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렌코프 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렌코프 효과는 1934년 파벨 체렌코프가 발견하고, 이고르 탐과 일리야 프란크가 이론적으로 설명하여 195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현상이다. 이 효과는 전하를 띤 입자가 유전체 매질에서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움직일 때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소닉붐과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체렌코프 복사는 생체 분자 검출, 의료 영상, 원자력 발전, 천체 물리학, 입자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 상대성이론 - 상대론적 양자화학
상대론적 양자화학은 상대성이론을 적용하여 원자와 분자의 구조 및 성질을 연구하는 화학 분야로, 특히 무거운 원소에서 전자의 속도가 빨라 상대론적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원자 크기, 결합 에너지, 스펙트럼 등에 영향을 미치며, 금의 색, 수은의 낮은 녹는점 등 여러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필요하다. - 특수 상대성이론 - 동시성의 상대성
동시성의 상대성은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기준계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된 두 사건의 시간 판단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절대적인 동시성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핵심 개념이다. - 입자물리학 - 전자볼트
전자볼트는 전자가 1볼트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 단위로, 1.602 × 10⁻¹⁹ 줄과 같으며, 다양한 물리학 분야와 공학에서 에너지, 질량, 운동량, 온도, 거리 등을 표현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 입자물리학 - 알파 붕괴
알파 붕괴는 원자핵이 헬륨-4 원자핵인 알파 입자를 방출하여 원자 번호와 질량수가 감소하는 방사성 붕괴의 한 형태로, 무거운 원자핵에서 주로 발생하며 양자 터널링 효과로 설명되고 연기 감지기 등에 활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다. - 물리학 개념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물리학 개념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체렌코프 효과 | |
---|---|
개요 | |
![]() | |
발견자 | 파벨 알렉세예비치 체렌코프 |
발견 연도 | 1934년 |
관련 입자 | 하전 입자 (예: 전자) |
현상 | |
발생 원리 | 하전 입자가 매질 내에서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할 때 발생 |
특징 | 빛의 속도보다 빠른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 복사 입자의 속도, 전하량, 매질의 굴절률에 따라 복사 특성이 달라짐 |
비고 | 전자기파 |
이론적 배경 | |
설명 | 하전 입자가 유전 물질을 통과할 때, 매질의 원자들이 편극된다. 입자가 지나간 후 원자들은 다시 안정 상태로 돌아가면서 광자를 방출한다. 입자의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빠르면, 이 광자들이 간섭을 일으켜 특정 방향으로 강화되어 체렌코프 복사를 형성한다. |
유사 현상 | 음속 돌파 시 발생하는 충격파와 유사 |
응용 | |
핵물리학 | 고에너지 입자 검출 입자 식별 우주선 연구 |
의학 | 방사선 치료 모니터링 생체 이미징 |
기타 | 원자로 감시 환경 모니터링 고에너지 물리학 실험 |
관련 항목 | |
관련 개념 | 전자기 복사 굴절률 특수 상대성 이론 |
관련 인물 | 파벨 알렉세예비치 체렌코프 이고리 예브게니예비치 탐 일리야 미하일로비치 프랑크 |
2. 역사
체렌코프 복사는 1934년 소련의 과학자 파벨 체렌코프가 세르게이 바빌로프의 지도하에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에서 처음 발견했다. 이 현상은 바빌로프-체렌코프 복사라고도 불린다.[4] 체렌코프는 물에 담긴 방사성 물질 주위에서 희미한 푸른 빛을 관찰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형광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냈다.
