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봉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봉가는 꿀, 밀랍, 꽃가루, 프로폴리스, 로열젤리 등 다양한 상품을 생산하며, 다른 농가에 수분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여왕벌을 사육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양봉가는 취미, 부업, 상업적 목적으로 활동하며, 취미 양봉가는 소규모로 벌을 기르는 반면, 부업 및 상업적 양봉가는 더 많은 벌통을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한다. 양봉은 꿀 생산 외에도 수분 서비스를 통해 환경에 기여하며, 셜록 홈즈와 같은 허구의 인물이나 유명인들이 취미로 삼는 등 대중문화와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봉가 - 얀 스바메르담
    얀 스바메르담은 곤충 해부 및 변태 연구, 근육 수축 시 부피 불변 증명, 림프관 판막과 적혈구 발견 등 생물학과 현미경 연구에 크게 기여한 네덜란드의 선구적인 생물학자이다.
  • 양봉가 - 닐 게이먼
    닐 게이먼은 영국의 소설가, 만화 작가, 시나리오 작가, 작사가, 저널리스트로, 《샌드맨》, 《스타더스트》, 《신들의 전쟁》, 《코렐라인》 등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2021년 윌 아이스너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양봉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직업 분야농업, 목축업
하는 일꿀벌을 기르고 꿀을 생산하는 일
역사
기원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시작
발전중세 유럽 수도원에서 크게 발전
현대에는 과학적 양봉 기술 발달
기술
양봉 기술꿀벌 사육 및 관리
꿀, 밀랍, 로열젤리 등 생산
병해충 방제
꿀벌 생태 연구
장비
주요 장비벌통
훈연기
보호복
채밀기
각종 작업 도구
양봉의 종류
양봉 종류전통 양봉
현대 양봉
이동 양봉
도시 양봉
관련 직업
연관 직업양봉업자
양봉 기술자
양봉 연구가
꿀 판매업자
경제적 영향
경제적 중요성꿀, 밀랍 등 생산을 통해 경제적 가치 창출
생태계 역할식물 수분 매개로 생태계 유지에 기여
한국 양봉
한국 양봉 역사삼국시대부터 시작
조선시대 양봉 장려 정책 시행
현대 양봉 기술 발달
한국 양봉 현황전국적으로 양봉 농가 분포
한국 주요 생산품아카시아꿀
밤꿀
잡화꿀

2. 양봉의 목적

양봉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이루어진다. 가장 대표적인 목적은 꿀, 밀랍, 꽃가루, 프로폴리스, 로열젤리와 같은 꿀벌 생산물을 얻어 판매하는 것이다.[2] 또한, 과일이나 채소농작물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수분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일부 양봉가는 다른 양봉가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우수한 여왕벌이나 벌 자체를 전문적으로 사육하기도 하며,[1] 단순히 개인적인 취미로 벌을 기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양봉가는 관리하는 벌통의 규모나 운영 방식을 달리한다.

2. 1. 꿀벌의 가치

꿀벌은 꿀, 밀랍, 꽃가루, 프로폴리스, 로열젤리와 같은 상품을 생산한다.[2] 양봉가는 이러한 생산물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양봉가는 다른 농부들에게 판매하거나 과학적 연구 목적으로 여왕벌과 다른 벌들을 사육하기도 한다. 또한 양봉가는 과일채소 재배자에게 수분 서비스를 제공하여 농작물 생산에 기여한다. 많은 사람들이 취미로 벌을 기르기도 하지만, 부업이나 상업적인 목적으로 벌을 길러 수입을 얻는 경우도 있다. 양봉가가 관리하는 벌통의 수는 이러한 양봉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2. 2. 상품 생산

20세기 초 북마케도니아의 양봉가


양봉가는 판매를 위한 '''상품'''(농산물)을 생산한다. 꿀은 양봉가가 판매하는 가장 중요한 상품이다. 꿀을 주로 생산하는 양봉가는 밀원(꿀의 원천)이 풍부한 지역에서 벌집을 최대한 강하게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주로 액상 꿀 형태나 때로는 벌집 그대로 생산하여 판매한다. 생산된 상품은 양봉가가 직접 판매하거나 상업적인 포장업체 및 유통업체를 통해 소매로 판매될 수 있다.

