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토니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토니아인은 핀우그리아계 민족으로, 5,000~4,000년 전에 발트 지방에 도착했다. 에스토니아어는 핀란드어와 함께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역사를 통해 발트족,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러시아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18년 독립 후, 1940년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었다가 1991년 재독립했다. 에스토니아는 언어적으로는 발트 3국과 다르며, 유전적으로는 핀란드인과 가깝다. 문화적으로는 북유럽 국가와 유대감을 가지며,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 과정을 통해 민족 의식이 확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라시안 -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공유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으로, 그들의 명칭은 우크라이나에서 유래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세계 여러 곳에 거주하며 1991년 독립 후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 유라시안 - 마자르인
    마자르인은 헝가리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우랄산맥 부근에서 이동하여 카르파티아 분지에 정착 후 헝가리 왕국을 건국했으며, 다양한 민족의 영향을 받았다.
  • 발트핀족 - 카렐인
    카렐인은 기원전 4000년경 볼가강 중류에서 기원하여 카렐리야 지역에 정착한 민족으로, 역사적으로 분쟁 지역에 위치하며 지배 세력이 여러 차례 바뀌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공화국으로 존속하며 문화와 언어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카리알라어를 사용하며 러시아 정교, 핀란드 정교, 루터교 등의 종교를 믿는다.
  • 발트핀족 - 크벤인
    크벤인은 노르웨이 북부에 거주하는 핀란드계 소수 민족으로, 차별적 용어로 사용되던 '크벤'이라는 용어를 문화 부활 운동을 통해 재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크벤 문화는 축제, 의상, 신문 등을 통해 유지되고 있고, 권익 보호와 문화 보존을 위한 단체와 기관들이 활동하고 있다.
에스토니아인
기본 정보
에스토니아 디아스포라의 주요 거주 지역 지도
에스토니아 디아스포라의 주요 거주 지역 지도
민족명에스티인 (eestlased)
총 인구약 110만 명
주요 거주 지역에스토니아: 919,711명 (2020년 기준)
핀란드: 49,590–100,000명
미국: 27,113명 (2013년 기준)
스웨덴: 25,509명
캐나다: 24,000명
러시아: 17,875명 (2015년 기준)
영국: 10,000–15,000명
오스트레일리아: 7,543명
독일: 6,286명
노르웨이: 5,092명
우크라이나: 2,868명
아일랜드: 2,560명
벨기에: 2,000명
라트비아: 1,676명
덴마크: 1,606명
네덜란드: 1,482명
사용 언어에스토니아어, 버로어, 세토어
종교대부분 무종교, 역사적으로 루터교가 우세; 현재 루터교와 지역 동방 정교회(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소수 존재
관련 민족발트 핀족
대표 인물
크리스티안 팔루살루
크리스티안 팔루살루
알폰스 레바네
알폰스 레바네
칼 로베르트 야콥손
칼 로베르트 야콥손
리디아 코이둘라
리디아 코이둘라
마리 운더
마리 운더
아르보 패르트
아르보 패르트
카르멘 카스
카르멘 카스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프리드리히 라인홀트 크로이츠발트
프리드리히 라인홀트 크로이츠발트
안톤 한센 탐사레
A. H. 탐사레
레나르트 메리
레나르트 메리
파울 케레스
파울 케레스

2. 역사

핀우그리아계 민족이 오늘날 에스토니아를 비롯한 발트 지방에 도착한 것은 늦어도 5,000 - 4,000년 전으로 추정된다. 고대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의 저작에 처음 "에스티"(Aestii)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에스토니아어는 가까운 핀란드어와 같이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약 1,000년 전에 조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두 언어가 갈라진 것은 그리 오래 전의 일이 아니다.

이들은 발트족과 상호작용하며 발트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해왔으며,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등의 지배를 받다가 18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1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민족주의가 떠올랐고 1918년 에스토니아가 독립하였다. 1940년대에는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었다가 1991년 다시 독립하였다. 이처럼 근대에 러시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한편 과거부터 스칸디나비아 지역과의 관계도 깊어 에스토니아인들은 스스로 발트보다는 스칸디나비아에 더 소속감을 느낀다고 조사되었는데[97][98], 여기에는 핀란드와 민족적, 언어적으로 가까운 이유도 강하게 작용한다.

2. 1. 선사 시대

핀우그리아계 민족이 오늘날 에스토니아를 비롯한 발트 지방에 도착한 것은 늦어도 5,000 - 4,000년 전으로 추정된다. 고대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의 저작에 처음 "에스티"(Aestii)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에스토니아어는 가까운 핀란드어와 같이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약 1,000년 전에 조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두 언어가 갈라진 것은 그리 오래 전의 일이 아니다.

