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과 하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원과 하루》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알렉산드로스가 죽은 아내를 그리워하며 자신의 삶을 정리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그는 딸을 만나 편지를 전하고, 개를 맡길 사람을 찾으며, 알바니아 소년을 만나 국경을 넘으려는 시도를 한다. 이 과정에서 삶과 죽음, 난민 문제, 과거와 현재, 기억과 망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테오도로스 앙겔로풀로스 감독의 작품으로, 1998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등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오 앙겔로풀로스 감독 영화 - 그들 각자의 영화관
《그들 각자의 영화관》은 칸 영화제 60주년 기념 옴니버스 영화로, 세계적인 거장 감독 36명이 '영화관'을 주제로 제작한 3분 분량의 단편 영화 34편을 통해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애정을 보여주며, 상영 및 출시 버전에 따라 작품 수와 구성에 차이가 있다. - 테오 앙겔로풀로스 감독 영화 - 안개 속의 풍경
테오 앙겔로풀로스 감독의 영화 《안개 속의 풍경》은 독일로 아버지를 찾아 떠나는 남매의 여정을 통해 아버지의 부재, 가족의 의미, 희망과 절망이라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은사자상을 수상하고 엘레니 카라인드로우의 사운드트랙 또한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 그리스의 드라마 영화 - 먼데이 (2020년 영화)
아르기리스 파파디미트로풀로스 감독의 영화 《먼데이》는 아테네에서 만난 미키와 클로이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로맨틱 드라마로, 주연 배우들의 연기와 배경은 호평을 받았으나 캐릭터 묘사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그리스의 드라마 영화 - 로스트 도터
《로스트 도터》는 매기 질렌할이 감독한 2021년 심리 드라마 영화로, 그리스에서 휴가를 보내는 중년 여성 레다가 젊은 여성 니나와 그녀의 딸 엘레나를 만나면서 자신의 과거를 마주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그리스어 영화 작품 -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영화)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소설을 영화화한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는 15세 소년 미하엘과 연상 여성 한나의 사랑을 통해 나치 강제 수용소 간수였던 한나의 문맹과 전쟁범죄, 개인의 고뇌와 윤리적 딜레마를 다루며 홀로코스트와 아동 성 학대 묘사로 논란이 되었다. - 그리스어 영화 작품 - 코렐리의 만돌린
존 매든 감독의 2001년 영화 코렐리의 만돌린은 루이스 드 베르니에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케팔로니아 섬에서 이탈리아군 장교와 그리스 여성의 사랑을 그린 영화이지만, 원작과의 차이와 설득력 부족으로 비평가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원과 하루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제목 | Μια αιωνιότητα και μια μέρα (Mia aioniotita kai mia mera) |
영어 제목 | Eternity and a Day |
한국어 제목 | 영원과 하루 |
감독 | 테오 앙겔로풀로스 |
각본 | 토니노 구에라 테오 앙겔로풀로스 페트로스 마르카리스 조르지오 실바그니 |
제작 | 테오 앙겔로풀로스 에릭 유망 조르지오 실바그니 |
주연 | 브루노 간츠 이자벨 르노 파브리치오 벤티볼리오 |
촬영 | 요르고스 아르바니티스 안드레아스 시나노스 |
편집 | 야니스 치치오풀로스 |
음악 | 엘레니 카라인드루 |
배급사 | 아티스틱 라이선스 (Artistic License), 프랑스 영화사 |
개봉일 | 1998년 5월 23일 (칸) 1998년 9월 3일 (MWFF) 1998년 9월 13일 (토론토) 1999년 4월 17일 (일본) 2004년 11월 19일 (대한민국) |
상영 시간 | 137분 (132분) |
제작 국가 | 그리스 프랑스 이탈리아 |
언어 | 그리스어 |
흥행 수익 | $107,178 |
시리즈 | |
이전 작품 | 율리시즈의 시선 |
다음 작품 | 엘레니의 여행 |
2. 줄거리
알렉산드로스는 시한부 선고를 받고 다음 날 병원에 가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 후 테살로니키의 해변 아파트를 나선다. 그는 자신의 일을 정리하고 개를 돌봐줄 사람을 찾으려 한다. 그는 젊은 시절 죽은 아내 안나를 그리워하며 그녀에게 마음속으로 말을 건다.
