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사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사막은 영상을 투사하여 보여주는 스크린을 의미하며, 영사 방식에 따라 프론트 스크린(반사식)과 리어 스크린(투과식)으로, 설치 방식에 따라 고정형, 풀다운형, 전동형, 모바일 스크린 등으로 분류된다. 스크린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스크린 게인, 화면 비율, 이미지 밝기, 명암비, 회색 스크린, 선택적 반사 스크린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화질이 달라진다. 영화관의 관람석, 영화 작품, 배우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며, 컴퓨터의 표시 화면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스플레이 기술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양한 기관과 기업의 연구 개발을 거쳐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가격과 내구성, 저전력 소비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디스플레이 기술 - 해상도
해상도는 1인치당 픽셀 또는 점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미지의 선명도를 결정하며 DPI와 PPI 단위를 사용하고, 높을수록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 광학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광학 - 굴절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속도 변화로 인해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이며, 렌즈, 프리즘, 광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영사막 | |
---|---|
개요 | |
종류 | 투사 스크린 프로젝션 스크린 |
용도 | 영화 상영 프레젠테이션 기타 영상 표시 |
특징 | |
재료 | 캔버스 비닐 특수 코팅된 재료 |
표면 | 흰색 또는 회색 (반사율 최적화) |
크기 | 다양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 |
형태 | 고정형 이동형 (접이식, 롤스크린) |
종류별 상세 설명 | |
고정형 스크린 | 벽 또는 프레임에 고정 가정 극장 또는 회의실에 적합 |
이동형 스크린 | 휴대 및 설치 용이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 |
롤스크린 | 사용하지 않을 때 말아서 보관 가능 공간 활용도 높음 |
특수 스크린 | 후면 투사 스크린 (스크린 뒤에서 투사) 3D 스크린 (입체 영상 지원) |
추가 정보 | |
화면 비율 | 4:3 16:9 21:9 |
게인 | 빛 반사율 (시청 환경에 따라 선택) |
주의사항 | 스크린 표면의 청결 유지 (화질 저하 방지) |
2. 영사 방식
스크린은 영사 방식에 따라 프론트 스크린(반사식)과 리어 스크린(투과식)으로 크게 분류된다.
2. 1. 프론트 스크린 (반사식)
프런트 스크린(반사식 스크린)은 일반적인 스크린으로, 시청자와 같은 방향에서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이다.[10] 프런트 스크린은 암실에서 사용할 때 화질이 가장 좋으며,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기에 적합하다.[11] 또한, 프로젝터를 시청자 머리 위 공간에 설치하면 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다.[11]프런트 스크린에는 표면을 람베르트 면으로 처리하여 보는 각도에 따른 영향이 적은 무지향성 스크린(매트 스크린)이 있다.[11] 이 외에도, 특정 방향으로 빛을 집중시키는 지향성 스크린에는 비즈 스크린(beaded screen)과 메탈릭 스크린(실버 스크린)이 있다.[11]
2. 2. 리어 스크린 (투과식)
리어 스크린(투과형 스크린)은 스크린 뒷면에서 빛을 투사하여 앞면에서 영상을 보는 방식이다.[10] 밝은 실내 환경에서 비교적 작은 화면의 영상 투사에 적합하다.[11]전면 스크린(반사형 스크린)과 달리, 투과광을 감쇠시키지 않고 확산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무지향성 스크린은 제작 불가능하다.[11]
지향성 후면 스크린에는 확산형 후면 스크린, 렌티큘러 스크린, 렌즈 어레이 스크린, 프레넬 렌즈 부착 스크린 등이 있다.[11]
3. 설치 방식에 따른 분류
설치 방식에 따라 스크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고정 벽걸이형 스크린: 이미지 기하학의 정확한 재현이 필요한 곳에 적합하며, 주로 홈 시어터에서 사용된다.[1]
- 풀다운 스크린 (수동 벽 스크린): 영구 설치가 어려운 곳에 사용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케이스에 말아 넣어 보관한다.[1]
- 고정 프레임 스크린: 최적의 화질을 위해 스크린 표면에 균일한 장력을 제공하며, 홈 시어터 및 전문 환경에서 사용된다.