1937년,[5] 이고르 탐과 일리야 프란크가 특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이 효과에 대한 이론을 개발했다. 체렌코프, 탐, 프란크는 이 업적으로 1958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올리버 헤비사이드는 1888년과 1889년에, 아르놀트 조머펠트는 1904년에 원뿔형 파면으로서의 체렌코프 복사를 이론적으로 예측했다.[7] 그러나 광속 초과 입자를 제한하는 상대성 이론 때문에 이러한 예측은 오랫동안 무시되었다.[8] 1910년 마리 퀴리는 고농도 라듐 용액에서 옅은 푸른 빛을 관찰했지만, 그 원인을 조사하지는 않았다.[9] 1926년 프랑스 방사선 치료사 루시앙 말레는 라듐이 물을 조사할 때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발광 복사를 묘사했다.[10]
2019년, 다트머스 대학교와 다트머스-히치콕 의료 센터 연구팀은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의 유리체에서 체렌코프 빛이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빛은 CDose라는 카메라 이미징 시스템을 사용하여 관찰되었다.[11][12]
2. 1. 한국에서의 연구 및 활용
고바야시 마사토시의 가미오칸데나 슈퍼 가미오칸데 등에서는 원뿔 형태로 퍼지는 체렌코프 빛을 포착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 체렌코프 빛이 중성미자에 의해 흩어진 전자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면, 체렌코프 빛의 관측 결과로부터 전자의 운동 방향이나 속도를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성미자의 비래 방향 등을 계산하여 중성미자를 관측할 수 있다.도카이 촌 JCO 임계 사고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 작업원들이 "푸른빛을 보았다"라고 증언하여 임계 사고 확인에 기여했다. 도카이 촌 JCO 임계 사고에서 관측된 빛이 체렌코프 복사였는지에 대한 논란은 임계 사고 문서에 고찰되어 있다.
3. 물리적 원리
전기역학에 따르면, 진공 상태에서의 빛의 속도는 보편적인 상수(''c'')이다. 하지만 빛이 다른 매질 내에서 전파되는 속도는 ''c''보다 상당히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속에서의 빛 전파 속도는 0.75c에 불과하다. 물질은 핵반응이나 입자 가속기를 통해 이보다 더 빠르게 가속될 수 있지만, 여전히 ''c'' 미만의 속도를 갖는다. 체렌코프 효과는 대전 입자, 주로 전자가 그 매질에서의 광속보다 더 빠른 속도로 유전체 (전기적으로 분극 가능한) 매질을 통과할 때 발생한다.
여기서 말하는 빛의 속도는 빛의 군속도가 아닌 위상 속도이다. 위상 속도는 주기적인 매질을 사용하면 극적으로 바뀔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소 입자 속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체렌코프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 (스미스-퍼셀 효과) 광자 결정 등의 복잡하고 주기적인 매질에서는 역방향 방사선과 같은 특이하고 다양한 체렌코프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체렌코프 효과는 입자 속도의 예각 방향으로 방사됨)[40]
하전 입자가 이동하면서 매질의 국소 전자기장을 방해한다. 특히, 매질은 입자의 전기장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극화된다. 입자가 천천히 움직이면 방해는 탄력적으로 완화되고 입자가 지나갈 때 물리적 평형 상태로 되돌아간다. 입자가 충분히 빠르게 이동해도 입자의 반응속도가 제한되면 입자가 각성된 후에 방해가 남는다. 이 방해에 포함된 에너지는 응집력 있는 충격파로 방사된다.
체렌코프 효과는 초음속 항공기나 총알이 이동할 때 생기는 소닉붐에 비유되곤 한다. 초음속체에 의해 생성된 음파는 음속으로 전파되므로 음파는 초음속체보다 느리게 움직이며, 초음속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그로 인해 초음속체보다 느리게 움직이던 소리가 초음속체보다 먼저 진행되던 소리와 부딪혀 공기가 급격히 압축되고, 충격파를 형성한다. 비슷한 현상으로 하전 입자가 절연체를 통과할 때 가벼운 광파를 형성한다.
