리에 따르면 태자가 죽으면 태자의 아들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태자의 자식들이 어렸기 때문에 소강이 책봉되었다. 소강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기억과 이해가 남보다 뛰어났다. 6살에 글을 짓고 7살에 시를 지었는데 소연은 이것을 믿지 않다가 직접 보고 알게 되었다. 장성해서는 한 눈에 10행을 읽고 한 번 본 것은 반드시 기억했고 붓을 들면 즉시 글을 완성했다. 유가학술의 책을 많이 읽어 현리에 정통했다. 그가 지은 시는 화려했지만 대부분 궁정생활과 남녀지간의 정을 묘사한 것이라 내용은 없었다. 이것이 궁체의 시초로 소강은 문학가와 교제하는 것을 즐기고 서예에도 소질이 있었다.
이미 11살부터 친히 정무를 처리했으며 그의 얼굴은 각이 졌으며 풍만했고 수염이 그림처럼 멋있었다. 그의 눈썹은 비취색을 띠고 눈초리가 날카로웠으며 성격이 너그러웠고 희로애락을 얼굴에 나타나지 않았다. 또 신과 같은 존엄이 깃들어져 있었다.
무제 사후, 549년 5월, 후경에 의해 황제로 즉위하였다. 소강은 후경의 꼭두각시 황제였으며, 후경은 대권을 장악하고 소강을 엄격하게 지켜서 외부 사람들이 그를 알현하지 못하게 감시했다. 후경은 강남에서 일어난 그에 대한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고 때때로 경각심을 일깨우게 하기 위해 아무 죄도 없는 사람들을 죽이고 마을을 불태우고 약탈했다. 광릉에서 일어난 난을 진압했을 때는 태수와 그 일족을 멸하고 남녀노소를 모두 죽였다. 나중에는 생매장하거나 머리만 내밀고 땅에 파묻어서 기마병을 시켜 빙글빙글 돌면서 화살을 쏘아 죽이거나 개를 풀어 물어뜯어 죽였다.
549년 3월, 건강에 입성한 후경을 영복성에서 만났을 때는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고 태연자약하게 말했다. 이에 후경은 얼굴이 땀투성이가 된 채 말을 못하고 절만 연방 했다.
거기에 연달아 재해가 터지면서 건강은 폐허가 되었고 죽은 사람들의 시체와 해골이 온 강산을 덮었다. 후경의 이러한 잔혹한 통치에 550년 정월, 시흥태수 진패선이 시흥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이듬해 6월, 상동왕 소역이 파릉에서 후경을 격파하고 평남장군 왕승변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파릉 전투에서 후경의 부하들은 사상자가 태반이었고 맹장들도 다수 전사했다. 후경은 자신의 앞날이 어두워지자 빨리 제위에 오르기 위해 소강을 진안왕으로 폐하고 예장왕 소동을 황제로 세웠다. 소강은 감금되었고 종이가 없어서 벽과 판자에다 시와 글 수백 편을 써서 자기의 슬픔을 토로했다.
551년 10월, 후경은 여러 사람들의 희망을 끊어버리기 위해 사람을 보내 소강에게 술을 먹이게 했다. 소강은 자기가 곧 죽게 되리라는 것을 짐작하고 주저없이 술을 마셨다. 그가 깊이 취하고 잠들자 흙자루에 담아 그 위에 눌러 앉아 죽였다. 그의 나이는 49세였으며 문짝으로 관을 만들어 안에 담고 건강 북쪽에 있던 술창고에 두었다. 552년 4월, 소역에 의해 장릉에 안장되었다.
범숙비 소생으로 그의 딸인 율양공주는 후경의 첩이 됐다가 머지않아 후경이 황제가 되자 후비가 되었다. 그의 아들들 중에 9남 여남왕 소대봉과 21남 진왕 소대환은 서위로 망명했다. 그들은 서위의 뒤를 이은 북주 때 각각 진릉공과 시우공이 되어 천수를 누렸다. 한편 소강의 나머지 아들들은 모두 후경에게 피살되거나 요절했다.
