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밀리 홉하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밀리 홉하우스는 영국의 인도주의자이자 제2차 보어 전쟁 당시 보어인들을 돕기 위한 활동으로 유명하다. 성공회 목사의 딸로 태어나, 20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를 간호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미국에서 복지 사업을 하던 중 사업 실패 후 귀국하여, 제2차 보어 전쟁 발발 후 보어인 여성과 어린이들의 참상을 알리고 구호 활동을 펼쳤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에 참여했으며, 전쟁 후에는 중부 유럽의 어린이와 여성들을 위한 구호 활동에 헌신했다. 홉하우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명예 시민으로 추대되었으며,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기념물과 행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홉하우스가 - 레너드 홉하우스
    레너드 홉하우스는 영국의 사회학자이자 정치 이론가로, 사회 정의를 위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며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융합한 사회 자유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여성주의자 - 샤를리즈 테론
    샤를리즈 테론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배우로, 다양한 영화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아 2003년 영화 《몬스터》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배우로 자리매김했고, 사회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여성주의자 - 올리브 슈라이너
    올리브 슈라이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작가이자 사상가, 사회 운동가로서, 《아프리카 농장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여성의 경제적 독립과 사회 참여를 옹호하며, 평화주의를 옹호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 문제와 정치적 상황에 관여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람 - 샤카 카센잔가코나
    샤카 카센잔가코나는 19세기 초 줄루족을 통일하고 군사 혁신을 통해 줄루 왕국을 남아프리카 지역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들었지만, 음페카네와 공포 정치로 인한 암살이라는 어두운 면모도 가진 지도자로서 줄루족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람 - 데이비드 F. 웰즈
    데이비드 F. 웰즈는 런던 대학교 등에서 학위를 받고 예일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를 했으며, 복음주의 신학 등을 주제로 여러 저서를 출판했다.
에밀리 홉하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02년 헨리 월터 바넷이 촬영한 에밀리 호브하우스
1902년 헨리 월터 바넷이 촬영한 에밀리 호브하우스
직업복지 운동가; 인도주의 운동가
출생일1860년 4월 9일
출생지세인트 아이브, 콘월, 잉글랜드
사망일1926년 6월 8일
사망지켄싱턴, 런던, 잉글랜드
부모레지널드 호브하우스 (아버지), 캐롤라인 트렐로니
친척레너드 트렐로니 호브하우스 (형제)

2. 어린 시절

에밀리 홉하우스는 성공회 사제(Anglican Rector)의 딸로 영국 콘월에서 태어났다. 20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이후 14년간 병약한 아버지를 간호했다. 1895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미국 미네소타주로 건너가 그곳에 살고 있던 콘월 광부들을 위한 복지 운동을 펼쳤다. 1898년 사업 실패 후 영국으로 귀국했다.[4][5]

콘월주 리스커드 근처 세인트 이브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성공회 목사이자 초대 보드민 부대주교였던 레지널드 홉하우스였다. 어머니는 캐롤라인(옛 성은 트렐로니)이었다. 그녀는 평화 운동가이자 사회 자유주의 옹호자인 레너드 트렐로니 홉하우스의 여동생이자, 평화 운동가 스티븐 헨리 홉하우스의 사촌으로 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 캔터베리 대주교 부인의 주선으로 콘월 광부들을 위한 복지 사업을 하던 중 존 카 잭슨과 약혼하고 멕시코목장을 샀으나 실패했고, 약혼도 깨졌다. 그녀는 투기 사업 실패로 돈을 거의 잃고 1898년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녀의 웨딩 베일(결혼식 때 한 번도 쓰지 않았다)은 오렌지 자유국 최초의 여성 복지 단체인 블룸폰테인의 오란제 브라우베르에버니히잉 (Orange Women's Society) 본사에 걸려 있으며, 이는 여성의 지위 향상에 대한 그녀의 헌신을 상징한다.

3. 제2차 보어 전쟁

1899년 제2차 보어 전쟁이 발발하자, 홉하우스는 레너드 코트니가 회장으로 있던 남아프리카 화해 위원회의 여성 조직 담당으로 임명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영국군의 초토화 작전으로 인해 많은 보어인 여성과 어린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6]

1900년 12월 7일, 홉하우스는 남아프리카 여성과 어린이를 위한 구호 모금을 조직하고 남아프리카로 구호 물품을 전달하기 위해 떠났다. 당시 남아프리카에는 34개의 강제 수용소가 있었다.

1901년 1월 24일, 홉하우스는 블로엠폰테인의 수용소에 도착하여 그곳의 참혹한 현실에 충격을 받았다. 비누는 사치품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비를 맞으며 질병과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특히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들의 모습은 충격적이었다. 홍역, 폐렴, 설사병과 같은 질병이 수용소에 퍼져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으며, 대부분은 어린이였다.[6]

리지 반 질, 블로엠폰테인의 영국강제수용소


이후 홉하우스는 노발스폰트, 알리왈 노스, 스프링폰테인, 킴벌리와 오렌지 리버에 있는 수용소도 방문하여 구호 활동을 펼쳤다.

영국으로 귀국한 홉하우스는 영국 정부와 언론으로부터 적을 돕는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가디언지는 언론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그녀의 이야기를 보도했다. 홉하우스는 전쟁의 참상을 알리고 더 많은 구호 자금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 영국 정부는 결국 밀리센트 포셋이 이끄는 포셋 위원회를 통해 홉하우스가 제기한 참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홉하우스의 위원회 참가는 허용되지 않았다.