3. 1. 역 체렌코프 효과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물질을 사용하여 체렌코프 효과의 역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메타물질은 파장보다 작은 미세 구조를 가지고 있어 구성 물질과는 매우 다른 유효한 "평균" 특성을 갖는데, 이 경우 음의 유전율과 음의 투자율을 갖는다. 즉, 대전된 입자(보통 전자)가 해당 매질 내에서 빛의 위상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매질을 통과할 때, (유전율과 투자율이 모두 양수인 일반적인 물질의 경우와 달리) 진행 방향 앞에서가 아니라 뒤에서 후행 복사를 방출한다.[17] 또한, 주기적 구조가 파장과 동일한 규모로 존재하여 효과적으로 균질한 메타물질로 취급할 수 없는 비메타물질 주기적 매질에서도 이러한 역원뿔형 체렌코프 복사를 얻을 수 있다.[14]3. 2. 방사각
체렌코프 복사의 방사각은 기하학적으로 구할 수 있다. 오른쪽 그림에서 빨간색 화살표는 초광속 입자의 이동 경로, 파란색 화살표는 방출된 전자기파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 입자의 속도와 빛의 속도 사이의 비율을 β = vp/c 로 정의한다.
- 방출된 전자기파(파란색 화살표)는 vem = c/n 의 속도로 이동한다.
삼각형의 왼쪽 모서리는 초기 순간(''t'' = 0)에 초광속 입자의 위치를 나타내고, 오른쪽 모서리는 시간 t 이후 입자의 위치를 나타낸다. 주어진 시간 ''t'' 동안 입자가 이동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다.
: xp = vpt = βct
방출된 전자기파는 다음 거리를 이동한다.
: xem = vemt = (c/n)t
따라서 방사 각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cosθ = 1/(nβ)
이 비율은 시간에 무관하므로, 임의의 시간을 적용하더라도 닮은꼴의 삼각형을 얻을 수 있다. 즉, 각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초기 시간 ''t'' = 0과 마지막 시간 ''t'' 사이에 생성된 후속파가 표시된 오른쪽 끝점과 일치하는, 유사한 삼각형을 형성한다.[40]
4. 특징
체렌코프 복사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프랑크-탐 공식으로 주어진다. 이 공식은 체렌코프 복사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낸다. 형광이나 자극 방출 전자기 스펙트럼과는 달리, 체렌코프 복사는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가진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단위 주파수당 상대적 강도는 주파수에 대략 비례한다. 즉, 체렌코프 복사에서는 더 높은 주파수(더 짧은 파장)가 더 강하다. 이 때문에 가시적인 체렌코프 복사는 밝은 푸른색으로 관찰된다. 사실, 대부분의 체렌코프 복사는 자외선 스펙트럼에 있으며, 충분히 가속된 전하에서만 가시광선이 된다.[22][23]
일정 조건에서를 더 이상 만족할 수 없는 차단 주파수가 존재한다. 굴절률 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며, 매우 상대론적인 입자에서도 강도가 계속해서 짧은 파장에서 증가할 수 없게 된다. X선 주파수에서 굴절률은 1보다 작아지므로, X선 방출은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질의 핵심 전자 전이에 해당하는 주파수 바로 아래의 특정 주파수에서 X선이 생성될 수 있다.
음속 폭음과 활 충격파와 마찬가지로, 충격 원뿔의 각도는 교란의 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체렌코프 각도는 체렌코프 복사 방출에 대한 임계 속도에서 0이다. 각도는 입자 속도가 빛의 속도에 접근함에 따라 최대값을 갖는다. 따라서 관찰된 입사각을 사용하여 체렌코프 복사를 생성하는 전하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체렌코프 복사는 하전 입자가 유리체에 부딪혀 섬광의 인상을 주는 눈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우주선 시각 현상과 일부 임계 사고 관측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22][23]
5. 응용
체렌코프 효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생체 분자 검출체렌코프 복사는 소량 및 낮은 농도의 생체 분자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24] 인-32와 같은 방사성 원자를 이용하여 생체 분자의 이동 경로와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의료 영상체렌코프 빛은 체내 물질을 영상화하는 데 사용된다.[25][26][27] 방사성의약품이나 방사선 치료에서 발생하는 빛 신호를 이용하여 종양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양전자 방출 핵종인 18F 등이 체렌코프 방출을 보이며, 18F 및 131I 동위원소는 인체 영상화에 사용되어 진단적 가치를 입증했다.[29][30]
원자력 발전
체렌코프 복사는 개방형 수조 원자로에서 핵분열 생성물이 붕괴되면서 방출되는 베타 입자(고에너지 전자)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후 핵연료봉의 잔류 방사능을 특성화하고,[34] 핵 안전 목적으로 사용후 핵연료 수조에 사용후 핵연료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34]
천체 물리학지구 대기와 상호 작용하는 고에너지 감마선이나 우주선은 쌍생성을 일으켜 체렌코프 복사를 방출한다. VERITAS, H.E.S.S., MAGIC과 같은 실험에서 이 빛을 이용하여 우주선이나 감마선의 방향과 에너지를 측정한다. HAWC와 같은 실험에서는 물 탱크에서 발생하는 체렌코프 복사를 이용한다. 슈퍼-카미오칸데 등의 중성미자 검출기에서도 활용된다.