알렉산드로스는 추방될 위기에 처한 젊은 알바니아인 유리창 닦이 소년을 경찰로부터 숨겨준다. 이후, 딸을 방문하지만, 자신의 병에 대해 말하지 않고 대신 어머니가 쓴 편지를 몇 통 건넨다. 딸은 편지를 읽으며 베이비 샤워에서 갓 태어난 딸을 회상한다.[1] 그는 딸 부부가 자신에게 말도 없이 가족의 별장을 팔았고, 자신의 개를 맡기를 거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1]
알렉산드로스는 인신매매범들이 이민 소년을 불법 입양 보내려는 것을 목격하고, 돈을 지불하여 아이를 구해낸다. 하지만 아이는 계속 도망가려 하고, 알렉산드로스는 그를 알바니아 국경까지 데려가기로 결심한다.
소년의 존재는 알렉산드로스를 무기력함과 자기 연민에서 벗어나 19세기 그리스 시인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에 대한 그의 사랑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는 듯하다. 노인과 소년은 두려움으로 연결되어 있다.
알렉산드로스는 가정부 우라니아를 방문한다. 그녀는 그에게 반해 있지만, 결혼식 파티 중이었고 그는 춤추는 아들과 신부 사이를 방해하다가 개를 그녀에게 맡긴다.
소년은 다른 청소년들과 함께 촛불 시위로 또 다른 소년 셀림을 애도하며 병원 폐허로 간다. 두 사람은 버스를 타고 여러 사람들을 만난다. 소년은 한밤중에 목적지를 알 수 없는 거대한 배에 몰래 타서 떠난다.
알렉산드로스는 그의 옛집으로 들어가, 뒷문으로 나가 안나와 다른 친구들이 노래하는 햇살 가득한 과거로 들어간다. 그는 청력을 잃었고 그녀를 볼 수 없는 것 같다며, 병원에 가는 것을 거부하고 내일이 얼마나 오래 갈지 묻는다. 그녀는 내일은 영원과 하루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2. 1. 삶의 마지막 여정
알렉산드로스는 시한부 선고를 받고 다음 날 병원에 가기 전 자신의 삶을 정리하기 시작한다. 그는 죽은 아내 안나를 그리워하며 그녀에게 마음속으로 말을 건다. 그는 딸에게 어머니가 쓴 편지를 몇 통 주고, 딸은 그 편지를 읽으며 베이비 샤워에서 갓 태어난 딸에 대한 기억을 떠올린다.[1] 또한, 딸 부부가 자신의 허락 없이 가족의 별장을 팔았고, 자신의 개를 맡는 것 또한 거부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1]가정부 우라니아는 알렉산드로스에게 반해 있었지만, 그는 자신의 개를 그녀에게 맡긴다.[5]
2. 2. 알바니아 소년과의 만남
알렉산드로스는 거리에서 차창을 닦아 돈을 버는 그리스계 알바니아인 소년을 만난다. 소년이 경찰에 쫓기자,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차창을 닦아준 소년을 숨겨준다. 이 소년은 알바니아에서 망명해 온 "여행자"였다.[1]이후 알렉산드로스는 약국에서 이 소년이 양자 입양을 노리는 인신매매범에게 유괴당하는 것을 목격한다. 알렉산드로스는 가진 돈을 모두 지불하고 소년을 인신매매범에게서 구해낸다.[1]
2. 3. 뜻밖의 동행
알렉산드로스는 길에서 우연히 인신매매범들에게 유괴당하는 알바니아인 소년을 목격한다. 알렉산드로스는 인신매매범들에게 돈을 지불하고 소년을 구출하지만, 소년은 계속 도망치려 한다. 결국 알렉산드로스는 소년을 직접 알바니아 국경까지 데려가기로 결심한다.알렉산드로스는 눈 덮인 산 국경에서 철조망을 보게 되고, 소년이 알바니아에서의 삶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국경을 넘는 것을 망설인다. 그들은 국경 수비대를 피해 알렉산드로스의 차로 돌아간다.