2. 1. 초기 생애와 태자 책봉
503년 12월, 소강은 건강 현양전에서 소연과 정령광의 삼남으로 태어났다.[7] 4살에 진안왕에 책봉되었고,[7] 523년에 옹주자사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기억과 이해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6살에 글을 짓고 7살에 시를 지었다. 장성해서는 한 눈에 10행을 읽고 한 번 본 것은 반드시 기억했으며, 유가학술의 책을 많이 읽어 현리에 정통했다. 11살부터 친히 정무를 처리했으며, 527년 1월, 빈 딩이 사망하자 상을 치르기 위해 관직에서 물러났지만, 무제는 상을 치르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그를 다시 관직에 복귀시켰다.531년 4월, 장남 소명태자 소통이 사망하자, 소연은 5월에 소강을 태자로 책봉했다. 당시 순리에 따르면 태자가 죽으면 태자의 아들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태자의 자식들이 어렸기 때문에 소강이 책봉되었다. 일설에는 무제가 소통과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7] 소강은 이를 거절하라는 조언을 받았지만 따르지 않았고, 이후 소통을 굴욕에 빠뜨린 바오먀오즈(鮑邈之)를 처형했다.[7]
황태자 시절, 소강은 저명한 시인이자 시인 위견무와 서치, 그리고 《옥대신영》의 편찬자인 서릉의 후원자였다. 위견무와 서치의 문체는 소강에게 큰 영향을 미쳐 "궁체"로 알려지게 되었는데,[8] 이는 황태자의 공식 거처인 태자궁을 의미한다.[8] 처음에는 무제가 이러한 발전에 불쾌감을 느꼈지만, 서릉을 만난 후 그의 재능에 감명을 받았다. 황태자이자 "보좌 군주"로서 소강은 황실 행정에서 많은 의사 결정 업무를 수행했다.
2. 2. 황제 즉위와 후경의 난
무제 사후, 549년 5월, 후경에 의해 황제로 즉위하였다.[10] 이미 장년이 된 간문제는 후경에게는 다루기 쉬운 존재가 아니었다.[10] 소강은 후경의 꼭두각시 황제였으며, 후경은 대권을 장악하고 소강을 엄격하게 지켜서 외부 사람들이 그를 알현하지 못하게 감시했다. 후경은 강남에서 일어난 그에 대한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고 때때로 경각심을 일깨우게 하기 위해 아무 죄도 없는 사람들을 죽이고 마을을 불태우고 약탈했다. 광릉에서 일어난 난을 진압했을 때는 태수와 그 일족을 멸하고 남녀노소를 모두 죽였다. 나중에는 생매장하거나 머리만 내밀고 땅에 파묻어서 기마병을 시켜 빙글빙글 돌면서 화살을 쏘아 죽이거나 개를 풀어 물어뜯어 죽였다.548년, 동위 장군 후경은 섭정 고징과의 갈등으로 인해 13개 주를 양나라에 항복하고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소강의 사촌 소원명과 후경은 동위 장군 모용소종(慕容紹宗)에게 패배했다. 소원명은 포로로 잡혔고, 후경은 양나라의 주요 도시인 수양(壽陽, 현대 안후이성 루안시)을 점령했다. 무제는 후경을 처벌하는 대신 남예주 지사로 임명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동위와 평화 회담을 하고 소원명을 교환하기 위해 후경을 배신할 의사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무제를 믿은 후경은 548년 여름에 반란을 일으켰다. 후경의 군대는 소정덕의 지원을 받아 빠르게 건강으로 진격하여 건강을 포위했다. 지방 군대가 포위된 궁을 구출하기 위해 건강 근처에 집결했지만, 유중례(柳仲禮)와 소관이 지휘하는 군대는 실패했고, 결국 유중례가 전투에서 거의 죽을 뻔하자 후경과의 전투를 거부하여 궁의 군대만 남겨두었다. 소역과 무릉왕 소기는 각자 자신의 영토에 많은 수의 군대를 가지고 있었지만, 주로 방관하며 형식적인 군대만 보냈다.
549년 봄, 소강은 이미 피로해진 후경과 평화를 협상하려 했다. 후경은 처음에는 동의했는데, 조건은 그에게 양쯔강 서쪽의 주를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후경은 곧 평화 협정을 어기고 궁 포위를 재개했다. 곧 궁이 함락되었고, 무제와 소강은 사실상 인질로 잡혔다.
549년 3월, 건강에 입성한 후경을 영복성에서 만났을 때는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고 태연자약하게 말했다. 이에 후경은 얼굴이 땀투성이가 된 채 말을 못하고 절만 연방 했다. 후경은 소정덕을 폐위시키고 죽였다. 한편, 무제는 후경의 통제를 받는 동안 굴복하려 하지 않았고, 후경이 원하는 일부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거부했다. 소강은 무제에게 후경의 요청을 따르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무제는 거절했다.
간문제는 호경의 통제를 받지 않는 성의 수장들에게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지만, 그들은 그의 칙령을 강압된 것으로 간주하여 자신들에게 구속력이 없다고 여겼다. 그들은 호경에 계속 저항하는 동시에 영토 통제권을 놓고 서로 싸웠으며, 호경이 그들을 공격했을 때 효과적이지 못하여 호경이 추가 영토를 점령할 수 있도록 했다. 북제는 양쯔강 북쪽의 양나라 영토를 대거 점령했다.
550년, 간문제는 자신의 딸인 여양공주를 후경의 아내로 호경에게 시집보냈다. 호경은 공주를 매우 총애했고, 잠시 동안 황제는 안전해 보였다. 그는 맏아들 소대기를 태자로 책봉했다.