- 전동 스크린: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스크린을 올리고 내리며, 리모컨이나 스위치로 조작한다. 일부 프로젝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 모바일 스크린: 벽이나 천장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되며, 자유형 스탠드나 무게 중심 베이스 형태이다.[6]
- 특수 스크린: 상업 영화관용 스크린은 반사 표면과 스피커 공기 순환을 위한 구멍을 가지고 있다.
3. 1. 고정 벽걸이형 스크린
고정 벽걸이형 스크린은 기하학적 구조를 완벽하게 유지하므로 이미지 기하학의 정확한 재현이 필요한 곳에 적합하다. 이러한 스크린은 홈 시어터에서 주로 사용된다.[1]3. 2. 풀다운 스크린 (수동 벽 스크린)
풀다운 스크린(수동 벽 스크린이라고도 함)은 영구적으로 설치된 스크린이 너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곳에 자주 사용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크린 케이스에 말아 넣을 수 있어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눈에 띄지 않는다.[1]3. 3. 고정 프레임 스크린
고정 프레임 스크린은 스크린 표면에 가장 균일한 수준의 장력을 제공하여 최적의 화질을 얻는다. 홈 시어터 및 전문 환경에서 자주 사용된다.3. 4. 전동 스크린
전동 스크린은 벽에 장착하거나, 천장에 장착하거나, 천장에 매립할 수 있다. 이는 종종 더 큰 스크린이지만 홈 시어터 용으로도 전동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전동 스크린은 풀다운 스크린과 유사하지만, 스크린을 수동으로 내리는 대신 전기 모터가 스크린을 올리고 내린다. 전동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리모컨이나 벽걸이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올리거나 내리지만, 일부 프로젝터에는 스크린에 연결되어 프로젝터를 켜면 자동으로 스크린을 내리고 프로젝터를 끄면 스크린을 올리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되어 있다.3. 5. 모바일 스크린
이동이 가능한 스크린은 벽이나 천장에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비실용적일 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자유형 스탠드의 풀다운 스크린이나 무게가 있는 베이스에서 위로 당겨지는 형태이다.3. 6. 특수 스크린
상업 영화관에서 사용되는 스크린은 반사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알루미늄 처리(주변 밝기가 적당할 때 높은 명암비 제공) 또는 작은 유리 구슬(어두운 환경에서 높은 밝기 제공)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크린에는 스피커와 서브우퍼의 공기 순환을 위해 수백 개의 작고 균등하게 배치된 구멍이 뚫려 있으며, 스피커와 서브우퍼는 주로 스크린 바로 뒤에 위치한다.고정 벽걸이형 스크린은 기하학적 구조를 완벽하게 유지하여 이미지 기하학을 정확하게 재현해야 하는 분야에 적합하다. 이러한 스크린은 풀다운 스크린과 함께 홈 시어터에서 자주 사용된다.[1]
풀다운 스크린(수동 벽 스크린)은 영구적으로 설치된 스크린이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크린 케이스에 말려 들어가는 페인트칠 된 천을 사용하여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눈에 띄지 않게 한다.[2]
고정 프레임 스크린은 스크린 표면에 가장 균일한 장력을 제공하여 최상의 화질을 구현한다. 스크린을 케이스에 넣을 필요가 없는 홈 시어터 및 전문적인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3]
전동 스크린은 벽에 장착하거나, 천장에 장착하거나, 천장에 매립할 수 있다. 주로 큰 스크린에 사용되지만, 홈 시어터 용으로도 전동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전동 스크린은 풀다운 스크린과 유사하지만, 스크린을 수동으로 내리는 대신 전기 모터가 스크린을 올리고 내린다. 전동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리모콘이나 벽걸이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올리거나 내리지만, 일부 프로젝터에는 스크린에 연결되어 프로젝터를 켜면 자동으로 스크린을 내리고 프로젝터를 끄면 스크린을 올리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되어 있기도 하다.[4]
