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선옹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선옹주는 고려 우왕의 총애를 받은 구비삼옹주 중 한 명으로, 기생 출신이다. 1385년 영선옹주로 책봉되었으며, 당시 사노비와 기생을 옹주로 봉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우왕 폐위 후 사가로 쫓겨났으며, 조선 시대인 1420년에 사망했다. 세종은 부의를 하사했고, 남편과의 사이에서 후손은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0년 사망 - 원경왕후
    원경왕후는 고려 말 민제의 딸로 태어나 조선 태종 이방원의 비가 되었으며,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왕자의 난 당시 남편을 도와 왕위 계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나, 외척 세력 견제와 후궁 문제, 친정 가문의 몰락 등으로 불행한 말년을 보낸 인물이다.
  • 1420년 사망 - 니미 야 루케니
    니미 야 루케니는 14세기 후반 콩고 왕국을 건설하고 콩고족 통합, 중앙 집권 체제 구축, 영토 확장, 수도 건설 등 국가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지만, 독재적인 통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콩고 왕국 창시자이다.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영선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옹주
칠점선(七點仙)
왕조고려
국적고려, 조선
인물 정보
배우자남질, 우왕
자녀없음
생애
출생일미상
출생지고려
사망일1420년 음력 5월 13일
사망지조선
매장지미상

2. 생애

2. 1. 출신

영선옹주는 고려 말 우왕의 총애를 받은 구비삼옹주 중 한명이다.[1] 본관은 남평인데, 성씨를 찾을 수가 없다.[2] 원래는 밀직 남질의 첩으로, 기생 출신이며 이름은 칠점선(七點仙)이었다. 충숙왕이 총애하던 기생 만년환[3]의 교방에 있던 기생이라고 한다.[4]

2. 2. 후궁 시절

1385년(우왕 11년) 음력 12월에 정식으로 책봉되어 '''영선옹주'''(寧善翁主)의 를 받았다.[5] 칠점선이 옹주에 봉해지던 날, 강인유의 딸 안비 강씨와 사노비 출신의 숙녕옹주(훗날의 덕비 조씨)도 함께 책봉되었는데, 당시 사노비와 기생을 왕비에 봉한 것은 역사상 유례가 없던 일로 백성들이 매우 놀랍고 해괴하게 여겼다고 기록되어 있다.[5]

처음에 우왕이 칠점선을 보기 위해 불렀으나 남질은 칠점선이 아프다는 핑계를 대며 내보내지 않았다. 그러자 우왕이 자신의 수하 10여 명을 끌고 남질의 집으로 찾아가는 바람에 남질은 어쩔 수 없이 칠점선을 내 놓아야만 했다.[5]

2. 3. 우왕 폐위 후

1388년(창왕 즉위년) 음력 6월 우왕이 폐위되고 근비 이씨 소생의 창왕이 옹립되면서, 근비는 왕대비가 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우왕의 후비들은 모두 사가로 쫓겨났으며, 이때 칠점선 역시 사가로 쫓겨났다. 더불어 나라에서 지급하던 물자도 모두 공급이 중단되었다.[6]

2. 4. 사망

조선 왕조가 개창한 후인 1420년(세종 2년) 음력 5월 13일에 사망했다. 당시 세종은 부의로 콩과 쌀 각각 10석씩을 비롯하여 종이, 관 등을 하사하였다.[7] 첫 남편 남질과 두 번째 남편 우왕과의 사이에서 모두 후사는 없었다.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다.

3. 가족 관계

영선옹주의 첫 번째 남편은 남질이다.[8] 두 번째 남편은 우왕(1365~1389, 재위:1374~1389)이다.

참조

[1] 백과사전 구비삼옹주 http://100.naver.com[...]
[2]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영선옹주〉항목 https://web.archive.[...] 2012-06-27
[3] 문서 《동국통감》권42 고려기 1317년 봄 정월 https://terms.naver.[...]
[4] 서적 야사로 보는 고려의 역사 2 가람기획 2005-03-25
[5] 문서 《고려사》권135〈열전〉권48 - 우왕 11년 12월 - 사비와 관기를 전례없이 옹주로 봉하다
[6] 문서 《고려사》권137〈열전〉권50 - 창왕 즉위년 6월 - 왕의 어머니 근비를 왕대비로 높여 책봉하고 전 왕의 왕비와 옹주를 모두 쫓아내다
[7] 문서 《조선왕조실록》세종 2년(1420) 5월 13일 2번째 기사
[8]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남질〉항목 https://web.archive.[...] 2012-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