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봉은 인공 벌집에서 꿀벌을 사육하여 꿀, 밀랍 등을 얻는 활동이다. 인류는 1만 년 전부터 양봉을 시도했으며, 고대 이집트, 그리스, 중국 등지에서 양봉이 이루어졌다. 19세기에 가동식 벌집의 발명으로 현대적인 양봉 방식이 확립되었다. 양봉은 벌통의 종류와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내검, 분봉 관리, 채밀, 월동 관리, 병해충 방제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실내 양봉, Flow Hive 시스템, 센서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꿀벌의 수명 감소, 아까시나무 의존, 벌집군 붕괴 현상 등의 과제가 있으며, 관련 법규에 따라 양봉업자는 신고 의무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봉 - 밀랍
밀랍은 꿀벌이 분비하는 고체 왁스로 벌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양봉 - 꿀벌
꿀벌은 Apis 속의 사회성 곤충으로, 꿀과 꽃가루를 먹으며 전 세계에 약 2만 종이 있고 작은꿀벌아속, 큰꿀벌아속, 꿀벌아속으로 나뉘며, 꿀과 밀랍을 얻기 위해 사육되거나 이용되고 화분 매개, 꿀, 밀랍, 로열젤리 생산, 문화와 예술에도 영향을 미친다. - 꽃가루받이 - 과일
과일은 식용 가능한 열매를 맺는 목본성 식물을 넓게, 과실 수확 목적의 과일나무를 좁게 의미하며, 형태, 생육 환경 등에 따라 나뉘고 단과, 집합과, 다화과 등으로 구분되며, 인류는 오래전부터 재배 및 섭취해왔고 한국에서는 과일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과일의 날'을 지정했다. - 꽃가루받이 - 수정 (생물학)
수정은 생물학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며, 유전적 재조합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체외 수정, 체내 수정, 식물 수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양봉 | |
---|---|
기본 정보 | |
![]() | |
학문 분야 | 곤충학 |
관련 활동 | 농업, 원예, 벌꿀 수확 |
관련 직업 | 양봉가 |
개요 | |
정의 | 꿀벌을 사육하여 꿀, 밀랍, 로열젤리, 프로폴리스 등을 생산하는 농업 활동 |
역사 | 기원: 기원전 7000년경 중동 지역에서 시작 고대 이집트: 양봉은 중요한 농업 활동이었으며, 꿀은 귀중한 식품 및 약재로 사용 대한민국: 삼국시대부터 양봉 시작 |
목적 | 꿀 생산 밀랍 생산 로열젤리 생산 프로폴리스 생산 화분 생산 수분 매개를 통한 농작물 생산성 향상 |
양봉 기술 | |
벌통 | 전통적인 벌통: 지푸라기나 나무로 만든 벌통 현대적인 벌통: 이동이 용이하고 관리가 편리한 규격화된 벌통 |
꿀벌 관리 | 먹이 공급: 설탕물, 화분 떡 등 질병 예방: 꿀벌 질병 예방 및 치료 분봉 관리: 벌집이 너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벌떼를 나누는 작업 |
꿀 수확 | 채밀: 벌집에서 꿀을 채취하는 과정 여왕벌 관리: 여왕벌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교체 |
양봉의 종류 | |
고정 양봉 | 일정한 장소에 벌통을 두고 양봉하는 방식 |
이동 양봉 |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벌통을 이동하며 양봉하는 방식 |
도시 양봉 | 도시 지역에서 양봉하는 방식 |
양봉 생산물 | |
꿀 | 꿀벌이 꽃의 꿀을 모아 만든 천연 감미료 |
밀랍 | 꿀벌이 벌집을 짓는 데 사용하는 물질 |
로열젤리 | 꿀벌이 여왕벌에게 먹이는 특별한 물질 |
프로폴리스 | 꿀벌이 벌집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지성 물질 |
화분 (꽃가루) | 꿀벌이 꽃에서 모아온 꽃가루 |
봉독 | 꿀벌의 침에서 추출한 독 |
양봉의 중요성 | |
생태계 | 수분 매개를 통해 생태계 유지에 기여 |
경제 | 농작물 생산성 향상 및 다양한 양봉 산물 생산 |
건강 | 꿀, 로열젤리, 프로폴리스 등의 건강 기능성 식품 제공 |
양봉 관련 정보 | |
세계 미쓰바치의 날 | 매년 5월 20일 안톤 얀샤의 생일 |
도시 양봉 |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을 높이고 꿀을 생산하는 활동 |
2. 역사
인류는 최소 1만 년 전부터 속이 빈 통나무, 나무 상자, 토기, 짚으로 엮은 바구니로 만든 인공 벌집에서 야생 벌의 군집을 유지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야생 벌로부터 꿀을 채집하는 인간의 모습은 1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 스페인 발렌시아 인근의 8,000년 된 동굴 벽화에는 꿀 채집가가 묘사되어 있다.[5]
토기 용기에서의 양봉은 약 9,000년 전에 북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다.[7] 밀랍의 흔적은 기원전 7,000년경부터 중동 전역의 토기 조각에서 발견되었다.[7] 벌의 사육은 약 4,500년 전의 이집트 예술에 나타난다.[8] 간단한 벌집과 연기가 사용되었으며, 꿀은 항아리에 저장되었고, 일부 항아리는 투탕카멘과 같은 파라오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꿀벌은 고대부터 이집트에서 사육되었다.[9] 기원전 2,422년 이전 제5왕조의 니우세르레 이니 태양 신전 벽에는 노동자들이 벌집에 연기를 불어넣어 벌집을 제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0] 꿀 생산에 대한 비문은 제26왕조 시대 의 파바사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원통형 벌집과 사람들이 꿀을 항아리에 붓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1]
메소포타미아의 수훔 지역에 꿀벌이 도입된 기록이 있는데, 샤마시-레쉬-우술은 하브하 사람들 산에서 꿀을 모으는 벌들을 데려와 '가바리-건설-잇' 마을 과수원에 정착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12]
청동기 및 철기 시대 고고학 유적지인 레호브에서는 기원전 900년경의 짚과 굽지 않은 점토로 만든 30개의 온전한 벌집이 발견되었다. 이 벌집들은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어 있었으며, 연간 500kg의 꿀과 70kg의 밀랍을 생산할 수 있는 발달된 꿀 산업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4][15][16]
고대 그리스의 크레타와 미케네에는 벌집, 흡연 냄비, 꿀 추출기 및 기타 양봉 도구가 발견되어 양봉이 매우 가치 있는 산업으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17] 아리스토텔레스는 벌의 생활과 양봉에 대해 자세히 논의했으며, 베르길리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콜루멜라 등 고대 로마 작가들도 양봉에 대해 기록했다.[18]
고대 중국에서도 양봉이 행해졌으며, 춘추 시대에 범려가 쓴 책에는 양봉에 대한 내용과 나무 상자의 품질이 꿀의 품질에 미치는 중요성이 강조되어 있다.[19] 꿀에 대한 중국어 단어 ''mi''는 원 토하라어 *''ḿət(ə)''와 동족어이다.[20]
고대 마야 문명은 무침벌을 길들여 발체와 같은 알코올 음료를 만드는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했다.[21] 기원전 300년까지 그들은 세계에서 무침벌 양봉 관행의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22] 무침벌의 사용은 멜리포니컬처라고 하며, 오늘날에도 이러한 양봉 방식이 사용된다.[23]
18세기에 유럽의 자연 철학자들은 꿀벌 군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얀 스암메르담, 르네 앙투안 페르쇼 드 레오뮈르, 샤를 보네, 프랑수아 위베르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레오뮈르는 유리벽 관찰 벌집을 처음으로 만들었으며, 위베르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수벌이 벌집 밖에서 여왕벌을 물리적으로 수정시킨다는 것을 최초로 증명했다.[25] 위베르는 "현대 벌 과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그의 저서 ''꿀벌에 대한 새로운 관찰''은 꿀벌의 생물학 및 생태학에 대한 모든 기본적인 과학적 사실을 밝혀냈다.[26]
18세기 이전에는 꿀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전체 벌집이 파괴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1669년 이전부터 사용되었다고 생각되는 그리스의 전통적인 벌통에서는 벌을 죽이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29]。 1768/1770년에 토마스 와일드먼(Thomas Wildman)은 가동식 벌집 틀을 설명하며, 벌을 죽이지 않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예견했다[140]。
19세기에 로렌조 로레인 랭스트로스(Lorenzo Lorraine Langstroth)는 가동식 벌집을 개발하여 양봉 방식의 변화를 완성했다. 그는 벌 공간을 실용화하여 벌들이 서로 또는 벌집 벽에 묶이지 않고 상자 안에 평행한 벌집을 짓도록 했다. 그의 저서 ''벌집과 꿀벌''(1853)은 가동식 벌집의 개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대규모 상업적 꿀 생산의 성장을 가능하게 했다.
