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웨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웨족은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으로, 가나 남동부, 토고 남부, 그리고 베냉과 나이지리아의 국경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그들은 에웨어라는 언어를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케투 또는 아메조페에서 이주해왔다는 구전 역사를 가지고 있다. 17세기에는 노치에의 폭군 아고르 아코르리의 통치로 인해 현재 위치로 흩어졌다. 에웨족은 부두교를 믿고, 부계 사회를 이루며, 음악과 춤을 통해 문화를 표현한다. 노예 무역과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에웨족 통일 운동이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고의 민족 - 요루바족
요루바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며 도시 국가를 건설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으로, 전통 종교, 예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으며, 오늘날 나이지리아 남서부에 주로 거주하면서 기독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한편 전통 종교 신앙도 유지하고 있다. - 베냉의 민족 - 요루바족
요루바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며 도시 국가를 건설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으로, 전통 종교, 예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으며, 오늘날 나이지리아 남서부에 주로 거주하면서 기독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한편 전통 종교 신앙도 유지하고 있다. - 베냉의 민족 - 폰족
폰족은 서아프리카 베냉과 나이지리아 남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17세기 다호미 왕국을 건설하고 노예 무역에 참여했으며, 전통 종교와 사회 문화를 유지하고 여성 군인 부대인 다호미 아마존으로 알려져 있다. - 가나의 민족 - 아칸족
아칸족은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에 주로 거주하며 동부 아프리카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여러 왕국을 건설하고 금 거래와 노예 무역에 관여했으며, 식민지배에 저항한 후 가나 독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는 서아프리카 민족 집단이다. - 가나의 민족 - 모시족
모시족은 부르키나파소에서 기원하여 서아프리카 지역에 널리 거주하는 민족으로, 뛰어난 기마술을 바탕으로 제국을 건설했으며, 가족과 국가 중심의 계층 구조, 모레어 사용, 조상 숭배 등의 문화적 가치를 공유한다.
에웨족 | |
---|---|
일반 정보 | |
![]() | |
민족명 | 에웨 |
자칭 | Eʋeawó |
언어 | Eʋegbe |
국가 | Eʋenyígbá |
발음 (IPA) | /ˈeɪ.weɪ/ |
분포 지역 | |
주요 거주 지역 | 가나 토고 독일 |
인구 | 약 1,030만 명 |
가나 | 600만 명 |
토고 | 310만 명 |
언어 | |
사용 언어 | 에웨어 프랑스어 영어 |
종교 | |
주요 종교 | 기독교 (50%) 서아프리카 보둔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다른 그베족 요루바족 가-아당베족 폰족 겐족 플라 페라족 아자족 군족 |
추가 정보 | |
에웨어 | Eʋegbe |
에웨족 | Eʋeawó |
2. 인구 분포
에웨족은 이전에 도그보로 알려졌다. 에웨족의 고대 역사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구전 역사에는 베냉의 케투 또는 아메조페에서 이주해 왔다는 이야기가 생생하게 남아있다.[4][9][10] 17세기에는 침략과 전쟁으로 인해 현재 위치로 이주했다.[1][8]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에웨족은 적어도 13세기 초부터 현재 위치에 살았을 가능성이 높다.[4]
에웨족은 주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에 거주하며, 볼타강 남쪽과 동쪽 지역에서 토고와 베냉의 경계에 있는 모노강 부근까지, 그리고 나이지리아 남서부(대서양과 가까우며 나이지리아와 베냉 국경에서 에페까지 뻗어 있음)에 분포한다.[8] 주로 가나 남동부의 볼타주, 토고 남부에 거주한다.[4] 에웨족 지역은 때때로 에웨족 국가 또는 ''Eʋedukɔ́'' 지역(식민지 문헌에서는 토고랜드)이라고 불린다.[1]