전환 가능한 프로젝션 스크린은 불투명과 투명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불투명 상태에서는 스크린에 투사된 이미지를 양쪽에서 볼 수 있다. 상점 창문에 광고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5]
모바일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자유형 스탠드의 풀다운 스크린이거나 무게가 있는 베이스에서 위로 당겨진다. 스크린을 벽이나 천장에 장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실용적이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다.[6]
모바일 및 영구 설치 풀다운 스크린은 장력이 있거나 장력이 없는 종류일 수 있다. 장력이 있는 모델은 천을 평평하고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려고 하는 반면, 장력이 없는 모델은 스크린의 천이 지지 구조에서 자유롭게 매달려 있다. 장력이 없는 스크린에서는 실내에 기류가 있으면 천이 거의 움직이지 않아 투사된 이미지에 결함이 생길 수 있다.[7]
특수 스크린은 이러한 범주에 속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는 비고체 스크린, 팽창식 스크린 등이 포함되며, 집에서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8]
4. 스크린 게인 (Screen Gain)
게인은 홈 시어터 스크린에서 자주 언급되는 속성 중 하나이다. 스크린 게인은 스크린에 탄산 마그네슘, 이산화 티타늄[3] 또는 황산 바륨을 코팅한 스크린과 비교하여 빛의 반사율을 측정한 값이다. 스크린에 수직으로 빛을 쏴서 반사되는 빛을 측정한다. 이산화 티타늄은 밝은 흰색을 띠며, 투사 축에 평행하게 빛을 더 많이 반사하고 축에서 벗어난 빛을 덜 반사하는 성질을 이용해 더 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재료의 게인 수준은 밝은 회색 매트 스크린의 0.8부터 반사율이 높은 유리 구슬 스크린의 2.5까지 다양하다. 거울 표면을 사용하면 매우 높은 게인 수준을 얻을 수 있지만, 관람객은 프로젝터의 반사광만 보게 되어 스크린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어진다. 게인이 높은 스크린은 반광택을 띠어 거울과 같은 특성을 가지며, 밝은 "핫 스폿"을 만들기도 한다. 이 "핫 스폿"은 프로젝터 렌즈의 확대되고 흐려진 반사 현상이다. 핫 스폿이 방해가 되는지에 대한 의견은 다르지만, 대부분의 시청자는 이미지 밝기가 30% 정도 차이가 나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이는 인간의 대비 감도가 작은 세부 사항에는 높지만, 스크린 절반 크기의 밝기 변화에는 덜 민감하기 때문이다.
회색 스크린은 총 반사율이 1보다 훨씬 적지만, 측정된 게인은 1보다 클 수도 있다. 회색 스크린의 기하학적 동작은 같은 게인을 가진 흰색 스크린과 다르다. 따라서 스크린을 사용할 때는 게인과 총 반사율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곡면 스크린은 스크린 곡률, 프로젝터 및 좌석 배치를 잘 설계하면 핫 스폿 없이도 매우 높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투사된 빛을 관람객에게 반사시켜 스크린 전체를 거대한 "핫 스폿"으로 만드는 것이다. 반사 각도가 스크린 전체에서 거의 같으면 방해되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반사형 고게인 스크린 재료는 천장에 프로젝터를 설치할 때 적합하다. 빛의 최대 강도가 입사각과 같고 반대 각도로 반사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람객 한쪽에 앉은 시청자는 스크린 반대쪽이 훨씬 어둡게 보인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부 구조화된 스크린 재료는 수직 평면에서는 반사형,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 반사형으로 만들기도 한다. 유리 구슬 스크린은 반사 재귀 현상을 보인다. 빛은 다른 방향보다 광원으로 더 강하게 반사된다. 이는 이미지 소스가 관람객, 스크린과 같은 방향에 있을 때 가장 적합하다. 반사 재귀형 스크린은 스크린 중심이 주변보다 더 밝아 핫 스폿이 발생할 수 있다. 반사형 스크린은 시청자 위치에 따라 핫 스폿 위치가 달라지는 반면, 반사 재귀형은 그렇지 않다. 반사 재귀형 스크린은 주어진 프로젝터 광속으로 높은 이미지 강도를 만들 수 있어 선호된다.
