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폰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기원은 토고-베냉 국경 부근의 타도 마을로 알려져 있다. 17세기부터 유럽인들의 기록에 등장하며, 다호미 왕국의 확장과 노예 무역에 연관되어 있다. 폰족은 전통적으로 부두교를 믿으며, 사회는 부계 중심이며 농업을 기반으로 한다. 폰족 사회의 특징 중 하나는 여성 군인인 '다호미 아마존'의 존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냉의 민족 - 요루바족
    요루바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며 도시 국가를 건설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으로, 전통 종교, 예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으며, 오늘날 나이지리아 남서부에 주로 거주하면서 기독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한편 전통 종교 신앙도 유지하고 있다.
  • 베냉의 민족 - 에웨족
    에웨족은 서아프리카 해안에 주로 거주하며 가나, 토고, 베냉 국경 지역에 분포하고 그베어를 사용하며, 과거의 침략과 전쟁을 거쳐 이동해왔고, 전통 종교와 기독교 신앙을 가지며, 다양한 춤과 음악 문화를 가진 민족이다.
  • 나이지리아의 민족 - 하우사인
    하우사인은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 남부에 주로 거주하며, 아프리카 각지에 퍼져 살고 있는 아프리카 민족 집단으로, 나이지리아의 3대 민족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하우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이 많다.
  • 나이지리아의 민족 - 카누리족
    카누리족은 니제르 남동부, 나이지리아 북동부, 카메룬 북부에 거주하며 카네므-보르누 제국을 건설한 니로-사하라어족 집단으로, 주로 수니파 무슬림이고 카누리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의 정치, 경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폰족
일반 정보
다호메이 아마존
"다호메이 아마존" - 엘리제 르클뤼 (1905년)
인구5백만 명 (군, 마히, 아이조, 웨메와 같은 관련 그룹 포함)
언어폰어, 프랑스어
관련 집단다른 그베족
민족명 (사람)
민족명 (사람들)폰-누
언어 (폰어)fɔ̀ngbè
국가다호메이
역사적 맥락
아보메이의 부적 숭배자들
1912년 아보메이의 부적 숭배자들
문화적 요소
왕의 옷
왕의 옷
왕笏
왕笏

2. 기원



폰족은 서아프리카의 다른 민족들처럼 고대 역사 기록 없이 중세 말까지 구전 전통에 의존하는 사회를 유지했다. 이 구전 역사와 전설에 따르면, 폰족은 현재 토고-베냉 국경 근처의 작은 아자(Aja) 마을인 타도(Tado)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초기 폰족 통치자들은 원래 알라다 왕국(Allada, 아르드라 왕국이라고도 불림) 지배 계급의 일부였다.[3][8]

아자족 사회 내에서 큰 분쟁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한 집단이 분리되어 나와 폰족을 형성했다. 이들은 아가수(Agassu) 왕과 함께 알라다로 이주했다. 아가수 왕이 사망한 후, 그의 아들들 사이에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다툼이 벌어졌고, 집단은 다시 분열되었다. 이때 폰족은 아가수의 아들 중 한 명인 도그바리(Dogbari)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여, 대략 1620년경 아보메(Abomey)에 다호미 왕국을 세웠다. 폰족은 이곳에 정착했으며, 다호미 왕국은 주변 왕국들을 정복하며 베냉 남동부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3]

폰족의 구전 역사에는 또 다른 기원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는 남쪽에서 이주해 온 알라다-누(Allada-nu) 아자 집단과 고원 지대에 살던 오요-누(Oyo-nu) 거주민, 즉 요루바족 사이의 혼인 관계에서 폰족이 비롯되었다는 설명이다. 이 요루바족은 이게데(Igede)로 알려졌으며, 아자족은 이들을 게데비(Gedevi)라고 불렀다.[9][10] 이주해 온 아자 정복자들과 아보메 고원의 원주민 요루바족이 융합하면서 폰족의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온 이러한 구전 전통, 특히 알라다 기원설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알라다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은 18세기 후반 이전의 동시대 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1720년대에 독립적인 해안 왕국이었던 알라다를 정복한 다호미 왕국의 수도 아보메 지배 왕조가 자신들의 정복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11] 또한, 이러한 기원 주장은 실제 혈연관계보다는 왕국들 사이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12]