19세기에는 벌통, 관리 및 사육 시스템, 선발 육종을 통한 가축 개량, 꿀 채취 및 마케팅 분야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페트로 프로코포비치는 나무 측면에 채널이 있는 벌집 틀을 사용했다.[40] 얀 지에르존의 벌통 디자인은 현대 벌통에 영향을 미쳤다.[42] 프랑수아 위베르는 벌의 생애 주기와 벌 간의 의사 소통에 대한 중요한 발견을 했다.[43] L. L. 랭스트로스는 현대 양봉 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다.[44] 모세스 퀸비는 1873년에 벌 연기통을 발명했다.[45][46] 에이머스 루트는 미국에서 벌통 제조와 벌 패키지 유통을 개척했다. A. J. 쿡은 1876년 ''양봉가의 안내서; 또는 양봉장의 매뉴얼''의 저자이다.[47] C.C. 밀러 박사는 양봉으로 생계를 꾸린 최초의 기업가 중 한 명이었다.[48]
프란츠 흐루슈카는 1865년, 원심력을 이용하여 벌집에서 꿀을 추출하는 기계를 발명했다.[49] 월터 T. 켈리는 양봉 장비와 의류를 크게 개선했다.[50] 캐리 W. 하트만은 1921년 캘리포니아 주 양봉가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51][52]
영국에서는 아담 수사와 그의 벅패스트 벌, R.O.B. 맨리 등이 실용적인 양봉을 이끌었다.[53][54] 아흐메드 자키 아부샤디는 20세기 초 영국과 이집트에서 활동한 벌 과학자였다.[55]
로마 신화에 따르면, 인간에게 양봉을 가르친 것은 아리스타이오스이다. 꿀과 인류의 관계는 오래되었으며, 1만 년 전에는 이미 채밀이 시작되었다[131]。스페인의 알라니아 동굴에서 발견된 기원전 1만 5천 년경의 동굴 벽화에 벌집에서 꿀을 채취하는 여성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132]。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설형 문자에도 꿀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132][133], 고대 이집트의 벽화에 양봉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132]。미케네 문명 유적에서 출토된 점토판에 새겨진 미케네 문자에도 벌 치기에 관한 기술이 보인다[134]。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저서 《동물지》에서 양봉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로마 시대에는 벌이 좁은 곳에 둥지를 만드는 습관을 이용하여, 천연 환경을 본뜬 벌통(양봉 상자)이 사용되었다. 스텝 지방의 유목민이 고안한 휴대에 편리한 엮은 짚으로 만든 벌통은 서유럽까지 퍼졌다.
민족 대이동 이후, 양봉은 일시적으로 끊어졌지만, 샤를마뉴 대제는 농가에 양봉을 장려하고, 동시에 양봉으로 인한 산물을 꿀세로 물납시켰다.
중세 유럽에서는, 조명용 양초의 원료인 밀랍을 얻기 위해, 기독교수도원 등에서 양봉이 성행했다. 꿀세에 의한 양봉의 통제는 봉건제의 특권 중 하나가 되었다. 양봉은 주종의 맹세를 한 "아빌레올" "비글" 등으로 불리는 산지기가 행했으며, 밀렵은 엄하게 처벌되었다.
1853년, 미국의 랭스트로스는 저서 『벌집과 꿀벌』에서 지속적으로 꿀벌을 사육하는 기술인 근대 양봉을 개발했다. 가동식 벌집 틀을 갖춘 벌통과 꿀을 짜기 위한 원심분리기의 발명으로 근대적인 양봉업이 확립되었다.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봉의 기본적인 방법은 랭스트로스의 방법에서 변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충매화인 농작물의 수분을 담당하는 대규모 양봉 기업도 있으며, 벌의 상태 및 채밀 관리에 센서와 인공지능(AI)도 도입되고 있다[153]。
2015년, 호주에서 구멍 뒤에 채집용 관이 부착되어 지속적으로 꿀이 흘러나오도록 설계된 플라스틱 벌통(Flow Hive)이 개발되었다[141]。
2020년에는 폴란드와 벨라루스의 "목재를 이용하는 양봉 문화"[161], 2022년에는 "슬로베니아의 양봉"[162]이 유네스코의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근대 양봉에 기여한 인물'''
19세기가 되면서 양봉을 발전시키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 Anton Janša영어 - 슬로베니아에 살았던 근대 양봉의 선구자. 공적을 기려 생일인 5월 20일은 세계 꿀벌의 날로 지정되었다[142]。
- 프랑수아 위베르 - 맹인이었지만, 조수의 협력 하에 꿀벌의 생태 기록을 남겼고, 라이프 사이클과 소통 방법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 요한 지어존 - 수많은 실험적인 벌통을 설계하여 근대에 사용되는 벌통의 원형을 만들었다.
