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성자 붕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성자 붕괴는 우주에서 물질이 반물질보다 많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으로, 양성자가 다른 입자로 붕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조자이-글래쇼 모형을 포함한 일부 대통일 이론에서 필수적인 가정이며, 양성자는 1031년에서 1036년의 반감기를 가지고 양전자와 중성 파이온으로 붕괴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까지 양성자 붕괴는 실험적으로 관측되지 않았으며, 슈퍼 카미오칸데와 같은 검출기를 통해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대통일 이론 모델에 따라 양성자 수명 예측값이 다르며, 최근 실험 결과는 초중력 예측값에 근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통일 이론 - 파티-살람 모형
    파티-살람 모형은 입자물리학의 표준 모형을 확장하는 이론으로, SU(4) × SU(2)L × SU(2)R 게이지 군을 기반으로 하며, 페르미온을 세 개의 가족으로 묶고, 오른손 중성미자를 포함하며, 힉스 장을 통해 자발적 대칭 깨짐을 설명한다.
  • 대통일 이론 - 대통일 에너지
  • 1967년 과학 - 1967년 11월 2일 일식
    1967년 11월 2일 일식은 사로스 주기 152에 속하는 개기 일식으로, 04:42:11 UTC에 최대 일식을 기록했으며, 다양한 천문 주기에 따라 예측되고 관련되어 있다.
  • 1967년 과학 - 1967년 5월 9일 일식
    1967년 5월 9일 일식은 1967년 5월 9일에 발생한 부분 일식으로, 일식 시즌의 일부이며 사로스 주기 147, 메톤 주기, 트리토스 주기, 이넥스 주기 및 반년 주기의 일부였다.
  • 양성자 - 원자핵
    원자핵은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양전하 입자로,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핵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양성자 수는 원소 종류, 중성자 수는 동위원소를 결정하고 핵융합 및 핵분열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양성자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은 태양과 같은 저질량 항성의 주요 에너지원인 핵융합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양성자가 헬륨으로 변환되며 감마선과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양성자 붕괴
개요
기본 입자들의 표준 모형
기본 입자들의 표준 모형
종류가상입자
이론대통일 이론, 초대칭, 끈 이론
안정성불안정
붕괴 산물양전자, 중성미자
평균 수명1.67×10^34년 이상
상세 정보
관련중입자수 보존, 쿼크, 렙톤
반입자반양성자
이론적 배경
개요양성자 붕괴는 물리학에서 예측되는 가상의 입자 붕괴 과정
예측양성자는 매우 긴 수명을 가지지만 결국에는 붕괴할 것으로 예측
관측현재까지 양성자 붕괴는 관측되지 않음
안정성양성자가 충분히 안정적이라는 실험적 증거 존재
수명 제한양성자의 수명은 최소 1.67×10^34년 이상으로 제한됨
이론
대통일 이론 (GUT)양성자 붕괴를 예측하는 몇 가지 이론 중 하나
붕괴 메커니즘GUT에서는 양성자가 매우 무거운 가상 입자 (X 또는 Y 보존)를 통해 붕괴
초대칭 (SUSY)GUT와 결합된 초대칭은 양성자 붕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붕괴 모드p+ → e+ + π0
p+ → μ+ + K0
실험적 노력
슈퍼-카미오칸데양성자 붕괴를 찾기 위한 주요 실험 중 하나
검출 방법물 탱크에서 발생하는 체렌코프 복사를 통해 붕괴를 검출
미래 실험Hyper-Kamiokande는 슈퍼-카미오칸데보다 더 큰 감도로 양성자 붕괴를 탐색할 예정
블랙홀과의 관계
양자 중력양자 중력 효과가 양성자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이론 존재
가상 블랙홀불확정성 원리에 따른 가상 블랙홀이 양성자를 붕괴시킬 가능성
추가 차원추가 차원 이론에서 블랙홀 생성 에너지가 낮아져 양성자 붕괴 가능성 증가
우주론적 함의
초기 우주양성자 붕괴는 초기 우주의 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수 있음
중입자 생성양성자 붕괴는 중입자 수 비대칭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우주의 미래양성자 붕괴는 장기적인 우주의 미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참고 문헌
추가 정보위키백과 및 기타 과학 자료 참조

2. 중입자 생성

현대 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우주에서 물질반물질보다 우세하다는 것이다. 우주 전체적으로 양의 중입자수가 더욱 많아 보인다. 물리우주론에서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입자를 같은 물리학을 통해서 생성시킬 경우, 일반적으로 물질과 반물질이 같이 생성되어 전체 중입자수는 0이 되어야 한다. 이 문제로 인해 특정 조건에서 반물질과는 대조적으로 물질 생성이 선호되는 대칭성 깨짐 현상에 대해 많은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빅뱅 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입자가 약 1대 100억(1010)의 매우 적은 차이로 생겨나, 물질과 반물질이 서로 없어진 이후 현재 우주에는 많은 보손 및 바리온 입자가 남게 되었다. 그러나,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의 실험에 따르면 불균형은 이전에 가정했던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입자 충돌에 관련한 일련의 실험에서 생성된 물질의 양이 반물질의 양보다 1% 정도 더 많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런 이유는 아직 알 수 없다.[21]