3. 역사

폰족에 대한 기록된 역사는 17세기 이전에는 드물지만, 17세기부터 서아프리카 해안을 방문한 유럽 여행가와 무역상들이 남긴 기록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했다.[13] 이 기록들에는 위다와 아보메이 같은 도시가 언급된다. 초기 기록 중에는 1793년 노예 상인 아치볼드 달젤이 저술한 "다호메이의 역사"가 있으나, 현대 학자들은 그의 기록이 객관적인 학문이라기보다는 논쟁적인 저작일 수 있다고 평가한다.[14] 19세기와 20세기 초 프랑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에두아르 포아,[15] N. 사바리아우,[16] 르 에리세 등의 저술과 1938년 M.J. 허스코비츠의 인류학적 연구 등 폰족에 대한 더 많은 자료가 등장했다.[13]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다호미 왕국의 발전과 대서양 노예 무역 시기의 역사가 주로 연구되었다.[3][17][18]

3. 1. 다호미 왕국과 노예 무역

"아마존 킹 앞치마", 다호메이: 19세기


폰족에 대한 기록은 17세기 이전에는 드물지만, 17세기부터 서아프리카 해안을 방문한 유럽 여행가와 무역상들의 기록이 풍부해진다.[13] 이 기록들에는 위다나 아보메이 같은 도시들이 언급된다. 특히 1793년 노예 상인 아치볼드 달젤이 폰족의 전설, 역사, 노예 거래 관행을 담아 저술한 "다호메이의 역사"가 널리 알려졌으나, 현대 학자들은 달젤의 기록이 객관적인 학술 연구라기보다는 논쟁적인 저작일 수 있다며 그의 객관성과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한다.[14]

19세기와 20세기 초 프랑스의 영향력이 커지고 식민지 시대가 시작되면서 폰족에 대한 더 많은 자료가 등장했다. 에두아르 포아의 저서,[15] N. 사바리아우,[16] 르 에리세, 그리고 1938년 M.J. 허스코비츠의 인류학적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13]

이러한 역사 기록들은 18세기 초, 특히 아가자 왕(재위 ~1740년대) 통치 기간에 폰족의 다호미 왕국이 내륙 수도인 아보메이에서 대서양 해안까지 영토를 확장했음을 보여준다.[3] 이는 포르투갈이 콩고족의 땅에 정착한 지 200년 후였으며, 카리브해와 남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 농장에서는 유럽 무역상들의 노예 수요가 급증하던 시기였다. 확장된 다호미 왕국의 영토는 이러한 대서양 횡단 노예 무역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게 되었고, 폰족의 18-19세기 역사는 주로 이 노예 무역과의 관련 속에서 설명된다.[3][17][18]

폰족이 아프리카에서 노예 제도를 처음 만들거나 독점한 것은 아니다. 노예 제도는 폰족의 기원이나 다호미 왕국 형성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다. 역사학자 허버트 클라인에 따르면, 사하라 사막 이남과 홍해 지역에서는 이미 서기 8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연간 5,000명에서 10,000명의 아프리카 흑인 노예(주로 여성과 아이들)가 거래되고 있었다.[19] 아프리카사 연구자인 존 도넬리 페이지에 따르면, "노예 경제는 늦어도 14세기경 서부 및 중앙 수단 지역에 일반적으로 자리 잡았고, 15세기경에는 세네갈 주변과 하부 기니 해안까지 확실히 확산되었다."[20] 15세기에는 폰족 북쪽의 송가이 제국 통치자들이 니제르강 유역에서 농업을 위해 수천 명의 포로 노예를 사용하고 있었다.[19]

지역별 1501년부터 1867년까지의 노예 선적[21]
지역총 탑승자 수총 하선자 수
서중앙 아프리카569만 명
베냉 만200만 명
비아프라 만160만 명
골드 코스트121만 명
윈드워드 코스트34만 명
시에라리온39만 명
세네감비아76만 명
모잠비크54만 명
브라질 (남아메리카)470만 명
남아메리카 나머지 지역90만 명
카리브해410만 명
북아메리카40만 명
유럽1만 명



