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가 사랑한 제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요한 복음서에 등장하는 익명의 인물로, 예수의 특별한 사랑을 받은 것으로 묘사된다. 전통적으로 이 인물은 사도 요한으로 여겨져 왔으며, 이레네오의 전승과 요한 복음서에서 사도 요한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는 점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 그러나 '예수가 사랑한 제자'의 정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라자로, 마리아 막달레나, 예수의 형제 야고보 등 여러 인물이 후보로 거론된다. 이 인물은 예술 작품에서 젊고 여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 개신교계에서는 이 인물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수의 말 - 양과 염소의 비유
양과 염소의 비유는 마태오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비유로, 최후의 심판에서 "내 형제 중 지극히 작은 자"에게 자비를 베풀었는지에 따라 의인과 악인을 구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예수의 말 - 세상의 빛
세상의 빛은 신약성경에서 예수와 그의 제자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예수는 자신을 세상의 빛이라 칭하며 제자들에게도 세상의 빛으로서 하느님을 드러내라고 가르쳤고, 요한복음에서는 예수를 빛으로 제시하며 빛과 어둠의 상징성은 현대 신학에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역할로 재해석된다. - 복음서 - 탕자의 비유
탕자의 비유는 누가복음 15장 11-32절에 나오는 예수의 비유로, 하나님을 거역한 죄인을 받아들이는 하나님의 자비를 보여주며, 긍휼, 율법과 은혜의 대비, 회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 복음서 - 나그함마디 문서
나그함마디 문서는 1945년 이집트에서 발견된 13권의 파피루스 코덱스로, 초기 기독교 영지주의 사상을 담고 있으며, 52편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언어로 번역 및 연구가 이루어졌다.
예수가 사랑한 제자 | |
---|---|
인물 개요 | |
호칭 | 예수가 사랑한 제자, 사랑받는 제자, 그 분의 사랑하는 제자 |
다른 이름 | 요한 야고보의 형제 |
직업 | 사도 |
소속 | 예수의 열두 제자 |
성경에서의 언급 | |
등장 성경 | 요한복음 |
관련 구절 | 요한복음 13장 23절 요한복음 19장 26절 요한복음 21장 7절 요한복음 21장 20절 요한복음 21장 24절 |
논쟁점 | |
동일 인물 논란 | 사도 요한 세베대의 아들 요한 요한복음의 저자 |
관련된 주장 | 요한이 아님 요한의 이상화된 모습 단순히 상징적인 인물 |
2. '예수가 사랑한 제자'에 대한 기록
이레네오가 2세기 후반에 적은 '이단 반박'에 의하면, 그가 아이 때 사사하고 있던 폴리카르포스 등에서 요한 복음서가 사도 요한에 유래한다고 듣고 있었다고 한다. 이를 기초로 이레네오는 동서로 '주의 가슴에 의해 걸려 있던 주의 제자 요한은 아시아의 에페소에 있었을 때, 그의 복음서를 냈다'라고 쓰고 있다.[77]
공관복음서에서는 베드로에 뒤잇는 제자라고 주목받는 사도 요한은 요한 복음서로는 단지 한 곳, '제베다이의 아이들'로서 기록되고 있을 뿐으로, 사도 요한의 이름은 일체 나오지 않는다.[77] 익명의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베드로라고 대가 되어 등장하는 것이 많다. 공관복음서를 보면, 자주 중요한 장면에서 베드로, 야고보, 요한의 3명이 예수에 동행한다.[78] '루카 복음서',[79] '사도행전'[80]에서는 베드로와 요한의 2명이 모두 행동하고 있다.
2. 1. 최후의 만찬
2. 2. 십자가 곁
예수의 십자가 처형 현장에서,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부탁받았다.[88] 성년 남자의 제자라면 예수의 동료로서 검문당할 위험이 있는데도, 십자가 아래에[91]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자는 베드로와 짝을 이루어 등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십자가 아래나[93] 비운 예수의 무덤을 방문하는 장면(20:2) 등, 마그다라의 마리아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사도 요한은 아이가 없고 여성적이고 금발, 옷도 주홍색이라는, 마그다라의 마리아와 공통되는 그림모양이 이용되고 있다. 일부에는 사도 요한은 마그다라의 마리아와 약혼하고 있었다는 설화도 존재한다. 동방에서 믿어지는 전설에서는 사도 요한은 마그다라의 마리아와 함께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동반하여 에페소로 옮겨 살았다고 한다.
