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어리 원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어리 원반은 빛이 원형 구멍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 현상으로, 중심의 밝은 원반과 이를 둘러싼 어두운 고리들로 이루어진다. 원반의 크기는 빛의 파장과 구멍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각 분해능, 카메라, 인간의 눈, 망원경, 레이저 빔 등 다양한 광학 시스템의 성능을 제한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에어리 원반은 프라운호퍼 회절 조건에서 관찰 가능하며, 수학적으로 베셀 함수를 사용하여 세기 분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에어리 원반의 중심 로브는 가우시안 프로파일로 근사될 수 있으며, 이는 광학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절 - 회절격자
    회절격자는 빛의 회절과 간섭을 이용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분리하는 광학 부품으로, 격자 방정식으로 설명되며, 투과형/반사형, 평면형/오목형 등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작되어 분광기, 레이저, 광통신, CD/DVD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횡문근과 같은 자연계에서도 관찰된다.
  • 회절 - 저에너지 전자 회절
    저에너지 전자 회절(LEED)은 저에너지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조사하여 발생하는 회절 패턴을 분석하여 표면의 원자 구조를 연구하는 표면 과학 기법으로, 표면에 민감하여 표면층의 원자 배열, 재구성, 흡착물의 구조 등을 밝히는 데 사용된다.
에어리 원반
개요
에어리 원반의 회절 패턴
에어리 원반의 회절 패턴
정의점 광원의 이상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회절 패턴
형성 원인원형 조리개를 통과하는 빛의 회절
이름 유래조지 비덜 에어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
관련 현상광학
회절
분해능
세부 정보
중심 원반 이름에어리 원반
강도총 회절 패턴 강도의 84%
첫 번째 어두운 고리의 각도 위치 (rad)1.22 λ/D
λ빛의 파장
D렌즈의 지름
응용 분야천문학
현미경
사진술
중요성광학 기기의 분해능을 제한함

2. 크기 및 형태

에어리 원반의 크기는 빛의 파장(\lambda)과 구멍의 지름(d)에 의해 결정된다. 구경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첫 번째 어두운 무늬가 나타나는 각도는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서 측정했을 때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27]

: \sin \theta \approx 1.22 \frac{\lambda}{d}

각도가 충분히 작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27]

: \theta \approx 1.22 \frac{\lambda}{d}

이때 \theta의 단위는 라디안이고, \lambda는 빛의 파장, d는 구경의 직경이다. 에어리는 이 관계를 다음과 같이 썼다.[27]

: s = \frac{2.76}{a}

여기서 s는 첫 번째 어두운 무늬가 나타나는 각도(단위: 초), a는 구경의 반경(단위: 인치)이며, 빛의 파장은 0.000022 인치(가시광선 파장의 평균)가 사용되었다.[27]

원형 구경에서의 회절. R > a^2 / \lambda 일 때(i.e.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에어리 무늬를 확인할 수 있다.


원형 구경에서 발생하는 프라운호퍼 회절 무늬(에어리 무늬)의 세기는 원형 개구의 푸리에 변환의 제곱 계수로 주어지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I(\theta) = I_0 \left ( \frac{2 J_1(ka \sin \theta)}{ka \sin \theta} \right )^2 = I_0 \left ( \frac{2 J_1(x)}{x} \right )^2

이때 I_0는 에어리 원반 중심의 최대 세기, J_1베셀 함수, k = \frac{2 \pi}{\lambda}파수, a는 구경의 반경, \theta는 관찰 각도이다. 즉, 원형 구경의 축과 구경 중심과 관찰 지점을 이은 직선이 이루는 각도이다. x = ka \sin \theta = \frac{2 \pi a}{\lambda} \frac{q}{R}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q는 관찰평면(또는 초점평면)상에서 광학축에서 떨어진 방사상 거리이고 R은 관찰 거리이다. 구경 뒤에 렌즈가 붙어 있을 경우 렌즈의 초점평면 상에 에어리 무늬가 나타난다.

회절무늬에서 첫 번째 어두운 무늬는 ka \sin{\theta} = 3.8317\dots 또는

:\sin \theta \approx \frac{3.83}{ka} = \frac{3.83 \lambda}{2 \pi a} = 1.22 \frac{\lambda}{2a} = 1.22 \frac{\lambda}{d}

에서 나타난다.