1650년에서 1850년 사이, 전 세계 유럽 식민지 농장에서 사탕수수, 면화, 팜유, 담배 등을 생산하기 위한 노예 노동 수요가 급증했다. 폰족이 해안선을 장악하기 전인 17세기 후반부터 이미 베냉 만에서는 노예가 선적되고 있었다.[22] 1700년에서 1740년 사이에 대서양 연안에 세력을 구축한 폰족 통치자와 상인들이 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20] 폰족 내부에서는 노예 수요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의견이 나뉘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폰족과 다호미 통치자들이 노예 무역을 제한하거나 중단하려는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지만, 역사적 증거는 다호미 왕국과 폰족의 항구를 포함한 베냉 해안선이 노예의 최대 수출 지역 중 하나가 되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3]

다호미 왕국은 이웃한 베냉 왕국, 오요 제국 등과 경쟁하며 노예를 확보하기 위해 전쟁을 벌이고 포로를 대서양 노예 무역상에게 팔았다. 아프리카 왕국들 사이에서 포로와 노예 확보 경쟁은 상호 간의 압력과 정당화를 심화시켰다. 포로들은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노예 해안(Slave Coast)이라고도 불린 베냉 만에서 유럽인들에게 노예로 팔려나갔다.[23] 폰족은 노예 무역의 피해자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다른 민족 집단을 희생시키는 가해자이기도 했다. 노예들은 전쟁 포로뿐만 아니라, 왕국 내외에서의 조직적인 납치나 서아프리카 내륙에서 상인들이 데려온 이들을 통해 충당되었다. 폰족의 다호미 왕국은 많은 유럽 노예선이 드나들던 항구인 위다를 통제했지만, 이 지역에는 베냉 만과 비아프라 만의 다른 왕국들이 통제하는 경쟁 항구들도 존재했다.[23]

폰족과 에위족 같은 인근 민족 집단 사람들은 프랑스 식민지로 끌려가 카리브해와 남아메리카 해안 농장에서 노예로 일했다. 이들은 처음에는 Whydah|위다영어라고 불렸는데, 이는 '알라다(Allada)에서 팔려 온 사람들'이라는 의미일 수 있다. '위다'는 이후 Rada|라다영어로 변형되어, 현재 아이티, 세인트루시아, 트리니다드, 프랑스령 앤틸리스 등 프랑스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베냉 만 출신 노예 공동체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된다.[8] 일부 카리브해 식민지 문서에서는 Rara|라라영어와 같은 다른 표기도 발견된다.[24]

유럽 식민 세력의 노예 상인과 선주들은 아프리카 왕국 간의 경쟁을 부추기고, 노예를 대가로 무기를 제공했으며, 소규모 왕국을 지원하기 위해 항구나 요새 같은 기반 시설을 건설하기도 했다.[25] 그러나 베냉 만의 노예 무역은 유럽과 미국 국가들이 노예 무역을 불법화하는 법률을 통과시키면서 점차 종식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노예 무역을 마지막으로 공식 금지한 국가는 1851년 브라질 제국이었다.[3][26] 노예 수출이 중단되자 폰족의 왕은 팜유를 중심으로 한 농산물 수출로 경제 방향을 전환했지만, 농장 운영에는 여전히 노예 노동력을 이용했다. 농산물 수출은 과거 노예 무역만큼의 수익을 내지 못했다. 폰족 왕은 국가 수입을 회복하기 위해 19세기 후반 프랑스와 계약을 맺고 왕국 내 항구를 임대해주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이 계약을 토지와 항구의 완전한 양도로 해석했고, 다호미 왕국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3] 이 분쟁은 결국 1890년 프랑스의 공격과 1892년 다호미 왕국의 프랑스 식민지로의 강제 합병으로 이어졌다.[27] 이로써 폰족에 대한 프랑스의 식민 통치가 시작되었다.[3]

3. 2. 프랑스 식민 시대

프랑스 식민 제국의 통치는 폰족 왕가의 종식을 의미했지만, 프랑스는 왕가가 운영하던 플랜테이션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했다.[27] 아프리카사 전문가인 패트릭 매닝 교수에 따르면, 이후 70년 동안 달라진 점은 오직 플랜테이션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이전의 폰족 왕 대신 프랑스 식민 정부가 어떻게 사용할지 결정하게 되었다는 것뿐이었다.[27] 프랑스 식민 행정관들은 프랑스의 식민 이익에 맞춰 플랜테이션의 수익성과 물류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기반 시설을 확충했다.[28]