에스토니아에는 약 10,000년 전, 발트해 빙호(Baltic ice lake)의 얼음이 녹은 직후 처음으로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5,000년 이상 같은 지역에 거주했다는 것은 에스토니아인의 조상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민 중 하나로 간주할 수 있게 한다.[21] 반면, 최근의 언어학적 추정에 따르면 핀 우그리아어 화자들이 비교적 늦게, 아마도 초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800년경)에 발트해에 도착했을 수 있다.[22][23] 서부 우랄 부족이 먼저 페노스칸디아에 도달하여 사미족의 형성을 이끌었고, 청동기 시대 후반[24] 또는 늦어도 철기 시대로의 전환기에 발트해 지역에 도착했다는 주장도 있다.[44] 이는 에스토니아인과 핀족과 같은 집단으로 발전하게 될 발트 핀족의 형성을 이끌었다.[24]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의 거주지는 기원전 9000년부터 8500년까지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초기 주민들은 수렵과 어로로 생활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지역의 초기 문화는 쿤다 문화와 그 뒤를 잇는 나르바 문화가 있다. 그 후, 캄파니아 문화가 기원전 4150년부터 기원전 3650년 사이에 에스토니아로 확산되었다. 그 다음에는 남쪽에서 발트인이 에스토니아에 도착하여 이 지역의 핀란드계 주민과 융합했다.[76]

농업이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중세 초 무렵이며, 이와 동시에 핀란드어 에스토니아 방언도 생겨나기 시작했다고 생각된다. 최초의 거주자가 사용했던 언어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지만, 현대 에스토니아와 관련된 초기 우랄 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약 5000년 전에 현재의 에스토니아 부근에 도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77] 유럽에서 약 5000년 이상 같은 지역에 살면서 가장 오래된 반영구적으로 거주했던 사람들이 에스토니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78] 한편, 최근의 몇몇 언어학적 추정에 따르면, 아마도 핀-우고르어족이 꽤 늦은 초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약 1800년경)에 발트해 주변으로 도달했음을 시사하고 있다.[79][80]

2. 2. 고대

핀우그리아계 민족이 오늘날 에스토니아를 비롯한 발트 지방에 도착한 것은 늦어도 5,000 - 4,000년 전의 일로 추정된다. 고대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의 저작에 처음 "에스티"(Aestii)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에스토니아어는 가까운 핀란드어와 같이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약 1,000년 전에 조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두 언어가 갈라진 것은 그리 오래 전의 일이 아니다.

에스토니아는 약 10,000년 전, 발트해 빙호의 얼음이 녹은 직후 처음으로 거주가 시작되었다. 5,000년 이상 같은 지역에 거주했다는 것은 에스토니아인의 조상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민 중 하나로 간주할 수 있게 한다.[21] 반면, 최근의 언어학적 추정에 따르면 핀 우그리아어 화자들이 비교적 늦게, 아마도 초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800년경)에 발트해에 도착했을 수 있다.[22][23] 서부 우랄 부족이 먼저 페노스칸디아에 도달하여 사미족의 형성을 이끌었고, 청동기 시대 후반[24] 또는 늦어도 철기 시대로의 전환기에 발트해 지역에 도착했다는 주장도 있다.[44] 이는 에스토니아인과 핀족과 같은 집단으로 발전하게 될 발트 핀족의 형성을 이끌었다.[24]

에스토니아인의 가장 오래된 알려진 고유 명칭은 maarahvaset로, 문자 그대로 "땅의 사람들" 또는 "시골 사람들"을 의미한다.[25] 이는 에스토니아 민족 부흥 동안 점차 ''Eesti rahvas'' "에스토니아인"으로 대체된 19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다.[26][27] 에스토니아의 현대적인 고유 명칭인 ''Eesti''는 게르만족이 비스툴라강 어귀 북동쪽에 사는 이웃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한 이름인 ''아에스티''와 유사한 기원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서기 98년에 "''아에스티''"를 처음으로 언급했다. 고대 노르드어에서 핀란드만 남쪽의 땅은 ''Eistland''라고 불렸고, 그 사람들은 ''eistr''이라고 불렸다. 완라트-쾰 교리 문답, 에스토니아어로 된 최초의 알려진 책은 1525년에 인쇄되었으며, 에스토니아어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예는 13세기 연대기에서 유래한다.

2. 3. 중세

핀우그리아계 민족이 오늘날 에스토니아를 비롯한 발트 지방에 도착한 것은 늦어도 5,000 - 4,000년 전의 일로 추정된다. 고대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의 저작에 처음 "에스티"(Aestii)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에스토니아어는 가까운 핀란드어와 같이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약 1,000년 전에 조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두 언어가 갈라진 것은 그리 오래 전의 일이 아니다.

