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태자 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자 단은 춘추전국시대 연나라의 인물로, 진나라에 인질로 잡혀간 경험과 진 시황제와의 갈등으로 인해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진나라의 위협을 느껴, 형가를 자객으로 보내 시황제 암살을 계획했다. 형가는 번오기의 머리와 지도를 가지고 진나라로 갔지만, 암살은 실패하고 형가와 진무양은 죽임을 당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진나라는 연나라를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키고, 태자 단은 연왕 희에게 죽임을 당했다. 결국 연나라는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나라 사람 - 위만
    위만은 연나라 사람으로 고조선으로 망명하여 위만조선을 건국하고, 주변국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한 무제에 의해 멸망했다.
  • 연나라 사람 - 진무양
    진무양은 형가의 조력자로서 진시황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처형된 인물로, 어린 시절 무술에 능했으나 난폭한 성향을 보였다.
연태자 단
기본 정보
형가의 자객 행위
형가의 자객 행위
姬丹 (Jī Dān 지단)
존칭태자 단
생몰기원전 ? ~ 기원전 226년
아버지연왕 희
생애
주요 활동형가를 보내 진시황 암살 시도
기타
사망기원전 226년, 아버지 연왕 희에 의해 살해됨

2. 생애

태자 단은 어린 시절 조나라에서 인질 생활을 했고, 이후 진나라의 볼모가 되었다가 연나라로 도망쳐 왔다. 진나라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품고 있던 단은 시황제를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3]

진나라 장군 왕전이 초나라를 격파하고, 왕분이 연나라를 공격해 오자, 단은 형가진무양을 보내 시황제 암살을 시도했다. 진나라 장수였던 번오기는 시황제의 출생 비밀에 의혹을 제기하며 반란을 일으켰다가 연나라로 망명했는데, 진나라는 협상을 통해 번오기의 목을 요구했다. 형가는 번오기의 목을 가지고 시황제를 알현했으나, 진무양이 겁을 먹는 바람에 암살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3]

시황제는 형가의 암살 시도를 계기로 연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227년 진나라의 침공으로 역수에서 패하고, 기원전 226년에는 수도 가 함락되었다.[4] 단과 연왕 희는 요동으로 도망쳤으나, 진나라의 계속된 추격에 연왕 희는 단을 죽이고 그 머리를 진나라에 바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황제는 요동까지 추격하여 기원전 222년 연나라를 완전히 멸망시켰다.[3]

2. 1. 어린 시절과 진나라 인질 생활

태자 단(丹)은 어린 시절 조나라에서 인질 생활을 했고, 그곳에서 마찬가지로 인질이었던 진나라 왕족 정(훗날의 시황제)과 친하게 지냈다. 그러나 훗날 본국으로 돌아와 연나라 태자가 된 단은 연나라의 사절로서 진나라를 방문했을 때, 과거의 친구였던 진왕 정에게 냉대를 받았다. 이에 큰 충격을 받은 단은 진나라가 연나라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귀국했다.[3]

귀국 후 진나라의 강성함을 우려한 단은 중신 국무에게 대책을 논의했다. 국무는 진나라의 유리한 지리적 조건과 강력한 군사력을 언급하며 정면 대결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간언했다. 그러나 단은 국무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3]

이후 진나라의 군세가 소수 정예화되면서 해고된 병사들을 안타깝게 여겨 이에 반대했던 진나라의 전 장군 번오기가 진왕 정에게 미움을 받아 연나라로 망명해 왔다. 단은 번오기를 숨겨주었는데, 국무는 "굶주린 호랑이(진) 앞에 고기를 놓는 것"과 같다며 번오기를 흉노로 보내고 다른 나라들과 동맹을 맺어야 한다고 간언했다. 하지만 단은 진나라의 가혹한 정치 때문에 가족까지 잃고 쫓기는 번오기의 처지를 딱하게 여겨 이 제안을 거절했다.[3]

단은 국무의 소개로 만난 전광에게 진나라에 대한 대책을 물었고, 전광은 형가를 추천했다. 단은 전광에게 비밀 유지를 당부했고, 전광은 형가에게 단의 뜻을 전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어 비밀을 지켰다. 이 소식을 들은 단은 매우 슬퍼했다.[3]

결국 태자 단은 진나라에 대한 적개심으로 인해 진나라 왕을 암살할 계획을 세우고, 형가를 자객으로 보내 진왕 정 암살을 시도하게 된다.[3]

2. 2. 진나라에 대한 복수심과 암살 계획

조나라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태자 단은 이후 진나라의 볼모가 되었다. 진나라에서의 볼모 생활에 반감을 품고 연나라로 도망쳐 온 태자 단은 진나라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갖게 되었다.[3]

진나라 장군 왕전이 초나라를 무너뜨리고, 그의 아들 왕분이 연나라를 공략하자, 연나라 태자 단은 위나라 출신 자객 형가와 연나라 장수 진무양을 시켜 시황제 암살을 계획한다.[3] 이 계획에는 본래 노구천이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태자 단의 추천으로 진무양이 대신 형가와 동행하게 되었다.[3]

진나라 장수였던 번오기는 진 시황제의 출생에 의혹을 제기하며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연나라로 도망쳤다. 진나라와의 협상에서 진나라는 번오기의 목을 요구했다.[3]