- 모제스 퀸비(Moses Quinby) - 1873년에 벌 쫓는 연기 발생기를 발명했다[143][144]。
1954년 세계 기독교 봉사회로부터 미국에서 수입된 이탈리안 꿀벌 10군을 기증받아 축산시험장에서 양봉연구를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1950년대는 꿀벌의 품종보전 연구, 인공화분 급여에 의한 봉군(蜂群) 발육 시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에는 품종보존과 여왕벌 인공수정에 관한 연구를 하였고, 1970-1990년대에는 품종보존과 밀원 자원 개발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다가 1998년 농업과학기술원으로 연구 업무가 이관되어 꿀벌 육종, 사양 관리(feeding and management), 농작물 꽃가루 수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 1. 세계 양봉사
인류는 최소 1만 년 전부터 속이 빈 통나무, 나무 상자, 토기, 짚으로 엮은 바구니(skep)로 만든 인공 벌집에서 야생 벌의 군집을 유지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야생 벌로부터 꿀을 채집하는 인간의 모습은 1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 스페인 발렌시아 인근의 8,000년 된 동굴 벽화에는 꿀 채집가가 묘사되어 있다.[5]토기 용기에서의 양봉은 약 9,000년 전에 북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다.[7] 밀랍의 흔적은 기원전 7,000년경부터 중동 전역의 토기 조각에서 발견되었다.[7] 벌의 사육은 약 4,500년 전의 이집트 예술에 나타난다.[8] 간단한 벌집과 연기가 사용되었으며, 꿀은 항아리에 저장되었고, 일부 항아리는 투탕카멘과 같은 파라오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꿀벌은 고대부터 이집트에서 사육되었다.[9] 기원전 2,422년 이전 제5왕조의 니우세르레 이니 태양 신전 벽에는 노동자들이 벌집에 연기를 불어넣어 벌집을 제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0] 꿀 생산에 대한 비문은 제26왕조 시대 의 파바사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원통형 벌집과 사람들이 꿀을 항아리에 붓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1]
메소포타미아의 수훔 지역에 꿀벌이 도입된 기록이 있는데, 샤마시-레쉬-우술은 하브하 사람들 산에서 꿀을 모으는 벌들을 데려와 '가바리-건설-잇' 마을 과수원에 정착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12]
청동기 및 철기 시대 고고학 유적지인 레호브에서는 기원전 900년경의 짚과 굽지 않은 점토로 만든 30개의 온전한 벌집이 발견되었다. 이 벌집들은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어 있었으며, 연간 500kg의 꿀과 70kg의 밀랍을 생산할 수 있는 발달된 꿀 산업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4][15][16]
고대 그리스의 크레타와 미케네에는 벌집, 흡연 냄비, 꿀 추출기 및 기타 양봉 도구가 발견되어 양봉이 매우 가치 있는 산업으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17] 아리스토텔레스는 벌의 생활과 양봉에 대해 자세히 논의했으며, 베르길리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콜루멜라 등 고대 로마 작가들도 양봉에 대해 기록했다.[18]
고대 중국에서도 양봉이 행해졌으며, 춘추 시대에 범려가 쓴 책에는 양봉에 대한 내용과 나무 상자의 품질이 꿀의 품질에 미치는 중요성이 강조되어 있다.[19] 꿀에 대한 중국어 단어 ''mi''는 원 토하라어 *''ḿət(ə)''와 동족어이다.[20]
고대 마야 문명은 무침벌을 길들여 발체와 같은 알코올 음료를 만드는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했다.[21] 기원전 300년까지 그들은 세계에서 무침벌 양봉 관행의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22] 무침벌의 사용은 멜리포니컬처라고 하며, 오늘날에도 이러한 양봉 방식이 사용된다.[23]
18세기에 유럽의 자연 철학자들은 꿀벌 군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얀 스암메르담, 르네 앙투안 페르쇼 드 레오뮈르, 샤를 보네, 프랑수아 위베르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레오뮈르는 유리벽 관찰 벌집을 처음으로 만들었으며, 위베르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수벌이 벌집 밖에서 여왕벌을 물리적으로 수정시킨다는 것을 최초로 증명했다.[25] 위베르는 "현대 벌 과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그의 저서 ''꿀벌에 대한 새로운 관찰''은 꿀벌의 생물학 및 생태학에 대한 모든 기본적인 과학적 사실을 밝혀냈다.[26]
18세기 이전에는 꿀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전체 벌집이 파괴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1669년 이전부터 사용되었다고 생각되는 그리스의 전통적인 벌통에서는 벌을 죽이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29]。 1768/1770년에 토마스 와일드먼(Thomas Wildman)은 가동식 벌집 틀을 설명하며, 벌을 죽이지 않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예견했다[140]。
19세기에 로렌조 로레인 랭스트로스(Lorenzo Lorraine Langstroth)는 가동식 벌집을 개발하여 양봉 방식의 변화를 완성했다. 그는 벌 공간을 실용화하여 벌들이 서로 또는 벌집 벽에 묶이지 않고 상자 안에 평행한 벌집을 짓도록 했다. 그의 저서 ''벌집과 꿀벌''(1853)은 가동식 벌집의 개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대규모 상업적 꿀 생산의 성장을 가능하게 했다.
19세기에는 벌통, 관리 및 사육 시스템, 선발 육종을 통한 가축 개량, 꿀 채취 및 마케팅 분야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페트로 프로코포비치는 나무 측면에 채널이 있는 벌집 틀을 사용했다.[40] 얀 지에르존의 벌통 디자인은 현대 벌통에 영향을 미쳤다.[42] 프랑수아 위베르는 벌의 생애 주기와 벌 간의 의사 소통에 대한 중요한 발견을 했다.[43] L. L. 랭스트로스는 현대 양봉 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다.[44] 모세스 퀸비는 1873년에 벌 연기통을 발명했다.[45][46] 에이머스 루트는 미국에서 벌통 제조와 벌 패키지 유통을 개척했다. A. J. 쿡은 1876년 ''양봉가의 안내서; 또는 양봉장의 매뉴얼''의 저자이다.[47] C.C. 밀러 박사는 양봉으로 생계를 꾸린 최초의 기업가 중 한 명이었다.[48]
프란츠 흐루슈카는 1865년, 원심력을 이용하여 벌집에서 꿀을 추출하는 기계를 발명했다.[49] 월터 T. 켈리는 양봉 장비와 의류를 크게 개선했다.[50] 캐리 W. 하트만은 1921년 캘리포니아 주 양봉가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51][52]
영국에서는 아담 수사와 그의 벅패스트 벌, R.O.B. 맨리 등이 실용적인 양봉을 이끌었다.[53][54] 아흐메드 자키 아부샤디는 20세기 초 영국과 이집트에서 활동한 벌 과학자였다.[55]
로마 신화에 따르면, 인간에게 양봉을 가르친 것은 아리스타이오스이다. 꿀과 인류의 관계는 오래되었으며, 1만 년 전에는 이미 채밀이 시작되었다[131]。스페인의 알라니아 동굴에서 발견된 기원전 1만 5천 년경의 동굴 벽화에 벌집에서 꿀을 채취하는 여성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132]。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설형 문자에도 꿀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132][133], 고대 이집트의 벽화에 양봉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132]。미케네 문명 유적에서 출토된 점토판에 새겨진 미케네 문자에도 벌 치기에 관한 기술이 보인다[134]。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저서 《동물지》에서 양봉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로마 시대에는 벌이 좁은 곳에 둥지를 만드는 습관을 이용하여, 천연 환경을 본뜬 벌통(양봉 상자)이 사용되었다. 스텝 지방의 유목민이 고안한 휴대에 편리한 엮은 짚으로 만든 벌통은 서유럽까지 퍼졌다.
민족 대이동 이후, 양봉은 일시적으로 끊어졌지만, 샤를마뉴 대제는 농가에 양봉을 장려하고, 동시에 양봉으로 인한 산물을 꿀세로 물납시켰다.
중세 유럽에서는, 조명용 양초의 원료인 밀랍을 얻기 위해, 기독교수도원 등에서 양봉이 성행했다. 꿀세에 의한 양봉의 통제는 봉건제의 특권 중 하나가 되었다. 양봉은 주종의 맹세를 한 "아빌레올" "비글" 등으로 불리는 산지기가 행했으며, 밀렵은 엄하게 처벌되었다。
1853년, 미국의 (L. L. Langstroth)는 저서 『벌집과 꿀벌』 "The Hive and the Honey Bee"에서 지속적으로 꿀벌을 사육하는 기술인 근대 양봉을 개발했다. 가동식 벌집 틀을 갖춘 벌통과 꿀을 짜기 위한 원심분리기의 발명으로 근대적인 양봉업이 확립되었다.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봉의 기본적인 방법은 랭스트로스의 방법에서 변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충매화인 농작물의 수분을 담당하는 대규모 양봉 기업도 있으며, 벌의 상태 및 채밀 관리에 센서와 인공지능(AI)도 도입되고 있다[153]。
2015년, 호주에서 구멍 뒤에 채집용 관이 부착되어 지속적으로 꿀이 흘러나오도록 설계된 플라스틱 벌통(Flow Hive)이 개발되었다[141]。
;근대 양봉에 기여한 인물
:19세기가 되면서 양봉을 발전시키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 - 슬로베니아에 살았던 근대 양봉의 선구자. 공적을 기려 생일인 5월 20일은 로 지정되었다[142]。
- 프랑수아 위베르 - 맹인이었지만, 조수의 협력 하에 꿀벌의 생태 기록을 남겼고, 라이프 사이클과 소통 방법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 요한 지어존 - 수많은 실험적인 벌통을 설계하여 근대에 사용되는 벌통의 원형을 만들었다.