대부분의 대통일 이론에서는 중입자수가 명시적으로 깨져 나타나는 매우 거대한 X보손(X)이나 힉스 보손(H0)이 매개하는 반응으로 인해 이러한 불균형의 차이를 설명한다. 이러한 붕괴가 발생하는 비율은 중간 X보손과 힉스 보손 입자의 질량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을 가정하여 현재 관측되는 거의 대다수의 중입자로 최대 질량을 계산할 경우 오늘날 물질의 비율을 설명하기에는 너무나 작은 비율이다. 이러한 추정치는 대량의 물질이 아주 가끔 자연적으로 양성자 붕괴를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3. 이론적 근거

양성자 붕괴는 조자이-글래쇼 모형이나 SO(10) 모형과 같은 여러 대통일 이론에서 필수적인 가정으로 등장한다.[15] 이러한 이론들에 따르면 양성자는 매우 긴 반감기를 가지며, 양전자와 중성 파이온으로 붕괴한다. 중성 파이온은 곧바로 두 개의 감마선 광자로 붕괴한다.[15]

p+ → e+ + π0
π0 → 2γ



이 붕괴 과정에서 양전자는 렙톤반입자이므로, 대부분의 대통일 이론에서 보존되는 B-L수를 보존한다.

양성자는 자기 홀극의 촉매 작용을 통해서도 붕괴할 수 있다.[15] 예를 들어 p+ → μ+ + π0 와 같은 추가적인 붕괴 과정이 가능하다.[22] 이러한 과정은 아직 실험적으로 관측되지 않았지만, 하이퍼 카미오칸데와 같은 대규모 검출기에서 실험이 가능하다.

초기 대통일 이론에서는 양성자의 반감기를 1031년 정도로 예측했지만, 1990년대 이후 연구 결과 양성자의 반감기는 1032년을 넘을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연구에서는 최소 반감기를 1034~1035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부 대통일 이론은 실험적으로 배제되었다. SUSY 모형에 적용되는 양성자 수명의 최대 상한은 6 × 1039년이며,[16] (최소) 비-SUSY GUT의 최대치는 1.4 × 1036년이다.[16]

4. 실험적 증거

양성자 붕괴는 자기 홀극과 함께 대통일 이론에서 예측되었지만, 아직 실험적으로 관측되지 않았다. 1980년대 초반부터 이러한 현상을 발견하려는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

2012년 일본의 슈퍼 카미오칸데 물 체렌코프 효과 검출기 실험에서 수 년간 관찰했음에도 양성자 붕괴가 관측되지 않았다. 양성자의 반감기는 90%의 신뢰도로 뮤온으로의 붕괴에 대해서는 6.6×1033년 이상이며 양전자로의 붕괴에 대해서는 8.2×1033년 이상이라고 계산됐다.[22] 이후, 잠정적인 연구 결과에서는 반감기의 하계가 1.29×1034년으로 추정하고 있다.[23]

일본의 슈퍼 카미오칸데 실험 결과, 양성자의 반감기는 양전자 붕괴의 경우 년, 반뮤온 붕괴의 경우 년 이상이라는 하한값이 제시되었다.[14] 이는 초중력(SUSY) 예측값인 1034–1036 년에 가깝다. 현재 건설 중인 하이퍼 카미오칸데는 슈퍼 카미오칸데보다 5~10배 더 높은 감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어, 양성자 붕괴 관측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5. 붕괴 연산자

양성자 붕괴는 여러 차원의 연산자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5. 1. 6차원 붕괴 연산자

6차원 크기 양성자 붕괴 연산자는 Λ가 표준 모형의 차단 스케일일 때 \frac{qqql}{\Lambda^2}, \frac{d^c u^c u^c e^c}{\Lambda^2}, \frac{\overline{e^c}\overline{u^c}qq}{\Lambda^2}, \frac{\overline{d^c}\overline{u^c}ql}{\Lambda^2}이다.[21] 이 연산자들은 모두 중입자수(B)와 렙톤수(L)는 보존하지 않지만, B-L수는 보존한다.

대통일 이론에서, 질량 ΛGUT에서 X보손의 교환 작용은 \frac{1}{\Lambda_{GUT}^2}에 의해 2개 연산자를 유도시킬 수 있다. 질량 M의 힉스 보손 3중교환은 \frac{1}{M^2}에 의해 모든 연산자를 유도시킬 수 있다. 이중-삼중 분열 문제를 참고하라.