2. 3. 빈 무덤
2. 4. 요한 복음서 저자
실제의 요한 복음서 저자가 누구든, 요한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가 사랑한 제자' 혹은 '사랑하는 제자'는 사도 요한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 근거는 다음 두가지 이다.- 이레네오에 의한 전승: 이레네오가 2세기 후반에 적은 '이단 반박'에 의하면, 그가 어렸을때 스승으로 섬기던 폴리카르포스에게서 요한 복음서가 사도 요한으로부터 유래한다고 들었다고 한다. 이를 기초로 이레네오는 요한복음서를 '주의 가슴에 기대었던 주의 제자 요한은 아시아의 에페소에 있었을 때, 그의 복음서를 냈다'라고 쓰고 있다.
- 사도 요한이 이 책에는 등장하지 않는 것: 공관복음서에서는 베드로 다음가는 제자로 주목받는 사도 요한은 요한 복음서에서는 단지 한 곳, '제베다이의 아이들'[77]로서 기록되고 있을 뿐으로, 사도 요한의 이름은 일체 나오지 않는다. 익명의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베드로와 대등하게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공관복음서를 보면, 자주 중요한 장면에서 베드로, 야곱, 요한의 3명이 예수에 동행한다.[78] '루카 복음서'[79], '사도행전'[80]에서는 베드로와 요한 두 명이 함께 행동하고 있다.
3. '예수가 사랑한 제자'의 정체
실제 요한 복음서의 저자가 누구든, 해당 서적에 등장하는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 또는 "사랑하는 제자"는 사도 요한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 근거는 다음 두 가지이다.
;이레네우스의 전승
: 이레네우스가 2세기 후반에 기록한 『이단 반박』에 따르면, 그가 어렸을 때 사사했던 폴리캅 등으로부터 요한 복음서가 사도 요한에게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레네우스는 해당 서적에서 "주의 품에 기대었던 주의 제자 요한은 아시아의 에페소스에 있을 때 그의 복음서를 썼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사도 요한이 이 책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 공관 복음서에서는 베드로 다음가는 제자로 여겨지는 사도 요한은 요한 복음서에서는 단 한 곳, "세베대의 아들들"[59]로서만 언급될 뿐, 사도 요한의 이름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익명의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는 베드로와 짝을 이루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공관 복음서를 보면, 종종 중요한 장면에서 베드로, 야고보, 요한 3명이 예수와 동행한다[60]. 『루카 복음서』[61], 『사도행전』[62]에서는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이 함께 행동하고 있다.
한편, 요한 복음서의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사도 요한(제베대오의 아들)이 아니라는 주장은 다음 사항을 근거로 한다.
# 공관 복음서에서 제베대오의 아들 요한이 함께 했을 중요한 장면, 예수의 변모[63], 겟세마네 동산의 기도[64] 장면이 요한 복음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 공관 복음서에 따르면, 제베대오의 아들 요한은 예수가 갈릴래아에서 선교를 시작한 처음부터 예수와 동행하는 제자이다. 그러나 요한 복음서에는 갈릴래아에서의 에피소드가 적고, 예루살렘과 그 근교의 베다니아에서의 에피소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최후의 만찬에 처음 등장하며, 그 이후에만 등장한다.