- 모제스 퀸비(Moses Quinby) - 1873년에 벌 쫓는 연기 발생기를 발명했다[143][144]。
2. 2. 한국 양봉사
1954년 세계 기독교 봉사회로부터 미국에서 수입된 이탈리안 꿀벌 10군을 기증받아 축산시험장에서 양봉연구를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1950년대는 꿀벌의 품종보전 연구, 인공화분 급여에 의한 봉군(蜂群) 발육 시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에는 품종보존과 여왕벌 인공수정에 관한 연구를 하였고, 1970-1990년대에는 품종보존과 밀원 자원 개발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다가 1998년 농업과학기술원으로 연구 업무가 이관되어 꿀벌 육종, 사양 관리(feeding and management), 농작물 꽃가루 수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3. 양봉의 종류
3. 1. 벌통에 따른 분류
수평 탑 바 벌통은 벌집이 벌통의 연속된 지붕을 형성하는 탈착식 막대에서 매달려 있는 단층, 무틀 벌통이다. 반면에 현재 대부분의 벌통은 벌들이 상자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한다. 프레임이 있거나 여름에 꿀 챔버를 사용하고 일반 탑 바 벌통과 유사한 관리 원칙을 사용하는 벌통은 때때로 탑 바 벌통이라고도 한다. 탑 바 벌통은 직사각형이며 일반적으로 영어권 국가에서 흔히 발견되는 다층 프레임 벌통보다 2배 이상 넓다. 탑 바 벌통은 보통 하나의 상자로 구성되며, 벌집에 거의 간섭하지 않는 양봉 방법을 허용한다. 일반적인 조언은 더운 달 동안 매주 각 벌집을 검사할 것을 권장하지만,[56] 일부 양봉가들은 탑 바 벌통을 일 년에 한 번만 완전히 검사하고,[57] 한 번에 하나의 벌집만 들어 올리면 된다.[58]
수직 적층식 벌통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걸이식 또는 상단 접근식 벌통, 슬라이딩 또는 측면 접근식 벌통, 그리고 탑바 벌통이다.
걸이식 벌통 디자인에는 랭스트로스 벌통(Langstroth), 영국 내셔널(British National), 다단(Dadant), 라옌스(Layens), 로즈(Rose)가 있으며, 이들은 프레임의 크기와 수에서 차이가 있다. 랭스트로스 벌통은 움직이는 프레임을 갖춘 최초의 성공적인 상단 개방형 벌통이었다. 많은 다른 벌통 디자인은 랭스트로스에 의해 처음 설명된 벌집 공간의 원리에 기반하며, 얀 지에르존(Jan Dzierzon)의 폴란드 벌통 디자인에서 파생되었다. 랭스트로스 벌통은 미국과 세계 많은 지역에서 가장 흔한 크기이며, 영국 내셔널은 영국에서 가장 흔한 크기이다. 다단 및 변형 다단 벌통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널리 사용되며, 라옌스 벌통은 대형 크기가 장점인 일부 양봉가들이 사용한다. 정사각형 다단 벌통(흔히 12 프레임 다단 또는 브라더 아담 벌통이라고 함)은 독일의 넓은 지역과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 상업 양봉가들이 사용한다.
모든 걸이식 벌통 디자인은 슬라이딩 프레임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다. 최초의 슬라이딩 프레임 디자인인 AZ 벌통은 랭스트로스 크기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벌통을 통합하여 노동의 지역화를 통해 꿀 수확의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는데, 이는 셀룰러 제조와 유사하다. 꿀집은 이동식 트레일러가 될 수 있어 양봉가가 벌통을 현장으로 옮겨 수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탑바 적층식 벌통은 전체 프레임 대신 탑바를 사용한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와레 벌통(Warre hive)이지만, 걸이식 프레임을 가진 모든 벌통은 전체 프레임이 아닌 탑바만 사용하여 탑바 적층식 벌통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더 큰 프레임에서는 엇갈린 벌집과 부착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어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3. 2. 양봉 방식에 따른 분류
카메룬 마가에서 열린 양봉 워크숍에서처럼 벌은 농지에 많은 가치를 더하고 농촌 지역 사회에 비교적 쉽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가축의 한 형태이다.[78]자연 양봉 운동은 작물 살포, 벌통 이동, 잦은 벌통 검사, 여왕벌의 인공 수정, 일상적인 약물 치료, 설탕물 급여와 같은 현대적인 양봉 및 농업 관행이 벌집을 약화시킨다고 믿는다.[78] 자연 양봉 실무자들은 프레임이나 기초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식 벌집의 개념을 유지하는 간단한 디자인인 탑바 벌통의 변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수평 탑바 벌통은 벌들이 벌집을 매달 수 있는 특정 폭의 나무 막대를 추가하여 속이 빈 통나무 벌통을 현대화한 것이다. 로스 콘라드의 ''자연 양봉''(2007) [79]과 필립 챈들러의 ''맨발의 양봉가''[80]는 현대 양봉의 많은 측면에 도전하고 널리 사용되는 랑스트로스식 이동식 프레임 벌통의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 수평 탑바 벌통을 제공하여 최근 자연 양봉 방법이 널리 채택되는데 기여했다. 수직 탑바 벌통은 프랑스 사제 아베 에밀 와레(1867–1951)의 설계를 기반으로 하고 데이비드 히프가 와레의 저서 ''L'Apiculture pour Tous''를 ''모두를 위한 양봉''으로 영어로 번역하여 대중화된 와레 벌통이다.[81]

도시 양봉은 도시 정원을 수분하는 소규모 군체를 사용하여 꿀을 얻는 덜 산업화된 방식으로, 자연 양봉과 관련이 있다. 일부 사람들은 도시 꿀벌이 살충제가 적고 도시 정원의 생물 다양성이 더 높기 때문에 시골 꿀벌보다 더 건강하다는 것을 발견했다.[82] 그러나 도시 꿀벌은 먹이를 찾지 못할 수 있으며, 주택 소유자는 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꽃을 심어 지역 꿀벌 개체군을 먹이는 데 자신의 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연중 끊임없는 개화 환경은 군체 번식에 이상적인 환경을 조성한다.[83] 관리되는 꿀벌 군체를 사용하여 도시 환경에서 수분 매개체의 생태적 지위를 채우는 것은 아프리카화 꿀벌 (AHB)과 같은 더 파괴적인 종에 의한 야생 군체의 형성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84]
양봉에는 이동 양봉과 정치 양봉의 두 종류가 있다. 정치 양봉에서는 같은 장소에서 잇따라 피어나는 서로 다른 종류의 꽃의 꿀을 모은다. 과수의 수분 목적으로 정치 양봉이 행해지기도 한다. 이에 반해, 이동 양봉은 특정 꽃의 개화 시기에 맞춰 국내 각지를 이동한다. 하지만 생산 비용 증가와 양봉업자의 고령화 등의 문제로 인해 이동 양봉은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동 양봉에서는, 예를 들어 혼슈에서 자운영, 사과, 아카시아(아까시나무), 칠엽수, 홋카이도에서 클로버, 아카시아(아까시나무)와 같이 꽃을 쫓아 한 곳에 15일을 기준으로 띄엄띄엄 장거리 이동을 한다.