2. 4. 국경에서의 갈등
알렉산드로스는 눈 덮인 산 국경에서 시체처럼 보이는 무시무시한 철조망을 본다. 알바니아에서의 삶에 대해 거짓말을 해왔다고 소년이 시인하자, 두 사람은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다 국경을 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바꾼다. 그들은 간신히 국경 초병을 피해 알렉산드로스의 자동차로 돌아간다.2. 5. 과거와 현재의 교차
소년과의 만남은 알렉산드로스가 무기력함과 자기 연민에서 벗어나, 미완성 시를 완성하고자 했던 19세기 그리스 시인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에 대한 사랑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알렉산드로스와 소년은 두려움으로 연결된다. 알렉산드로스는 19세기 시인 솔로모스가 시를 창작하는 과정을 이야기하는데, 어머니가 그리스인이었으나 그리스어를 할 수 없었던 솔로모스는 그리스어를 배워 그리스의 국민 시인이 되었다.[1]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그리스 독립 찬가를 쓰고, 그리스어를 꼼꼼히 수집한 솔로모스의 이야기와 함께 알렉산드로스는 "역사를 여행"한다.[1]2. 6. 작별과 새로운 시작
알렉산드로스는 가정부 우라니아에게 자신의 개를 맡긴다. 우라니아는 그에게 반해 있었지만, 마침 그녀 아들의 결혼식 파티가 열리고 있었기에 알렉산드로스는 방해하지 않고 개만 맡기고 떠난다. 한편, 알바니아인 소년은 다른 난민들과 함께 목적지를 알 수 없는 거대한 배에 몰래 타서 떠난다.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옛집으로 돌아가, 죽은 아내 안나와 다른 친구들이 노래하는 햇살 가득한 과거로 돌아가는 환상을 본다. 그들은 알렉산드로스에게 함께 하자고 권하고, 모두 춤을 춘다. 곧 시인과 그의 아내만 남아서 춤을 추는데, 안나는 천천히 물러나고 알렉산드로스는 청력을 잃었다고 주장하며 그녀를 볼 수 없는 것 같다고 말한다. 그는 소리치며 병원에 가지 않겠다고 말한 후, 내일이 얼마나 오래 갈지 묻는다. 안나는 내일은 영원과 하루가 될 것이라고 대답한다.
3. 등장인물
- 브루노 간츠 - 알렉산드로 역
- 이자벨 르노 - 안나 역
- 아킬레아스 스케비스 - 아이 역
- 파브리지오 벤티보글리오 - 시인 솔로모스 역
- 알렉산드라 라디쿠 - 안나의 어머니 역
- 데스피나 베베델리 - 알렉산드로의 어머니 역
- 엘레니 게라시미두 - 우라니아 역
- 이리스 아시아토니우 - 알렉산드로의 딸 역
- 니코스 쿠로스 - 안나의 삼촌 역
- 알레코스 오디노티스 - 안나의 아버지 역
- 니코스 콜로보스 - 의사 역
- 바실리스 시메니스 - 니코스 역
3. 1. 주요 인물
- 브루노 간츠 - 알렉산드로 역
- 이자벨 르노 - 안나 역
- 파브리지오 벤티볼리오 - 시인 역
- 아킬레아스 스케비스 - 아이 역
- 알렉산드라 라디쿠 - 안나의 어머니 역
- 데스피나 베베델리 - 알렉산드로의 어머니 역
- 엘레니 게라시미두 - 우라니아 역
- 이리스 하치안토니우 - 알렉산드로의 딸 역
- 니코스 쿠로스 - 안나의 삼촌 역
- 알레코스 오디노티스 - 안나의 아버지 역
- 니코스 콜로보스 - 의사 역
- 바실리스 시메니스 - 니코스 역
3. 2. 조연
- 이자벨 르노 - 안나 역
- 파브리지오 벤티보글리오 - 시인 역
