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주의 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주의 미학은 예술과 미학에 대한 기존의 남성 중심적 관점을 비판하고, 여성의 경험과 관점을 중심으로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탐구하는 분야이다. 18세기 미적 쾌락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여, 예술의 창작과 향유에 있어 성별 및 계급적 분열을 비판하며,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이분법을 분석한다. 페미니스트 미학은 예술의 사회적 제도와 언어 사용에 내재된 성차별적 요소를 지적하고, '창조적 천재' 개념, 미술과 공예의 구분 등 기존 미학의 주요 개념들을 비판한다. 또한, 게릴라 걸스와 같은 관련 그룹 및 운동, 페미니스트 미술 비평 등을 통해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와 예술 - 메데이아 (에우리피데스)
메데이아는 에우리피데스가 기원전 431년에 발표한 그리스 비극으로, 남편 이아손의 배신에 복수하기 위해 메데이아가 크레온 왕과 그의 딸 글라우케를 독살하고 자신의 아이들까지 살해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초연 당시에는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지만 후대에 재평가되어 서양 고전으로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 여성주의와 예술 - 수탉 (카타리나 프릿치)
수탉 (카타리나 프릿치)은 카타리나 프릿치가 제작한 파란색 수탉 조각 작품으로, 페미니즘적 의미와 유머를 담아 런던 트라팔가 광장의 남성 중심적인 분위기에 반전을 시도했다. - 여성주의 철학 - 돌봄 윤리
돌봄 윤리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공감, 책임, 배려를 중시하는 윤리적 관점으로, 여성적 관점에서 도덕성을 재해석하며 추상적 원칙보다 구체적 관계 속 책임을 강조하고, 정치, 정신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여성주의 철학 - 페미니스트 이론
페미니스트 이론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저술에서 시작되어 여성의 권리, 성 정체성, 성별 간 관계 등을 논하며 발전해 왔고, 다양한 분파를 거쳐 여성의 억압과 차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다. - 여성주의 이론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여성주의 이론 - 흑인 여성주의
흑인 여성주의는 1960-70년대 민권 운동과 2세대 여성주의 운동에서 흑인 여성들이 겪은 배제와 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종, 젠더, 계급 등 다양한 억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흑인 여성의 특수한 경험을 분석하고 사회 불평등에 저항하며 권익을 옹호하는 사상 및 운동이다.
여성주의 미학 | |
---|---|
페미니스트 미학 | |
![]() | |
학문 분야 | |
하위 분야 | 미학, 페미니즘 |
영향 받은 분야 | |
관련 주제 | 페미니스트 미술 여성주의 문학 비평 페미니스트 영화 이론 젠더 연구 |
주요 인물 | |
페미니스트 미학자 | 린다 노클린 그리젤다 폴록 마거릿 이버슨 로지 브라이도티 주디스 버틀러 도나 해러웨이 루스 이리가레이 줄리아 크리스테바 뤼스 테리 |
관련 개념 | |
주요 개념 | 여성의 경험 성별 이분법 비판 권력 관계 분석 재현의 문제 몸과 물질 주체성 정체성 다름 타자 성차 억압 해방 저항 전복 유토피아 여성의 글쓰기 (Écriture féminine) |
주요 이론 | |
이론 |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사회주의 페미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퀴어 이론 상호교차성 |
2. 역사적 배경 및 철학적 논의
18세기부터 미적 쾌락에 대한 개념은 "취향"을 정의하려 했다. 칸트와 흄은 모두 미적 쾌락을 만들어내는 보편적인 좋은 취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페미니스트들은 순수 예술이 당시의 여가 활동이었기 때문에, 예술을 만들거나 예술이 어떻게 즐겨지는지에 대한 보편적인 진실을 생산할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계급 및 성별 분열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비판한다.[2] 심지어 그러한 보편적인 미학자들이 성별을 다룰 때에도, 그들은 미학을 아름다움과 숭고함 두 가지 범주로 분류했는데, 아름다움은 작고 섬세한 것(여성적)이고, 숭고함은 크고 경외심을 불러일으키는 것(남성적)으로 여겨졌다.[2] 이러한 관점은 예술과 미학에서 "여성적" 특성이 "남성적" 특성에 비해 왜 종속적인지를 분석하게 한다.[8]