이들은 발트족과 상호작용하며 발트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해왔으며,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등의 지배를 받다가 18세기부터는 에스토니아가 러시아 제국의 영토로 넘어갔다.

2. 4. 근세

에스토니아인들은 발트족과 상호작용하며 발트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해왔으며,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등의 지배를 받다가 18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의 영토로 넘어갔다. 1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민족주의가 떠오르기 시작했고 1918년 에스토니아가 독립하였다. 1940년대에는 소비에트 연방으로 편입되었다가 1991년 다시 독립하였다. 이처럼 근대에 러시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한편 과거부터 스칸디나비아 지역과의 관계도 깊어 에스토니아인들은 스스로 발트보다는 스칸디나비아에 더 소속감을 느낀다고 조사되었는데[97][98], 여기에는 핀란드와 민족적, 언어적으로 가까운 이유도 강하게 관여한다.

2. 5. 민족 각성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 과정에서 19세기에 에스토니아의 민족 의식이 확산되었지만,[28] 어느 정도의 민족적 자각은 이 발전보다 앞섰다.[29] 18세기까지 에스토니아인들 사이에서 eestlaneet이라는 자칭이 오래된 maarahvaset와 함께 퍼져나갔다.[25] 안톤 토르 헬레가 성경을 에스토니아어로 번역한 것은 1739년에 출판되었으며, 1750년대에 18권에서 1790년대에는 54권으로 에스토니아어로 출판된 책자와 소책자의 수가 증가했다. 19세기 말까지 성인 농민의 절반 이상이 글을 읽을 수 있었다. 프리드리히 로베르트 페흘만 (1798–1850), 크리스티얀 야크 페테르손 (1801–1822) 및 프리드리히 라인홀트 크로이츠발트 (1803–1882)를 포함하여 에스토니아인으로 자처하는 최초의 대학 교육을 받은 지식인들이 1820년대에 등장했다. 통치 엘리트는 13세기 초 정복 이후 주로 언어와 문화에서 독일인으로 남아 있었다. 가르리프 메르켈 (1769–1850)은 발트 독일계 에스토니아 애호가로, 에스토니아인을 다른 민족과 동등하게 대하는 최초의 작가가 되었다. 그는 19세기 중반까지 발트 독일 문화 세계를 모델로 하여 에스토니아 민족 운동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에스토니아인들은 더 야심을 갖게 되었고 핀란드인의 민족 운동 모델을 따르거나, 어느 정도는 이웃한 라트비아 민족 운동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1860년대 말까지 에스토니아인들은 독일 문화 및 정치적 헤게모니에 타협하려 하지 않았다. 1880년대의 러시아화 시도 이전에는 러시아 제국에 대한 그들의 견해는 긍정적이었다.[29]

스웨덴 통치 하에 설립된 공교육 시스템으로 인해 에스토니아와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지역이 되었다. (1897년 인구 조사 문맹률 데이터 지도)


에스토니아 농부들이 카드 게임을 하고 있다.(오스카 호프만作, 1895년경)

2. 6. 독립과 소련 점령

에스토니아는 1918년에 독립하였으나, 1940년대에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었다가 1991년에 다시 독립하였다.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은 소련 체제 하에서 러시아 및 구 소련 연방 주민들이 에스토니아의 공업 도시로 강제 이주되는 것을 경험했으며, 전시 이주 및 스탈린의 집단 강제 추방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88]

2. 7. 독립 회복과 현대

독립을 회복한 후, 에스토니아는 국내에서 다수 민족이 되는 소수 주민이 다국적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것을 경계하여 시민권을 취득하는 데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국민 국가를 성립시켰다.[97][98] 에스토니아에서는 이중 국적이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에스토니아 시민으로서의 지위를 포기하는 개인은 시민권을 회복할 권리가 없다.