프랑스 식민 정부는 베냉에서 노예제를 공식적으로 금지하고 많은 노예를 법적으로 해방시켰다. 하지만 농장을 운영하던 기존의 지역 노예 소유주들의 저항과 파벌 싸움에 부딪혔다.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노예 제도를 포함하여 노예제는 암묵적으로 지속되었고, 이들은 지역 사회 내 가족과 함께 생활했다. 일부 폰족 귀족들은 프랑스 통치 하에서 행정관으로 편입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도 했다.[27]

프랑스는 본국에서 시행하던 세금 제도와 유사한 impôt|앵포프랑스어(세금)라는 새로운 세금을 다호메이 식민지에 도입하여 폰족을 포함한 모든 민족에게 부과했다. 주민들은 이러한 세금 납부에 저항하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대립, 반란, 체포, 투옥, 강제 노동으로 이어졌다.[29] 이러한 불만은 점차 폰족이 참여하는 반식민 민족주의 운동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29] 결국 프랑스는 1958년 다호메이에 자치권을 부여했고, 1960년에는 완전한 독립을 승인했다.[30]

4. 종교



폰족의 전통 종교는 지역적으로 ''Vodoun'', ''Vodzu'' 또는 ''Vodu''라고 불리며, 이는 어원적으로 그들의 신학적 개념인 "수많은 불멸의 영혼과 신"을 지칭하는 용어인 ''Vodun''과 관련이 있다.[8][37] 폰족의 종교는 다호미 신화 및 서아프리카 부두교와 깊은 관련이 있다.

폰족의 종교적 관습은 네 가지 중첩된 요소를 가지고 있다: 공공의 신, 개인적인 신, 조상의 영, 마법 또는 부적.[5] 따라서 Vodoun 종교는 다신교이다. 폰족은 '''마우-리사(Mawu-Lisa)'''를 낳고 우주를 창조한 나나 불루쿠(Nana Buluku)라고 불리는 여성 최고 존재를 믿는다.[5] 전설에 따르면, 최고 존재인 어머니 나나 불루쿠는 창조 후 은퇴하여 모든 것을 마우-리사(달-태양, 여성-남성) 신, 영혼, 비활성 우주에 맡겼다. 마우-리사는 다시 수많은 작은 불완전한 신들을 창조했다. 폰족의 믿음에 따르면, 여성 신 마우는 속임수의 신 레그바(Legba)와 우주의 뱀 '''아이도 흐웨도(Aido Hwedo)'''와 함께 살아있는 존재를 창조해야 했다. 이러한 창조 과정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에게 선과 악, 그리고 운명을 부여했다. 폰족 신학에서는 덜 중요한 신들과 레그바를 달래야만 그 운명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달램에는 덜 중요한 신들과 인간에게 호의를 베풀 수 있다고 여겨지는 조상의 영혼들에게 의식과 제물을 바치는 것이 포함된다.[5][38][39] 폰족의 전통 가옥에는 조상 신사인 ''Dexoxos''가 있는 경우가 많다.[5] 부적은 현지에서 ''gbo'', ''gris gris'', ''ju ju'', 또는 ''obeah''라고 불리며, 잎, 허브, 연기 등을 사용하여 각 가족의 공공 또는 개인 신에게 바쳐진다.[5]

일부 폰족은 베냉과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의 식민지 시대에 선교사의 영향으로 기독교이슬람교로 개종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전통 종교 관습을 계속 유지했다.[31] 이슬람교는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베냉 지역에 전파되었고, 기독교는 1789년 집권한 다호미 통치자 아공글로와 그의 폰족 왕족 지지자들이 받아들이면서 선교사들이 환영받았다.[32] 스티븐 마일루에 따르면, 선교사들은 폰족의 창조론 개념을 기독교의 아담과 이브와 동일시하고, 그들의 신 레그바를 기독교의 사탄으로 만들려고 시도했으나, 이는 전통 신앙의 포기가 아닌 혼합주의로 이어졌다.[33]

