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희궁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희궁주는 고려 명종과 광정태후의 딸로, 고려 희종의 장모이다. 1173년 공주에 책봉되었으며, 영인후 왕진과 혼인하여 아들 회안공 왕정과 딸 성평왕후를 두었다. 성평왕후는 희종의 비가 되었다. 2003년~2004년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 배우 오수민이 연희궁주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연희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고려의 왕녀 |
봉호 | 연희궁공주 (연희궁주) |
봉작 년도 | 1173년 |
후임 | 수안궁주 |
군주 | 왕호 (명종) |
출생 | 미상 |
사망 | 미상 |
배우자 | 영인후 왕진 |
자녀 | 왕정, 성평왕후 |
가문 | 왕가 (출생 및 혼인) |
종교 | 불교 |
가계 | |
아버지 | 고려 명종 |
어머니 | 의정왕후 |
조부 | 인종 |
백부 | 의종 |
숙부 | 신종 |
사촌 | 희종 |
남매 | 강종 |
조카 | 고종 |
혼인 정보 | |
혼인 년도 | 1179년 |
배우자와의 관계 | 5촌 |
2. 생애
연희궁주는 고려 제19대 명종과 광정태후 김씨의 첫째 딸이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의종과 신종 등의 조카이며, 강종과는 친남매간이고, 희종에게는 친사촌인 동시에 장모이다.[6]
1173년(명종 3년) 음력 4월 25일 동생(수안궁주)과 함께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어[7] 호는 '''연희궁공주'''(延禧宮公主)였다. 1179년(명종 9년) 종실 영인후 왕진과 혼인하였다.[8] 이후 연희궁주의 삶에 대해서는 남아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2. 1. 가계
연희궁주는 고려 제19대 왕 명종과 광정태후 김씨의 첫째 딸이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의종과 신종 등의 조카이며, 강종과는 친남매간이다. 희종에게는 친사촌인 동시에 장모가 된다.[6]연희궁주의 모후 광정태후는 왕온의 딸로, 의종의 정비 장경왕후와 신종의 정비 선정태후와는 친자매간이다. 따라서 장경왕후와 선정태후는 연희궁주의 백모, 숙모이자 이모이다.[6] 그녀와 신종과의 관계는 한때 "고모-조카"였으나, 그들의 자녀가 결혼하면서 "사돈" 관계가 되었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명종 | 1131년~1202년 |
어머니 | 광정태후 김씨 | ? |
외조부 | 왕온 | 1146년 사망 |
외조모 | 김씨 부인 | ? |
오빠 | 강종 | 1152년~1213년 |
여동생 | 수안궁주 | 1199년 사망 |
남편 | 왕진 | 1220년 사망, 왕성의 아들 |
아들 | 왕정 | 1234년 사망 |
며느리 | 경녕궁주 | ? |
딸 | 왕씨 | 1247년 사망 |
사위 | 희종 | 1181년~1237년 |
2. 2. 공주 시절
1173년(명종 3년) 음력 4월 25일 동생(수안궁주)과 함께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었으며, 호는 '''연희궁공주'''(延禧宮公主)였다.[7]이후 1179년(명종 9년) 종실 영인후 왕진과 혼인하였다.[8] 혼인 이후 연희궁주의 삶에 대해서는 남아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호는 '''연희궁주'''(延禧宮主) 또는 '''연희궁공주'''(延禧宮公主)이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인종 | 고려 제17대 왕 |
조모 | 공예왕후 | 인종의 제3비 |
부왕 | 명종 | 고려 제19대 왕 |
모후 | 광정태후 | 명종의 제1비 |
외조부 | 강릉공 왕온 | |
오빠 | 강종 | 고려 제22대 왕 |
조카 | 고종 | 고려 제23대 왕 |
동생 | 수안궁주 | |
시아버지 | 신안백 왕성 | |
남편 | 영인후 왕진 | |
장녀 | 성평왕후 | 희종의 제1비 |
손녀, 조카며느리 | 안혜왕후 | 고종의 제1비 |
백부, 이모부 | 의종 | 고려 제18대 왕 |
백모, 이모 | 장경왕후 | 의종의 제1비 |
숙부, 이모부 | 신종 | 고려 제20대 왕 |
숙모, 이모 | 선정태후 | 신종의 제1비 |
사촌, 사위 | 희종 | 고려 제21대 왕 |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2003년부터 2004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TV 드라마인 ''무인시대''에서 배우 오수민이 연희궁주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9-08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14
[3]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4]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연희궁주
[5]
문서
《고려사》권22〈세가〉권22 - 고종 7년 10월 - 영인후 왕진이 죽다
[6]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조선공 왕도
[7]
문서
《고려사》권19〈세가〉권19 - 명종 3년 4월 - 왕의 두 딸을 공주로 책봉하다
[8]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연희궁주
[9]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영녕공 왕준의 후손들도 봉작을 받다
[10]
문서
《고려사》권22〈세가〉권22 - 고종 7년 10월 - 영인후 왕진이 죽다
[11]
문서
《고려사》권88〈열전〉권1 - 성평왕후 임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