550년 여름, 호경은 자신의 장군 임약(任約)을 중앙 제국을 정복하도록 파견했다. 임약은 먼저 간문제의 아들 소대심을 사로잡은 후 소역의 영토를 공격하려 했다. 임약이 소역의 장군 서문성(徐文盛)을 상대로 우위를 점할 수 없게 되자, 호경이 직접 군대를 지휘하여 임약을 도왔다.
대보 2년 (551년) 8월, 후경을 치려는 왕족들의 군대에 패배하여 돌아온 후경은 간문제를 폐하고 원래 진안왕으로 삼는 동시에, 황태자를 비롯한 간문제의 아이들을 모두 몰살하고 소동을 황위에 앉혔다. 그 2개월 후, 진안왕 소강은 후경의 수하에 의해 몸 위에 대량의 토낭을 쌓여 압사당했다.
2. 3. 폐위와 죽음
551년 가을, 후경은 간문제를 폐위시키고 진안왕으로 강등시켰으며, 소환의 아들인 소동을 황제로 옹립했다. 후경은 자신의 권력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황제가 되기를 원했고, 간문제의 딸인 리양 공주와 다툼이 있었던 왕승변은 공주가 자신을 해칠 것이라고 믿고 후경에게 황제를 폐위하여 자신의 권력을 과시해야 한다고 설득했다. 이 과정에서 후경은 태자 소대기를 포함하여 자신의 통제하에 있던 간문제의 모든 아들을 처형했다.간문제는 가택 연금 기간 동안, 슬픔과 두려움에 휩싸여 수백 편의 시를 썼다. 종이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거처의 벽과 스크린에 시를 썼다.
간문제 폐위 후 두 달이 채 안 되어, 왕승변은 후경에게 간문제를 제거해야 한다고 설득했고, 이에 후경은 왕승변, 펑쥔(彭雋), 왕슈주안(王修纂)을 밤에 간문제에게 보냈다. 간문제는 그들의 의도를 알고 그들과 함께 연회를 열고 술을 마시며 매우 취했고, 그가 잠들자 그들은 그를 질식시켜 죽였다. 이후 임시 관에 넣어 양조장에 보관했다.
552년, 왕승변이 건강을 점령한 후, 간문제의 관을 궁에 놓고 6월 5일에 황제의 예우로 장례를 치렀다. 552년 4월, 소역에 의해 장릉에 안장되었다.
후경에 의해 고종의 묘호와 명황제의 시호가 추증되었지만, 후경을 토벌하고 즉위한 동생 원제 소역에 의해 다시 태종의 묘호와 간문제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한편, 간문제의 아들 중 소대관, 소대성, 소대봉, 소대원은 간문제가 폐위되기 전에 탈출하여 원제를 따랐다.
3. 가족 관계
wikitext
- 배우자: 왕령빈 (증 간황후)
- * 장남: 애태자 소대기
- * 오남: 남군왕 소대련
- * 황녀: 장산공주 소묘요
- 측실: 범숙비
- * 황녀: 율양공주
- 측실: 진숙용
- * 차남: 심양왕 소대심
- 측실: 좌부인
- * 사남: 남해왕 소대림
- * 육남: 안륙왕 소대춘
- 측실: 사부인
- * 십이남: 유양공 소대아
- 측실: 장부인
- * 십삼남: 신흥왕 소대장
- 측실: 포소화
- 측실: 범부인
- * 십오남: 무녕왕 소대위
- 측실: 저수화
- * 십칠남: 건평왕 소대구
- 측실: 진부인
- * 십팔남: 의안왕 소대흔
- 측실: 주부인
- * 십구남: 수건왕 소대지
- 측실: 반미인
- * 십삼남: 소대훈
- 생모 불상 자녀
- * 삼남: 임천왕 소대관
- * 팔남: 계양왕 소대성
- * 구남: 여남왕 소대봉
- * 십사남: 서양왕 소대균
- * 이십남: 진희왕 소대원
- * 황녀: 남사공주
- * 황녀: 여요공주
- * 황녀: 해염공주
- * 황녀: 안양공주
3. 1. 부모
양 간문제의 조부는 태조 문황제 소순지이고, 조모는 문헌황후 장상유이다. 부친은 고조 무황제 소연이며, 모친은 목황태후 정령광이다.3. 2. 황후와 후궁
양 간문제의 황후는 간문간황후 왕영빈(왕령빈)이며, 남창안후(南昌安侯) 왕건(王騫)의 딸이다.[14][15] 505년에 태어나 549년에 사망하였다. 간문제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능묘는 장릉(莊陵)이다.[15]간문제의 후궁으로는 숙비(淑妃) 범씨, 수화(修華) 저씨, 숙용(淑容) 진씨, 소화(昭華) 포씨, 미인(美人) 반씨, 미인(美人) 범씨, 부인(夫人) 좌씨, 부인(夫人) 사씨, 부인(夫人) 장씨, 부인(夫人) 진씨, 부인(夫人) 주씨가 있었다.