3. 인구와 이주

에스토니아는 역사적으로 인구 이동이 잦았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 침공 당시,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이 발트해를 건너 스웨덴이나 독일로 피난했다.[37] 이들 중 일부는 이후 캐나다, 영국, 미국, 호주 등으로 이주했으며, 1991년 에스토니아 독립 이후 다시 고국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독립 이후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핀란드, 영국, 베네룩스, 스웨덴, 독일 등지로 이주하는 에스토니아인들이 많아졌다.[38] 특히 핀란드는 지리적, 문화적으로 가까워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이 이주하는 곳이다.[89]

에스토니아 정부는 낮은 출산율과 이민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출산율을 높이고 해외로 이주한 에스토니아인들을 귀국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대통령은 "Talendid koju!" ("인재를 집으로!") 캠페인을 지원했다.[90] 이 캠페인은 에스토니아에 필요한 특정 기술을 가진 에스토니아인들의 귀환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9]

3. 1. 해외 이주

1710년부터 1917년까지 차르 통치 기간 동안 10만 명 이상의 에스토니아인이 러시아 제국으로 이주했으며, 특히 당시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했다.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6,852명의 에스토니아 원어민이 이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러시아 분할 지역(현재의 폴란드,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라트비아, 서부 우크라이나)에 거주했으며, 이 중 4,360명 이상이 오늘날의 폴란드 영토에 거주했다.[35][36]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에스토니아가 소련군에 의해 침공당했을 때, 많은 수의 에스토니아인들이 발트해를 건너 배나 작은 보트를 타고 고국을 탈출했다. 위험한 해상 항해에서 살아남아 스웨덴이나 독일로 피난한 많은 난민들은 이후 캐나다, 영국, 미국 또는 호주로 이주했다.[37] 이들 난민과 그 후손 중 일부는 1991년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되찾은 후 에스토니아로 돌아왔다.

독립 이후,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이 주로 핀란드에서, 그리고 영국, 베네룩스, 스웨덴, 독일에서 해외에서 일하는 것을 선택했다.[38] 에스토니아 정부는 낮은 출산율과 이민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출산율을 높이고 이주한 에스토니아인을 에스토니아로 다시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시작했다. 예를 들어, "Talendid koju!" ("인재를 집으로!")[39] 캠페인은 에스토니아에 필요한 특정 기술을 가진 에스토니아인들의 귀환을 조정하고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에스토니아 외부에 있는 가장 큰 에스토니아인 영구 공동체 중 하나는 캐나다에 있으며, 약 24,000명[6](일부 자료에 따르면 최대 50,000명)[40]이 거주하고 있다.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에 약 17,000명이 캐나다에 도착했으며, 처음에는 몬트리올에 정착했다.[41] 현재 토론토는 에스토니아 외부에 에스토니아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도시이다. 제1회 에스토니아 세계 축제가 1972년 토론토에서 개최되었다.

3. 2. 이민 문제와 정부 정책

1710년부터 1917년까지 에스토니아는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 기간 동안 10만 명이 넘는 에스토니아인들이 러시아 제국 내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특히 당시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많이 이주했다.[35]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6,852명의 에스토니아 원어민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러시아 분할 지역(현재의 폴란드,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라트비아, 서부 우크라이나)에 거주했으며, 이 중 4,360명 이상이 오늘날의 폴란드 영토에 거주했다.[36]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소련군이 에스토니아를 침공하자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이 배나 작은 보트를 타고 발트해를 건너 고국을 탈출했다.[37] 위험한 항해에서 살아남아 스웨덴이나 독일로 피난한 난민들은 이후 캐나다, 영국, 미국, 호주 등으로 이주했다.[37] 이들 난민과 그 후손 중 일부는 1991년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되찾은 후 에스토니아로 돌아왔다.

독립 이후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이 주로 핀란드, 영국, 베네룩스, 스웨덴, 독일 등에서 해외 취업을 선택했다.[38] 특히 핀란드는 지리적으로 가깝고 교류가 용이하여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이 이주했다.[89]

에스토니아 정부는 낮은 출산율과 이민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를 인식하고, 출산율을 높이고 해외로 이주한 에스토니아인들을 귀국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대통령은 "Talendid koju!" ("인재를 집으로!") 캠페인을 지원하여[90] 에스토니아에 필요한 특정 기술을 가진 에스토니아인들의 귀환을 장려했다.[39]

에스토니아는 독립 회복 이후, 국내 다수 민족이 되는 소수 주민의 다국적 정체성 수용을 경계하며 시민권 취득에 엄격한 규칙을 적용하는 국민 국가를 수립했다. 에스토니아는 이중 국적을 인정하지 않으며, 에스토니아 시민권을 포기한 사람은 시민권을 회복할 권리가 없다.

4. 언어

에스토니아인은 발트-핀어파에 속하는 에스토니아어를 사용한다. 에스토니아는 전통적으로 발트 3국 중 하나이지만, 에스토니아인은 언어적으로 라트비아리투아니아발트족과는 다르다.

