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숲 가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두운 숲 가설은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접촉 부재를 설명하는 가설로, 우주를 "어두운 숲"에 비유하여 모든 문명이 생존을 위해 자신의 존재를 숨기고 다른 문명을 경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가설은 페르미 역설에 대한 해답 중 하나로, 다른 문명을 위협으로 간주하여 파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데이비드 브린의 "치명적인 탐사선" 가설과 유사하며, 류츠신의 소설 《어두운 숲》에서 유래되었다. 게임 이론을 통해 분석되기도 하며, 광전사 가설과 비교되기도 한다. 이 가설은 공상 과학 소설에서 외계 문명 간의 관계를 묘사하는 데 영감을 주었으며, 류츠신의 소설에서 우주 사회학의 공리를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미 역설 - 미세조정 우주
미세 조정 우주는 우주의 물리 상수들이 생명체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도록 정밀하게 조정되었다는 주장이며, 다양한 과학자들이 지지했으나 검증과 반증이 불가능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 페르미 역설 - 동물원 가설
동물원 가설은 고도로 발달한 외계 문명이 인류의 자연스러운 진화를 존중하여 마치 동물원의 동물을 관찰하듯 고립된 상태로 관찰한다는 가설로, 페르미 역설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지만 외계 문명의 동기 통일성 결여 가능성과 신학적 이론에 가깝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 게임 이론 - 대연정
대연정은 의원내각제 또는 이원집정부제 국가에서 대립하는 거대 정당들이 국가적 위기 극복, 정치적 봉쇄, 또는 비례대표제 하의 연립 내각 구성의 필요에 따라 연합하는 정부 형태로, 정치적 안정과 국민 통합에 기여할 수 있지만 유권자 선택권 제한 및 소수 정당 약진의 우려도 있다. - 게임 이론 - 완전 정보
완전 정보 게임은 게임 이론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게임의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게임을 의미하며, 체스, 틱택토, 오목 등이 이에 해당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어두운 숲 가설 | |
---|---|
개요 | |
이름 | 어두운 숲 가설 |
요약 | 외계 문명은 다른 문명의 존재를 알게 되면 파괴한다는 가설 |
세부 사항 | |
주창자 | 류츠신 |
유래 | 류츠신의 소설 삼체 3부작 |
내용 | 우주는 일련의 사냥꾼으로 가득 찬 어두운 숲과 같으며, 모든 문명은 살아남기 위해 다른 문명을 제거해야 한다. |
관련 개념 | 페르미 역설 대침묵 |
시사점 | 외계 문명과의 통신은 위험할 수 있다. |
2. 배경
외계 생명체가 지구를 방문했거나 접촉을 시도했다는 신뢰할 수 있거나 재현 가능한 증거는 알려져 있지 않다.[3][4][5] SETI가 탐지하거나 관측한 지적 외계 생명체의 전파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관찰과 상반된다.