메리 터너는 폰족이 아이티에서처럼 새로운 환경에서 노예로 끌려갔을 때조차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매우 저항적이었다고 지적한다.[34] 그들은 일반적으로 아브라함계 종교의 틀 안에서 폰족 신화를 재해석하는 것을 거부했다.[35] 오히려 폰족의 사제들은 아브라함 신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종교적 틀 안에서 재해석하기도 했다.[36]



오늘날 많은 폰족이 기독교인으로 정체성을 나타내지만, 다수는 베냉의 전통 종교인 부두교(Vodun)를 계속 실천하고 있다. 폰족은 주요 축제 때 영혼을 받아들이는 사제와 무당을 중요하게 여긴다. 과거 와이다 사원의 신성한 뱀 숭배는 상당한 중요성을 가졌으나, 점차 사라졌다.[42] 부두교 의식에는 특정 신이나 영혼에 의한 빙의를 유도하기 위해 드럼을 연주하는 관습이 포함될 수 있다. 폰족 문화는 요루바족이나 반투와 같은 다른 문화 집단과 함께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문화와 융합되어 아이티 부두교, 오비아, 칸돔블레, 산테리아와 같은 독특한 종교와 아라라, 얀 발루 같은 춤 및 음악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데 영향을 미쳤다.

생도맹그(Saint-Domingue, 현재의 아이티)와 같은 프랑스 식민지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은 폰족의 조각상과 종교적 물건을 압수하고 불태웠지만, 이러한 탄압에도 폰족의 종교 관습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들은 파괴된 상징들을 다시 만들었다.[43] 폰족과 그들의 정부는 식민지 시대의 문화적 개조 시도에 저항했다. 식민지 시대가 끝난 후, 베냉에서는 매년 1월 10일을 부두교 신들을 기리는 공식 공휴일로 선포했다.[44]

5. 사회와 문화

폰족은 전통적으로 한곳에 정착하여 농사를 짓는 농경 사회를 이루었다. 카사바, 옥수수, 얌 등을 주식으로 재배했으며,[2] 남성은 주로 밭을 가는 일을, 여성은 작물을 돌보고 수확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사냥과 어업 역시 중요한 식량 확보 수단이었으며, 일부 사람들은 도자기를 만들거나 옷감을 짜고, 금속으로 된 식기를 생산하기도 했다. 폰족 지역에서는 현금 작물로 기름야자 농장이 흔하게 발견된다.

폰족 사회는 아버지를 중심으로 혈족 관계가 이어지는 부계 사회이며, 한 남성이 여러 아내를 두는 일부다처제와 이혼이 허용되었다. 여러 명의 아내를 둔 남성은 일반적으로 각 아내와 자녀들이 별도의 오두막에서 생활하는 형태의 구내(compound)에 거주했다. 이러한 여러 구내가 모여 마을을 이루었으며, 마을은 보통 대대로 그 지위를 물려받는 세습 추장이 이끌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부계 씨족 중심의 생활 방식이나 관련 관습은 많이 약화되었다.[2]

장례식과 고인을 기리는 사망 기념일은 폰족에게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이 행사는 단순히 슬픔을 표현하는 것을 넘어, 죽은 사람이 영혼으로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것을 축하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드럼 연주와 춤이 함께하며 며칠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46][47]

폰족 문화는 역사적으로 이웃 민족들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었다. 특히 요루바족, 아칸족, 에웨족 등 주변 민족들의 문화적 요소들이 폰족의 관습 속에서도 많이 발견된다.[48]

5. 1. 다호미 아마존

폰족 사회의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약 2세기 동안 여성 군인을 전투 역할에 활용했다는 점이다. 다호미 아마존으로 알려진 이 부대에는 3,000명 이상의 여성들이 훈련을 받고 정규 전사로 복무하며 폰족을 보호하고 세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여성 전사 부대는 여성이 지휘했다.[49][50]