# 대사제의 지인이었던 "이 제자"[65]도 "예수가 사랑한 제자"와 동일 인물이라고 한다면, 갈릴래아의 어부였던 제베대오의 아들이 대사제의 지인이었다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제베대오의 아들이 아니라면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그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제베대오의 아들과는 다른 인물인 장로 요한
# 『사도행전』[66] 혹은 바울 서신에 등장하는 "마르코라고 하는 요한"
# 요한 복음서에 등장하는 라자로
# 『마르코 복음서』[67]에 등장하는 "한 젊은이"
# 마리아 막달레나
# 토마스
# 유다 이스카리옷
# 제자의 이상적인 모습을 추상화한 가공의 존재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가 누구이든, 이 인물은 소년(혹은 여성)으로 여겨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베드로에게는 "내 어린 양을 돌보아라"[68]라고 교단의 리더 역할을 맡겼지만, 예수께서 가장 사랑하셨을 것으로 보이는 이 제자에게는 그런 종류의 책임이 주어지지 않았다[69]. 이 제자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돌보았다[70].
# "이 제자가 죽지 않을 것이라는 소문"[71]이 화제가 될 정도로 제자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생존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성인 남성 제자라면 예수의 동료로서 베드로처럼 책망받을 위험이 있는 대제사장의 저택[72]이나 십자가 아래에 모습을 드러냈다[73].
# 최후의 만찬 자리에서 예수의 품에 기대고 있었다[74].
개역개정 등 한국어 성경 번역본 중에는 최후의 만찬 장면에서 "예수의 품에 기대고 있었다"는 구절을 번역하지 않은 경우도 있어, 이 부분이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는 사정이 있다. 서구에서는 이 구절을 근거로 최후의 만찬을 묘사할 때, 전통적으로 사도 요한인 이 제자를 수염 없는 여성적인 소년의 모습으로 예수의 옆에 두는 것이 통례였다(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등).
이 제자는 베드로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십자가 아래[75]나 예수의 빈 무덤을 찾아가는 장면(20:2) 등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사도 요한은 수염이 없고 여성적이며 금발에 붉은 옷을 입는 등 마리아 막달레나와 공통된 도상이 사용된다. 일부에서는 사도 요한이 마리아 막달레나와 약혼했다는 설화도 있다. 동방 정교회에서 믿는 전설에 따르면 사도 요한은 마리아 막달레나와 함께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데리고 에페소스로 이주했다고 한다.
3. 1. 사도 요한
전통적으로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사도 요한을 가리키는 것으로 널리 여겨져 왔다.[25] 이러한 견해는 2세기 후반 이레네오가 그의 저서 《이단 반박》에서, 폴리캅 등에게서 요한 복음서가 사도 요한에게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기록한 것을 근거로 한다.[59] 이레네오는 "주의 가슴에 의해 걸려 있던 주의 제자 요한은 아시아의 에페소에 있었을 때, 그의 복음서를 냈다"라고 썼다.[59] 4세기에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역시 《요한 복음 해설》에서 요한을 사랑받는 제자라고 믿었다.[23]
또 다른 근거는 공관복음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도 요한이 요한 복음서에는 '제베다이의 아이들'[77]로 단 한 번 언급될 뿐, 이름이 명시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59] 반면, 익명의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베드로와 함께 자주 등장한다. 공관복음서에서는 베드로, 야고보, 요한이 중요한 장면에 예수와 동행하며,[78] 루카 복음서[79]와 사도행전[80]에서는 베드로와 요한이 함께 행동한다.
현대 신학자 메릴 F. 엉거는 소거법을 통해 사도 요한이 '예수가 사랑한 제자'라고 증명한다.[26]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최후의 만찬에 참석했다는 점과, 마태와 마가가 예수가 열두 제자와 함께 식사했다고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24]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사도들 중 한 명이라는 것이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아우구스티누스와 폴리크라테스의 견해를 공유한다.[27][28]
요한 복음서의 마지막 구절은 사랑받는 제자에 관해 "이 제자가 이것들을 증언하고 이 일들을 기록하였으니, 우리는 그의 증언이 참된 줄 아노라."라고 명시하고 있다.[21]
에페소스의 폴리크라테스()는 요한이 "주님의 품에 기대었던" 사람이었다고 믿었으며, 이는 사랑받는 제자와의 동일시를 시사한다.