5. 스크린의 기하학적 구조 (Screen Geometry)
프로젝터 스크린은 거의 항상 직사각형 모양이며, 일반적으로 표준 화면비율을 따른다. 대부분의 홈 시네마 설정에는 16:9 및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의 두 가지 화면 비율이 있다.[4]
교실, 기업 및 예배당 환경에서는 16:10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젝터 스크린 화면 비율이다. 이는 많은 최신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화면 비율과 일치하기 때문이다.[5]
오버헤드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정사각형 스크린은 공간이 부족하고 여러 스크린이 중복되어 보일 수 있는 회의실에서 디지털 프로젝터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스크린은 정의상 화면 비율이 1:1이다.
대부분의 이미지 소스는 평평한 스크린에 완벽한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설계되었다. 시청자가 프로젝터에 비교적 가깝게 있으면 이미지 기하학에 눈에 띄는 왜곡 없이 곡면 스크린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더 가깝거나 멀리 떨어진 시청자는 핀쿠션 또는 배럴 왜곡을 보게 되며, 스크린의 곡면 특성은 축에서 벗어나서 볼 때 분명해진다.
6. 이미지 밝기 및 명암비 (Image Brightness and Contrast)
투사된 이미지의 명암비는 밝기 범위이며, 주변 조명 조건, 프로젝터의 광속, 투사되는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스크린 크기가 클수록 휘도(단위 입체각당 단위 면적당 광도)가 줄어들어 주변광이 있을 때 명암비가 낮아진다. 이미지가 투사될 때 항상 실내에 약간의 빛이 생성되어 주변광 수준이 높아지고, 따라서 화질 저하에 기여한다. 이 효과는 실내를 어두운 색상으로 장식하여 줄일 수 있다.[1] 실제 실내 상황은 프로젝터 제조업체가 광고하는 명암비와 다르며, 제조업체는 프로젝터를 완전 검정/완전 백색으로 켜서 빛 수준을 기록하여 가능한 한 높은 명암비를 제공한다.[1]
홈 시어터 스크린 제조업체는 빛의 더 많은 부분을 광원으로 다시 반사하는 스크린 표면을 도입하여 주변광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이 접근 방식의 근거는 이미지 소스를 관람객 근처에 배치하여 관람객이 실제로 스크린에서 증가된 반사광 수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
반사율이 높은 평면 스크린은 화면의 일부가 나머지 부분보다 훨씬 밝아 보이는 핫 스폿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는 이러한 스크린의 높은 지향성(거울과 유사)의 결과이다. 이득이 높은 스크린은 또한 더 좁은 가시 시야각을 가지는데, 이는 시청자가 스크린의 정면에서 멀어질수록 반사광의 양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효과로 인해 이러한 스크린은 스크린 측면에서 오는 주변광에도 덜 취약하다.[1]
7. 회색 스크린 (Grey Screens)
최근 인지되는 화질을 개선하려는 시도로, 흰색 스크린보다 더 어두운 톤을 구현할 수 있는 회색 스크린이 등장했다. 무광 회색 스크린은 명암비 측면에서 무광 흰색 스크린에 비해 이점이 없지만, 현대의 회색 스크린은 무광 흰색 스크린과 유사한 게인 팩터를 가지도록 설계되었지만 더 어두운 외관을 갖는다. 어두운 (회색) 스크린은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빛과 주변광을 덜 반사한다. 이는 투사된 이미지와 주변광의 휘도(밝기)를 감소시키므로, 투사된 이미지의 밝은 영역은 더 어두워지고 어두운 영역은 더 어두워진다. 흰색은 덜 밝아지지만, 의도된 검은색은 실제 검은색에 더 가까워진다. 따라서 많은 스크린 제조업체는 회색 스크린을 "고명암비" 모델이라고 부른다.
프로젝션 스크린은 프로젝터의 명암비를 개선할 수 없지만, ''인지된'' 명암비는 향상될 수 있다.