입자 물리학체렌코프 복사는 입자 식별을 위해 실험적인 입자 물리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고리 영상 체렌코프 검출기(RICH)는 체렌코프 빛의 원뿔을 감지하여 입자의 속도와 운동량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입자를 식별한다.
5. 1. 생체 분자 검출
체렌코프 복사는 소량 및 낮은 농도의 생체 분자를 감지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24] 인-32와 같은 방사성 원자는 효소 및 합성을 통해 생체 분자에 쉽게 도입될 수 있으며, 생물학적 경로를 규명하고 친화성 상수 및 해리 속도와 같은 생물학적 분자의 상호작용을 특성화하기 위해 소량으로 쉽게 감지될 수 있다.5. 2. 의료 영상
최근에는 체렌코프 빛이 신체 내 물질을 영상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25][26][27] 이러한 발견은 주입된 방사성의약품과 같은 내부 소스 또는 종양학의 외부 빔 방사선 치료에서 나오는 방사선을 이 빛 신호를 사용하여 정량화하거나 감지하는 아이디어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양전자 방출 방출 핵종인 18F 및 13N 또는 베타 방출 핵종인 32P 또는 90Y는 측정 가능한 체렌코프 방출을 보이며[28], 18F 및 131I 동위원소는 진단적 가치를 입증하기 위해 인간에게서 영상화되었다.[29][30]외부 빔 방사선 치료는 6MV에서 18MV 범위의 에너지의 전자 빔 또는 광자 빔으로 인해 치료받는 조직에서 상당한 양의 체렌코프 빛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 에너지 X-선에 의해 유도된 2차 전자는 체렌코프 빛 방출을 발생시키며, 감지된 신호는 조직의 입구 및 출구 표면에서 영상화될 수 있다.[31]

5. 3. 원자력 발전
체렌코프 복사는 고에너지 하전 입자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개방형 수조 원자로에서는 핵분열 생성물이 붕괴되면서 방출되는 베타 입자(고에너지 전자)에 의해 발생한다. 연쇄 반응이 멈춘 후에도 짧은 수명의 생성물이 붕괴되면서 빛은 희미해지지만 계속 유지된다. 이와 유사하게 체렌코프 복사는 사용후 핵연료봉의 잔류 방사능을 특성화할 수 있으며,[34] 핵 안전 목적을 위해 사용후 핵연료 수조에 사용후 핵연료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34]
체렌코프 복사의 예로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가 들어있는 수영장에서 보이는 푸른빛이 있다. 도카이 촌 JCO 임계 사고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 작업원이 "푸른빛을 보았다"라고 증언했기 때문에, 임계 사고가 확인되었다.