- 우주는 생명체에 적합한 환경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매우 많은 수의 행성으로 가득 차 있다.[5]
- 지구상의 생명체는 자신에게 적합한 모든 영역을 채울 때까지 확장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모순되는 사실은 페르미의 역설의 기초를 형성한다.[5]
3. 개념
어두운 숲 가설은 우주로 진출한 모든 문명이 다른 지적 생명체를 불가피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따라서 자신을 알리는 모든 신생 생명체를 파괴할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 결과, 전자기 스펙트럼은 어떤 지적인 외계 생명체의 증거 없이 비교적 조용할 것이다.[7][8]
류츠신의 2008년 소설 ''어두운 숲''에서 이 가설의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무장한 사냥꾼이 유령처럼 나무 사이를 어슬렁거리는" "어두운 숲"을 연상시킨다.[11][12] 어두운 숲 가설에 따르면, 새로 접촉한 문명의 의도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만약 그런 문명을 만난다면 자신의 멸종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먼저 공격하고 나중에 질문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 소설은 외계인과의 접촉에 대한 류츠신의 우려를 자세히 다루고 있다.[18]
데이비드 브린은 1983년 페르미 역설에 대한 찬반 논쟁을 요약하면서 "치명적인 탐사선"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가설을 설명했다.[9]
4. 핵심 전제
류츠신은 《어두운 숲》에서 어두운 숲 가설의 기반이 되는 세 가지 공리를 제시했다.[11][12]
5. 게임 이론적 분석
어두운 숲 가설은 게임 이론에서 "순차적이고 불완전한 정보 게임"의 특별한 경우이다.[13][8][14] 이 게임에서 각 문명은 생존을 위해 다른 문명을 파괴하거나, 자신의 존재를 알리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행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13]
5. 1. 순차적이고 불완전한 정보 게임
어두운 숲 가설은 게임 이론에서 "순차적이고 불완전한 정보 게임"의 특별한 경우이다.[13][8][14] "순차적이고 불완전한 정보 게임"은 모든 플레이어가 순차적으로, 차례대로 행동하며, 아무도 모든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게임을 의미한다.[15]5. 2. 승리 조건
게임 이론에서 "순차적이고 불완전한 정보 게임"은 모든 플레이어가 순차적으로, 차례대로 행동하며, 아무도 모든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게임이다.[15] 이 게임의 유일한 승리 조건은 지속적인 생존이다.[7]5. 3. 행동 선택지
어두운 숲 가설은 게임 이론에서 "순차적이고 불완전한 정보 게임"의 특별한 경우이다.[13][8][14]"순차적이고 불완전한 정보 게임"은 게임 이론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순차적으로, 차례대로 행동하며, 아무도 모든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게임을 의미한다.[15] 이 특정 게임에서 유일한 승리 조건은 지속적인 생존이다.[7] "어두운 숲" 가설의 특별한 경우, 필수 자원의 희소성이 추가적인 제약 조건으로 작용한다.[8] "어두운 숲"은 각 "플레이어"가 알려진 다른 문명을 파괴하거나, 자신의 존재를 다른 문명에 알리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행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확장형 게임으로 간주할 수 있다.[13]
6. 다른 페르미 역설 해답과의 관계
어두운 숲 가설은 광전사 가설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광전사 가설은 자체 복제 기계를 통해 유기 생명체를 파괴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한다.[5] 반면 어두운 숲 가설은 외계 문명이 서로를 불신하고, 새로 접촉한 문명의 의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먼저 공격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전략적 선택에 기반한다.[18]
어두운 숲 가설에서는 많은 외계 문명이 침묵을 지키며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광전사 가설은 치명적인 탐사선이 지적 생명체의 징후를 보이는 별 시스템으로만 보내지는 경우, 어두운 숲 가설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다.[7]
7. 공상 과학 소설에서의 묘사
프레드 새버하겐의 《버서커》 시리즈는 광전사 가설을 다룬 대표적인 작품이다.[5] 그렉 베어는 《신의 대장간》에서 "잔혹한 정글"이라는 개념을 통해 어두운 숲 가설과 유사한 상황을 묘사했다.[16] 《신의 대장간》에서 인류는 적대적인 숲에서 울고 있는 아기와 비유된다. 한 등장인물은 "옛날 옛적에 숲에서 길을 잃은 아기가 울부짖으며 아무도 대답하지 않는 이유를 궁금해하며 늑대를 불러들였지."라고 설명하며, "우리는 지난 세기 동안 어리석은 새처럼 나무에 앉아 다른 새들이 왜 대답하지 않는지 궁금해했지. 은하계 하늘은 매로 가득 차 있어. 조용히 있을 만큼 충분히 알지 못하는 행성은 잡아먹히지."라고 덧붙인다.[2] 류츠신의 《삼체》 삼부작은 어두운 숲 가설을 대중화하고, 그 논리와 함의를 심층적으로 탐구한 작품이다.
