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령(英霊)은 본래 중국 고전에서 유래하여, 뛰어난 사람을 의미했으나, 일본에서는 러일 전쟁 이후 국가에 헌신한 전몰 장병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야스쿠니 신사 등에서 영령을 모시는 것과 관련하여 정치적·사상적 논쟁이 있으며, 'Fallen Soldiers'를 영령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을 포함한 피해 국가들에게는 일본 극우 세력의 역사 왜곡 시도로 간주될 수 있다.

2. 어원 및 역사

영령(英霊)이라는 말은 옛날 중국의 고전인 『수서』 등에 나타나는데, 영묘하고 수려한 기운을 가지고 태어난 뛰어난 사람을 의미했다.[2]

2. 1. 일본 근현대

일본에서는 막말 후지타 토코의 한시 「화문천상정기가(和文天祥正気歌)」("문천상의 정기의 노래에 화답하다")의 한 구절인 "영령미상민(英霊未嘗泯) / 장재천지간(長在天地間)"("영령은 일찍이 사라지지 않고, 영원히 천지 사이에 있다")이라는 한시 구절이 지사들 사이에서 읊어지며 널리 퍼졌다.[2]

의장대(해상자위대)에 의한, 전몰자 영령(유골)에 대한 예식


러일 전쟁 이후, 특히 국가에 순국한 사람들, 야스쿠니 신사·호국 신사에 모셔진 전몰 장병의 "충혼"·"충령"이라고 불리던 사람들을 가리키며 사용되기 시작했다.[3] 이는 정치적, 사상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자세한 내용은 야스쿠니 신사 문제 참조).

철도성은 유골 이송 열차의 방향판과 창문에 영령 마크를 붙이고, 차내에 검은 막을 쳤다.[4]

Fallen Soldiers를 영령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지만, 생사관, 영혼관, 신체관 등에는 문화적·사회적 차이가 있으므로, 각 언어에 나타나는 관념의 섬세한 차이에 주의해야 한다.[2]

단, 전사자에게만 사용되는 특별한 용어가 아니라, 장례식 때 고인에게 말을 건네는 조사(弔辞)에서 "영혼"을 "영령"이라고 하는 것이 1940년대까지 일반적이었으므로, "영령"이 전사자에게만 사용된 말처럼 한정하는 것은 오해이다(쇼와 39년의 학장에 대한 조사 예: 바라건대 하늘에 있는 영령이여, 모교의 하늘을 날며 모교의 발전을 지켜봐 주소서).

3. 용어 사용 논란

영령이라는 용어는 그 의미와 사용에 있어 여러 논란이 있다. 특히 일본에서 이 용어는 야스쿠니 신사와 관련된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치적, 사상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철도성은 유골 이송 열차의 방향판과 창문에 영령 마크를 붙이고, 차내에 검은 막을 쳤다.[4]

3. 1. 야스쿠니 신사 문제

러일 전쟁 이후, 국가에 순국한 사람들, 특히 야스쿠니 신사·호국 신사에 모셔진 전몰 장병의 "충혼"·"충령"을 영령이라 부르기 시작했다.[3] 이는 정치적, 사상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3]

니시베 스스무는 2017년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야스쿠니] 신사는 '영령'을 모시는 곳이며, '뛰어난 영'이란 '국가에 공식적인 공헌을 하고 죽은 자의 영'을 의미한다. 도조 히데키를 비롯한 A급 전범과 (점령군으로부터) 낙인이 찍힌 우리나라 옛 지도자들에게 영령이라는 형용사를 붙이는 것은 역사의 연속성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꼭 필요한 일이다. 그 대미 전쟁은 일종의 '패배를 각오한 위대한 조국 방위 전쟁'이었고, 도쿄 재판이 '본보기 정치 연극'이었음이 분명하므로, A급 전범으로 불리는 (전승국에 의해 살해된) 사람들의 영(으로 추정되는 것)이 영령이 아닐 리 없다."[5]

3. 2. 번역 문제

영령(英霊)이라는 말은 옛날에는 『수서』 등 중국의 고전에 나타나, 영묘하고 수려한 기운을 가지고 태어난, 즉 뛰어난 사람을 의미했다.[2]

일본에서는 막말에 후지타 토코의 한시 「화문천상정기가(和文天祥正気歌)」("문천상의 정기의 노래에 화답하다")의 한 구절인 「영령미상민(英霊未嘗泯) / 장재천지간(長在天地間)」("영령은 일찍이 사라지지 않고, 영원히 천지 사이에 있다")이라는 한시 구절이 지사들 사이에서 읊어지며 널리 퍼졌다.[2]

러일 전쟁 이후, 특히 국가에 순국한 사람들, 야스쿠니 신사·호국 신사에 모셔진 전몰 장병의 "충혼"·"충령"이라고 불리던 사람들을 가리키며 사용되기 시작했다.[3] 정치적, 사상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자세한 내용은 야스쿠니 신사 문제 참조).

또한 Fallen Soldiers를 영령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지만, 생사관, 영혼관, 신체관 등에는 문화적·사회적 차이가 있으므로, 각 언어에 나타나는 관념의 섬세한 차이에 주의해야 한다고 여겨진다.[2]

단, 전사자에게만 사용되는 특별한 용어가 아니라, 장례식 때 고인에게 말을 건네는 조사(弔辞)에서 "영혼"을 "영령"이라고 하는 것이 1940년대까지 일반적이었으므로, 마치 "영령"이 전사자에게만 사용된 말처럼 한정하는 것은 오해이다(쇼와 39년의 학장에 대한 조사 예: 바라건대 하늘에 있는 영령이여, 모교의 하늘을 날며 모교의 발전을 지켜봐 주소서).

참조

[1] 웹사이트 大辞泉 えい‐れい【英霊】 http://dictionary.go[...]
[2] 간행물 新谷尚紀「民俗学からみる慰霊と追悼」 http://www.mkc.gr.jp[...] 明治聖徳記念学会 2020-01-17
[3] 서적 慰霊と招魂 岩波新書
[4]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12-29
[5] 서적 ファシスタたらんとした者 中央公論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