5. 4. 천체 물리학
고에너지 (teraelectronvolt|테라전자볼트영어, TeV) 감마선 또는 우주선이 지구 대기와 상호 작용하면 엄청난 속도로 전자-양전자 쌍생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하전 입자가 대기 중에서 방출하는 체렌코프 복사는 영상 대기 체렌코프 기술 (IACT)과 같은 실험에서 사용되며, 이는 VERITAS, H.E.S.S., MAGIC과 같은 실험에서 우주선 또는 감마선의 방향과 에너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지구에 도달하는 이러한 하전 입자가 물로 채워진 탱크에서 방출하는 체렌코프 복사는 대규모 공중 샤워 실험인 HAWC, 피에르 오제 관측소 및 기타 프로젝트에서 동일한 목표에 사용된다. 유사한 방법은 슈퍼-카미오칸데, 서드베리 중성미자 관측소 (SNO) 및 아이스큐브와 같은 매우 큰 중성미자 검출기에서도 사용된다. 과거에 관련 기술을 적용하여 운영된 다른 프로젝트로는 STACEE가 있는데, 이는 비영상 체렌코프 관측소로 사용하기 위해 개조된 이전의 태양 타워로, 뉴멕시코에 위치해 있었다.대기 샤워를 측정하기 위해 체렌코프 기술을 사용하는 천체 물리학 관측소는 초신성 잔해 및 블레이자와 같이 매우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천체들의 특성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고바야시 마사토시의 가미오칸데나 슈퍼 가미오칸데 등에서는 원뿔 형태로 퍼지는 체렌코프 빛을 포착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 체렌코프 빛이 중성미자에 의해 산란된 전자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면, 체렌코프 빛의 관측 결과로부터 전자의 운동 방향이나 속도를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성미자의 비래 방향 등을 계산하여 중성미자를 관측할 수 있다.
5. 5. 입자 물리학
체렌코프 복사는 입자 식별을 위해 실험적인 입자 물리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정 매질에서 방출되는 체렌코프 빛의 특성을 통해 전하를 띤 기본 입자의 속도를 측정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입자의 운동량을 독립적으로 측정하면 입자의 운동량과 속도를 통해 입자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4-운동량 참조), 따라서 입자를 식별할 수 있다.체렌코프 복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가장 간단한 유형의 입자 식별 장치는 임계값 계수기이며, 이 계수기는 전하를 띤 입자의 속도가 특정 값(, 여기서 는 빛의 속도이고, 은 매질의 굴절률)보다 낮거나 높은지 여부를 특정 매질에서 이 입자가 체렌코프 빛을 방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답한다. 입자 운동량을 알면 특정 임계값보다 가벼운 입자와 임계값보다 무거운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가장 진보된 유형의 검출기는 1980년대에 개발된 RICH 또는 고리 영상 체렌코프 검출기(RICH)이다. RICH 검출기에서 고속 전하를 띤 입자가 라디에이터라고 불리는 적절한 매질을 통과할 때 체렌코프 빛의 원뿔이 생성된다. 이 빛의 원뿔은 위치 감지 평면 광자 검출기에서 감지되며, 이 검출기를 통해 고리 또는 원반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그 반경은 체렌코프 방출 각도의 척도이다. 초점형 및 근접 초점형 검출기가 사용되고 있다. 초점형 RICH 검출기에서 광자는 구면 거울에 의해 수집되어 초점면에 배치된 광자 검출기에 초점을 맞춘다. 결과는 입자 궤적을 따라 방출 지점과 무관한 반경을 가진 원이다. 이 방식은 충분한 광자를 생성하기 위해 더 긴 라디에이터 길이가 필요한 저굴절률 라디에이터(즉, 기체)에 적합하다. 더 콤팩트한 근접 초점 설계에서 얇은 라디에이터 부피는 작은 거리(근접 갭)를 통과하고 광자 검출기 평면에서 감지되는 체렌코프 빛의 원뿔을 방출한다. 이미지는 체렌코프 방출 각도와 근접 갭에 의해 정의된 반경을 가진 빛의 고리이다. 고리 두께는 라디에이터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근접 갭 RICH 검출기의 예로는 CERN의 LHC (거대 강입자 충돌기)에서 6개의 실험 중 하나인 ALICE (대형 이온 충돌기 실험)를 위해 현재 건설 중인 검출기인 고운동량 입자 식별 검출기(HMPID)가 있다.
고바야시 마사토시의 가미오칸데나 슈퍼 가미오칸데 등에서는 원뿔 형태로 퍼지는 체렌코프 빛을 포착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 체렌코프 빛이 중성미자에 의해 산란된 전자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면, 체렌코프 빛의 관측 결과로부터 전자의 운동 방향이나 속도를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성미자의 비래 방향 등을 계산하여 중성미자를 관측할 수 있다.[1]
참조
[1]
Dictionary
Cherenkov
2020-05-26
[2]
웹사이트
Cerenkov – Search {{!}} ScienceDirect.com
https://www.scienced[...]