첫 번째 어두운 무늬의 반지름 q_1\theta개구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q_1 = R \sin \theta \approx 1.22 {R} \frac{\lambda}{d} = 1.22 \frac{\lambda}{2A}

이때 R은 구경에서의 거리, 개구수 A = sinθ은 그 거리와 구경의 크기의 비율이다. 중앙의 에어리 원반의 반높이는 x = 1.61633\dots 에서 나타난다.

회절무늬 중앙에서의 세기 I_0[28]

:I_0 = \frac{\Epsilon_A^2 A^2}{2 R^2} = \frac{P_0 A}{\lambda^2 R^2}

이때 \Epsilon은 구경에서 단위면적에 대한 광원 세기이고, A는 구경의 넓이(A=\pi a^2), R은 구경에서의 거리이다. 렌즈의 초점평면상에서 I_0 = (P_0 A)/(\lambda^2 f^2)이다. 첫 번째 밝은 고리의 세기는 중앙의 에어리 원반의 1.75% 정도이다.

I(\theta) 식을 합치면 어느 고리 안에 포함된 회절무늬의 총 일률을 구할 수 있다.

:P(\theta) = P_0 [ 1 - J_0^2(ka \sin \theta) - J_1^2(ka \sin \theta) ]

이때 J_0J_1베셀 함수이다. 이에 따라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어두운 고리 안에 포함되는 회절무늬의 일률은 각각 83.8%, 91.0%, and 93.8%이다.[29]

350px


세기 그래프와 함께 표현된 범위 내 일률 그래프.


회절 무늬의 모양은 광원의 세기(밝기)에 따라 달라진다. 어두운 광원은 더 작은 원반으로, 밝은 광원은 더 큰 원반으로 나타난다.[4]

2. 1. 각 분해능

두 점광원이 겹쳐 보이지 않고 분리되어 보이기 위한 최소 각거리를 각 분해능이라고 한다. 레일리 기준에 따르면, 한 점광원의 에어리 원반 중심이 다른 점광원의 첫 번째 어두운 고리 위에 있을 때 두 점광원을 분해할 수 있다. 즉, 회절 한계 시스템의 각 분해능은 에어리 원반의 크기 공식과 동일하게 주어지는데, 다음과 같다.[3]

:\sin\theta \approx 1.22 \frac{\lambda}{d}

여기서 \theta는 라디안 단위이고, \lambda는 빛의 파장(미터 단위), d는 구멍의 지름(미터 단위)이다. 작은 각도의 경우,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3]

:\theta \approx 1.22 \frac{\lambda}{d}

두 물체가 "간신히 분해되었다"고 판단하는 레일리 기준에 따르면, 두 물체가 상당히 흐릿해지기 전에 가질 수 있는 최소 각 분리가 위 공식으로 주어진다.[3]

따라서, 시스템의 세부 사항을 분해하는 능력은 λ/''d''의 비율에 의해 제한된다. 즉, 주어진 파장에 대해 구경이 클수록 이미지에서 구분할 수 있는 세부 사항이 더욱 정교해진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frac{x}{f} = 1.22\, \frac{\lambda}{d}

여기서 x는 필름 상의 두 물체 이미지의 분리 거리이고, f는 렌즈에서 필름까지의 거리이다. 렌즈에서 필름까지의 거리가 렌즈의 초점 거리와 거의 같다고 가정하면, 다음을 얻는다.

: x = 1.22\, \frac{\lambda \, f}{d}

여기서 \frac{f}{d}는 렌즈의 F 수이다. 예를 들어, 맑은 날 낮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설정은 F16이며, 가시광선 중 가장 짧은 파장인 보라색의 파장 λ는 약 420나노미터이다. 이를 통해 계산하면 x의 값은 약 4 μm가 된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지 센서의 픽셀을 이 값의 절반보다 작게 만드는 것은 캡처된 영상 해상도를 크게 향상시키지 않지만, 과잉 샘플링을 통해 최종 이미지를 개선하여 노이즈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3. 수학적 상세

원형 구경에서 발생하는 프라운호퍼 회절 무늬(에어리 무늬)의 세기는 원형 개구의 푸리에 변환의 제곱 계수로 주어지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I(\theta) = I_0 \left ( \frac{2 J_1(ka \sin \theta)}{ka \sin \theta} \right )^2 = I_0 \left ( \frac{2 J_1(x)}{x} \right )^2

이때 I_0는 에어리 원반 중심의 최대 세기, J_1베셀 함수, k = {2 \pi \over \lambda}파수, a는 구경의 반경, \theta는 관찰 각도이다. 즉, 원형 구경의 축과 구경 중심과 관찰 지점을 이은 직선이 이루는 각도이다. x = ka \sin \theta = \frac{2 \pi a}{\lambda} \frac{q}{R}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q는 관찰 평면(또는 초점 평면)상에서 광축에서 떨어진 방사상 거리이고 R은 관찰 거리이다. 구경 뒤에 렌즈가 붙어 있을 경우 렌즈의 초점 평면 상에 에어리 무늬가 나타난다.