1901년 케이프타운으로 돌아온 홉하우스는 입국이 거부되었고, 5일 후 다시 돌아가야 했다. 이유는 설명되지 않았다. 홉하우스는 프랑스로 건너가 자신이 본 전쟁에 대해 <<전쟁의 예봉과 그것이 떨어지는 곳>>이라는 책을 썼다.

제2차 보어 전쟁이 영국의 승리로 끝난 후, 1903년 홉하우스는 다시 남아프리카를 방문하여 보어인 여성들의 자활을 돕기 위해 재봉과 수예를 가르쳤다.

4. 제1차 세계 대전과 반전 운동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반대하는 운동에 앞장섰다. 1915년 1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여성들에게"라는 제목의 "열린 크리스마스 편지"를 작성하고 서명하여 출판하는 것을 조직했다.[10] 전쟁 이후에는 홉하우스의 조직을 통해 중앙 유럽에서 수천 명의 어린이와 여성들이 1년 넘게 매일 식량을 제공받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으며, 스테인 여사는 당시 17000GBP(오늘날 거의 500000GBP)가 넘는 금액을 모금하여 홉하우스에게 전달했다.[11]

홉하우스는 이러한 인도주의적 활동을 한 공로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민들은 홉하우스도 모르게 2300GBP를 모금했고, 이 돈으로 홉하우스는 콘월주 세인트 아이브스에 집을 구입했다. 이 집은 현재 포스민스터 호텔의 일부가 되었으며,[11] 호텔 라운지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고등 판무관 켄트 듀어 씨가 공개한 기념 명판이 있다.[12]

5. 유산

1926년 런던에서 별세하였으며, 그녀의 유해는 강제수용소가 있었던 블로엠폰테인에 세워진 국가 여성 기념탑에 안장되었다.[11] 남아프리카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호브하우스 마을이 있으며, 남아프리카 정부는 그녀를 기려 잠수함 한 척을 "에밀리 홉하우스"함으로 명명하였다.[12] 그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인도주의적인 활동을 한 공로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명예 시민이 되었다.[13]

홉하우스의 인도주의적 활동과 반전 평화 운동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특히, 홉하우스의 활동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3.1 운동 당시 여성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홉하우스를 제국주의에 맞서 싸운 용감한 여성, 전쟁의 참혹함을 알리고 평화를 위해 헌신한 선구자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녀의 업적은 다음과 같다.

종류내용
마을프리 스테이트주 동부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마을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호브하우스라고 명명되었다.
잠수함남아프리카 해군의 3척의 다프네급 잠수함 중 하나인 SAS 에밀리 홉하우스는 1969년에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94년 소수 통치 종식 이후 잠수함은 SAS 움콘토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대학교 거주지남아프리카 공화국 블룸폰테인의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 캠퍼스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지는 홉하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동상그녀가 태어난 콘월주 세인트 아이브 교구 교회에는 홉하우스의 동상이 있다.[15]
영화1990년 디르크 데 빌리에르스는 베로니카 랭을 에밀리 역으로 캐스팅하여 남아프리카 영화 그 영국 여성: 에밀리 홉하우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연출했다.[16]
영화2021년 영화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에는 홉하우스와 매우 흡사한 에밀리 옥스퍼드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그녀는 제2차 보어 전쟁 동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국의 포로 수용소의 상황을 비판하는 활동가로 묘사된다.
대학교 회의실2022년 엑서터 대학교 펜린 캠퍼스의 인문 사회 과학부(콘월)는 피터 래니언 빌딩에 있는 회의실의 이름을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ome https://emilyhobhous[...] 2019-08-20
[2] 논문 The limits of agency: Emily Hobhouse’s international activism and the politics of suffering 2018
[3] 웹사이트 Boer War biscuit http://www.bbc.co.uk[...] 2019-08-20
[4] 간행물 Hobhouse, Emily (1860–1926) http://www.oxforddnb[...] 2004-09-23
[5] 서적 The criminological foundations of penal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6] 웹사이트 Emily Hobhouse http://www.anglo-boe[...] 2024-01-04
[7] 웹사이트 Women & Children in White Concentration Camps during the Anglo-Boer War http://www.sahistory[...]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2010-10-25
[8] 서적 CB – A life of Sir Henry Campbell-Bannerman https://archive.org/[...] Constable and Company Limited 1973
[9] 서적 To Love One's Enemies, The Work and Life of Emily Hobhouse The Hobhouse Trust 1994
[10] 서적 International Woman Suffrage: November 1914 – September 1916 Taylor & Francis 2003
[11] 뉴스 St Ives Harbour Hotel: Spa Hotel with Stunning Cornwall Sea Views http://www.porthmins[...] 2018-09-20
[12] 뉴스 People: Emily Hobhouse https://pensilva-his[...] 2021-01-31
[13] 웹사이트 Index entry http://www.freebmd.o[...] ONS 2017-08-28
[14] 뉴스 Rich tribute to 'that bloody woman' 2008-06-19
[15] 웹사이트 St Ive, St Ivo http://www.chct.info[...] 2016-03-26
[16] 웹사이트 That Englishwoman: An Account of the Life of Emily Hobhouse (1990) - IMDb https://www.imdb.com[...]
[17] 웹사이트 Emily Hobhouse: Beloved Traitor https://www.goodread[...] 2019-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