3. 3. 자녀
-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1 | 황태자(皇太子) | 애(哀) | 소대기(蕭大器) | 523년 ~ 551년 | 간황후 왕영빈 | [16][17] | [16][17] |
2 | 당양군왕(當陽郡王) | 소대심(蕭大心) | 523년 ~ 551년 | 숙용 진씨 | [18] | [19] | |
3 | 임천군왕(臨川郡王) | 소대관(蕭大款) | [20] | ||||
4 | 남해군왕(南海郡王) | 소대림(蕭大臨) | 527년 ~ 551년 | 부인 좌씨 | [21] | [22] | |
5 | 남군왕(南郡王) | 소대련(蕭大連) | 527년 ~ 551년 | 간황후 왕영빈 | [23] | [24] | |
6 | 안륙군왕(安陸郡王) | 소대춘(蕭大春) | 530년 ~ 551년 | 부인 좌씨 | [25] | [26] | |
7 | 계양군왕(桂陽郡王) | 소대성(蕭大成) | [27] | ||||
8 | 여남군왕(汝南郡王) | 소대봉(蕭大封) | [28] | [29] | |||
9 | 유양현공(瀏陽縣公) | 소대아(蕭大雅) | 533년 ~ 549년 | 부인 사씨 | [30] | ||
10 | 신흥군왕(新興郡王) | 소대장(蕭大莊) | 534년 ~ 551년 | 부인 장씨 | [31] | [32] | |
11 | 서양군왕(西陽郡王) | 소대균(蕭大鈞) | 539년 ~ 551년 | 소화 포씨 | [33] | ||
12 | 무녕군왕(武寧郡王) | 소대위(蕭大威) | 539년 ~ 551년 | 미인 범씨 | [34] | ||
13 | 소대훈(蕭大訓) | 540년 ~ 549년 | 미인 반씨 | [35] | |||
14 | 건평군왕(建平郡王) | 소대구(蕭大球) | 541년 ~ 551년 | 수화 저씨 | [36] | ||
15 | 의안군왕(義安郡王) | 소대흔(蕭大昕) | 541년 ~ 551년 | 부인 진씨 | [37] | ||
16 | 수건군왕(綏建郡王) | 소대지(蕭大挚) | 542년 ~ 551년 | 부인 주씨 | [38] | ||
17 | 진희군왕(晉熙郡王) | 소대환(蕭大圜) | [39] | [40] |
-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1 | 남사공주(南沙公主) | 안성간공(安城簡公) 원헌 | |||||
2 | 장산공주(長山公主) | 蕭妙䂮/소묘략중국어 | 간황후 왕영빈 | ||||
3 | 율양공주(溧陽公主) | 536년 ~ ? | 숙비 범씨 | 후경(侯景) | |||
4 | 여요공주(餘姚公主) | 왕부 | |||||
5 | 해염공주(海鹽公主) | 장희 | |||||
6 | 안양공주(安陽公主) | 장교 | [41] |
4. 문화적 업적
소강은 문학, 특히 시에 뛰어났으며, 궁체시를 발전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형인 소명태자 소통과 마찬가지로 문재(文才)가 뛰어나 6세 때 아버지 무제(양) 앞에서 훌륭한 글을 써서 보이자, "이 아이는 우리 집안의 동아이다"라는 칭찬을 받았다. 성장해서는 『소명태자전(昭明太子伝)』, 『제왕전(諸王伝)』, 『예대(礼大義)』, 『노자의/老子義중국어』, 『장자의/荘子義중국어』, 『장춘의기(長春義記)』, 『법보연벽(法宝連璧)』 등을 저술했다. 시 분야에서는 염려한 시풍을 확립하여 200여 수가 현존한다. 서릉에게 명하여 편찬하게 한 것으로 여겨지는 시집 《옥대신영》을 편찬을 후원하여 남조 시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5. 평가
6. 연호
wikitable
참조
[1]
기타
[2]
기타
[3]
기타
[4]
기타
[5]
기타
[6]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vol.3 & 4)
BRILL, Leiden-Boston
2014
[7]
기타
[8]
서적
Beacon Fire and Shooting Star: The Literary Culture of the Liang
Harvard Asia Center
2007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36]
문서
후경에 의해서 살해됨
[37]
문서
후경에 의해서 살해됨
[38]
문서
후경에 의해서 살해됨
[39]
문서
낙량군왕(樂梁郡王)/시녕현공(始寧縣公)
[40]
문서
효원제의 퇴출로 인하여 서위로 귀화함
[41]
문서
정양공주(定陽公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