방언과 지리적 집중도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 안로 에웨족, Ʋedome(다니), 통구 또는 Tɔŋu. 문어는 안로 하위 분파를 사용한다.[8]
3. 역사
그들은 그베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역사를 공유한다. 모든 그베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아자를 어머니 부족으로 여긴다. 이 화자들은 아칸 지역과 요루바랜드 사이에 있는 지역에 거주했다. 이전에는 일부 역사가들이 그들을 아칸과 요루바 민족 집단에 연결하려고 했다. 더 최근의 연구에서는 그들이 아칸도 요루바도 아니지만, 이 집단으로부터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보이는 별개의 민족 집단임을 시사한다.[11][12]
3. 1. 노체 탈출
에웨족은 이전에 도그보로 알려졌다. 에웨족의 고대 역사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구전 역사에는 베냉 케투 또는 아메조페에서 이주해 왔다는 이야기가 생생하게 남아있다.[4][9][10] 17세기에는 침략과 전쟁으로 인해 현재 위치로 이주했다.[1][8]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에웨족은 적어도 13세기 초부터 현재 위치에 살았을 가능성이 높다.[4]
에웨족의 구전 역사에는 17세기에 통치한 노치에 (토고의 예전 성벽 도시)의 잔혹한 왕 아고르 아코르리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아고르 아코르리 왕의 독선적인 행위는 에웨족이 현재 위치로 탈출하고 흩어지는 결과를 낳았다.[4]
3. 2. 노예 무역과 식민지 시대
에웨족은 이전에 도그보로 알려졌으며, 그들의 고대 역사는 기록되지 않았다.[4] 구전 역사에 따르면, 에웨족은 케투 또는 아메조페(아메조페)라는 곳에서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곳은 현재 베냉 공화국에 있는 도시[9][10], 즉 현재 베냉과 나이지리아의 국경 지역이다. 17세기에 침략과 전쟁으로 인해 현재 위치로 이주했다.[1][8]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에웨족은 적어도 13세기 초부터 현재의 고향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4] 그러나 다른 증거들은 특히 오요 제국의 요루바 전사들이 그 지역을 지배했을 때 혼란스러운 시기를 암시한다. 에웨족의 구전에 따르면, 17세기에 통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노치에(토고의 예전 성벽 도시)의 잔혹한 왕 아고르 아코르리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아고르 아코르리 왕의 독선적인 행위는 에웨족이 현재 위치로 탈출하고 흩어지는 결과를 낳았다.[4]
에웨족[13]은 노예 무역 이전 및 식민지 시대 이전의 유럽인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1784년, 덴마크가 자국 관리와 상인을 위해 에웨 및 요루바 지역에 해안 요새를 건설하려 하면서 그들은 덴마크 식민지 세력과 전쟁을 벌였다.[8] 아산테, 다호메이, 오요와 같은 강력한 노예 무역 왕국 사이에 자리 잡은 에웨족은 노예 습격과 무역의 피해자였을 뿐만 아니라 전쟁 포로를 유럽인들에게 팔기도 했다.[8][14][16]
노예 제도가 폐지되고 노예 무역이 중단된 후, 에웨족은 주요 경제 활동인 면화 및 쌀 농업, 팜유 및 코프라 생산 및 수출에서 번성했다. 그들의 지역은 식민 강국에 의해 분할되었으며, 처음에는 독일과 영국 식민지 사이에서,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영국과 영국-프랑스 공동 보호령 사이에서 분할되었다.[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령 토고랜드와 프랑스령 토고랜드는 각각 트랜스 볼타 토고랜드와 토고로 개칭되었다. 트랜스 볼타 토고랜드는 나중에 유엔의 감독 하에 국민 투표를 통해 새롭게 독립한 가나에 합류하기로 투표했다. 프랑스령 토고랜드는 토고 공화국으로 개칭되었고 1960년 4월 27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식민지 시대부터 에웨족을 하나의 통일된 국가로 통합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많은 식민지 이후 지도자들이 때때로 그들의 대의를 지지했지만, 궁극적으로 성공한 것은 없다.