3. 2. 라자로
요한복음 11장에는 "예수께서 마르다와 그 동생과 라자로를 사랑하시더라"(요한복음 11:5)[41][42], "이에 그 누이들이 예수께 사람을 보내어 이르되 주여 보시옵소서 사랑하시는 자가 병들었나이다"(요한복음 11:3)[43]라는 구절이 있어, '예수가 사랑한 제자'를 라자로와 동일시하는 견해가 있다.[41][42][43] 벤 위더링턴 3세는 '사랑받는 제자'라는 인물이 라자로가 살아나기 전에는 언급되지 않다가(라자로는 요한복음 11장에서 살아남), '사랑받는 제자'는 요한복음 13장에서 처음 언급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44]프레데릭 발츠는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제사장이었다는 증거와 고대 요한 전승을 근거로, 라자로가 보에투스의 자녀들 가문이며 요한복음 11장에 나오는 라자로, 마르다, 베다니의 마리아와 동일 가문이라고 주장한다. 요한복음 11장 5절에 따르면 이들은 사랑받는 가족이다. 역사적인 라자로는 한때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이었던 보에투스의 아들 엘르아자르였으며, 여러 대제사장을 배출한 가문 출신이었다. 발츠는 요한이 복음서의 제자 "ον ηγαπα ο Ιησους"grc일 것이고, 엘르아자르는 제자 "ον εφιλει ο Ιησους"grc라고 주장한다.[45]
3. 3. 마리아 막달레나
일부 학자들은 요한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마리아 막달레나였다고 주장한다.[35] 이 주장은 요한복음 19장과 20장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와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함께 등장하는 장면들을 근거로 제시된다.[20] 요한복음 19장 25-27절[37]에서는 마리아 막달레나가 다른 여성들과 함께 언급된 직후에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십자가 아래에 나타나며, 요한복음 20장 1-11절[38]에서는 예수의 빈 무덤을 찾아가는 장면에 함께 등장한다.신약 외경의 일부인 마리아 복음서(특히 나그함마디 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마리아 막달레나로 여겨지는 어떤 마리아가 다른 사람들보다 예수에게 더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지속적으로 언급된다.[39] 다른 영지주의 나그함마디 문서인 필립보 복음서에서도 마리아 막달레나에 대해 같은 내용이 나타난다.[40]
하지만, 매킨(Mackin) 등은 마리아와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요한복음 20장에 같은 장면에 등장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주장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36]
3. 4. 기타 인물
제베다이의 아들 요한이 아닌 '예수가 사랑한 제자'로 추정되는 인물들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81][82][83]- 장로 요한: 제베다이의 아들 요한과는 다른 인물로, '예수가 사랑한 제자'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 마르코라고 하는 요한: 사도행전[84]과 바울 서신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 라자로: 요한복음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 "한 젊은이": 마르코 복음서[85]에 등장하는 익명의 인물이다.
- 마리아 막달레나: 일부 학자들은 마리아 막달레나를 '예수가 사랑한 제자'로 보기도 한다.
- 토마스: 사도 중 한 명인 토마스도 후보로 거론된다.
- 유다 이스카리옷: 예수를 배신한 유다 이스카리옷도 '예수가 사랑한 제자'였다는 주장이 있다.
- 예수의 형제 야고보: 제임스 D. 테이버[51]는 예수의 형제 야고보를 '예수가 사랑한 제자'로 지목하며, 요한복음 19장 26절[52]을 근거로 제시한다. 그는 2세기의 외경 야고보의 두 번째 묵시록에서 예수가 야고보를 "나의 사랑하는 자"라고 언급한 구절[54]을 또 다른 증거로 제시한다.
- 가공의 인물: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특정 인물이 아니라 제자의 이상적인 모습을 추상화한 가공의 존재라는 주장도 있다.[46][47][48][49][50]
브라이언 J. 캐퍼(Brian J. Capper)는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예루살렘의 유대 귀족 출신 사제 계급 구성원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46] 리처드 바컴(Richard Bauckham)[49]은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요한복음서를 저술한, 대제사장 가문의 구성원이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4. 익명성 유지 이유
이 익명화된 표현이 이름을 밝히는 대신 사용된 이유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포함된 이론들이 많다.
