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우그리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우그리아족은 핀족과 우골족을 포함하는 민족 집단이다. 핀족은 발트해, 볼가강, 페름 지역 등에 거주하며, 핀인, 에스토니아인, 카렐리야인 등을 포함한다. 우골족은 도나우강과 오비강 유역에 거주하며, 마자르인, 한티인, 만시인 등이 속한다. 이들은 우랄어족의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몽골로이드와 코카소이드의 혼혈 형질을 보인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Y염색체 하플로그룹 N1 계통이 관련되어 있으며, mtDNA 하플로그룹 Z 역시 이들과 연관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핀우그리아족 | |
---|---|
개요 | |
종류 |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는 민족 |
거주 지역 | 러시아, 핀란드, 헝가리, 에스토니아 등 |
사용 언어 |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 언어 (모국어) |
관련 민족 | 사모예드인 |
인구 현황 | |
총 인구 | 약 26,505,000명 |
헝가리 | 9,982,000명 |
핀란드 | 4,948,400명 |
러시아 | 2,322,000명 |
미국 | 2,288,100명 |
루마니아 | 1,227,623명 |
에스토니아 | 936,000명 |
슬로바키아 | 520,500명 |
스웨덴 | 507,600명 |
캐나다 | 약 450,000명 |
세르비아 | 253,899명 |
우크라이나 | 156,600명 |
노르웨이 | 60,000–100,000명 |
핀우그리아족 | |
핀족 | 에스토니아인 세토인 버로인 핀인 삼림 핀인 잉그리아 핀인 크벤인 토르네달리아인 이조라인 카리알라인 트베르 카리알라인 리보니아인† 벱스인 보트인 크레빈인† 추드인† |
사미족 | 사미인 이나리 사미인 킬딘 사미인 룰레 사미인 북부 사미인 피테 사미인 스콜트 사미인 남부 사미인 테르 사미인 우메 사미인 |
볼가 핀족 | 마리인 모르드빈인 에르자인 목샤인 메랴인† 메쇼라인† 무로마인† |
페름족 | 코미인 코미지랸인 코미페르먀크인 우드무르트인 베세르먀인 |
우그리아족 | |
우그리아족 | 마자르인 창고인 세케이인 한티인 만시인 |
사모예드족 | |
북사모예드족 | 에네츠인 네네츠인 응가나산인 유라츠인† |
남사모예드족 | 셀쿠프인 카마신인† 마토르인† |
2. 분류
핀우그리아족은 크게 핀족과 우골족으로 분류된다. 핀족에는 발트해 연안 아계, 사미 아계, 볼가강 연안 아계, 페름 아계가 있고, 우골족에는 도나우강 연안 아계와 오비강 연안 아계가 있다. 각 아계에는 핀인(수오미인), 에스토니아인, 카렐리야인, 베프스인, 이조라 인, 리보니아인, 보트인, 사미인, 모르도바인, 마리인, 우드무르트인, 코미인, 마자르인, 한티인, 만시인 등이 속한다.
2. 1. 핀족
아계 | 민족 | 인구 |
---|---|---|
발트해 연안 아계 | 핀인 (수오미인) | 7,000,000명 |
발트해 연안 아계 | 에스토니아인 | 1,000,000명 |
발트해 연안 아계 | 카렐리야인 | 61,000명 |
발트해 연안 아계 | 베프스인 | 5,900명 |
발트해 연안 아계 | 이조라 인 | 300명 |
발트해 연안 아계 | 리보니아인 | 180명 |
발트해 연안 아계 | 보트인 | 60명 |
사미 아계 | 사미인 | 80,000명 |
볼가강 연안 아계 | 모르도바인 | 744,000명 |
볼가강 연안 아계 | 마리인 | 548,000명 |
페름 아계 | 우드무르트인 | 552,000명 |
페름 아계 | 코미인 | 323,000명 |
2. 2. 우골족
3. 생활
핀우그리아족은 유라시아 북방의 침엽수림 또는 툰드라 지대에서 수렵 채집과 순록 유목을 생업으로 하는 민족이 많다. 튀르크계 (바시키르인) 등의 유전자를 가진 마자르족처럼 기마 유목 민족도 있었다. 핀란드와 헝가리 주민은 현재 문명화되어 있다.
4. 언어
4. 1. 핀우그리아어파
우랄어족의 한 갈래이다.자세한 내용은 핀우그리아어파 문서를 참고하라.
5. 형질
핀우그리아족은 몽골로이드와 코카소이드의 혼혈 인종에 속한다. 동쪽(한티족, 만시족)은 몽골로이드 요소가 짙고, 서쪽(핀족, 에스토니아인)은 거의 코카소이드이며, 북유럽 게르만족과 구별하기 어렵다. 마자르인은 우랄 산맥에서 서진하는 동안 여러 종족과의 혼혈을 겪었기 때문에, 형질적으로 주변 민족과 구별할 수 없다.
6. 유전자
우랄족과 관련된 유전자로 Y염색체 하플로그룹 N1 계통이 있다. 특히 핀우그리아족과 관련된 것은 N1a1 계통이다(N1a2는 사모예드 계통에 많다).
하플로그룹 N1은 동아시아 기원으로 생각되며[1], 대부분의 우랄족에게서 높은 빈도로 관찰된다. 중국 북동부의 요하 문명 시대의 인골에서 N1 계통이 60% 이상으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2], 핀우그리아족과 관련된 빗살무늬 토기의 가장 오래된 것이 요하 지역의 흥륭와 문화 (기원전 6200년 ~ 기원전 5400년) 유적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우랄족은 '''원래 요하 문명의 담당 집단이었을지도 모른다.'''
mtDNA 하플로그룹 Z는 극북 지역을 중심으로 사미인, 핀란드인, 시베리아, 북동아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관찰되며[3], Y염색체 하플로그룹 N1과 같은 흐름이 예상되어 우랄어족의 확산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헬싱키 대학교 법의학부는 2002년부터 2008년에 걸쳐 북유라시아의 핀우그리아어 계통에 대한 집단 유전학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핀우그리아어 계통 집단의 대부분이 서유라시아 및 동유라시아의 유전자 풀, 유전적 부동, 연속 창시자 효과의 혼합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북유라시아의 핀우그리아어 계통 집단은 남쪽 집단보다 유전적으로 낮은 하플로타입의 다양성을 보이는 이질 집단임이 판명되었다. 북유라시아의 핀우그리아어 계통 집단에는 분자 집단 유전 및 북유라시아의 북방, 북극 지역으로의 순응에 의해 형성된 복잡한 유전적 변화로 인해 고유한 유전적 특징이 있다[4]。
참조
[1]
논문
Phylogeography of Y-chromosome haplogroup I reveals distinct domains of prehistric gene flow n Europe
2004
[2]
간행물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2013
[3]
서적
日本人になった祖先たち - DNAから解明するその多元的構造
日本放送出版協会
2007
[4]
문서
Ville Nikolai Pimenoff
https://tuhat.halv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