7. 1. 류츠신 소설에서의 어두운 숲 가설
류츠신은 어두운 숲 가설을 통해 외계 문명과의 접촉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18]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의심의 사슬"과 "기술 폭발"이라는 개념을 통해 어두운 숲 가설의 불가피성을 주장한다.[19][7]소설에서 예원제는 "우주 사회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세 가지 주요 공리를 소개한다.[19][7]
이러한 공리와 "의심의 사슬", "기술 폭발"을 고려하면, 스스로를 드러낸 모든 문명은 다른 문명에 의해 파괴될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19][7]
삼부작의 세 번째 책에서 싱어라는 외계인 등장인물은 어두운 숲을 두려워하지 않는 지적 생명체는 "두려움 없이 확장하고 공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20] 즉, 어두운 숲을 두려워하는 문명은 온순하고, 스스로를 드러내는 문명은 악하며, 사냥꾼은 집행자이자 보호자이다.
참조
[1]
뉴스
Outside/In[box]: What is the Dark Forest Theory?
https://nhpr.org/env[...]
2022-10-18
[2]
웹사이트
The Dark Forest
https://warwick.ac.u[...]
2023-06-03
[3]
뉴스
Is there evidence aliens have visited Earth? Here's what's come out of US congress hearings on 'unidentified aerial phenomena'
https://theconversat[...]
2022-10-27
[4]
간행물
Have We Already Been Visited by Aliens?
https://www.newyorke[...]
2022-10-27
[5]
서적
If the Universe Is Teeming with Aliens ... WHERE IS EVERYBODY?: Seventy-Five Solutions to the Fermi Paradox and the Problem of Extraterrestrial Life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5
[6]
저널
Are We All Alone, or could They be in the Asteroid Belt
https://rr0.org/time[...]
2024-08-20
[7]
뉴스
Beyond "Fermi's Paradox" XVI: What is the "Dark Forest" Hypothesis?
https://www.universe[...]
2022-10-18
[8]
뉴스
The Dark Forest: Theory of the Internet
http://blokmagazine.[...]
2022-10-18
[9]
저널
The Great Silence - the Controversy Concerning Extraterrestrial Intelligent Life
https://ui.adsabs.ha[...]
2022-10-18
[10]
웹사이트
The Fermi Paradox
https://higgs.ph.ed.[...]
2024-02-24
[11]
서적
The Dark Forest
Tor Publishing Group
2015
[12]
뉴스
China's 'Dark Forest' Answer to 'Star Wars' Optimism
https://www.discover[...]
2015-10-31
[13]
뉴스
Aliens, The Fermi Paradox, And The Dark Forest Theory
https://www.projectn[...]
2022-10-18
[14]
저널
Sequential Bargaining with Incomplete Information
https://academic.oup[...]
2022-10-18
[15]
서적
Handbook of Game Theory with Economic Applications
2002
[16]
뉴스
Self-Reproducing Machines From Another Planet : THE FORGE OF GOD by Greg Bear
https://www.latimes.[...]
2024-05-13
[17]
뉴스
Dark Forest theory: should we try to contact aliens?
https://www.fox2detr[...]
2022-10-18
[18]
저널
The Dark Forest Rule: One Solution to the Fermi Paradox
https://ui.adsabs.ha[...]
2022-10-18
[19]
서적
The dark forest
Tor
2015
[20]
서적
Death's end
https://www.worldcat[...]
Tor
2016
[21]
뉴스
Outside/In[box]: What is the Dark Forest Theory?
https://www.nhpr.org[...]
2022-10-18
[22]
저널
Hawking's fear of an alien invasion may explain the Fermi Paradox
https://www.tandfonl[...]
2022-10-18
[23]
서적
The dark forest
2015
[24]
뉴스
China's 'Dark Forest' Answer to 'Star Wars' Optimism
https://www.discover[...]
2015-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