5. 2. 5차원 붕괴 연산자

초대칭 확장(최소 초대칭 표준 모형 등)에서는 질량 ''M''인 3중렙톤 교환을 통해 페르미온 2개와 스페르미온 2개를 포함하는 5차원 양성자 붕괴 연산자가 나타날 수 있다. 스페르미온은 게이지노, 힉시노, 그래비티노와 교환하여 페르미온 2개를 방출한다. 이 전체 작용의 파인먼 도형은 고리 모양으로 나타나며(강한 상호작용 물리 현상을 통한 추가 작용), 이 붕괴 속도는 ''M''SUSY초대칭짝의 질량 규모일 때 \frac{1}{M M_{SUSY}}로 억제된다.

5. 3. 4차원 붕괴 연산자

R 반전성이 없을 때, 표준 모형의 초대칭 확장은 스칼라 아래 쿼크 질량의 역제곱으로 연산자 증가를 작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한 4차원 크기 양성자 붕괴 연산자는 ql영어~dc영어와 ucdc~dc영어이다.

양성자 붕괴 속도는 결합 상수가 매우 작지 않다면 \frac{1}{M_{SUSY}^2}에 의해서만 억제되는데, 이는 너무 빠르다.

6. 양성자 수명 예측

조자이-글래쇼 모형과 같은 초기 대통일 이론(GUT)에서 양성자의 반감기는 최소 1031년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1990년대의 추가적인 계산 및 실험을 통해 양성자의 반감기가 1032년 미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다양한 대통일 이론 모델에 따른 양성자 수명 예측값은 다음과 같다.

이론 종류양성자 수명 (년)실험적으로 배제됨?
최소 SU(5) (조지-글래쇼)1030–1031
최소 SUSY SU(5)1028–1032
SUGRA SU(5)1032–1034
SUSY SO(10)1032–1035부분적으로
SUSY SU(5) (MSSM)~1034부분적으로
SUSY SU(5) – 5차원1034–1035부분적으로
SUSY SO(10) MSSM G(224)아니요
최소 (기본) SO(10) – 비-SUSY< ~1035 (최대 범위)아니요
플립 SU(5) (MSSM)1035–1036아니요



바닐라 SU(5)에서 양성자의 수명은 대략 \tau_p\sim M_X^4/m_p^5로 추정할 수 있다. 재통합 규모가 정도인 초대칭 GUT는 약 의 수명을 가지는데, 이는 현재 실험적 하한선과 거의 일치한다.

참조

[1] 간행물 Radioactive decays by Protons. Myth or reality? 1969
[2] 논문 Threshold corrections to dimension-six proton decay operators in non-minimal SUSY SU(5) GUTs
[3] 웹사이트 Do protons decay? https://www.symmetry[...] 2015-09-22
[4] 논문 Time-dependent properties of proton decay from crossing single-particle metastable states in deformed nuclei
[5] 논문 Effects of proton decay on the cosmological future 1982-01
[6] 논문 Quantum Tunnelling to the Origin and Evolution of Life
[7] 논문 Dangerous implications of a minimum length in quantum gravity
[8] 논문 Proton Decay, Black Holes, and Large Extra Dimensions - NASA/ADS https://ui.adsabs.ha[...]
[9] 논문 Proton decay and the quantum structure of space–time
[10] arXiv The black hole information paradox
[11] 논문 Virtual black holes from the generalized uncertainty principle and proton decay https://www.research[...]
[12] 논문 Bloch wave function for the periodic sphaleron potential and unsuppressed baryon and lepton number violating processes
[13] 논문 Nucleon decay: theory and experimental overview
[14] 웹사이트 Proton lifetime is longer than 1034 years http://www-sk.icrr.u[...] 2009-11-25
[15] 논문 Searches for proton decay and superheavy magnetic monopoles http://www.ias.ac.in[...] 1984
[16] 논문 Proton stability in grand unified theories, in strings and in branes
[17]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 N Baryons http://pdg.lbl.gov/2[...] 2014
[18] 논문 Nucleon decay searches with large liquid Argon TPC detectors at shallow depths: atmospheric neutrinos and cosmogenic backgrounds http://stacks.iop.or[...] 2007-04-11
[19] 논문 The price of natural flavour conservation in neutral weak interactions https://cds.cern.ch/[...] 1977-10-03
[20] 서적 Radioactive decays by Protons. Myth or reality? The Nucleus 1969
[21] 저널 Evidence for an anomalous like-sign dimuon charge asymmetry
[22] 저널 Search for Proton Decay via p+ → e+ π0 and p+ → μ+ π0 in a Large Water Cherenkov Detector
[2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k.icrr.u[...] 2014-03-30
[24] 저널 Searches for Proton Decay and Superheavy Magnetic Monopoles http://www.ias.ac.in[...]
[25] 웹사이트 Hyper-Kamiokande design http://www-sk.icrr.u[...] 2010-12-15
[26] 저널 Review of Particle Physics – N Baryons http://pdg.lbl.gov/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