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대 (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대는 10년의 기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를 기준으로 0-9년, 또는 1-0년으로 구분하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0-9년 방식은 0으로 시작하여 9로 끝나는 10년을 묶는 방식으로, 2000년대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를, 1-0년 방식은 1로 시작하여 0으로 끝나는 10년을 묶는 방식으로, 2000년대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분 방식의 차이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서기 1년부터 시작하는 기년법을 따르는 경우 1-0년 방식이 엄밀한 의미에 가깝다. 또한, 10년 단위는 개인의 연령이나 음악 앨범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간의 단위 - 오전
  • 시간의 단위 - 오후
    오후는 정오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으로, 1300년경부터 사용된 단어이며, 태양의 위치, 근무 시간, 학교 수업, 인간의 체온 변화, 교통사고 발생률, 생산성 감소 등과 관련이 있다.
연대 (연도)
십년기
기간10년
설명10년의 기간을 나타내는 말
같이 보기
관련 항목수학에서의 10
10년
세기
천년기

2. 10년 단위 구분 방식

10년의 기간을 "10년"이라고 한다.[1] 예를 들어, "모차르트가 마지막 10년 동안 당시에는 드물었던 정도의 반음계 화성을 탐구했다"는 말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삶의 마지막 10년을 가리키는 것으로, 어떤 달력 연도가 포함되는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개인의 '첫 10년'은 출생일에 시작하여 10번째 생일을 맞는 10세에 끝나며, 삶의 두 번째 10년은 11세에 시작(보통 "10대"라고 불림)하여 20번째 생일에 20세가 될 때 끝난다. 마찬가지로, 20대에 해당하는 삶의 세 번째 10년은 21세에 시작되며, 그 이후의 10년은 나이의 10의 자리 숫자를 참조하여 유사하게 설명된다.

서기에서의 10년 단위 구분은 세기천년기의 구분과 관련된 개념과 마찬가지이다. 서기에는 0년이 존재하지 않고 1년부터 계산이 시작되므로, '''원래는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가 1 - 0인 10년'''을 하나의 단위로 한다. 그러나, '''–0년대'''라는 표현의 경우에는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가 0 - 9인 10년'''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2000년대'''의 경우, 일반적으로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10년을 가리키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서기를 정의대로 구분하면,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10년이 하나의 묶음('''10년 단위''')이 된다.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시대 구분이 이루어지더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인식 차이로 인해 유럽이나 미국일본 외 국가에서는 종종 혼란을 초래한다. 그러나, 일본 국내에서는 세기가 일반적일지라도, 10년 단위로 서기를 구분하는 용법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10년으로 시대를 구분하는 것은 '''–0년대'''에서의 용법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고유 명사로서는 '''...의 10년''', '''년'''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예: 국제 방재의 10년, 국제 방재 순년).

10년 단위의 두 가지 구분 방식
1년2년3년...9년10년11년12년...19년20년...2000년2001년2002년...2009년2010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분 방식0년대10년대...2000년대...
"decade"의 원의에 따른 구분(가번역)1세기 제1 10년 단위1세기 제2 10년 단위...21세기 제1 10년 단위


2. 1. 일반적인 구분 방식 (0-9년)

십 년을 표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가 0으로 시작하여 9로 끝나는 10년을 묶는 것이다.[2] 예를 들어, 1960년부터 1969년까지는 1960년대, 2000년부터 2009년까지는 2000년대와 같이 표기한다. 대한민국에서는 "'60년대", "'70년대"와 같이 십의 자리만 언급하기도 한다.[2]

이러한 방식은 19세기 후반에 일반화되었으며,[2] 특히 20세기에는 ''0-to-9'' 십 년에 "광란의 20년대"(1920년대), "전쟁의 40년대" (1940년대), "스윙잉 60년대" (1960년대)와 같은 별명이 붙기도 하였다.[2] 1890년대를 "화려한 90년대" 또는 "장난기 많은 90년대"라고 부르는 것과 같이 이전 세기의 십 년에도 적용된다.[2]

10년 단위의 두 가지 구분 방식
1년2년3년...9년10년11년12년...19년20년...2000년2001년2002년...2009년2010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분 방식0년대10년대...2000년대...
"decade"의 원의에 따른 구분(가번역)1세기 제1 10년 단위1세기 제2 10년 단위...21세기 제1 10년 단위



서기에는 0년이 존재하지 않고 1년부터 계산이 시작되므로, 원래는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가 1 - 0인 10년을 하나의 단위로 한다. 그러나, '''-0년대'''라는 표현의 경우에는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가 0 - 9인 10년'''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