J_1(x)가 0이 되려면 x = ka \sin \theta \approx 0, 3.8317, 7.0156, 10.1735, 13.3237, 16.4706\dots 이어야 한다. 여기서 회절무늬에서 첫 번째 어두운 무늬는 ka \sin{\theta} = 3.8317\dots 또는

:\sin \theta \approx \frac{3.83}{ka} = \frac{3.83 \lambda}{2 \pi a} = 1.22 \frac{\lambda}{2a} = 1.22 \frac{\lambda}{d}

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어두운 무늬의 반지름 q_1\theta개구수에 다음과 같이 관련된다.

:q_1 = R \sin \theta \approx 1.22 {R} \frac{\lambda}{d} = 1.22 \frac{\lambda}{2A}

이때 R은 구경에서의 거리, 개구수 A = sinθ은 그 거리와 구경의 크기의 비율이다. 중앙의 에어리 원반의 반높이(J_1(x)= {x} /{2 \sqrt{2}} )는 x = 1.61633\dots 에서 나타난다.

회절무늬 중앙에서의 세기 I_0[28]

:I_0 = \frac{\Epsilon_A^2 A^2}{2 R^2} = \frac{P_0 A}{\lambda^2 R^2}

이때 \Epsilon은 구경에서 단위 면적에 대한 광원 세기이고, A는 구경의 넓이(A=\pi a^2), R은 구경에서의 거리이다. 렌즈의 초점 평면상에서 I_0 = (P_0 A)/(\lambda^2 f^2)이다. 첫 번째 밝은 고리의 세기는 중앙의 에어리 원반의 1.75% 정도이다.

3. 1. 포함 일률

에어리 무늬에서 특정 고리 안에 포함된 일률은 베셀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P(\theta) = P_0 [ 1 - J_0^2(ka \sin \theta) - J_1^2(ka \sin \theta) ]

여기서 P_0는 총 일률, J_0J_1은 베셀 함수, k = {2 \pi \over \lambda}파수, a는 구경의 반경, \theta는 관측 각도이다.

이에 따라 첫 번째 어두운 고리(J_1(ka \sin \theta)=0) 안에 포함되는 회절무늬의 일률은 전체 일률의 약 83.8%이다.[29] 두 번째, 세 번째 어두운 고리 안에 포함되는 일률은 각각 91.0%, 93.8%이다.[29]

4. 관찰 조건



균일하게 조명된 원형 조리개(또는 균일한 평면파 빔)로부터의 빛은 프라운호퍼 회절(원거리 회절)로 인해 조리개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에어리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원거리장에서 에어리 패턴을 나타내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조리개를 비추는 입사광은 평면파(조리개를 가로질러 위상 변화가 없음)여야 한다.

# 조리개 영역에 걸쳐 빛의 세기가 일정해야 한다.

# 회절된 빛이 관찰되는 개구(스크린 거리) '''R'''이 개구 크기에 비해 커야 한다.

# 조리개의 반경 '''a'''가 빛의 파장 '''λ'''보다 커야 한다.

마지막 두 조건은 공식적으로 R > a^2 / \lambda와 같이 쓸 수 있다.[28]

실제로 균일한 조명 조건은 광원을 조리개로부터 멀리 배치함으로써 충족시킬 수 있다. 원거리장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예: 조리개가 큰 경우) 조리개 바로 뒤의 렌즈를 사용하여 원거리 에어리 회절 패턴을 스크린에서 조리개에 훨씬 더 가깝게 얻을 수 있으며, 렌즈 자체가 조리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에어리 패턴은 무한대가 아닌 렌즈의 초점에 형성된다.[29]

따라서 렌즈에 의해 집속된 균일한 원형 레이저 빔(평면파 빔)의 초점은 에어리 패턴이다.