인종적으로, 신체적 특징은 핀족과 마찬가지로 전형적인 스칸디나비아 인종에 속하는 코카서스 인종이지만, 다른 우랄족과 마찬가지로 몽골로이드 계통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낮은 빈도에서 중간 빈도로 나타난다.[93]

5. 유전적 특징

에스토니아인은 신체적으로는 스칸디나비아 인종에 속하는 코카서스 인종이지만, 다른 우랄족과 마찬가지로 몽골로이드 계통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낮은 빈도에서 중간 빈도로 나타난다. 하플로그룹 N은 기원전의 중국 동북부에 있는 랴오허 문명인에게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93]

에스토니아인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은 여러 조사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조사하플로그룹 N하플로그룹 R1a하플로그룹 I
조사 1[94]40.6%--
조사 2[95]-37.3%-
조사 3[96]--18.6%


5. 1. 단일 부계 하플로그룹

에스토니아인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은 N1c (35.7%),[42] R1a (33.5%)[43] 및 I1 (15%)을 포함한다.[42] 동유럽에서 흔히 발견되는 R1a[47]는 에스토니아의 우랄어 이전 거주민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Y-DNA 하플로그룹이었으며, 끈무늬 토기 문화와 청동기 시대의 지역 샘플에서 유일하게 발견되는 하플로그룹이다. N1c의 출현은 우랄어 사용자의 도착과 관련이 있다.[44] 이 하플로그룹은 동유라시아에서 기원했으며[45] 현대의 우랄어 사용 집단뿐만 아니라 에스토니아의 발트어 사용 이웃인 라트비아인리투아니아인을 포함한 다른 북유라시아인들도 흔히 가지고 있다.[42] 발트인과 비교했을 때, 에스토니아인은 N1c 하플로타입의 대립 유전자 변이에서 차이를 보이며, 다른 핀-우그리아어 사용자와 더 유사한 점을 보인다.[46][47]

다른 조사에서는 하플로그룹 N이 40.6%[94], 하플로그룹 R1a가 37.3%[95], 하플로그룹 I가 18.6%로 나타났다.[96]

5. 2. 단일 모계 하플로그룹

maarahvaset는 에스토니아인의 가장 오래된 고유 명칭으로, 문자 그대로 "땅의 사람들" 또는 "시골 사람들"을 의미한다.[25] 이는 에스토니아 민족 부흥 동안 점차 ''Eesti rahvas'' ("에스토니아인")으로 대체된 19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다.[26][27] 에스토니아의 현대 고유 명칭인 ''Eesti''는 게르만족이 비스툴라강 어귀 북동쪽에 사는 이웃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한 이름인 ''아에스티''와 유사한 기원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서기 98년에 "''아에스티''"를 처음으로 언급했다. 고대 노르드어에서 핀란드만 남쪽의 땅은 ''Eistland''라고 불렸고, 그 사람들은 ''eistr''이라고 불렸다. 완라트-쾰 교리 문답, 에스토니아어로 된 최초의 알려진 책은 1525년에 인쇄되었으며, 에스토니아어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예는 13세기 연대기에서 유래한다.

5. 3. 상염색체 DNA





자가염색체 분석 결과 에스토니아인은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과 유전적으로 가깝지만, 대부분의 유럽 인구 집단과 격리된 핀란드인에 더 가깝다.[50][51][52][53] 북동부 에스토니아인은 특히 핀란드인과 가깝고, 남동부 에스토니아인은 발트인과 가깝다. 다른 에스토니아인은 이 두 극단 사이에서 분포한다.[49]

에스토니아인은 서부 스텝 유목민과 유사한 혼합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서유럽 및 중유럽인보다 초기 유럽 농부 관련 혼합 유전자는 적고 수렵 채집인 관련 혼합 유전자는 더 많다. 이러한 패턴은 발트인, 핀란드인, 그리고 모르도바인에서도 발견된다.[54] 우랄어족은 일반적으로 시베리아 관련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에스토니아인에게도 존재하며 평균적으로 조상의 약 5%를 차지한다. 이는 다른 발토-핀족보다 그 비중이 적지만, 발트인과 구별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45] 에스토니아인은 또한 발트어 사용 인구보다 핀란드인과 유사한 조상을 상당히 더 많이 가진 것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53][46]

에스토니아인은 다른 연구된 발토-핀족 집단(핀란드인, 카렐인 및 베프스인)과 사미인, 그리고 폴란드인과 IBD(혈통에 따른 동일성) 세그먼트를 많이 공유한다.[50]

6. 문화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 과정에서 19세기에 에스토니아인의 민족 의식이 확산되었지만,[28] 18세기까지 eestlaneet이라는 자칭은 오래된 maarahvaset와 함께 에스토니아인들 사이에서 퍼져나가면서 어느 정도의 민족적 자각은 이보다 앞섰다.[29] [25] 1739년 안톤 토르 헬레가 성경을 에스토니아어로 번역하여 출판했으며, 에스토니아어로 출판된 책자와 소책자의 수는 1750년대 18권에서 1790년대 54권으로 증가했다. 19세기 말까지 성인 농민의 절반 이상이 글을 읽을 수 있었다.