4. 양봉 기술
양봉에서는 '''소초'''라고 불리는 두꺼운 판을 직육면체 상자에 8~10개 정렬한다. 자연의 벌집을 모방하여 소초는 수직면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소초는 꿀벌이 벌집을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모양은 세로 가로 비율이 1:2 정도의 직사각형 속이 빈 나무 틀에 불과하지만, 벽면 중 하나에는 밀랍과 파라핀을 사용한 두꺼운 종이 형태의 토대를 붙여 놓는다. 토대에는 미리 육각형의 모양이 새겨져 있기 때문에 꿀벌이 벌집을 짓는 발판으로 적합하다.
꿀을 저장하는 것은 자연 상태에서도 양봉에서도 벌집 상부에 한정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알을 부화시키고 유충을 기르기 위한 영역이 존재한다. 하부에는 꽃가루를 저장하는 영역도 존재한다. 꿀벌은 육각 기둥에 꿀을 저장한 후, 밀랍으로 뚜껑을 덮는다.
한 종류의 꽃의 개화 시기의 절정은 그리 길지 않고, 서양벌은 한 곳에 집중해서 꿀을 모으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 꽃의 꿀만 모아 "xxx꽃 꿀"이라고 부르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아카시아 꿀, 자운영 꿀 등).
4. 1. 기본 기술
양봉의 기본 기술은 꿀벌을 건강하게 관리하고 꿀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들을 포함한다. 주요 기술로는 내검, 분봉 관리, 합봉, 채밀, 월동 관리, 병해충 방제 등이 있다.내검은 벌통 내부를 정기적으로 관찰하여 꿀벌의 상태, 질병 유무, 여왕벌 유무 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59] 숙련된 양봉가는 섬세한 조작을 위해 장갑을 착용하지 않기도 하지만, 얼굴과 목은 보호해야 하므로 베일은 대부분 착용한다.[59] 벌침은 옷감에 남아 경고 페로몬을 뿜어내므로 정기적인 세탁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양봉가들은 벌을 진정시키기 위해 연기 발생기를 사용하며, 연료로는 헤시안 천, 끈, 소나무 바늘, 썩은 나무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62]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섬유를 사용하기도 한다.[62] 연기 발생기 대신 액체 연기를 사용하거나 물을 뿌려 벌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63] 벌통 작업 시에는 벌통 도구를 사용하여 벌집을 긁어내거나 벌집 틀을 분리한다.


분봉 관리는 꿀벌 군집이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인 분봉을 관리하는 것이다. 분봉은 새로운 군집을 형성하거나 기존 군집의 세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여왕벌의 페로몬이 약해지면 꿀벌들은 새로운 여왕벌을 만들고 분봉을 준비한다.[91] 분봉군은 새로운 벌집을 짓기 위해 적합한 장소를 찾고, 어린 꿀벌들이 분비한 밀랍으로 유충판을 만든다.[92] 양봉가는 분봉군을 포획하여 새로운 벌집에 넣을 수 있다.


합봉은 두 개 이상의 꿀벌 군집을 하나로 합치는 기술로, 약군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여왕벌을 도입할 때 사용된다.
채밀은 벌집에서 꿀을 채취하는 작업이다.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꿀을 분리하며, 벌집에 연기를 통과시켜 꿀벌의 활동을 억제한 후 작업을 진행한다.
월동 관리는 꿀벌이 겨울을 안전하게 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술이다. 먹이 공급, 보온, 해충 방제 등이 포함된다. 꿀벌은 벌집 내부 온도를 약 35℃로 유지하며,[70] 더운 날씨에는 물을 이용한 증발 냉각으로, 추운 날씨에는 벌집 포장 및 단열로 온도를 조절한다.[72][73][74]


병해충 방제는 꿀벌에게 발생하는 질병과 해충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기술이다. 꿀벌 군집 붕괴 현상(CCD)과 같은 질병은 꿀벌 군집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100][101] 주요 질병 및 해충으로는 노제마병, 큰집벌나방, 작은집벌나방, 작은 벌집 딱정벌레, 바로아 응애, 트로필라엘랍스 응애, 기생 응애 등이 있다.[103][104][105][106][107][108]
꿀벌의 천적으로는 반달가슴곰, 불곰, 일본원숭이, 멧돼지, 제비, 꿀벌매, 말벌 등이 있다. 특히 곰은 벌통을 파괴하고 꿀과 애벌레를 먹이로 삼기 때문에 양봉장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154]
4. 2. 인공 사육
현대 양봉가들은 통제된 환경이나 실내 관찰 벌통에서 벌을 실내에서 키우는 실험을 해왔다. 이는 공간 및 모니터링의 이유로 수행될 수 있으며, 대규모 상업 양봉가들이 고정된 온도, 빛 및 습도를 갖춘 "월동" 창고로 벌집을 옮길 수 있는 추운 달에도 수행될 수 있다.[85] 벌들이 건강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휴면 상태를 유지하고, 저장된 꿀로 생존하며, 새로운 벌은 태어나지 않는다.[85]더 긴 기간 동안 실내에서 벌을 키우는 실험은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환경 제어를 연구했다. 2015년, MIT의 "인공 벌집" 프로젝트는 겨울 동안 여러 벌집에 대해 밀폐된 환경 내부의 봄철을 시뮬레이션했다.[86][87] 그들은 먹이를 제공하고 긴 낮을 시뮬레이션했으며, 따뜻한 날씨에 야외에서 볼 수 있는 수준과 유사한 활동 및 번식 수준을 보였다.[86][87] 그들은 필요하다면 이러한 실내 양봉장을 연중 유지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86][87]
벌집이 실수로 여왕벌을 잃으면 여왕벌이 없다고 한다.[95] 일벌들은 벌집 속 여왕벌의 페로몬이 사라지면서 약 한 시간 후에 여왕벌이 없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본능적으로 일벌들은 3일 미만의 알이 들어 있는 방을 선택하고, 그 방을 극적으로 확대하여 "비상 여왕벌 방"을 만든다. 여왕벌 방에서 발달하는 유충은 일반적인 일벌과는 다르게 로열젤리를 다량으로 공급받는다.[96] 로열젤리는 유충의 성장과 발달을 극적으로 변화시켜, 변태와 번데기 형성 후, 여왕벌로서 방에서 나온다. 여왕벌은 군체에서 난소가 완전히 발달한 유일한 벌이며, 모든 일벌의 난소의 정상적인 발달을 억제하는 페로몬을 분비한다.[97]
양봉가들은 벌들이 새로운 여왕벌을 생산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군체 분할"이라고 하는 절차로 군체를 늘린다.[98] 건강한 벌집에서 몇 개의 부화벌집을 제거하고, 늙은 여왕벌은 남겨둔다. 이러한 벌집에는 3일 미만의 알이나 유충이 들어 있어야 하고, 부화를 돌보고 따뜻하게 유지하는 어린 간호벌들이 덮고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 이 부화벌집과 간호벌들을 꿀과 꽃가루가 들어 있는 다른 벌집과 함께 작은 "핵심 벌집"에 넣는다. 간호벌들은 이 새로운 벌집에서 자신들이 여왕벌이 없다는 것을 깨닫자마자 벌집의 알과 유충을 사용하여 비상 여왕벌 방을 만들기 시작한다.[92]
4. 3. 현대 양봉 기술
1768년 토마스 와일드먼은 벌을 죽이지 않고 꿀을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했고, 이는 현대 양봉 방식의 중간 단계였다.[31] 19세기에는 로렌조 로레인 랭스트로스가 가동식 벌집을 개발하여 양봉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37] 그는 벌집 사이의 특정 공간, 즉 '벌 공간'을 실용화하여 벌들이 벌집을 서로 붙이거나 벌집 벽에 붙이지 않고 평행하게 짓도록 했다. 이를 통해 양봉가는 벌이나 벌집에 해를 끼치지 않고 벌집 틀을 꺼내 검사하고, 꿀을 채취한 후 빈 벌집을 다시 벌에게 돌려줄 수 있게 되었다.랭스트로스의 가동식 벌집 디자인은 북미와 유럽에서 널리 채택되었으며,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등 각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가동식 벌집이 개발되었다.[37] 다단 벌집과 랭스트로스 벌집은 미국에서, 드 라옌 통형 벌집은 프랑스에서, 영국 국립 벌집은 영국에서 널리 사용된다. 지역적 환경에 맞는 다양한 벌집 디자인이 개발되었으며, 현대 벌집은 주로 삼나무, 소나무, 사이프러스 나무로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폴리스티렌 벌집도 사용된다.[38] 또한, 여왕벌이 산란실과 꿀 슈퍼를 오가지 못하도록 여왕 격리판을 사용하며, 진드기 해충 방지를 위해 벌집 바닥을 철망으로 교체하기도 한다.[38]


2015년에는 호주에서 Flow Hive 시스템이 개발되어 벌집을 건드리지 않고 꿀을 채취할 수 있게 되었다.[39] 최근에는 센서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벌의 상태를 관리하고 채밀 효율을 높이는 기술도 도입되고 있다.