4. 종교
에웨족은 전통적으로 최고 창조주 마우(Mawu)를 숭배하는 종교를 가지고 있다. 마우는 모든 우주적 힘을 구현하며, 여러 하위 신들을 통해 인간사에 관여한다고 믿어진다. 에웨족의 종교는 서아프리카의 다른 전통 종교들과 유사하게 복잡한 신학 체계를 가지고 있다.[16]
에웨족은 조상 숭배를 중시하며, 조상이 가족의 일원으로 여전히 존재하며 산 자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은 다양한 의식과 제례를 통해 나타난다.[2]
4. 1. 기독교 수용
기독교는 식민지 상인과 선교사들을 통해 에웨족에게 전파되었다. 1840년 이후 유럽 식민지들에 의해 본격적인 선교 활동이 시작되었다. 독일 루터교 선교사들은 1847년에 도착했다.[17] 이들의 사상은 해안 지역에서 받아들여졌고, 독일인들은 이 지역을 토고랜드, 즉 에웨어로 '바다 너머'를 의미하는 토고라고 명명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영향력을 잃으면서, 토고랜드에서 기독교 선교는 중단되었고, 이후 프랑스와 영국 선교사들이 에웨족 사이에서 더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16][17]에웨족 인구의 약 89%, 특히 해안 도시 지역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조상 종교의 전통적인 의식과 제례를 행하고 있다.[2][16]
5. 사회와 문화
에웨족은 부계 사회를 이루며, 각 가계는 남성 장로가 이끈다. 남성 조상을 존경하며, 가족은 남성 조상을 거슬러 올라간다. 에웨 가문이 소유한 토지는 조상의 선물로 여겨져 함부로 팔지 않는다.[8]
에웨족은 강한 독립성을 가지며, 권력 분산을 지지한다. 결정은 장로들의 모임에서 이루어지며, 17세기 폭군 아고콜리의 경험으로 인해 사악한 지도자를 지지하지 않는다. 내부 갈등에도 불구하고 전쟁이나 외부 갈등 시에는 단결하며, 지역 문제에서는 전통 사제가 주요 권력을 행사했다.[4] 현대에는 공통의 문화와 언어를 통해 정체성을 구축하려 노력한다.[2]
5. 1. 사회 구조
에웨족은 가계가 있는 마을, 도시, 그리고 촌락에 거주하는 부계 사회를 이루는 민족이다. 각 가계는 남성 장로가 이끈다. 에웨족의 남성 조상은 존경받으며, 전통적으로 가족은 남성 조상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에웨 가문이 소유한 토지는 조상의 선물로 간주되며, 그들은 이 선물을 어떤 식으로든 판매하지 않는다.[8]에웨족은 강한 독립성으로 유명하며, 마을 또는 대규모 국가 내의 권력 분산을 지지해 왔다. 결정은 장로들의 모임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17세기 강력한 폭군 아고콜리와의 경험 이후 사악한 왕이나 지도자에게 정치적 지지를 거부했다. 모든 내부 갈등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전쟁과 외부 갈등의 시기에 함께 뭉친다. 지역 문제에서는 수석 전통 사제가 주요 권력이었다.[4] 현대 시대에 에웨족은 그들이 주로 발견되는 세 국가에서 공통의 문화와 언어 중심의 정체성을 연결하고 구축하려고 노력해 왔다.[2]
에웨족은 부계 사회이지만, 여성은 전통적으로 도매 및 소매 수준에서 주요 상인이자 무역상이다. "그들은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며, 그 중 많은 품목이 남성에 의해 생산된다."[8]
로젠탈과 벤카타찰람과 같은 민족학자들이 언급한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에웨 문화의 측면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는 것을 거부하고, 조상들이 노예 무역에서 했던 역할에 대해 "깊은 고통과 자발적인 죄책감 수용"을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들 사이에 있는 전 노예를 기념하고 노예의 조상을 존경받는 신으로 만들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18]
5. 2. 여성의 역할
에웨족은 부계 사회이지만, 여성은 전통적으로 도매 및 소매 수준에서 주요 상인이자 무역상이다. 에웨족 여성들은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며, 그 중 많은 품목이 남성에 의해 생산된다.[8]5. 3. 노예 무역에 대한 인식
에웨족은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는 것을 거부하고, 조상들이 노예 무역에서 했던 역할에 대해 "깊은 고통과 자발적인 죄책감 수용"을 한다는 특징을 보인다.[18] 이들은 노예의 후손을 기념하고, 노예 조상들을 존경받는 신으로 만들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18]5. 4. 음악