1820년대 프리드리히 로베르트 페흘만, 크리스티얀 야크 페테르손, 프리드리히 라인홀트 크로이츠발트를 포함, 에스토니아인으로 자처하는 최초의 대학 교육을 받은 지식인들이 등장했다. 13세기 초 정복 이후 통치 엘리트는 주로 언어와 문화에서 독일인으로 남아 있었다. 가르리프 메르켈은 발트 독일계 에스토니아 애호가로, 에스토니아인을 다른 민족과 동등하게 대하는 최초의 작가였으며, 19세기 중반까지 발트 독일 문화 세계를 모델로 에스토니아 민족 운동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19세기 중반, 에스토니아인들은 핀란드인의 성공적인 민족 운동 모델과 이웃한 라트비아 민족 운동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1860년대 말까지 에스토니아인들은 독일 문화 및 정치적 헤게모니에 타협하려 하지 않았다. 1880년대 러시아화 시도 이전에는 러시아 제국에 대한 그들의 견해는 긍정적이었다.[29]

에스토니아인들은 수세기 동안 스칸디나비아독일의 지배와 정착을 통해 얻은 중요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으로 인해 북유럽 국가와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30]

에스토니아인의 민족 의상:
1. 카드리나 2. 미클리 3. 세투인 4. 칼크시


에스토니아인의 민족 의상:
5. 무후 6. 칼랴 7. 퇴스타마 8. 할링가

6. 1. 민족 의식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 과정에서 19세기에 에스토니아의 민족 의식이 확산되었지만,[28] 18세기까지 eestlaneet이라는 자칭은 오래된 maarahvaset와 함께 에스토니아인들 사이에서 퍼져나가면서 어느 정도의 민족적 자각은 이보다 앞섰다.[29] [25] 1739년에는 안톤 토르 헬레가 성경을 에스토니아어로 번역하여 출판했으며, 에스토니아어로 출판된 책자와 소책자의 수는 1750년대 18권에서 1790년대 54권으로 증가했다. 19세기 말까지 성인 농민의 절반 이상이 글을 읽을 수 있었다.

1820년대에는 프리드리히 로베르트 페흘만 (1798–1850), 크리스티얀 야크 페테르손 (1801–1822), 프리드리히 라인홀트 크로이츠발트 (1803–1882)를 포함하여 에스토니아인으로 자처하는 최초의 대학 교육을 받은 지식인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13세기 초 정복 이후 통치 엘리트는 주로 언어와 문화에서 독일인으로 남아 있었다. 가르리프 메르켈 (1769–1850)은 발트 독일계 에스토니아 애호가로, 에스토니아인을 다른 민족과 동등하게 대하는 최초의 작가가 되었다. 그는 19세기 중반까지 발트 독일 문화 세계를 모델로 하여 에스토니아 민족 운동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19세기 중반, 에스토니아인들은 더 야심을 갖게 되었고 핀란드인의 성공적인 민족 운동 모델과 어느 정도는 이웃한 라트비아 민족 운동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1860년대 말까지 에스토니아인들은 독일 문화 및 정치적 헤게모니에 타협하려 하지 않았다. 1880년대의 러시아화 시도 이전에는 러시아 제국에 대한 그들의 견해는 긍정적이었다.[29]

에스토니아인들은 수세기 동안 스칸디나비아독일의 지배와 정착을 통해 얻은 중요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으로 인해 북유럽 국가와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30]

6. 2. 민속 의상

1. 2. {{lang||en||콩가 교구||en||칼크시]]