이에 대한 설명은 여러 가지가 있다. 한 가지 흔한 제안은 저자가 단순히 겸손함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숨겼다는 것이다. 또 다른 제안은 복음서가 출판될 당시의 박해나 곤경의 위협 때문에 은폐가 정치적 또는 보안적 이유로 필요했다는 것이다. 저자는 예루살렘의 고위 인물로서 기독교와의 연관성을 숨기고 있었을 수 있다.[49] 또는 익명성은 수도자의 은둔 생활에 적합했을 수 있으며, 복음서에 등장하는 많은 익명의 제자 중 한 명이 사랑받는 제자 자신이거나, 그의 지도를 받는 다른 사람들이었을 수 있으며, 그들은 수도적 헌신의 겸손함으로 자신의 정체를 숨기거나 영적 스승의 증언에 자신을 귀속시켰을 수 있다.[55]
성 요한 복음 전도자회의 회원인 마틴 L. 스미스는 요한 복음서의 저자가 독자들이 예수와 제자의 관계에 더 잘 동일시할 수 있도록 사랑받는 제자의 정체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고 썼다.
아마도 제자는 결코 이름이 언급되지 않고, 개별화되지 않아 우리 각자를 위한 친밀함을 증언한다는 것을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가 누렸던 친밀함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고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계시기 때문에 나와 당신의 친밀함의 징표이다.[56]
4. 1. 겸손
여러 이론들은 이름을 밝히는 대신 익명화된 표현이 사용된 이유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저자가 겸손함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숨겼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49] 복음서가 출판될 당시의 박해나 곤경의 위협 때문에 은폐가 정치적 또는 보안적 이유로 필요했다는 설명도 있다. 저자는 예루살렘의 고위 인물로서 기독교와의 연관성을 숨기고 있었을 수 있다. 또는 익명성은 수도자의 은둔 생활에 적합했을 수 있으며, 복음서에 등장하는 많은 익명의 제자 중 한 명이 사랑받는 제자 자신이거나, 그의 지도를 받는 다른 사람들이었을 수 있으며, 그들은 수도적 헌신의 겸손함으로 자신의 정체를 숨기거나 영적 스승의 증언에 자신을 귀속시켰을 수 있다.[55]성 요한 복음 전도자회의 회원인 마틴 L. 스미스는 요한 복음서의 저자가 독자들이 예수와 제자의 관계에 더 잘 동일시할 수 있도록 사랑받는 제자의 정체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고 썼다. 아마도 제자는 결코 이름이 언급되지 않고, 개별화되지 않아 우리 각자를 위한 친밀함을 증언한다는 것을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가 누렸던 친밀함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고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계시기 때문에 나와 당신의 친밀함의 징표이다.[56]
4. 2. 정치적, 신변적 이유
이 익명화된 표현이 이름을 밝히는 대신 사용된 이유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포함된 이론들이 많다.이에 대한 설명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저자가 단순히 겸손함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숨겼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49] 또 다른 견해는 복음서가 출판될 당시의 박해나 곤경의 위협 때문에 은폐가 정치적 또는 보안적 이유로 필요했다는 것이다. 저자는 예루살렘의 고위 인물로서 기독교와의 연관성을 숨기고 있었을 수 있다.[49] 또는 익명성은 수도자의 은둔 생활에 적합했을 수 있으며, 복음서에 등장하는 많은 익명의 제자 중 한 명이 사랑받는 제자 자신이거나, 그의 지도를 받는 다른 사람들이었을 수 있으며, 그들은 수도적 헌신의 겸손함으로 자신의 정체를 숨기거나 영적 스승의 증언에 자신을 귀속시켰을 수 있다.[55]
4. 3. 독자와의 동일시
마틴 L. 스미스는 요한 복음서의 저자가 독자들이 예수와 제자의 관계에 더 잘 동일시할 수 있도록 '예수가 사랑한 제자'의 정체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고 썼다.[56]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고 개별화되지 않음으로써, 독자들은 자신과 예수 사이의 친밀함을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56] 이러한 친밀함은 그리스도와 독자 간의 상호 내주, 즉 "그리스도 안에 있고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계시"는 관계를 통해 가능하다.[56]5.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서구 기독교 미술에서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주로 젊고 수염이 없는 모습으로 묘사된다.[58] 특히 최후의 만찬 장면에서 예수의 품에 기대어 있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되는데, 이는 요한복음 13장 25절에 "예수 곁에 기대어" 있었다는 구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반영한 결과이다.[58]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베드로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십자가 아래나[93] 빈 무덤을 방문하는 장면(20:2) 등에서는 마리아를 인수하고[88] 마리아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도 많다.[91] 이러한 이유로 사도 요한은 여성적이고 금발이며 주홍색 옷을 입은 모습으로, 마리아 막달레나와 유사하게 묘사되기도 한다. 심지어 사도 요한이 마리아 막달레나와 약혼했다는 설화도 존재한다. 동방 전승에 따르면, 사도 요한은 막달레나와 함께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모시고 에페소로 이주했다고 한다.