에웨족은 전통 종교와 밀접하게 통합된 복잡한 음악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며, 여기에는 에웨족 드럼 연주가 포함된다. 에웨족은 훌륭한 드러머가 훌륭한 드러머였던 조상의 영혼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에웨족 음악에는 아그베코르를 비롯한 여러 장르가 있다. 서부 지역에서는 서정적인 노래가 더 흔하며, 북부에서는 플루트와 드럼이 가수의 목소리를 대신하기도 한다.[21]5. 4. 1. 아그베코르 (AgbeKor)
에웨족은 전통 종교와 밀접하게 통합된 복잡한 음악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여기에는 에웨족 드럼 연주가 포함된다. 에웨족은 훌륭한 드러머가 훌륭한 드러머였던 조상의 영혼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라고 믿는다.에웨족 음악에는 여러 장르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아그베코르이다. 아그베코르는 전쟁과 관련된 노래와 음악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조상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용기와 연대감, 에웨족 전사들을 기다리는 무적의 성공, 죽음과 상실의 슬픔 등 전쟁의 결과와 관련된 인간의 감정 범위가 포함된다.[19]
5. 4. 2. 교차 리듬 드럼 연주
에웨족은 전통 종교와 밀접하게 통합된 복잡한 음악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며, 여기에는 에웨족 드럼 연주가 포함된다. 에웨족은 훌륭한 드러머는 훌륭한 드러머였던 조상의 영혼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라고 믿는다.에웨족 음악에는 여러 장르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아그베코르로 전쟁과 관련된 노래와 음악이다. 여기에는 조상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용기와 연대감, 에웨족 전사들을 기다리는 무적의 성공, 죽음과 상실의 슬픔 등 전쟁의 결과와 관련된 인간의 감정 범위가 포함된다.[19]
교차 리듬 드럼 연주는 에웨족 음악 문화의 일부이다.[20] 에웨족 드럼은 보통 나무 통과 금속 링으로 된 통처럼 만들어지거나 통나무 하나를 깎아서 만든다. 막대와 손으로 연주하며, 종종 가족에게 전통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아이' 또는 '막내' 드럼인 ''카간''은 일반적으로 벨과 쉐이커 오스티나토와 직접 연결되는 반복 패턴으로 비트에서 연주한다. '어머니' 드럼인 ''키디''는 일반적으로 반주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며, 더 큰 ''소고'' 또는 '아버지' 드럼에 반응한다. 전체 앙상블은 그룹 중 가장 큰 ''아치메부'' 또는 '할아버지' 드럼이 이끈다.[21]
5. 5. 춤
에웨족은 춤에 대한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지리적 지역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다양하다. 에웨족의 주요 춤은 다음과 같다.- 아데부(Adevu): 사냥꾼을 기념하는 전문적인 춤이다.
- 아그바자(Agbaza): 전통적으로 전쟁 춤이었지만, 현재는 평화를 기념하는 행사나 사교 모임에서 사용된다.
- 아치아그베코(Atamga): 에웨족 전쟁 춤 아탐가(Atamga)의 현대적 버전으로, 전투 전술을 보여주고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는 데 사용된다.
- 아치아(Atsia): 주로 여성들이 추는 춤으로, 선두 드러머의 지시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선보인다.
- 보보보(Bobobo): 프란시스 코조 누아트가 개발한 춤으로, 하이라이프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정치 집회나 장례식 등에서 공연된다.
- 아가후(Agahu): 춤의 이름이자 에웨족의 세속 음악 협회 중 하나의 이름으로, 베냉에서 유래하여 나이지리아를 거쳐 에웨족에게 전해졌다.
- 그베지미도(Gbedzimido): 전쟁 춤에서 변형된 춤으로, 아사포투 축제와 같이 매우 중요한 행사나 사회 고위층 인사의 장례식에서 공연된다.