5. 응용

원형 레이저 광선이 빛의 전 영역에 걸쳐 강도가 균일하고 (평평한 윗면) 렌즈에 의해 집속되면 초점에 에어리 원반 패턴이 형성된다. 에어리 원반의 크기는 초점에서의 레이저 세기를 결정한다.[19]

5. 1.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두 물체가 매우 가까워져서 카메라 검출기에서 에어리 원반이 겹치기 시작하면, 이미지에서 물체를 더 이상 명확하게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첫 번째 에어리 패턴의 최댓값이 두 번째 에어리 패턴의 첫 번째 최솟값 위에 놓일 때, 두 물체는 "간신히 분해되었다"고 한다.(레이리 기준)

이러한 시스템의 세부 사항을 분해하는 능력은 λ/''d''의 비율에 의해 제한된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 \frac{x}{f} = 1.22\, \frac{\lambda}{d}

여기서 x는 필름 상의 두 물체 이미지의 분리 거리이고, f는 렌즈에서 필름까지의 거리이다. 렌즈에서 필름까지의 거리가 렌즈의 초점 거리와 거의 같다고 가정하면, 다음을 얻는다.

: x = 1.22\, \frac{\lambda \, f}{d}

여기서 \frac{f}{d}는 렌즈의 F 수이다. 흐린 날 사용하는 일반적인 설정은 이다.(써니 식스틴 규칙 참조). 가시광선 중 가장 짧은 파장인 보라색의 파장 λ는 약 420나노미터이다.(원추 세포의 S 원추 세포 감도 참조). 이는 x의 값을 약 4 μm로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지 센서의 픽셀을 이 값의 절반보다 작게 만드는 것은(각 물체에 하나의 픽셀, 각 공간에 하나의 픽셀) 캡처된 영상 해상도를 크게 향상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과잉 샘플링을 통해 최종 이미지를 개선하여 노이즈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5. 2. 인간의 눈

인간의 눈에서 가장 빠른 조리개 값은 약 2.1이며,[8] 이는 회절 한계 점확산함수에 해당하며 지름은 약 1μm이다. 그러나 이 조리개 값에서는 구면 수차가 시력을 제한하는 반면, 동공 지름 3mm(f/5.7)은 인간 눈의 해상도에 근사하다.[9] 인간 황반에서 원추 세포의 최대 밀도는 약 170,000개/mm²이며,[10] 이는 인간 눈의 원추 세포 간격이 약 2.5μm임을 의미하며, f/5에서 점확산함수의 지름과 거의 같다.

인간 육안의 F값은 동공이 가장 크게 열렸을 때 약 2.1이다. 망막상의 해상력은 약 1μm이다. 이것은 인간 안구 시세포의 간격에 따른 것이다.

5. 3. 망원경

망원경의 구경은 에어리 원반의 크기를 결정하여 별과 같은 점광원의 분해능을 결정한다. 중앙 가림막(secondary mirror)이 있는 반사 망원경의 경우, 에어리 패턴이 변형되어 중앙 디스크는 작아지고 첫 번째 밝은 고리가 더 밝아진다.[18]

가려진 에어리 회절 패턴에 대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6][17] 이는 환형 구멍이나 빔, 즉 중앙에 원형 블록으로 가려진 균일한 원형 구멍(빔)에서의 회절 패턴이다. 이 상황은 뉴턴식 망원경과 슈미트-카세그레인 망원경을 포함하여 이차 반사경을 통합하는 많은 일반적인 반사 망원경 설계와 관련이 있다.

:I(R) = \frac{I_0}{ (1 - \epsilon ^2)^2} \left ( \frac{2 J_1(x)}{x} - \frac{2 \epsilon J_1(\epsilon x)}{x}\right )^2

여기서 \epsilon은 환형 구멍 가림 비율 또는 가림 디스크의 지름과 구멍(빔)의 지름의 비율이다. ( 0 \le \epsilon < 1 ) 그리고 x는 x=ka\sin(\theta) \approx \frac {\pi R}{\lambda N} 여기서 R은 광축으로부터 초점면의 방사상 거리이고, \lambda는 파장이며, N은 시스템의 F수이다. 그러면 분수형 포함 에너지(초점면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반지름 R의 원 안에 포함된 총 에너지의 비율)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E(R) = \frac{1}{ (1 - \epsilon ^2) }

\left( 1 - J_0^2(x) - J_1^2(x) + \epsilon ^2 \left[ 1 - J_0^2 (\epsilon x) - J_1^2(\epsilon x) \right] - 4 \epsilon \int_0^x \frac {J_1(t) J_1(\epsilon t)}{t}\,dt \right)



\epsilon \rightarrow 0에 대해 공식은 위의 가리지 않은 버전으로 축소된다.

망원경에서 중앙 가림막을 사용하는 실질적인 영향은 중앙 디스크가 약간 작아지고 첫 번째 밝은 고리가 중앙 디스크를 대신하여 더 밝아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더 큰 이차 반사경이 필요한 짧은 초점 거리 망원경에서 더욱 문제가 된다.