형가는 번오기의 목을 가지고 진 시황제를 만났는데, 이때 진무양진 시황제를 보자 겁에 질려 벌벌 떨었다. 13세에 살인을 하고도 당당했던 것으로 알려진 진무양의 의외의 모습이었다.[3]

진무양의 행동으로 진 시황제가 상황을 눈치챘으나, 형가의 임기응변으로 위기를 넘겼다. 형가진 시황제에게 지도를 보여주는 척하며 숨겨둔 비수로 공격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칼로 진 시황제를 공격했으나 옷깃만 베었다. 진 시황제형가를 베었고, 형가는 마지막으로 칼을 던졌으나 구리 기둥에 맞아 암살은 실패로 돌아갔다. 진 시황제형가진무양을 그 자리에서 처형했다.[3]

진 시황제형가의 암살 시도를 계기로 연나라를 공격하여 대규모 전쟁을 일으켰다. 10개월 만에 연나라의 수도가 함락되었고, 연왕 희와 태자 단은 요동으로 도망쳤다.[3]

진나라가 계속 추격해오자 연왕 희는 전쟁의 원인이 된 태자 단을 죽여 그 목을 진 시황제에게 바쳤다. 그러나 진 시황제는 요동까지 추격하여 연나라를 멸망시켰다.[3]

2. 3. 형가 암살 시도와 실패

진나라 장군 왕전(王翦)이 초나라를 무너뜨리고 왕전의 아들 왕분(王賁)이 연나라를 공략하자, 연나라 태자 단(丹)은 시황제(始皇帝)를 암살하기 위해 위나라 출신 자객 형가(荊軻)와 연나라 장수 진무양(秦舞陽)을 진나라에 보냈다. 형가는 본래 노구천을 데려갈 생각이었으나, 태자 단의 천거로 진무양을 대동한다.[3]

번오기(樊於期)는 진나라 장수로, 진시황제 출생의 비밀에 의혹을 제기하며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시황제의 공격을 피해 연나라로 도망쳤다. 연나라는 진나라의 공격을 막기 위해 협상을 시도했고, 진나라는 번오기의 수급을 요구했다. 형가는 번오기를 설득하여 그의 수급과 진나라에 할양하겠다고 속인 독강의 지도를 가지고 진나라로 갔다.[3]

형가는 번오기의 수급을 가지고 진시황제와 접견했으나, 진무양(秦舞陽)은 시황제를 보자마자 겁에 질려 벌벌 떨었다. 진무양은 13세에 사람을 죽이고도 당당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겁이 많은 인물이었다.

진무양이 겁을 먹고 떨자 진시황제는 상황을 눈치챘지만, 형가가 임기응변으로 대처했다. 형가는 시황제에게 지도를 보여주며 지도 안에 숨겨둔 비수로 공격하려 했으나, 발각되어 다급해진 나머지 칼로 시황제를 공격했지만 옷깃만 베었다. 시황제는 겨우 칼을 뽑아 형가를 베었고, 형가는 마지막으로 칼을 던졌으나 구리 기둥에 맞아 암살에 실패했다. 시황제는 형가와 진무양을 그 자리에서 죽였다.[3]

진 시황제(秦始皇帝)는 형가의 암살 사건을 계기로 연나라에 대규모 전쟁을 일으켰다. 기원전 226년, 연나라 수도 가 함락되었고, 단과 연왕 희는 요동으로 도망쳤다.[4][3]

2. 4. 암살 실패의 결과와 연나라 멸망

진(秦)나라 시황제형가의 암살 사건을 계기로 연나라를 상대로 대규모 전쟁을 시작한다.[3] 기원전 227년, 진나라는 사건의 주모자인 단을 추격하기 위해 연나라로 침공했고, 연나라는 대와 연합하여 싸웠지만 역수에서 패배했다.[3] 10개월 만에 연나라의 수도 가 함락되고[4] 연왕 희(燕王 喜)와 태자 단(丹)은 요동으로 도망했다.[4][3]

진(秦)나라가 연(燕)나라 잔존 세력을 계속 추격하자 연왕 희(喜)는 전쟁의 발단이 된 태자 단(丹)을 죽이고 그 수급을 진시황제에게 바친다.[3] 단은 진나라 장수 이신에게 쫓겨, 연수에 몸을 숨겼다.[3] 그 후, 연왕 희는 대왕 가의 권유로, 연수에 있던 단에게 사자를 보내 살해하고, 그 머리를 진나라에 바침으로써 용서받았다.[3] 하지만 시황제는 요동까지 연(燕)나라 잔존 세력을 추격하여 기원전 222년 연나라를 멸망하게 하였다. 한편, 《사기》 백기·왕전 열전에는 연수에 있던 단은 이신에게 포로로 잡혔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사기》 진시황 본기에는 연나라의 수도 계가 함락되었을 때 죽임을 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5][4]

3. 사후

단이 죽은 후 4년 뒤인 기원전 222년, 연왕 희가 붙잡히면서 연나라는 멸망했다.[1]

참조

[1] 서적 Kinas förste kejsare http://www.adlibris.[...] Natur & Kultur 2016
[2] 문서 史記』燕世家では周王朝と同姓の「姫姓」としているが、[[殷墟]]から発掘された『[[卜辞]]』および『[[史記索隠]]』が引く『[[竹書紀年]]』よれば、姓は姞姓である
[3] 서적 史記』刺客列伝
[4] 서적 史記』秦始皇本紀
[5] 서적 史記』白起・王翦列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