5. 양봉의 과제
2022년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파크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갇힌 일벌의 수명이 50년 전 관찰된 수명의 절반으로 줄었으며, 일벌의 수명 감소가 꿀 생산량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111]
국내산 꿀의 절반은 아까시나무에서 유래한다[150][151]。 기존에는 자운영이 밀원 식물로 이용되어 왔지만, 자운영 재배가 감소하면서 아까시나무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까시나무가 외래생물법의 생태계 교란 생물[152]로 지정되어 전국 양봉업자 단체인 "일본 양봉 꿀 협회"는 "아카시아를 지키는 모임"을 결성하여 지정 반대 운동을 벌이고 있다.
꿀벌이 갑자기 벌집에서 사라지거나 대량으로 죽는 벌집군 붕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건강 지향으로 수요가 확대되는 아몬드 재배 농가로부터 충매화로서의 꿀벌 이용 발주가 활발하여, 이를 다 감당하지 못하는 양봉가가 다른 곳에서 벌집을 훔치는 사례도 있다.[153] 이 때문에 벌통에 GPS (전 지구 측위 시스템)를 설치하여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가도 있다.[153]
6. 양봉 관련 법규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양봉 진흥법에 따라 업으로서 꿀벌을 사육하는 자는 매년, 그 주소지를 관할하는 도, 광역시, 특별자치도, 특별자치시의 지사에게, 성명, 주소, 벌군 수, 사육 장소, 사육 기간 등을 신고해야 한다.[159] 또한, 많은 도, 광역시, 특별자치도, 특별자치시에서 시행 세칙이 정해져 있다.
7. 양봉 관련 단체
8. 양봉의 미래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의 자료에 따르면,[116] 전 세계 벌통 수는 1961년 약 5천만 개에서 2014년 약 8천 3백만 개로 증가했으며, 이는 연평균 1.3%의 성장을 나타낸다. 2009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은 1.9%로 가속화되었다.
2005년 세계 꿀 생산 및 소비량 통계에 따르면, 주요 꿀 생산국으로는 중국(*2019) (444.1천 톤), 튀르키예(*2019) (109.33천 톤), 이란(*2019) (75.46천 톤) 등이 있다.[123][124] 대한민국은 23.82천 톤을 생산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s the Oldest Honey Ever Found?
https://mydeliciouss[...]
2022-01-28
[2]
웹사이트
Tears of Re: Beekeeping in Ancient Egypt
https://www.apicultu[...]
2024-05-07
[3]
웹사이트
Why urban beekeeping is a rising trend in major cities
https://www.pbs.org/[...]
2023-11-02
[4]
뉴스
Can cities save our bees? – Marion Tanguy
https://www.theguard[...]
2010-06-23
[5]
웹사이트
Ancient Cave Painting Man of Bicorp
http://www.mdbee.com[...]
MD Bee
2008-03-12
[6]
논문
Spanish Rock Art Depicting Honey Gathering During the Mesolithic
1977-07-21
[7]
논문
Widespread exploitation of the honeybee by early Neolithic farmers
2016-06-14
[8]
서적
The world history of beekeeping and honey hunting
Duckworth
1999
[9]
웹사이트
Ancient Egypt: Bee-keeping
http://reshafim.org.[...]
2016-03-12
[10]
서적
Animal and Man in Bible Lands
Brill Archive
[11]
문서
http://www.agropolis[...]
[12]
서적
Mari and Karana: Two Old Babylonian Cities
Gorgias Press LLC
[13]
웹사이트
Oldest known archaeological example of beekeeping discovered in Israel
http://www.thaindian[...]
2016-03-12
[14]
간행물
It Is the Land of Honey: Beekeeping at Tel Rehov
https://web.archive.[...]
2007-12
[15]
뉴스
Israeli archaeologists find 3,000-year-old beehives
https://www.usatoday[...]
2010-01-04
[16]
서적
The World History of Beekeeping and Honey Hunting
Routledge
1999
[17]
서적
Apiculture in the Prehistoric Aegean. Minoan and Mycenaean Symbols Revisited
https://www.academia[...]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2016-03-12
[18]
서적
The Greening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Practice, Analysis, and Method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12-03
[19]
서적
Asian Beekeeping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
논문
The Word for "Honey" in Chinese, Tocharian and Sino-Vietnamese
2017
[21]
논문
Mesoamerican Stingless Beekeeping
http://www.tandfonli[...]
2021-03-29
[22]
간행물
Amerindian honey hunting and hive beekeeping
https://www.evacrane[...]
1998
[23]
논문
Meliponiculture in Mexico: problems and perspective for development
2001-01-01
[24]
논문
The Australian Stingless Bee Industry: A Follow-up Survey, One Decade on.
[25]
서적
21st Century Homestead: Beekeeping
https://books.google[...]
Lulu.com
[26]
서적
Nouvelles observations sur les abeilles
https://archive.org/[...]
Chez J. J. Paschoud, ... et a Geneve
2014-03-27
[27]
서적
Apis Mellifica – Or, The Poison Of The Honey-Bee
https://books.google[...]
Read Books Ltd
[28]
서적
Beekeeping for Poverty Alleviation and Livelihood Security
Springer
2014
[29]
문서
The World History of Beekeeping and Honey Hunting
[30]
논문
A 17th Century Testimony On The Use Of Ceramic Top-bar Hives. 2012 | Haralampos (Χαράλαμπος) Harissis (Χαρίσης) and Georgios Mavrofridis
https://www.academia[...]
2016-03-12
[31]
문서
A Treatise on the Management of Bees
https://books.google[...]
2022-03-17
[32]
문서
A Treatise on the Management of Bees
https://books.google[...]
2022-03-17
[33]
서적
The Quest for the Perfect Hive: A History of Innovation in Bee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4]
간행물
Agriculture Handbook No. 335
https://naldc.nal.u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2-03-17
[35]
문서
http://www.dave-cush[...]