5. 4. 레이저 빔

원형 레이저 광선이 빛의 전 영역에 걸쳐 강도가 균일하고 (평평한 윗면) 렌즈에 의해 집속되면 초점에 에어리 원반 패턴이 형성된다. 에어리 원반의 크기는 초점에서의 레이저 세기를 결정한다.[19]

6. 가우시안 프로파일 근사



에어리 패턴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0으로 매우 느리게 감소하며, 바깥쪽 고리는 패턴의 전체 강도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 결과, 평균 제곱근(RMS) 스팟 크기는 정의되지 않는다(즉, 무한대).[15] 스팟 크기를 측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에어리 패턴의 비교적 작은 바깥쪽 고리를 무시하고 중심 로브를 가우시안 프로파일로 근사하는 것이다.

:I(q) \approx I'_0 \exp \left( \frac{- 2q^2}{\omega_0^2} \right) \ ,

여기서 I'_0는 패턴 중심에서의 조도이고, q는 패턴 중심으로부터의 방사형 거리이며, \omega_0는 가우시안 RMS 폭(1차원)이다.

에어리 패턴과 가우시안 프로파일의 피크 진폭을 같게 설정하고(I'_0 = I_0), 패턴에 대한 최적 근사값을 제공하는 \omega_0의 값을 찾으면,

:\omega_0\approx 0.84 \lambda N \ ,

을 얻는다. 여기서 ''N''은 F수이다.

반면에 가우시안 프로파일의 부피가 에어리 패턴과 같도록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omega_0 \approx 0.90 \lambda N \ .

광학 수차 이론에서 에어리 원반 반지름이 기하 광선 추적을 통해 결정된 RMS 스팟 크기보다 큰 경우 이미징 시스템을 회절 한계 시스템으로 설명한다. 가우시안 프로파일 근사는 비교의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위 근사를 사용하면 에어리 원반에 대한 가우시안 근사의 가우시안 허리 \omega_0가 에어리 원반 반지름(1.22 \lambda N)의 약 3분의 2인 0.84 \lambda N가 된다.

참조

[1] 백과사전 Light https://archive.org/[...] Richard Griffin & Co.
[2] 학술지 On the Diffraction of an Object-glass with Circular Aperture https://archive.org/[...]
[3] 학술지 On the Diffraction of an Object-glass with Circular Aperture https://archive.org/[...]
[4] 서적 Amateur Astronomer's Handbook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5] 학술지 Objects in Telescope Are Farther Than They Appear – How diffraction tricked Galileo into mismeasuring distances to the stars http://scitation.aip[...]
[6] 학술지 On the Diffraction of an Object-glass with Circular Aperture https://archive.org/[...]
[7]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8] 서적 Optics Addison Wesley 1987
[9] 서적 Optical System Design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2000
[10] 웹사이트 Eye Receptor Density http://www.wdv.com/V[...] 2023-12-18
[11] 웹사이트 Sight Alignment http://en.wikibooks.[...]
[12] 서적 Optics Addison Wesley
[13] 서적 Principles of Optics Pergamon Press
[14] 학술지 Feynman photon path integral calculations of optical reflection, diffraction, and scattering from conduction electrons
[15] 학술지 Gaussian approximations of fluorescence microscope point-spread function models https://www.osapubli[...] 2007-04-01
[16] 학술지 Airy disk diffraction pattern: comparison of some values of f/No. and obscuration ratio
[17] 학술지 Uniform versus Gaussian beams: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iffraction, osbscuration, and aberrations
[18] 웹사이트 Chapter 7 Obstruction effects (7.1. Central obstruction effect) http://www.telescope[...] 2006-07-14
[19] 서적 Lasers University Science Books
[20] 학술지 The influence of astigmatism on the response function of an optical system.
[21] 학술지 Modelling of imaged ellipse intensity profiles using euclidean geometry
[22] 서적 Optics Addison Wesley
[23] 서적 Principles of Optics Pergamon Press
[24] 학술지
[25] 학술지 Uniform versus Gaussian beams: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iffraction, obscuration, and aberrations http://www.opticsinf[...]
[26] 학술지 On the Diffraction of an Object-glass with Circular Aperture http://www.archive.o[...]
[27] 학술지 On the Diffraction of an Object-glass with Circular Aperture http://www.archive.o[...]
[28] 서적 Optics Addison Wesley
[29] 서적 Principles of Optics Pergam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