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진흥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의 질적 향상과 한국 영화 및 영화 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특수법인이다.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하며, 영화진흥기본계획 수립, 영화발전기금 관리, 영화 유통 배급 지원, 한국 영화 해외 진출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1973년 영화진흥공사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영화진흥위원회로 운영되고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위촉한 9인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독립영화 지원 축소 의혹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영화 단체 - 영상물등급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는 영화 및 비디오물 등 영상물의 등급 분류, 내용 정보 제공, 청소년 유해성 확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단체 -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상자료원은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 영화의 수집, 보존, 복원, 상영, 연구 등을 수행하며, 한국영화박물관과 시네마테크 등을 운영한다. - 1973년 설립된 단체 -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은 1973년 KIST 부설 해양개발연구소로 시작하여 해양 연구, 자원 개발, 극지 연구, 환경 보호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국내외 기관과 협력하며 해양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2년 KIOST 설립과 함께 폐지된 대한민국의 해양 연구 기관이다. - 1973년 설립된 단체 - 여자 테니스 협회
여자 테니스 협회는 빌리 진 킹과 "Original 9" 선수들이 1973년 설립한 여자 프로 테니스 선수 권익 보호 단체로, WTA 투어 운영, 랭킹 발표, 선수 의견 수렴 등 여자 테니스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 대한민국의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 예금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으로, 금융기관의 파산 시 예금 지급을 보장하며 예금자 보호와 금융제도 안정 유지, 기금 관리·운용, 부실 감시·정리, 공적자금 회수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1인당 5천만 원까지 원리금을 보호한다. - 대한민국의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1987년 국민연금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국민의 노후, 사망, 장애에 대비한 연금 지급과 복지 사업을 통해 국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여 기금 운용, 노후 설계 서비스 제공, 장애 심사 등을 수행한다.
영화진흥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73년 4월 3일 |
전신 |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위원회 |
관할 | 대한민국 |
본부 | 부산광역시해운대구 센텀중앙로 55 (우동) 경남정보대학교 센텀산학캠퍼스 13층, 14층 |
소속 | 문화체육관광부 |
웹사이트 | 영화진흥위원회 |
기관 정보 | |
위원장 | 김세훈 |
2. 설립 근거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의 질적 향상과 한국 영화·영화 산업의 진흥을 목적으로,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한국어)을 근거로 설치된 특수법인이다.[11]
3. 주요 업무
4. 연혁
연도 | 사건 |
---|---|
1973년 4월 3일 | 영화진흥공사 창립[2] |
1984년 3월 12일 | 한국영화아카데미 설립 |
1997년 11월 5일 | 남양주종합촬영소 준공 |
1997년 10월 | 영화진흥기금 조성 |
1998년 2월 | 영화진흥법으로 영화진흥위원회 법적 기반 마련 |
1999년 5월 28일 | 영화진흥위원회 명칭변경 |
2000년 1월 | 영상전문투자조합 출자 개시 |
2000년 5월 28일 | 제2기 영화진흥위원회 출범 |
2004년 3월 | 한국영화위원회에서 영화진흥위원회로 명칭 재변경 (지역 영화 위원회와의 혼동 방지) |
2005년 5월 28일 | 제3기 영화진흥위원회 출범 |
2006년 12월 22일 |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개정을 통한 영화발전기금 운용역할 부여 |
2007년 7월 | 영화발전기금 조성 |
2008년 5월 28일 | 제4기 영화진흥위원회 출범 |
2011년 3월 30일 | 제5기 영화진흥위원회 출범 |
2012년 3월 | 베이징에 한국영화비즈니스센터 개관 |
2013년 10월 25일 | 부산 센텀시티로 이전.[10] |
5. 조직 및 구성
영화진흥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위촉한 상임 위원장 1인과 비상임 위원 8인, 총 9인의 위원으로 구성된다.[4] 감사(비상임) 1인이 있다.