- 고타(Gota): 베냉 등 서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신비로운 호리병 드럼을 사용하며, 드러머와 댄서의 동시 동작 정지가 특징이다.
- 트로-우(Tro-u): 조상을 초대하는 신성한 행사에서 연주되는 조상 드럼 음악으로, 종교적인 목적을 지닌다.
- 소우(Sou): 예웨교의 드럼 연주 스타일 중 하나를 무대용으로 각색한 것으로, 에웨족의 종교 음악 중 가장 발전된 형태 중 하나이다.
5. 5. 1. 아데부 (Adevu)
아데부(Ade - 사냥, Vu - 춤)는 사냥꾼을 기념하는 전문적인 춤이다. 이 춤은 동물을 더 쉽게 사냥하게 하고, 동물의 영혼이 돌아와 사냥꾼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 의례적인 "장례식"을 치르기 위한 것이다.5. 5. 2. 아그바자 (Agbaza)
아그바자는 전통적으로 전쟁 춤이었지만, 현재는 평화를 기념하기 위해 사교 및 오락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1] 전쟁 춤은 때때로 군사 훈련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선두 북의 신호에 따라 전사들은 앞으로, 오른쪽으로, 엎드리는 등 움직였다.[1] 이러한 춤은 전사들이 전투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전투에서 돌아온 후에는 춤을 통해 전투에서의 행동을 연기하곤 했다.[1]5. 5. 3. 아치아그베코 (Atamga)
'''아치아그베코'''는 에웨족 전쟁 춤 아탐가(Atamga, 전투에 들어가기 전에 사람들이 맹세한 것에 대한 언급으로 "위대한(ga) 맹세(atama)")의 현대적 버전이다. 이 현대적 버전의 움직임은 주로 소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투 전술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병사들에게 활력을 불어넣고 기운을 북돋우는 데 사용된다. 오늘날 아치아그베코는 사교 모임과 문화 행사에서 오락을 위해 공연된다.[3]5. 5. 4. 아치아 (Atsia)
아치아는 주로 여성들이 추는 춤으로, 선두 드러머가 무용수에게 지시하는 일련의 스타일리시한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춤 동작에는 선두 북과 동기화되는 자체의 정해진 리듬 패턴이 있다. 에웨족 언어에서 "아치아"는 스타일 또는 전시를 의미한다.5. 5. 5. 보보보 (Bobobo)
보보보(원래 "아크페세")는 프란시스 코조 누아트가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1940년대 중후반에 그룹을 조직한 전직 경찰관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춤은 서아프리카 국가 전반에 걸쳐 인기 있는 하이라이프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우수타에서 유래되었다. 보보보는 정치 집회에서 사용되고 춤 구성 및 동작의 참신함으로 인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전국적인 인정을 받았다. 주로 장례식 및 기타 사교 행사에서 공연된다. 자유로운 표현의 여지가 많은 사교 춤으로, 보통 남성들이 중앙에서 노래하고 춤을 추는 반면, 여성들은 그들을 둘러싸고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보보보에는 "느린" 버전과 "빠른" 버전이 있는데, 느린 것은 아크페세, 빠른 것은 보보보라고 불린다.