회색 스크린은 인간의 눈에서 밝기에 대한 비선형적 인식을 활용하여 이미지의 흰색 영역이 여전히 흰색으로 보이도록 충분한 수준의 휘도를 생성할 수 있는 강력한 이미지 소스에 의존하도록 설계되었다. 사람들은 환경에 존재하는 시각적 단서가 그러한 해석을 제시하는 한 광범위한 휘도를 "흰색"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회색 스크린은 밝아 보이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거의 성공할 수도 있고, 다른 상황에서는 실패할 수도 있다.
흰색 스크린에 비해 회색 스크린은 방 ''으로'' 빛을 덜 반사하고 방 ''에서'' 빛을 덜 반사하므로 프로젝터에서 발생하는 빛을 처리하는 데 점점 더 효과적이다. 다른 소스에서 발생하는 주변광은 스크린 표면에서 반사된 직후 눈에 도달하여 명암비 측면에서 흰색 고게인 스크린에 비해 이점이 없다. 따라서 회색 스크린의 잠재적인 개선 효과는 프로젝터의 빛만 있는 어두운 방에서 가장 잘 실현될 수 있다.
인기에 힘입어 회색 스크린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개선되었다. 회색 스크린은 이제 다양한 게인 및 회색조 레벨로 제공된다.
8. 선택적 반사 스크린 (Selectively Reflective Screens)
특정 스크린은 프로젝터 빛의 좁은 파장을 선택적으로 반사하고, 광학 스펙트럼의 다른 파장은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다. 소니는 일반적인 실내 조명에서 회색으로 보이는 스크린을 제작하는데, 이는 주변광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7] 이것은 프로젝터가 사용하지 않는 색상의 주변광은 우선적으로 흡수하고, 프로젝터가 사용하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 빛의 색상은 우선적으로 반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한다.[8] 그러나 진정한 색상 선택적 스크린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다이닛폰 인쇄 주식회사(DNP)와 Screen Innovations는 파장 선택적 반사 특성보다는 얇은 층의 검은색 루버를 기반으로 하는 명암비 향상 스크린을 도입했다.[9]
9. 광학 요소로서의 스크린 (Screens as an Optical Element)
최적화된 시스템에서 투사 스크린 표면과 실상은 일치하도록 만들어진다. 광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상이 형성되기 위해 스크린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스크린은 오히려 상을 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10. 기타 용법
영화관에서 "관람석을 갖추고 영화를 투사할 수 있는 스크린을 가진 방(강당)"을 "스크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복합 상영관처럼 여러 개의 스크린을 가진 영화관에서는 스크린 수를 세는 단위로도 사용된다 ("8스크린" 등).[1]
과거 영사막은 표면에 은박막을 도포했기 때문에 '''은막'''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영화 작품을 비유적으로 "은막"이라고 부르며, 영화 작품에서 유명한 여배우를 "은막의 히로인"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1] 이 외에 영상을 비추는 평면이라는 점에서 컴퓨터 표시 화면을 스크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Acrylic paint used to make a movie screen on the wall
http://specialsectio[...]
2007-02-24
[2]
웹사이트
Projector Screen Buying Guide
https://www.projecto[...]
2024-05-20
[3]
웹사이트
Screen gain
http://www.projector[...]
[4]
웹사이트
How To Design A Home Theater
https://www.projecto[...]
2024-05-20
[5]
웹사이트
With 10% of the US Notebook Market, Where Will Apple Go Next?
https://lowendmac.co[...]
2024-05-20
[6]
뉴스
Sony introduces black projector screen for well-lit up areas
http://www.cdfreaks.[...]
2004-06-24
[7]
뉴스
Picture of Sony's Black Backed Projection Screen
https://www.gizmodo.[...]
Gizmodo
2004-06-29
[8]
웹사이트
Sony's high contrast screen
http://cache.gizmodo[...]
Gizmodo
2006-05-02
[9]
웹사이트
Screen Innovations Visage Review
http://www.audioholi[...]
[10]
서적
視聴覚メディアと教育
玉川大学出版部
[11]
간행물
種田悌一「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https://annex.jsap.o[...]
光学25巻6号
2022-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