- 아킬레아스 스케비스 - 아이 역
- 알렉산드라 라디쿠 - 안나의 어머니 역
- 데스피나 베베델리 - 알렉산드로의 어머니 역
- 엘레니 게라시미두 - 우라니아 역
- 이리스 하치안토니우 - 알렉산드로의 딸 역
- 니코스 쿠로스 - 안나의 삼촌 역
- 알레코스 오디노티스 - 안나의 아버지 역
- 니코스 콜로보스 - 의사 역
- 바실리스 시메니스 - 니코스 역
4. 영화 속 상징과 주제
영화는 주인공 알렉산드로스가 삶의 마지막을 보내면서 마주하는 언어와 소통, 삶과 죽음, 시간, 난민 문제와 연대, 기억과 망각 등 다양한 상징과 주제를 통해 깊은 성찰을 보여준다.
4. 1. 언어와 소통
알렉산드로스는 19세기 시인 솔로모스처럼 단어를 수집하고 시를 쓰는 인물로, 언어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자 한다. 솔로모스는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그리스어를 꼼꼼히 수집하고 그리스 독립 찬가를 쓴 그리스의 국민 시인이 되었다. 알렉산드로스는 솔로모스처럼 "말을 사는 놀이"를 통해 언어와 소통의 의미를 되새긴다.하지만 알렉산드로스는 종종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다. 그는 "내일의 길이는 얼마나 됩니까?"라고 묻지만, 그에 대한 답을 얻지 못한다. 이는 영화 속에서 언어와 소통의 한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면으로, 소통의 불완전성과 고독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4. 2. 삶과 죽음, 시간
시한부 선고를 받은 작가 알렉산드로스는 삶을 정리하며, 자신의 개를 맡길 사람을 찾고 딸에게 아내 안나의 편지를 전한다. 딸은 편지를 통해 과거를 회상하고, 알렉산드로스는 가족 별장이 곧 팔린다는 소식을 듣는다.그는 우연히 만난 알바니아 출신 이민 소년을 인신매매범에게서 구출하여 알바니아 국경까지 동행한다. 하지만, 소년이 알바니아에서의 삶에 대해 거짓말을 했음을 알게 되자 국경을 넘지 않고 돌아선다.
이 과정에서 소년과의 만남은 알렉산드로스에게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그는 19세기 그리스 시인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를 떠올리며 미완성 시를 완성하려는 열정을 되찾는다. 이후 가정부에게 개를 맡기고, 소년은 촛불 시위 등 새로운 경험을 한다.
소년은 배를 타고 떠나고, 알렉산드로스는 옛집에서 과거를 회상한다. 그는 아내와 함께했던 시간을 떠올리며 "내일은 얼마나 오래 갈까요?"라는 질문에 "영원과 하루"라는 답을 듣는다.
4. 3. 난민 문제와 연대
알렉산드로스는 교통 단속 중인 경찰로부터 젊은 알바니아인 유리창 닦이 소년을 숨겨준다. 이후, 인신매매범들에게 붙잡힌 소년을 구출하고 알바니아 국경까지 동행한다. 이 과정에서 알렉산드로스는 국경을 넘지 못하고 죽은 망명자들의 시체를 목격하며 난민 문제의 현실을 마주한다.소년과의 만남은 알렉산드로스에게 무기력함과 자기 연민에서 벗어나 삶의 의미를 되찾게 하는 계기가 된다. 그는 소년과의 여정을 통해 19세기 그리스 시인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에 대한 사랑을 다시 떠올리고, 미완성 시를 완성하고자 하는 열망을 품게 된다.