5. 5. 6. 아가후 (Agahu)
아가후는 춤의 이름이자, 토고, 다호미, 볼타 지역 남동부에 사는 에웨족의 여러 세속 음악 협회(클럽) 중 하나의 이름이기도 하다. 각 클럽(가족, 타카다, 아치아그베코도 그러한 클럽이다)은 자체적인 독특한 드럼 연주와 춤, 그리고 자체적인 노래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1] 서아프리카의 인기 있는 사교 춤인 아가후는 현재 베냉에 있는 케토누 마을에서 에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다.[1] 거기에서 나이지리아의 바다그리 지역으로 퍼져나가, 에웨 정착촌 주민들(대부분 어부)이 그것을 듣고 적응시켰다.[1] 아가후를 춤출 때는 두 개의 원이 형성된다.[1] 남성들은 팔을 벌린 채 가만히 서 있다가 무릎을 굽혀 여성들이 앉도록 한다.[1] 그들은 원래의 파트너에게 도착할 때까지 원을 따라 나아간다.[1]5. 5. 7. 그베지미도 (Gbedzimido)
'''그베지미도'''는 가나 볼타 지역의 중앙 통구 구역에 있는 [https://www.google.com.gh/maps/place/Mafi-Kumase+Proper/@6.2706428,0.5710185,15.22z/data=!4m5!3m4!1s0x1020d7b1d0acbb83:0xea22272fb049baa2!8m2!3d6.2731326!4d0.5742543 마피-그보르코페]와 아메가코페 사람들이 주로 추는 전쟁 춤이다. 현대에는 춤으로 변형되어, 12월경 통구 사람들이 매년 기념하는 아사포투 축제와 같이 매우 중요한 행사에서만 볼 수 있다.[15] 이 춤은 사회에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대부분 남성)의 장례식에서도 공연된다.[15] 마피-쿠마시 근처의 작은 농업 마을인 마피-그보르코페에서 유래되었다.[15]
5. 5. 8. 고타 (Gota)
고타는 베냉을 비롯한 서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신비로운 호리병 드럼을 활용한다. 호리병은 원래 "죽은 자의 드럼"이라 불리며 장례식에서만 연주되었으나, 현재는 사교적인 오락 행사에서도 공연된다. 고타의 가장 흥미로운 점은 드러머와 댄서들이 동시에 동작을 멈추는 것이다.5. 5. 9. 트로-우 (Tro-u)
트로-우는 사당에서 특별한 신성한 행사에 조상을 초대하기 위해 연주되는 조상 드럼 음악이다. 종교적인 목적으로는 사제나 여사제가 참석한다. 종교 지도자는 영계와의 소통을 돕기 위해 빠르거나 느린 리듬을 연주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벨 리듬은 북쪽에서는 배 모양의 벨로 연주되지만, 남부 지역에서는 이중 벨을 사용한다. 세 개의 드럼은 서로 락인(lock in)하기 위해 뚜렷한 음높이를 가져야 한다.5. 5. 10. 소우 (Sou)
예웨교는 토고, 베냉, 가나 볼타 지역 남동부의 에웨족 사이에서 숭배되는 천둥과 번개의 신이다. 예웨는 매우 배타적인 종교 집단이며, 그들의 음악은 에웨족 지역에서 가장 발전된 형태의 신성한 음악 중 하나로 여겨진다. 소우는 이러한 예웨 종교 집단에 속하는 일곱 가지 드럼 연주 스타일 중 하나를 무대용으로 각색한 것이다.[1]6. 교육
에웨족 문화의 핵심은 삶의 사건을 통해 스스로를 해석하고 교육하는 철학이다. 에웨족은 전통적으로 격언을 통해 지혜를 전달하며, 이 격언 중 많은 내용은 평생 교육에 대한 존경심을 보여준다. "지식은 바오밥 나무와 같아서 아무도 손으로 완전히 감쌀 수 없다"라는 격언은 끊임없는 자기 계발에 대한 깊은 인식을 나타낸다.[22]
탈식민지 시대에 에웨족은 학문과 고등 교육 추구로 아프리카인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 많은 에웨족은 지식 기반과 지위를 향상시키려는 문화적 동기에 따라,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기 위해 전 세계를 여행한다. 고등 교육을 받는 에웨족은 금융, 공학, 법률과 같은 기술 분야에서 대학원 학위를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7. 언어
에웨어는 니제르콩고어족의 Gbe어족에 속한다. Gbe어는 주로 토고, 베냉 및 서부 나이지리아에서 Lower Weme까지 이르는 지역에서 사용된다.[24] 에웨족(Ewe)은 에브헤(Evhe) 또는 Eʋe라고도 표기하며, 가나의 볼타주 남부 지역과 토고 남부, 토고-베냉 국경 지역까지 약 300만 명이 사용하는 Gbe 또는 Tadoid (Capo 1991, Duthie 1996)의 주요 방언군이다.[23]