[36]
간행물
Determination of Bee Space and Cell Dimensions for Jimma Zone Honeybee Eco-Races (Apis malifera), Southwest Ethiopian
https://www.academia[...]
Ethiopian Institute of Agricultural Research (EIAR). Jimma Research Center
2016
[37]
서적
21st Century Homestead: Beekeeping
https://books.google[...]
Lulu.com
[38]
서적
21st Century Homestead: Beekeeping
https://books.google[...]
Lulu.com
[39]
웹사이트
Flow Hive: Cedar and Stuart Anderson talk about life one year after crowdfunding success
http://www.abc.net.a[...]
2017-09-12
[40]
웹사이트
2 Hryvni, Ukraine
https://en.numista.c[...]
[41]
웹사이트
History of British Standards in Beekeeping
http://www.dave-cush[...]
2013-04-11
[42]
서적
Ohio Valley history. The journal of the Cincinnati Historical Society
Cincinnati Museum Center
[43]
뉴스
L'étonnante Histoire du Genevois François Huber, apiculteur aveugle et visionnaire
https://www.letemps.[...]
2018-11-16
[44]
서적
The ABC of Bee Culture: A Cyclopaedia of Everything Pertaining to the Care of the Honey-bee ...
https://books.google[...]
1891
[45]
웹사이트
Bee Culture
http://www.beecultur[...]
2018-05-26
[46]
웹사이트
Thermal Beekeeping: Look Inside a Burning Bee Smoker
https://americanbeej[...]
2021-01-22
[47]
논문
Albert John Cook, DSC
https://books.google[...]
Pomona College Dept. of Zoology
[48]
웹사이트
Bees as business: UMass Amherst, Du Bois Library, SCUA
https://web.archive.[...]
2007-08-30
[49]
웹사이트
Birth of American Bee Culture: A Look at Advertisements in A.J. Cook's The Bee Keepers' Guide
https://standrewsrar[...]
St Andrews Rare Books
2016-05-26
[50]
서적
Beekeepers and Associates
[51]
웹사이트
Gleanings in Bee Culture
https://books.google[...]
A. I. Root Company
1921-06-28
[52]
간행물
Honey Producers' Co-Operator
https://books.google[...]
1921-03
[53]
웹사이트
Brother Adam – English Page
https://perso.unamur[...]
[54]
웹사이트
Movable frame hives
https://web.archive.[...]
startbeekeeping.net
2009-04-05
[55]
서적
The world history of beekeeping and honey hunting
New York : Routledge
1999
[56]
웹사이트
Advice for New Beekeepers UK National Bee Unit
http://www.nationalb[...]
2020-03-02
[57]
서적
Keeping bees with a smil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atural beekeeping
New Society Publishers
2020-04
[58]
서적
The Practical Beekeeper
xstarpublishing.com
2004
[59]
서적
The Hive and the honey bee: a new book on beekeeping which continues the tradition of "Langstroth on the hive and the honeybee"
Dadant
1992
[60]
웹사이트
What Do Bees See? And How Do We Know?
https://news.ncsu.ed[...]
2011-07-27
[61]
웹사이트
Well, I'll BEE...Bees see UV
https://blogs.scient[...]
[62]
논문
Behavioral Response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L., Hymenoptera: Apidae) to Colony Disturbance by Smoke, Acetic Acid, Isopentyl Acetate, Light, Temperature and Vibration
University of Illinois
1967-03
[63]
서적
The Barefoot Beekeeper
2015
[64]
논문
Effect of Low Temperature Narcosis on Honey Bee (Hymenoptera: Apidae) Foraging Behavior
1984-12
[65]
논문
Puff ball control of bees
[66]
서적
Puhpohwee for the people – a narrative account of some uses of fungi among Ahnishinaubeg
Cambridge, MA: Botanical Museum of Harvard University
[67]
논문
Anaesthesia of Honeybees by Smoke from the Pyrolysis of Puffballs and Keratin
[68]
논문
Production of Human Antibodies to Bee Venom Phospholipase A2 in Vitro
1989-02
[69]
웹사이트
Bee Stings-Treatments and Drugs
http://www.mayoclini[...]
[70]
논문
Temperature Control in Honey Bee Colonies
American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1987
[71]
간행물
The temperature of the bee colony
USDA
1914
[72]
논문
Social control of air ventilation in colonies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1987
[73]
논문
A Review on Thermoregulation Techniques in Honey Bees (Apis Mellifera) Beehive Microclimate and Its Similarities to the Heating and Cooling Management in Buildings
2020
[74]
서적
ABC and XYZ of Bee Culture
A.I. Root Company
1978
[75]
논문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eramic beehive
2020
[76]
서적
The National Cyclopaedia of Useful Knowledge
Charles Knight
1847
[77]
웹사이트
Will Putting Honey Bees on Public Lands Threaten Native Bees?
https://e360.yale.ed[...]
Yale School of the Environment
2021-09-23
[78]
웹사이트
Natural Beekeeping date
https://bestmadhoney[...]
2020-07-30
[79]
서적
Natural Beekeeping: Organic approaches to modern apiculture
Chelsea Green
2007
[80]
서적
The Barefoot Beekeeper
http://www.biobees.c[...]
Lulu
2022-01-20
[81]
웹사이트
Beekeeping with the Warré hive – Home
http://warre.biobees[...]
2016-03-12
[82]
뉴스
Can cities save our bees?
https://www.theguard[...]
2016-12-11
[83]
뉴스
Bee-Friendly Landscaping
http://www.networx.c[...]
2012-08-12
[84]
웹사이트
Florida African Bee Action Plan
http://www.doacs.sta[...]
Florida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Consumer Services
2007-07-01
[85]
웹사이트
Wintering Techniques
http://bees.techno-s[...]
2016-10-24
[86]
뉴스
Synthetic Apiary – Biologically augmented digital fabrication
http://www.creativea[...]
2016-10-06
[87]
웹사이트
MIT's Mediated Matter Group Builds a Synthetic Apiary to Help Save Bees
http://www.architect[...]
Architect Magazine
2016-10-24
[88]
논문
Queen Quality and the Impact of Honey Bee Diseases on Queen Health: Potential for Interactions between Two Major Threats to Colony Health
2017-05-08
[89]
웹사이트
Queen Bees Control Sex of Young After All
https://www.science.[...]
2022-01-21
[90]
논문
Queen Bee 101: Biology and Behavior of Queen Bees
[91]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Queen Honey Bee Development
https://extension.ps[...]
2022-01-21
[92]
서적
Bee Genetics and Breeding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3-09-03
[93]
서적
ABC and XYZ of Bee Culture
A. I. Root Company
1978
[94]
서적
Swarming, its Control and Prevention
Snelgrove & Smith
1935
[95]
서적
Honeybees of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01-04
[96]
서적
Queen Bee Breeding: AgGuide – A Practical Handbook
https://books.google[...]
NSW Agriculture
2016-05-26
[97]
서적
Neurobiology of Chemic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4-02-14
[98]
서적
QueenSpotting: Meet the Remarkable Queen Bee and Discover the Drama at the Heart of the Hive; Includes 48 Queenspotting Challenges
https://books.google[...]
Storey Publishing
2019-04-30
[99]
서적
The hive and the honey bee: a new book on beekeeping which continues the tradition of "Langstroth on the hive and the honeybee"
Dadant and Sons.
2013-06-21
[100]
서적
Honey Bee Colony Collapse Disorder
[101]
뉴스
Beepocalypse Redux: Honeybees Are Still Dying – and We Still Don't Know Why
https://science.time[...]