밀랍, 꽃가루, 로열젤리, 프로폴리스 등도 판매하여 상당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만의 양봉가들은 여왕벌의 먹이이자 고영양 식품 보충제인 로열젤리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수출하기도 한다. 현대의 양봉가들이 오직 밀랍 생산만을 위해 벌을 키우는 경우는 드물다. 밀랍은 주로 꿀을 수확할 때 함께 얻어지며, 이를 정제하여 판매한다.

2. 3. 수분 서비스

일부 양봉가는 다른 농가에 '''수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꿀을 판매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과일채소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수분이 필요한 시기에 맞춰 밤에 많은 양의 꿀벌 벌통을 농장으로 옮긴다. 특히 아몬드, 사과, 체리, 블루베리, 멜론, 스쿼시와 같은 작물은 꿀벌의 수분에 크게 의존한다. 2016년 미국에서는 아몬드 재배에 필요한 수분 서비스가 전체 지출의 86%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성이 크다.[3] 이러한 양봉가는 작물에 강한 벌집을 유지하고 이동시키는 서비스에 대해 일반적으로 현금으로 비용을 받는다.

2. 4. 여왕벌 사육

왕벌 사육사는 다른 양봉가를 위해 여왕벌을 사육하는 전문 양봉가를 말한다. 이들은 우수한 특성을 가진 벌들을 엄선하여 유지하며, 주로 이른 봄이 오는 지리적 이점을 가진 지역에서 벌을 기르는 경향이 있다.[1] 왕벌 사육사는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거나 기존 농장을 확장하려는 꿀 생산자, 수분 매개자, 또는 취미 양봉가에게 추가적인 벌들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1] 많은 수의 여왕벌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Jenter 키트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1]

3. 양봉가의 분류

양봉가는 활동 목적과 규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유형은 벌통 운영 규모, 주된 목적, 수입 의존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취미 양봉가: 주로 생태학이나 자연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으로 소수의 벌통을 관리하며, 꿀 생산은 부차적인 활동으로 여겨진다.
  • 부업 양봉가: 다른 주된 수입원이 있으면서, 추가적인 소득을 얻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벌통을 운영한다.
  • 상업적 양봉가: 양봉을 주된 직업으로 삼아 대규모로 벌통을 관리하며, 꿀, 밀랍 생산 및 판매, 또는 농작물 수분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전문적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3. 1. 취미 양봉가

영국 콘월의 두 양봉가가 벌통을 점검하고 연기통을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양봉가는 취미 양봉가이다.[4] 이들은 일반적으로 몇 개의 벌통만 운영하거나 소유하며, 주된 관심사는 생태학자연과학에 대한 관심이다. 꿀은 이러한 취미 활동의 부산물로 여겨진다. 소규모 양봉장을 설립하고 벌통과 꿀 채취 장비를 다루는 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럽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취미 양봉이 수익성이 낮은 편이다. 다만, 유기농 벌꿀 제품이 부족하여 개인이 생산한 꿀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경우는 예외일 수 있다.

취미 또는 직업으로서의 양봉은 자신의 벌통을 관리하며 꿀, 벌집, 밀랍 등을 판매하여 이익을 얻는 활동이다. 특히 꿀은 수요가 높은 편인데, 한 뉴스 보도에서는 꿀이 석유보다 가치가 높다고 언급하기도 했다.[5] 양봉은 개인에게 추가 수입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벌의 수분 활동을 통해 환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6]

그러나 양봉 사업을 시작하려면 초기 비용이 발생한다. 초기 투자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첫해의 이익은 초기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사용된다. 본격적인 이익은 사업 시작 후 2년차 또는 3년차부터 기대할 수 있다.[7] 또한, 집 뒷마당 등에서 벌통을 두려는 경우, 도시마다 벌통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규가 다르므로 관련 법적 사항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8]

3. 2. 부업 양봉가

'''부업 양봉가'''는 벌을 치면서 이윤을 얻으려고 하지만, 다른 주된 수입원에 의존한다. 부업 양봉가는 최대 300개의 벌통을 운영하여 10ton~20ton의 꿀을 생산할 수 있으며, 매년 수만 달러의 가치를 창출한다.

3. 3. 상업적 양봉가

'''상업적 양봉가'''는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벌집을 관리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가장 규모가 큰 업체는 최대 5만 개의 벌집을 운영하며 막대한 양의 꿀을 생산하기도 한다.