에웨어 방언은 다양하다. 2~3km 떨어진 마을 집단은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웨어를 사용하는 지역 전체에서 방언은 지리적으로 해안 또는 남부 방언(예: Aŋlɔ, Tɔŋú Avenor, Watsyi)과 Ewedomegbe(예: Lomé, Danyi, Kpele 등)로 특징지어지는 내륙 방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Agbodeka 1997, Gavua 2000, Ansre 2000). 서로 다른 지역의 화자들은 서로를 이해하며 서로 다른 지역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19세기에 다양한 하위 방언의 지역 변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표준 문어가 있으며, 이는 해안 지역의 내용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이와 함께 표준 구어체도 등장하여(보통 지역 억양으로 말함) 학교, 시장, 교회와 같은 여러 방언이 혼합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된다.[21]
이야기꾼들은 세바에서 사용되는 Aŋlɔ 방언을 사용한다. 그들의 언어는 구어체이므로 표준 방언에 익숙한 사람들의 기대에 반드시 부합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그들은 표준 문어 si 대신 관계절을 도입하기 위해 yi 형식을 사용하고, 표준 문어 sia 대신 yia '이것'을 사용한다. 그들은 또한 표준 문어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동사에 어휘적 명사 주어와 일치하는 주어 표지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Aŋlɔ 방언의 특징은 치아 능선 부위에서 만들어지는 소리가 고모음을 따를 때 구개음화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사 tsi '늙다'는 이야기꾼 Kwakuga Goka에 의해 tsyi|치ee로 발음된다.[21]
8. 에웨족 디아스포라
에웨족은 서아프리카에서 소수이지만 기여하는 인구 집단으로, 가나, 베냉, 토고를 포함하는 에웨랜드의 개발 프로젝트와 학교에 자금을 지원하고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CEANA 및 북미 중앙 에웨 협회와 같은 단체들이 존재해왔다.[1]
9. 관련 민족
게베어(타도이드)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는 아자, 폰, 마히, 페라, 군, 겐이 있다.
아자는 이들 중 겐족을 제외한 나머지 부족의 기원이 되는 부족이다. '대(大) 에웨족'은 겐, 페라, 미나, 아자, 에웨, 코타폰, 폰과 같은 게베어를 사용하는 집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미나와 겐은 에웨족과 서로 말이 통하며 에웨족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원격 관련 민족으로는 요루바, 가-당메가 있다.
10. 저명한 에웨족
- 실바누스 올림피오 - 토고의 초대 대통령
- 제리 존 롤링스 - 가나의 전 대통령, 가나 최장수 집권자
- 에마뉘엘 콰시 코토카 - 아크라 국제 공항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조셉 코코우 코피고 - 토고의 전 총리
- 에뎀 코조 - 아프리카 연합의 전신인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전 사무총장
- 니세포르 소글로 - 베냉의 전 대통령
- 콤라 아그벨리 게베마 - 콰메 은크루마 정권 하의 가나 전 재무부 장관
- 존 윌리 코피 할리 - 콰메 은크루마 정권 하의 전 경찰청장, NLC 부의장
- 앤서니 데쿠 - 전 경찰청장, NLC 회원
- 벨라 벨로우 - 토고 출신의 세계적인 음악가. 도널드 트럼프가 2018년 프랑스를 방문했을 때 안젤리크 키조가 불렀던 "Blewu" 노래 작곡가
- 윌리 클루체 - 전 가나 국가대표 축구 선수. 197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라파엘 아르마토 박사 - 1948년 노벨상 후보
- 에스더 오클로 - 가나 최초의 여성 사업가
- 필립 그베호 - 가나 국가의 작곡가이자 음악가
- 에프라임 아무 - 전통 아프리카 음악의 작곡가이자 음악가. 가나의 인기 애국가 'Yen yera asase ni'(miade nyigba lorlor la) 작곡가
- 프레드 콰시 아팔루 - 가나 전 대법원장, 케냐 전 대법원장
- 코피 아부노 교수 - 시인, 작가, 학자, 외교관. 전 가나 유엔 주재 상임 대표
- 애니 루스 지아게 - 변호사, 판사, 여성 인권 운동가. 가나와 영연방 최초의 여성 판사
- 아이작 도그보 - 복서, 전 WBO 주니어 페더급 챔피언
- 모니카 아메코아피아 - 제1회 미스 가나. 볼타 지역은 그녀의 배너 번호인 9번으로 별명이 붙여짐
- 조셉 아그베코 - 복서, 전 IBF 및 IBO 밴텀급 챔피언
- 세파지 아베나 아메수(S3fa) - 가나 아프로비츠/아프로 팝 음악가
- 마리 테레즈 메토이에 - 사업가
- 에드워드 도 아자호 - 전 가나 의회 의장
- 주니어 아고고 -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약했던 전 가나 국가대표 선수
- 코디 각포 - 네덜란드 국가대표 축구 선수
- 알렉스 아그보
- 포포 아그보
- 제롬 아그보