미학적 관점에서 아름다움, 예술, 감각적 경험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견해는 미학이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다. 미학은 생산 방식을 살펴본다.[3] 페미니스트들은 예술과 미학에 대한 사람들의 사고방식이 중립적이거나 포괄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성 역할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2] 개인의 성 정체성은 그들의 주관적 위치 때문에 예술과 미학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그러한 인식은 권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5] 사람들의 예술을 보는 방식은 계급과 인종과 같은 사회적 가치관의 영향도 받는다.[6] 삶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위치는 삶과 경험에 대한 사람들의 다양한 지식 때문에 예술이 인식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5] 페미니스트 역사가 전통적인 역사를 뒤흔드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페미니스트 미학은 아름다움, 예술, 감각적 경험에 대한 철학에 도전한다.[7]
2. 1. 서구 미학의 젠더 이분법
2. 2. 한국 전통 미학과 여성성
3. 페미니스트 미학의 주요 개념
페미니스트 미학은 예술과 미학에 대한 기존의 남성 중심적 관점을 비판하고, 여성의 경험과 관점을 중심으로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탐구한다. 미학 이론 형성에 남성이 지배적이었던 이유는, 페미니스트들이 비페미니스트 미학자들과 달리 미적 쾌락을 표현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 힐데 하인은 페미니스트는 대상을 무관심한 해석자로 간주하고 감각을 지성화할 가능성이 적다고 보았다.[7] 모스는 예술이 사회적 제도이며, 그 제도의 영향력은 주로 남성에게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9] 여성 예술가들의 "자체 정의된" 예술과 "자체 결정된" 예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한다.[9] 페미니스트 예술 비평가들은 예술에 정치가 설 자리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많은 예술 형식에는 정치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평가들은 그들의 주관적인 위치 때문에 이를 인식하지 못한다.[10]
예술의 미학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되는 언어는 여성적이고 여성 정체성을 나타내는 언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한적이다.[11] 별도의 페미니스트 미학 분야가 존재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는데, 만약 별도의 분야가 있다면 여성의 예술은 페미니스트로 정의되고, 그러면 "정상적인" 모든 다른 예술은 자동적으로 남성적인 것으로 분류된다는 가정이 있다.[11]
"창조적 천재"라는 개념 또한 페미니스트 미학에서 검토된다. 여성 예술가는 종종 창의적이거나 예술적인 천재로 간주되지 않는다.[12] 이러한 배제는 부분적으로 천재에 대한 전통적인 남성적 정의에서 비롯된다.[7] 크리스틴 배터스비는 여성 예술가가 그들의 예술로부터 분리되어, 예술가 대신 그들의 예술이 천재라고 불릴 것이기 때문에, 여성이 천재로 알려지는 데서 배제되는 것을 비판했다.[14] 여성은 예술가와 천재로 인정받는 데 필요한 예술 교육 기회가 부족했기 때문에 배제되기도 했다.[13] 또한, 창조적 천재라는 생각 자체는 개인주의를 찬양하며 - 배터스비는 이를 "일종의 남성적 영웅주의"라고 부른다 - 공동 협력의 작업을 간과한다.[14]
미술사학자 린다 노클린은 미술사가 서구 남성의 관점에서 비롯되어 예술을 바라보는 지배적인 방식을 만들어낸다고 말한다. 노클린은 미술사에서 왜 "위대한" 여성 예술가가 없었는지 질문하며, 이는 예술 분야 내에서 서구 남성의 영향력 때문임을 이해한다.[15]
3. 1. '창조적 천재' 개념 비판
3. 2. '미술'과 '공예'의 구분 비판
페미니스트 미학은 미술과 공예를 구분하는 미학 이론은 여성 혐오적이라고 본다.[16] 여기서 미술은 일반적으로 '순수 미술'을, 공예는 그 외의 모든 '일상 미학'을 의미한다.[5] 자수나 바느질과 같이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사용해 온 미술 형식은 가정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미술이 아닌 공예로 인식된다.[5] 여성주의 미학은 "미술"로 여겨지든 아니든 여성들이 창작한 모든 객체에 초점을 맞춘다.[10] 이러한 공예 활동은 많은 여성들이 계속해서 일하는 가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들의 영역이 소외되어 "미술"에 대한 인식으로 인해 그들의 창의성이 간과된다.[17]3. 3. 언어와 미학