참조

[1] 웹사이트 Estai https://www.vle.lt/s[...]
[2]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 nationality http://andmebaas.sta[...] Statistics Estonia 2021-06-06
[3] 웹사이트 Population http://www.stat.fi/t[...] Statistics Finland 2018-06-06
[4] 웹사이트 Up to 100 000 Estonians work in Finland http://bnn-news.com/[...] Baltic News Network 2018-10-04
[5] 웹사이트 Table B04006 - People Reporting Ancestry - 2021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2-09-17
[6] 웹사이트 Canada-Estonia Relations http://www.canadaint[...] 2015-03-17
[7] 웹사이트 Eestlased Rootsis http://www.rootsiees[...] 2015-06-07
[8]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9] 웹사이트 United Kingdom https://vm.ee/en/cou[...] 2016-05-12
[10] 웹사이트 2054.0 Australian Census Analytic Program: Australians' Ancestries (2001 (Corrigendum)) http://www.ausstats.[...]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1-09-17
[11] 웹사이트 Pressemitteilungen – Ausländische Bevölkerung – Statistisches Bundesamt (Destatis) https://www.destatis[...]
[12] 뉴스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1 January 2016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13] 웹사이트 Th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by nationality and mother tongue http://www.ukrcensus[...]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14] 웹사이트 Persons usually resident and present in the State on Census Night, classified by place of birth and age group http://www.cso.ie/st[...]
[15] 웹사이트 Estemb in Belgium and Luxembourg http://www.estemb.be[...] 2015-03-17
[16] 웹사이트 Usually resident population by ethnicity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 2018 https://data1.csb.go[...]
[17] 웹사이트 Statistikbanken https://www.statisti[...]
[18] 웹사이트 Official CBS website containing all Dutch demographic statistics http://statline.cbs.[...]
[19] 서적 Measuring Police Integrity Across the World: Studies from Established Democracies and Countries in Transition Springer 2015-06-10
[20] 웹사이트 Is Estonia really the least religious country in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11-09-16
[21] 서적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22] 문서 Petri Kallio 2006: Suomalais-ugrilaisen kantakielen absoluuttisesta kronologiasta. — Virittäjä 2006. (With English summary).
[23] 웹사이트 Kantauralin ajoitus ja paikannus: perustelut puntarissa. – Suomalais-Ugrilaisen Seuran Aikakauskirja http://www.sgr.fi/su[...]
[24] 서적 Homo Fennicus – Itämerensuomalaisten etnohistoria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20
[25] 간행물 Maakeel ja eesti keel. Eesti NSV Teaduste Akadeemia Toimetised 5: 117–24; Beyer, Jürgen (2007). Ist ''maarahvas'' ('Landvolk'), die alte Selbstbezeichnung der Esten, eine Lehnübersetzung? Eine Studie zur Begriffsgeschichte des Ostseeraums
[26] 간행물 Are Folklorists Studying the Tales of the Folk? 2011-04-01
[27] 간행물 '"Terre, armas eesti rahwas!": Kuidas maarahvast ja maakeelest sai eesti rahvas, eestlased ja eesti keel' https://www.etis.ee/[...] 2020-01-21
[28] 간행물 Do nations have navels?
[29] 간행물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century Estonian nationalism revisited
[30] 문서 Historical heritage: the relations between Estonia and her Nordic neighbors. In M. Lauristin et al. (eds.), Return to the Western world: Cultur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on the Estonian post-communist transition Tartu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How Nordic is Estonia?: An overview since 1991 https://nordics.info[...] 2023-10-12
[32] 웹사이트 Estonian foreign ministry report http://web-static.vm[...] 2004
[33] 웹사이트 Estonian foreign ministry report http://web-static.vm[...] 2002
[34] 웹사이트 Оптационная кампания и эвакуация граждан прибалтийских государств на историческую родину в начале 1920–х годов http://library.krasu[...]
[35] 웹사이트 Привислинские губернии https://www.demoscop[...] 2024-01-09
[36] 웹사이트 Средняя Азия https://www.demoscop[...] 2024-01-09
[37] 서적 By Land and By Sea Booklocker 2015
[38] 웹사이트 The CIA World Factbook Country Comparison of net migration rate https://web.archive.[...] 2011-11-08
[39] 웹사이트 Toome talendid Eestimaale tagasi – Talendid Koju! https://web.archive.[...] 2011-11-08
[40] 웹사이트 Estonian Embassy in Ottawa https://web.archive.[...] 2015-03-17
[41] 웹사이트 The Estonian Presence in Toronto https://web.archive.[...] 2015-03-17
[42] 서적 Homo Fennicus – Itämerensuomalaisten etnohistoria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20
[43] 간행물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44] 간행물 The Arrival of Siberian Ancestry Connecting the Eastern Baltic to Uralic Speakers further East 2019-05
[45] 간행물 Genes reveal traces of common recent demographic history for most of the Uralic-speaking populations 2018
[46] 간행물 Population Genetics of Latvians in the Context of Admixture between North-Eastern European Ethnic Groups 2018-06-01