최초의 주요 상업적 양봉가로는 19세기 초 우크라이나 출신의 페트로 프로코포비치를 꼽을 수 있다. 그는 약 6,600개의 벌집을 운영했다.[9] 미국에서는 1840년대에 1,200개의 벌집을 소유했던 모세스 퀸비가 최초의 상업적 양봉가로 알려져 있다. 이후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미국 아이다호주의 짐 파워스(Jim Powers)가 3만 개의 꿀 생산 벌통을 보유하며 활동했다.[10] 멕시코의 Miel Carlota|미엘 칼로타es는 아르투로 울프라스(Arturo Wulfrath)와 후안 스펙(Juan Speck) 파트너가 운영했으며, 1920년부터 1960년까지 최소 5만 개의 벌통을 관리했다.[11]

오늘날 세계 최대 규모의 양봉 기업 중 하나로는 미국 사우스다코타주의 Adee Honey Farms|아디 벌꿀 농장영어(8만 개의 벌집)과 뉴질랜드의 Comvita|콤비타영어(3만 개 이상의 벌집)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상업적 양봉가는 전체 양봉 인구의 약 5%에 불과하지만, 세계 꿀 생산량의 약 60%를 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업적 양봉은 특히 북아메리카 지역의 농작물 수분 매개 활동이나 뉴질랜드의 마누카 꿀 생산과 같이 부가가치가 높은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4. 주목할 만한 양봉가

최초의 주요 상업적 양봉가인 페트로 프로코포비치 이후, 꿀벌 사육의 성공과 양봉 산업 발전에 기여한 많은 인물들이 있다. 이들은 유전학 연구부터 유명 소설 집필, 양봉 도구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이 직업을 이끌어왔다.

옛 독일식 스테인드글라스 그림 속 양봉가.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동요 한 구절이 아래에 적혀 있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페트로 프로코포비치
  • 요한 디에르촌
  • L. L. 랭스트로스
  • 안톤 얀샤
  • 페터 파벨 글라바르
  • 에밀 와레
  • 브라더 아담
  • 모세스 퀸비
  • 유라이 판들리
  • 그레고어 멘델
  • 조르주 드 레이앵
  • 로버트 A. 홀캠프
  • 찰스 다단
  • 아모스 루트
  • 월터 T. 켈리
  • 로저 모스
  • 털턴 레이먼트
  • 에리카 톰슨
  • 고든 더건

5. 대중문화 속 양봉

양봉가의 보호복은 안전을 위한 필수 장비이며[12], 양봉은 셜록 홈즈와 같은 가상 인물의 설정이나 에드먼드 힐러리, 스티브 바이, 제임스 헷필드 등 실제 유명인들의 취미[13]로 나타나는 등 대중문화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5. 1. 패션

양봉가의 패션에는 벌통 작업 중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복이 포함된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양봉가를 감싸는 재질, 장갑, 베일은 양봉가의 안전에 기여한다.[12]

5. 2. 소설 속 인물

양봉업이라는 직업은 문학과 영화 속 허구의 인물들에게 나타나기도 했다.

5. 3. 양봉을 하는 유명인

양봉업이라는 직업은 문학과 영화 속 허구의 인물들에게 나타나기도 했다.

양봉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직업이자 취미로 남아 있다. 다음은 양봉에 관심을 가진 유명인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beekeeper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0-04-20
[2]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Beekeeper EnvironmentalScience.org https://www.environm[...] 2020-04-20
[3] 웹사이트 USDA ERS – Driven by Almonds, Pollination Services Now Exceed Honey as a Source of Beekeeper Revenue https://www.ers.usda[...] 2018-10-09
[4] 서적 Illustrated Encyclopedia of Beekeeping E.P. Dutton, Inc. 1985
[5] Youtube Demand for honey continues to rise in Kenya https://www.youtube.[...] 2020-02-20
[6]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profitability of honey production using traditional and box hives 2017-07
[7] 서적 A study in profitability for a mid-sized beekeeping operation Florid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Florida 1986
[8] 웹사이트 Beekeeping Laws & Regulations – American Beekeeping Federation https://www.abfnet.o[...] 2020-02-20
[9] 웹사이트 Biography of Prokopovych http://beekeeping.co[...] Beekeeping.com.ua 2013-09-21
[10] 서적 Bad Beekeeping 2004
[11] 서적 Pequeña guía para el apicultor principiante Editora Agricola Mexicana 1955
[12] 웹사이트 Beekeeping Suit – The Honeybee ConservancyThe Honeybee Conservancy https://thehoneybeec[...]
[13] 뉴스 The bee business: An amateur apiary revolut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9-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