2024-01-22
[3]
서적
Classical electrodynamics
Wiley
1999
[4]
학술지
Visible emission of clean liquids by action of γ radiation
[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58
https://www.nobelpri[...]
2021-05-06
[6]
서적
Oliver Heaviside: The Life, Work, and Times of an Electrical Genius of the Victorian Age
https://books.google[...]
JHU Press
[7]
서적
Radioactivity: Introduction and History, From the Quantum to Quarks
https://books.google[...]
Elsevier
[8]
학술지
Oliver Heaviside: an accidental time traveller
The Royal Society
[9]
서적
Classical electrodynamics
https://www.worldcat[...]
New Age International
2000
[10]
서적
The Physics of Nuclear Reactors
https://books.google[...]
Springer
[11]
웹사이트
For the first time, scientists capture light flashes from human eye during radiotherapy
https://www.eurekal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20-01-07
[12]
학술지
Experimentally Observed Cherenkov Light Generation in the Eye During Radiation Therapy
https://www.redjourn[...]
2019-10-25
[13]
학술지
Flashes of light-radiation therapy to the brain
https://www.thegreen[...]
2015-08
[14]
학술지
Cerenkov Radiation in Photonic Crystals
http://www-math.mit.[...]
[15]
학술지
Coherent radiation of fast electrons in a medium
[16]
학술지
Controlled steering of Cherenkov surface plasmon wakes with a one-dimensional metamaterial
[17]
뉴스
Topsy turvy: The first true "left handed" material
http://www.aip.org/p[...]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04-03-24
[18]
학술지
Cherenkov radiation from the quantum vacuum
[19]
학술지
Generalized momentum equation of quantum mechanics
[20]
학술지
Relativistic multiwave Cerenkov generator
1983
[21]
학술지
Coherence and superradiance from a plasma-based quasiparticle accelerator
https://www.nature.c[...]
2023
[22]
학술지
Experimentally Observed Cherenkov Light Generation in the Eye During Radiation Therapy
[23]
학술지
Vavilov – Cherenkov radiation: Its discovery and application
[24]
학술지
Radiation-luminescence-excited quantum dots for in vivo multiplexed optical imaging
2010-05-21
[25]
학술지
Optical imaging of reporter gene expression using a positron-emission-tomography probe
[26]
학술지
Cerenkov Luminescence Tomography for ''In'' Vivo ''Radiopharmaceutical'' Imaging
[27]
학술지
Radical irradiation for carcinoma of the prostate
[28]
학술지
In vivo Cerenkov luminescence imaging: A new tool for molecular imaging
[29]
서적
Emerging Applications of Molecular Imaging to Oncology
[30]
학술지
First human Cerenkography
https://www.spiedigi[...]
[31]
학술지
Cherenkov Video Imaging Allows for the First Visualization of Radiation Therapy in Real Time
[32]
학술지
Technical Note: Time-gating to medical linear accelerator pulses: Stray radiation detector
2018-12-14
[33]
학술지
Initial Clinical Experience of Cherenkov Imaging in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Identifies Opportunities to Improve Treatment Delivery
https://www.redjourn[...]
2021-04-01
[34]
Submitted manuscript
On Cherenkov light production by irradiated nuclear fuel rods
http://urn.kb.se/res[...]
[35]
웹사이트
The High Momentum Particle Identification Detector at CERN
http://alice-hmpid.w[...]
[36]
논문
Visible emission of clean liquids by action of γ radiation
[37]
문서
대체 가능한 철자 : Cherenkov, Čerenkov, Cerenkov, 그리고 Vavilov, Wawilow.
[38]
논문
Visible Emission of Clean Liquids by Action of γ Radiation
http://dbserv.ihep.s[...]
[39]
서적
Oliver Heaviside: The Life, Work, and Times of an Electrical Genius of the Victorian Age
https://books.google[...]
[40]
저널
Cerenkov Radiation in Photonic Crystals
http://www-math.m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