Time Inc
2013-06-21
[102]
뉴스
Call off the bee-pocalypse: U.S. honeybee colonies hit a 20-year high
https://www.washingt[...]
2015-12-01
[103]
논문
Microsporidia Nosema spp. – obligate bee parasites are transmitted by air
https://rdcu.be/b566[...]
2019-10-07
[104]
논문
The Biology and Control of the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2017-06-09
[105]
논문
The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a review
http://www.orsba.org[...]
[106]
웹사이트
The Varroa Problem: Part 1 @ Scientific Beekeeping
http://scientificbee[...]
2017-01-30
[107]
간행물
Standard methods for Tropilaelaps mites research
2013
[108]
웹사이트
"Tracheal mites" Tarsonemidae
http://www.sel.barc.[...]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3-10
[109]
웹사이트
What are some predators of the honeybee?
https://sciencing.co[...]
2019-11-19
[110]
논문
Host-seeking behavior in larvae of the robber fly Mallophora ruficauda (Diptera: Asilidae)
2004-04-01
[111]
논문
Water provisioning increases caged worker bee lifespan and caged worker bees are living half as long as observed 50 years ago
2022-11-14
[112]
웹사이트
World Beekeeping Awards axe honey prize due to fraud
https://www.bbc.co.u[...]
2024-12-12
[113]
웹사이트
World Beekeeping Awards axe honey prize due to fraud
https://www.bbc.co.u[...]
2024-12-12
[114]
웹사이트
World Beekeeping Awards axe honey prize due to fraud
https://www.bbc.co.u[...]
2024-12-12
[115]
웹사이트
World Beekeeping Awards axe honey prize due to fraud
https://www.bbc.co.u[...]
2024-12-12
[116]
웹사이트
FAOSTAT
https://www.fao.org/[...]
2022-01-26
[117]
웹사이트
ARCHIVED – PDF document
http://www.statcan.g[...]
2010-05-17
[118]
논문
Economic aspects of beekeeping production in Croatia
http://www.vef.hr/ve[...]
2009
[119]
웹사이트
Industry
http://beeaware.org.[...]
2016-05-13
[120]
웹사이트
The prospects for beekeeping in the expanded EU
http://web.uniud.it/[...]
[121]
웹사이트
SURVEY OF BEEKEEPING IN SOUTH AFRICA
http://www.cssr.uct.[...]
Centr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2008-07
[122]
웹사이트
FAOSTAT
http://faostat.fao.o[...]
[123]
웹사이트
Beehive numbers by leading countries worldwide 2019
https://www.statista[...]
[124]
웹사이트
Global leading producers of honey worldwide 2019
https://www.statista[...]
[125]
웹사이트
Apiservices – Beekeeping – Apiculture – Denmark/Danemark
http://www.beekeepin[...]
[126]
웹사이트
The Future of Bees and Honey Production in Arab Countries
http://www.beekeepin[...]
[127]
웹사이트
Farm Commodity Programs: Honey
http://www.nationala[...]
National Honey Board
2014-03-27
[128]
웹사이트
Bees
http://www.agmrc.org[...]
[129]
웹사이트
Beekeeping in Serbia
http://www.pcela.rs/[...]
[130]
뉴스
きょう「世界ミツバチの日」ハチミツ作り 都心で/小規模飼育 天敵少なく
読売新聞
2022-05-20
[131]
서적
The Archaeology of Beekeeping
[132]
웹사이트
A Brief Survey of Ancient Near Eastern Beekeeping
http://bycommonconse[...]
2008-02-17
[133]
논문
Apiculture in Hittite cuneiform texts
https://www.tandfonl[...]
2022-12-31
[134]
서적
地中海世界 新書西洋史2
講談社現代新書
[135]
서적
ニホンミツバチ
海游舎
[136]
서적
虫曼荼羅: 古典に見る日本人の心象
http://www.shumpu.co[...]
春風社
[137]
웹사이트
"日本の西洋式養蜂 1877年から 発祥地は新宿御苑 埼玉の男性ら2人が特定"
https://news.livedoo[...]
日本農業新聞
2019-04-16
[138]
웹사이트
我が国の養蜂をめぐる動向
https://acrobat.adob[...]
국립국회도서관
2022-03-28
[139]
논문
A 17th Century Testimony On The Use Of Ceramic Top-bar Hives. 2012 | Haralampos (Χαράλαμπος) Harissis (Χαρίσης) and Georgios Mavrofridis
https://www.academia[...]
[140]
문서
A Treatise on the Management of Bees
London
1768
[141]
웹사이트
Flow Hive: Cedar and Stuart Anderson talk about life one year after crowdfunding success
http://www.abc.net.a[...]
2021-07-16
[142]
웹사이트
きょうは何の日 5月20日 世界ミツバチの日: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4-05-22
[143]
문서
Bee Culture - Moses Quinby
http://www.beecultur[...]
[144]
문서
Thermal Beekeeping: Look Inside a Burning Bee Smoker
https://americanbeej[...]
[145]
웹사이트
衛生管理
http://bee.lin.go.jp[...]
社団法人 日本養蜂はちみつ協会
2008-01-30
[146]
웹사이트
教えて『ハチ博士』
https://www.city.hac[...]
八王子市
2021-06-15
[147]
웹사이트
ハチ(スズメバチを除く)の巣駆除用防護服の貸出しを始めました。
https://www.city.ats[...]
厚木市
2021-06-15
[148]
웹사이트
ハチについて
https://www.city.yok[...]
横浜市
2021-06-15
[149]
웹사이트
令和3年度 スズメバチ等駆除費補助金について
https://www.city.uwa[...]
宇和島市
2021-06-15
[150]
뉴스
ニセアカシア「要注意リスト」に 駆除の動き 養蜂業者に危機感
http://chubu.yomiuri[...]
2008-01-30
[151]
웹사이트
外来種ニセアカシアの取扱いとその考え方
https://www.hro.or.j[...]
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
2020-05-18
[152]
웹사이트
我が国の生態系等に被害を及ぼすおそれのある外来種リスト 掲載種の付加情報(根拠情報)<植物>
https://www.env.go.j[...]
環境省
2018-10-30
[153]
뉴스
【米国発】テックで養蜂、大量死・窃盗防ぐ
2022-07-04
[154]
웹사이트
クマ 被害人数 過去最悪 18道府県で172人 対策の徹底呼びかけ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02-03
[155]
웹사이트
蜂の病虫害について
http://www.geocities[...]
2009-04-02
[156]
웹사이트
スズメバチ駆除器(トラップ)の作り方
http://bee.agriart.i[...]
大和ミツバチ研究所
2017-10-11
[157]
웹사이트
捕食性天敵
http://www.beekeepin[...]
一般社団法人 日本養蜂協会
2017-10-11
[158]
Youtube
オオスズメバチを確保せよ!焼酎漬けと蜂蜜漬け
https://www.youtube.[...]
鈴木養蜂場はちみつ家
2017-10-11
[159]
웹사이트
養蜂振興法 | e-Gov法令検索
https://laws.e-gov.g[...]
2024-05-22
[160]
뉴스
養蜂:蜜争い、甘くない 愛好家と業者、ブームでトラブル続発 振興法改正、届け出義務化
http://mainichi.jp/s[...]
2013-02-02
[161]
웹사이트
UNESCO - Tree beekeeping culture
https://ich.unesco.o[...]
2022-10-18
[162]
웹사이트
UNESCO - Beekeeping in Slovenia, a way of life
https://ich.unesco.o[...]
2022-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