기년 단위로서의 용법 외에도, 뮤지션이나 가수, 밴드 등의 데뷔 또는 결성 10주년을 기념한 앨범이나 작품집 등의 제목에, 10년 단위의 데케이드/decade영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2. 2. 기년법에 따른 구분 방식 (1-0년)

서기력의 시작부터 연도를 묶어, 1로 끝나는 해부터 0으로 끝나는 해까지 연속적인 10년을 만들어낸다. 1–10년은 "10년대", 11–20년은 "20년대" 등으로 묘사된다. 이후의 10년은 보통 '세기'를 엄격하게 해석하여 '몇 세기의 몇 번째 10년대'로 묘사된다. 예를 들어, "12세기의 두 번째 10년"; "그 세기의 마지막 10년"; "16세기의 첫 번째 10년"; "16세기의 세 번째 10년"; "18세기의 첫 번째 10년"과 같다. 이 10년 그룹은 명시적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961–1970"; "2001–2010"; "2021–2030"과 같다.

서기 1년부터 시작하는 기년법 원칙에 따라,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가 1로 시작하여 0으로 끝나는 10년을 묶어 하나의 단위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2001년부터 2010년까지를 21세기의 첫 번째 10년으로 본다. 이 방식은 0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한 구분법이다.

사용 방법 비교
연도123...9101112...1920...200020012002...2009201020112012...2019202020212022...20292030
0-to-9 10년0년대10년대...2000년대2010년대2020년대...
1-to-0 10년1세기의 10년대1세기의 20년대...21세기의 10년대21세기의 20년대21세기의 3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엄밀한 의미의 10년을 따질 때는 이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3. 구분 방식에 따른 혼란

일반적으로 연대를 구분할 때, 서기의 마지막 자릿수가 0-9인 10년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방식(0-9 방식)과 1-0인 10년을 묶는 방식(1-0 방식)이 존재한다. 서기는 0년이 없이 1년부터 시작하므로, 엄밀하게는 1-0 방식이 맞지만, '-0년대' 표현은 0-9 방식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11] 예를 들어, 2000년대는 보통 2000년부터 2009년까지를 가리키지만, 엄밀한 의미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분 방식의 차이는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11] 유고브(YouGov)가 2019년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4%는 0-9년 방식을, 17%는 1-0년 방식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10년 단위의 두 가지 구분 방식
1년2년3년...9년10년11년12년...19년20년...2000년2001년2002년...2009년2010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분 방식0년대10년대...2000년대...
"decade"의 원의에 따른 구분(가번역)1세기 제1 10년 단위1세기 제2 10년 단위...21세기 제1 10년 단위



대한민국에서는 '-0년대'와 같이 0-9년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므로 이러한 혼란이 적은 편이다.

한편, 10년 단위의 영어 표현인 “'''decade'''”(데케이드, 디케이드)는 음악가나 밴드의 데뷔 10주년 기념 앨범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

4. 기타 용법

10년의 기간을 "10년"이라고 한다.[1] 예를 들어, "모차르트가 마지막 10년 동안 당시에는 드물었던 정도의 반음계 화성을 탐구했다"는 말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삶의 마지막 10년을 가리키는 것으로, 어떤 달력 연도가 포함되는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개인의 '첫 10년'은 출생일에 시작하여 10번째 생일을 맞는 10세에 끝나며, 삶의 두 번째 10년은 11세에 시작하여 20번째 생일에 20세가 될 때 끝난다. 20대에 해당하는 삶의 세 번째 10년은 21세에 시작되며, 그 이후의 10년은 나이의 10의 자리 숫자를 참조하여 유사하게 설명된다.

5. 10년 단위 구분 방식 비교표

참조

[1] 웹사이트 Decade https://www.lexico.c[...] 2020-02-26
[2] 웹사이트 Now We're Past the, Uh, First Decade, What Do We Call the Next One https://learningengl[...] Learning English 2022-01-02
[3] 서적 The Compact Edition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4] 서적 The Compact Edition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5] 웹사이트 Catalogue of Illuminated Manuscripts https://www.bl.uk/ca[...] 2020-02-24
[6] 웹사이트 Illuminated Manuscripts from the Collection of Maurice Burrus (1882–1959) https://www.christie[...] 2020-02-24
[7] 웹사이트 French harpsichord music in the first decade of the 18th century https://academic.oup[...] 2020-02-24
[8] 웹사이트 Past Poets Laureate: 1961–1970 https://www.loc.gov/[...] 2020-02-24
[9] 웹사이트 Milestones 2001–2010 https://www.un.org/e[...] 2020-02-24
[10] 웹사이트 Solar Eclipses: 2021–2030 https://eclipse.gsfc[...] 2020-02-24
[11] 웹사이트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debate around when a decade begins and ends. When do you think the next decade will begin and end? https://today.yougov[...] 2019-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