- 우체 헨리 아그보
- 알렉산더 디쿠
- 코시 아가사
- 도세 아티비
- 패트릭 아티포에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아크라 폭동을 일으켜 가나의 독립을 가속화함
- 아부 오고고
- 에마뉘엘 해크먼
- MzVee
- M.anifest
- E.L.
- 스톤보이
- 펠리 누나
- 게일 아그보수몬데
- 파스칼 심슨
- 어니스트 허드슨 주니어. (조상)
- 에드워드 크포도
- 스티븐 나도르
- 요르간 아그블레마뇽
- 리야베 파툼비
- 세르주 가크페
- 스티브 로손
- 도세 아티비
- 에마누엘 에메가
- 프랜시스 아무주 - 프로 축구 선수
- 크리스티안 아추 - 프로 축구 선수
- 클루세 아그보조
- 릴리안 브라시에
- 할리드 장크파타
- 리차드 난
- 로메오 라비아
- 그나마 아카테
- 에드워드 콰쿠 우투카
- 세스 앤서니 - 영국군 장교로 임명된 최초의 흑인 아프리카 태생 군인
- 버질 아블로 - 가나계 미국인 디자이너, DJ, 사업가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A-Z
https://books.google[...]
ABC-CLIO
[2]
서적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3]
웹사이트
Basic Ewe for foreign students
http://www.uni-koeln[...]
2012-09-17
[4]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Ghana
https://www.cia.gov/[...]
CIA Factbook
2021-01-09
[6]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A-Z
https://books.google[...]
ABC-CLIO
[7]
웹사이트
Éwé: A Language of Ghan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0-04-14
[8]
서적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9]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10]
서적
Ewe-Stämme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11]
서적
Flash of the Spirit: African & Afro-American Art & Philosophy
[12]
서적
Translating the Devil: Religion and Modernity Among the Ewe in Ghana
[13]
웹사이트
History: Here Is Why All Ewes Are Proud To Be Called Number 9
https://celebritiesb[...]
CelebritiesBuzzGh
2019-09-28
[14]
서적
Slavery, Memory and Religion in Southeastern Ghana, c. 1850–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Slavery, Memory and Religion in Southeastern Ghana, c. 1850–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A-Z
https://books.google[...]
ABC-CLIO
[17]
서적
Africa: An Encyclopedia of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ABC-CLIO
[18]
서적
Slavery, Memory and Religion in Southeastern Ghana, c. 1850–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Worlds of Music: An Introduction to the Music of the World's Peoples, Shorter Version
https://books.google[...]
Cengage
[20]
서적
African Rhythm Hardback with Accompanying CD: A Northern Ew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Ewe-Stämme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11
[22]
서적
Indigenist African Development and Related Issues: Towards a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https://brill.com/vi[...]
Brill
2014-01-01
[23]
웹사이트
Ewe
http://www.ghanaweb.[...]
Ghana Web
[24]
웹사이트
Ethnicity Facts for Benin & Togo - AncestryDNA
https://www.ances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