4. 관련 그룹 및 운동
게릴라 걸스는 페미니즘이 공공 예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맞춘 현대의 활동가 그룹이다. 예술, 영화, 팝 문화계의 성 및 인종적 편견과 부패를 폭로한다는 점에서 여성주의 미학과 관련이 있다. 이 그룹은 이러한 분야에서 여성의 가치가 동등하게 평가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고 성 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
4. 1. 게릴라 걸스
게릴라 걸스는 페미니즘이 공공 예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맞춘 현대의 활동가 그룹이다. 예술, 영화, 팝 문화계의 성 및 인종적 편견과 부패를 폭로한다는 점에서 여성주의 미학과 관련이 있다. 이 그룹은 이러한 분야에서 여성의 가치가 동등하게 평가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고 성 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4. 2. 한국의 여성 미술 운동
5. 페미니스트 미술 비평
페미니스트 미술 비평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 여신 이미지, 개인적 서사 등 여성의 경험과 관련된 주제를 탐구한다.[19] 또한 "개별적 고독한 천재"의 가치를 절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19]
5. 1. 린다 노클린의 미술사 비판
5. 2. 한국 페미니스트 미술 비평의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Feminist Aesthetics: Art and Artists: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feministe[...]
[2]
웹사이트
Feminist Aesthetics
http://plato.stanfor[...]
2014-02-01
[3]
논문
The Role of Feminist Aesthetics in Feminist Theory
1990
[4]
논문
Philosophical Aspects of Understanding the Trend of Feminist Aesthetics
[5]
간행물
Feminist Aesthetics
Taylor & Francis Group
[6]
논문
Artivismo, estetica feminista e producao de sobjetividade
[7]
논문
The Role of Feminist Aesthetics in Feminist Theory
1990
[8]
서적
Gender and Aesthet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9]
논문
Feminist Aesthetics and the Spectrum of Gender
1992-04
[10]
서적
Aesthetics in Feminist Perspective
Indiana University Press
[11]
논문
Analytic Aesthetics and Feminist Aesthetics: Neither/Nor?
1990
[12]
간행물
Genius and Femi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3]
서적
Gender and Aesthetics: An Introduction
Taylor and Francis
[14]
서적
Gender and Genius: Towards a Feminist Aesthetics
The Women's Press Ltd.
[15]
서적
Women, Art, and Power and Other Essays
Routledge
2018-02-12
[16]
서적
Differencing the Canon: Feminism and the Writing of Art's Histories
Routledge
[17]
서적
The Extraordinary in the Ordinary: The aesthetics of everyday life
Broadview Press
[18]
웹사이트
OUR STORY
https://www.guerrill[...]
2019-10-17
[19]
웹사이트
The Crime of Candor: Feminist Art Criticism {{!}} Studio Potter
https://studiopotter[...]
2019-10-17
[20]
웹인용
Feminist Aesthetics: Art and Artists: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feministe[...]
[21]
웹인용
Feminist Aesthetics
http://plato.stanfor[...]
2014-02-01
[22]
저널
The Role of Feminist Aesthetics in Feminist Theory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