[47] 논문 Human genetic variation in the Baltic Sea region: features of population history and natural selection http://hdl.handle.ne[...] Helsinki University Print 2009
[48] 간행물 Genetics of the peloponnesean populations and the theory of extinction of the medieval peloponnesean Greeks 2017
[49] 간행물 Differences in local population history at the finest level: the case of the Estonian population 2020
[50] 간행물 Genes reveal traces of common recent demographic history for most of the Uralic-speaking populations 2018
[51] 간행물 Genetic Structure of Europeans: A View from the North–East 2009-05-08
[52] 간행물 Genetic Heritage of the Balto-Slavic Speaking Populations: A Synthesis of Autosomal,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ata 2015-09-02
[53] 간행물 A Genome-Wide Analysis of Populations from European Russia Reveals a New Pole of Genetic Diversity in Northern Europe 2013-03-07
[54] 간행물 Mistä suomalaisten perimä on peräisin? https://researchport[...] 2023
[55] 문서 Population by ethnic nationality Statistics Estonia 2020-06
[56] 웹사이트 Population http://www.stat.fi/t[...] Statistics Finland 2018-04-04
[57] 웹사이트 Up to 100 000 Estonians work in Finland http://bnn-news.com/[...] Baltic News Network 2010-12-27
[58] 웹사이트 Total ancestry categories tallied for people with one or more ancestry categories reported 2013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archive.toda[...] United States Census Bureau
[59] 웹사이트 Canada-Estonia Relations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Eestlased Rootsis https://web.archive.[...]
[61] 문서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15-05-17
[62] 웹사이트 United Kingdom https://vm.ee/en/cou[...]
[63] 문서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64] 문서 Pressemitteilungen – Ausländische Bevölkerung – Statistisches Bundesamt (Destatis)
[65] 문서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1 January 2016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66] 문서 Th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by nationality and mother tongue
[67] 문서 Persons usually resident and present in the State on Census Night, classified by place of birth and age group
[68] 문서 Estemb in Belgium and Luxembourg
[69] 문서 Usually resident population by ethnicity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 2018
[70] 문서 Statistikbanken
[71] 웹사이트 Official CBS website containing all Dutch demographic statistics http://statline.cbs.[...] Cbs.nl 2017-07-04
[72] 뉴스 Suomi ja Viro ovat yhdessä erilaiset Sukulaiskansojen on joskus vaikea ymmärtää itseään, toisiaan ja naapureitaan Helsingin Sanomat 1993-07-22
[73] 뉴스 Virolaiset kuvasivat Suomea ja suomalaiset Viroa – uudet valokuvat näyttävät mitä veljeskansat ajattelevat toisistaan Helsingin Sanomat 2018-01-24
[74] 웹사이트 Yle TV2 -kanavan edelleenlähettäminen Viroon päättyy yle.fi 2020-06-15
[75] 웹사이트 Keelpolitsei valvab Kotimaisten kielten keskus 2020-06-15
[76] 서적 Viron historia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7
[77] 논문 'Y-Chromosomal Diversity Suggests that Baltic Males Share Common Finno-Ugric-Speaking Forefathers' http://content.karge[...] 2002
[78] 서적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79] 간행물 Suomalais-ugrilaisen kantakielen absoluuttisesta kronologiasta 2006
[80] 간행물 Kantauralin ajoitus ja paikannus: perustelut puntarissa http://www.sgr.fi/su[...] 2009
[81] 간행물 Do nations have navels? 1996
[82] 간행물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century Estonian nationalism revisited http://www.blackwell[...] 2003
[83] 간행물 Maakeel ja eesti keel 1956
[84] 서적 Historical heritage: the relations between Estonia and her Nordic neighbors Tartu University Press 1997
[85] 웹사이트 Estonian foreign ministry report http://web-static.vm[...] 2004
[86] 웹사이트 Estonian foreign ministry report http://web-static.vm[...] 2002
[87] 웹사이트 Оптационная кампания и эвакуация граждан прибалтийских государств на историческую родину в начале 1920-х годов http://library.krasu[...]
[88] 웹사이트 Estonian.eu: Soviet deportations from Estonia in 1940s http://estonia.eu/ab[...]
[89] 웹사이트 The CIA World Factbook Country Comparison of net migration rate https://www.cia.gov/[...]
[90] 웹사이트 Talendid koju! http://www.talendidk[...]
[91] 웹사이트 http://www.estemb.ca[...]
[92] 웹사이트 http://www.tgmag.ca/[...]
[93]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2013
[94] 논문 Y-chromosomal diversity in Europe is clinal and influenced primarily by geography, rather than by language 2000-12
[95] 논문 Y-chromosomal diversity suggests that Baltic males share common Finno-Ugric-speaking forefathers 2002
[96] 학위논문 Human Y-chromosomal variation in European populations hdl:10062/1252 Tartu University Press 2004
[97] 웹사이트 Estonian foreign ministry report http://web-static.vm[...] 2004
[98] 웹사이트 Estonian foreign ministry report http://web-static.vm[...]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