4. 4. 과거와 현재, 기억과 망각
영화는 주인공 알렉산드로스가 삶을 정리하고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과거를 회상하며, 기억과 망각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알렉산드로스는 죽은 아내 안나와의 추억, 딸과의 관계, 그리고 우연히 만난 알바니아 소년과의 여정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오간다.알렉산드로스는 딸에게 아내 안나의 편지를 전해주고, 딸은 편지를 읽으며 과거를 회상한다.[1] 편지에는 안나가 딸을 출산한 후의 기억이 담겨 있었고, 알렉산드로스는 이를 통해 과거의 추억에 잠긴다.[1]
알렉산드로스는 19세기 그리스 시인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의 시 창작 과정을 통해 "역사를 여행"한다.[1]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그리스어를 배우고 그리스의 국민 시인이 된 솔로모스의 이야기는 알렉산드로스에게 영감을 준다.[1]
이처럼 영화는 개인의 기억과 역사적 사건을 교차시키며 과거와 현재, 기억과 망각의 문제를 탐구한다. 이는 진보 진영에서 과거사 진실 규명과 역사 바로 세우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관점과 연결될 수 있다.
5. 제작진
분야 | 이름 |
---|---|
각본 협력 | 토니노 구에라, 페트로스 마르카리스, 조르지오 실바니 |
촬영 | 조르고스 알바니티스, 안드레아스 시나노스 |
음악 | 엘레니 카라인드루 |
제작 | 에릭 유먼, 요르요 실버니, 아메데오 파가니 |
의상 | 요르고스 즈이아카스, 코스타스 디미트리아디스 |
미술 | 요르고스 파차스 |
녹음 | 니코스 파파디미트리우 |
6. 평가 및 수상
Κάθε τέλος, μια καινούργια αρχή|모든 끝은, 새로운 시작el는 삶과 죽음, 예술과 현실, 언어와 소통 등 심오한 주제를 아름다운 영상과 음악으로 풀어낸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브루노 간츠의 섬세한 연기와 엘레니 카라인드루의 서정적인 음악은 영화의 감동을 더하는 요소로 꼽힌다.[1]
1998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과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을 받았으며, 같은 해 그리스 영화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여우조연상, 감독상, 각본상, 음악상, 미술상, 의상상을 받았다.
6. 1. 평가
Κάθε τέλος, μια καινούργια αρχή|모든 끝은, 새로운 시작el는 삶과 죽음, 예술과 현실, 언어와 소통 등 심오한 주제를 아름다운 영상과 음악으로 풀어낸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브루노 간츠의 섬세한 연기와 엘레니 카라인드루의 서정적인 음악은 영화의 감동을 더하는 요소로 꼽힌다.[1]6. 2. 수상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1998년 칸 영화제 | 황금종려상 | 테오도로스 앙겔로풀로스 | 수상 |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 테오도로스 앙겔로풀로스 | 수상 | |
1998년 그리스 영화상 | 최우수 작품상 | 테오도로스 앙겔로풀로스 | 수상 |
최우수 여우조연상 | 엘레니 게라시미두 | 수상 | |
최우수 감독상 | 테오도로스 앙겔로풀로스 | 수상 | |
최우수 각본상 | 테오도로스 앙겔로풀로스 | 수상 | |
최우수 음악상 | 엘레니 카라인드루 | 수상 | |
최우수 미술상 | 요르고스 지아카스, 코스타스 디미트리아디스 | 수상 | |
최우수 의상상 | 요르고스 파차스 | 수상 |
참조
[1]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Eternity and a Day
http://www.festival-[...]
2009-10-01
[2]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3]
웹사이트
45 Countries Submit Films for Oscar Consideration
"//www.oscars.org/p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1998-11-19
[4]
웹인용
Festival de Cannes: Eternity and a Day
http://www.festival-[...]
2009-10-01
[5]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6]
웹인용
45 Countries Submit Films for Oscar Consideration
"//www.oscars.org/p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1998-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