5. 1. 역대 위원장
구분 | 위원장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
제1기 1차 | 신세길 | 1999년 5월 28일 | 1999년 9월 5일 |
제1기 2차 | 박종국 | 1999년 9월 6일 | 2000년 1월 20일 |
제1기 3차 | 유길촌 | 2000년 1월 21일 | 2002년 5월 27일 |
제2기 | 이충직 | 2002년 5월 28일 | 2005년 5월 27일 |
제3기 | 안정숙 | 2005년 5월 8일 | 2008년 3월 7일 |
제4기 1차 | 강한섭 | 2008년 5월 28일 | 2009년 7월 2일 |
제4기 2차 | 조희문 | 2009년 9월 7일 | 2010년 11월 8일 |
제5기 | 김의석 | 2011년 3월 30일 | 2014년 12월 30일 |
제6기 | 김세훈 | 2014년 12월 31일 | 2017년 6월 19일 |
제7기 | 오석근 | 2018년 1월 8일 | 2021년 1월 7일 |
제8기 | 김영진 | 2021년 1월 8일 | 2022년 1월 3일 |
제9기 | 박기용 | 2022년 1월 7일 | 2024년 1월 8일 |
제10기 | 한상준 | 2024년 6월 4일 | 2027년 5월 23일 |
6. 소재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55 (우동) 경남정보대학교 센텀산학캠퍼스 13층, 14층에 위치해 있다. 이는 새 청사가 마련되기 전까지 임시로 사용되는 공간이다. 현 주소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130이다.[1]
7. 논란
2015년 1월, 영화진흥위원회는 독립영화 지원 사업을 통폐합하면서 '정부 비판' 영화에 대한 지원을 줄이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12] 특히, 국가미래연구원 연구위원 출신 김세훈 위원장은 영진위 외부 전문가 9인으로 구성된 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야만 상영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변경할 예정이어서 논란이 되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Major South Korean Film Bodies Move to Busan
http://www.hollywood[...]
2013-10-28
[2]
웹사이트
Korean Film Council: Young at Forty
http://www.filmbiz.a[...]
2013-10-08
[3]
웹사이트
The Korean Film Council (KOFIC)
http://www.koreanfil[...]
2016-01-24
[4]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KOFIC
http://www.koreanfil[...]
2016-01-24
[5]
웹사이트
Korean Film Council
http://www.koreanfil[...]
2016-01-24
[6]
웹사이트
Korean Film Council: diversified support
http://culture360.as[...]
2008-01-01
[7]
웹사이트
Funding the Korean film business
http://culture360.as[...]
2008-01-01
[8]
웹사이트
The impressive rise of Korean film
http://culture360.as[...]
2008-01-01
[9]
웹사이트
위원장 소개
http://www.kofic.or.[...]
2017-04-25
[10]
뉴스
Major South Korean Film Bodies Move to Busan
http://www.hollywood[...]
The Hollywood Reporter
2013-10-28
[11]
문서
영화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한국영화 및 영화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에 영화진흥위원회를 둔다.
[12]
뉴스
영진위, 독립영화 지원사업 통폐합 ‘정부 비판’ 영화 지원 끊나
http://www.mediaus.c[...]
2015-01-26
[13]
뉴스
영진위 영화제 상영작 검열 논란
https://entertain.v.[...]
2015-01-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어쩔수가없다', 개봉일 예매량 40만 장 육박…무관 아쉬움 흥행으로
[단독] 올해 극장 개봉 성공할 한국 상업 영화 ‘20편’ 불과···코로나 이전 ‘절반’ 수준
'얼굴' 8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누적 관객 75만 명 돌파
李대통령 “영화 지원” 한마디에 CJ CGV 5% ‘쑥’ [특징주]
박찬욱 '어쩔수가없다', 오스카 노린다…한국 대표로 아카데미 출품
'어쩔 수가 없다', 아카데미 한국 대표 출품작 선정
내년 아카데미상 도전, 박찬욱 ‘어쩔수가없다’···국제장편 한국 대표작 선정
쌀값 20㎏ 당 6만 원 돌파…지난해보다 17%↑
박찬욱 '어쩔수가없다', 한국 대표로 내년 아카데미 출품
"관객 1.8배 늘어"…영화 '6000원 할인권' 188만장 추가 배포
영화 ‘6000원 할인권’ 188만장 8일부터 추가 배포···결제 시 선착순 적용 방식
'영화 할인권' 188만 장 9월 8일 추가 배포
베니스는 시작일 뿐 '어쩔수가없다' 오스카 도전(종합)
오스카 희망 '어쩔수가없다' 韓대표 98회 美아카데미 출품 확정
“선생님이 살인죄라니 이 검사는 어떻게 해야…”
할인권 배포 효과 봤다…7월 영화관 매출액·관객수 연중 최고치
‘좀비딸’ 올해 첫 500만 돌파···조정석표 여름 영화 또 통했다
‘양구 정중앙 시네마’ 27일 재개관···영사기 교체 등 시설 개선 완료
“가장 시급한 건 ‘막힌 돈줄’ 뚫기…영화투자에 세제 혜택 등 고민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