폰족의 구전 전통 때문에 여성들이 언제부터 전사로 합류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장-피에르 티보와 같은 초기 유럽인들의 기록은 이 전통이 18세기 초 또는 그 이전부터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49] 당시 유럽 사회에서는 여성이 군 복무를 하는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에, 이러한 폰족의 모습은 유럽 여행자들에게 매우 생소하게 받아들여졌다. 유럽 언론의 초기 허구적인 이야기들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6]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é Laval, Collection Rapport de recherche de l'ODSEF https://www.axl.cefa[...] 2022-09-24
[2] 웹사이트 Fon people https://www.britanni[...] 2019-06-29
[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5]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6] 간행물 The 'Amazons' of Dahomey https://www.jstor.or[...] Paideuma: Mitteilungen zur Kulturkunde
[7] 논문 On the Origins of the Amazons of Dahom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Caribbe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9] 웹사이트 The Kingdom of Abomey, the Royal Palaces of Abomey - Evenemenciel http://evenemenciel.[...] 2017-09-02
[10] 서적 Africa's Ogun, Second, Expanded Edition: Old World and New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Slave Coast of West-Africa 1550-1750 Clarendon Press 1991
[12] 서적 The African Past Speaks: Essays on Oral Tradition and History https://archive.org/[...] Archon Books 1980
[13] 서적 Slavery, Colonialism and Economic Growth in Dahomey, 1640-196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Archibald Dalzel: Slave Trader and Historian of Dahomey https://www.jstor.or[...] The Journal of Afric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Le Dahomey http://gallica.bnf.f[...] BnF: National Library of France
[16] 웹사이트 L'agriculture au Dahomey https://archive.org/[...] A. Challamel, Marseille, France, Exposition nationale
[17] 논문 West Africa in the Atlantic Community: The Case of the Slave Coast
[18] 서적 The Atlantic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4-26
[19] 서적 The Atlantic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논문 Slavery and the Slave Trade in the Context of West Afric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문서 Atlas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Yale University Press
[22] 서적 Slavery, Colonialism and Economic Growth in Dahomey, 1640-196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Atlantic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4-26
[24] 서적 "New Negroes from Africa": Slave Trade Abolition and Free African Settlement in the Nineteenth-century Caribbea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5] 서적 African Voices of the Atlantic Slave Trade: Beyond the Silence and the Sham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26] 뉴스 CHRONOLOGY - Who banned slavery when? https://www.reuters.[...] Reuters
[27] 서적 Slavery, Colonialism and Economic Growth in Dahomey, 1640-196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Slavery, Colonialism and Economic Growth in Dahomey, 1640-196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Slavery, Colonialism and Economic Growth in Dahomey, 1640-196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Infobase
[31] 서적 'Holy' Johnson, Pioneer of African Nationalism, 1836-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 서적 Africa: An Encyclopedia of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ABC-CLIO
[33] 서적 Reception Histories: Rhetoric, Pragmatism, and American Cultural Politic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34] 논문 African Interpretations of the Christian Cross in Vodun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Rhetoric and Hermeneutics in Our Time: A Read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6] 논문 African Interpretations of the Christian Cross in Vodun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38] 논문 The Face of "Lafwa": Vodou & Ancient Figurines Defy Human Destiny https://www.jstor.or[...] Haitian Studies Association
[39] 논문 Who Is That Fellow in the Many-Colored Cap? Transformations of Eshu in Old and New World Mythologies
[40] 뉴스 The Trial That Gave Vodou A Bad Name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Magazine 2013-05
[41] 서적 The Spirits and the Law: Vodou and Power in Hait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2] 웹사이트 EL ELEMENTO SUBSAHÁRICO EN EL LÉXICO venezolano http://www.uned.es/s[...]
[43] 논문 The place of Voodoo in the Social Structure of Haiti https://www.jstor.or[...] 1973-09
[44]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Curator's Choice: Islam in Africa, Fon https://www.brooklyn[...] Brooklyn Museum
[46] 서적 Africa: An Encyclopedia of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ABC-CLIO
[47] 서적 Writing through the Visual and Virtual: Inscribing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in Francophone Africa and the Caribbean https://books.google[...]
[48] 서적 Then We'll Sing a New Song: African Influences on America's Religious Landscape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49] 뉴스 Dahomey’s Women Warriors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Magazine
[50] 서적 Amazons of Black Sparta: The Women Warriors of Dahomey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1-04-11
[51]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