6. 한국 개신교계의 해석과 논란
한국 개신교계는 '예수가 사랑한 제자'에 대한 해석에서 다양한 견해를 보인다. 보수적인 교단에서는 전통적인 해석을 따르는 반면, 진보적인 교단에서는 '예수가 사랑한 제자'를 퀴어 신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86][87][88]
'예수가 사랑한 제자'를 동성애와 연관 짓는 주장에 대해 한국 교계는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특히, '예수가 사랑한 제자'가 소년 혹은 여성으로 상상되는 이유로 베드로에게는 '나의 어린 양을 기르세요'라는 교단의 리더 역할이 주어졌지만, 예수가 가장 사랑했다고 생각되는 이 제자에게는 그 책임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점,[89] '이 제자가 죽지 않는다는 소문'이 날 정도로 제자들 사이에 오래 살아있었다는 점,[90] 성년 남자의 제자라면 예수의 동료로서 베드로와 같이 검문당할 위험이 있는 대사제 저택이나 십자가 아래에 모습을 나타냈다는 점,[91] 마지막 만찬 자리에서 예수의 가슴 아래에 의지하고 있었다는 점[92] 등이 제시된다.
일부 일본어 번역 성서에서는 마지막 만찬 장면에서 '예수의 가슴 아래에 의지하고 있었다'는 표현을 번역하지 않아 이 부분이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서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이 구절을 근거로 마지막 만찬을 그릴 때, 사도 요한으로 여겨지는 이 제자를 여성적인 소년의 모습으로 예수 곁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참조)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베드로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십자가 아래나[93] 비어있는 예수의 무덤을 방문하는 장면 (20:2) 등에서는 마그다라의 마리아와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도 요한은 아이가 없고 여성적이며 금발에 주홍색 옷을 입은, 마그다라의 마리아와 비슷한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사도 요한과 마그다라의 마리아가 약혼했다는 설화도 존재한다. 동방 전승에 따르면, 사도 요한은 마그다라의 마리아와 함께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모시고 에페소로 이주했다고 한다.
7. 결론
참조
[1]
Bibleverse
[2]
Bibleverse
[3]
간행물
Ecclesiastical History
[4]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 Reader's Introduction
Mayfield
1985
[5]
서적
History and Heresy: How Historical Forces Can Create Doctrinal Conflicts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2-10-01
[6]
서적
The Book of Revelation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7]
서적
Evangelica II: 1982-1991 : Collected Essays
Uitgeverij Peeters
[8]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the Gnostic Gospels
Penguin
[9]
Bibleverse
[10]
Bibleverse
[11]
Bibleverse
[12]
Bibleverse
[13]
Bibleverse
[14]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3
[15]
Bibleverse
[16]
Bibleverse
[17]
Bibleverse
[18]
Bibleverse
[19]
Bibleverse
[20]
간행물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xiii-xxi)
Doubleday & Company
1970
[21]
Bibleverse
[22]
웹사이트
NPNF2-01.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23]
웹사이트
Tractate 119
http://newadvent.org[...]
[24]
Bibleverse
[2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New Unger's Bible Dictionary
Moody
1988
[27]
서적
The Gospel of John: Ignatius Catholic Study Bible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28]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29]
서적
Imaginative Love in John
https://books.google[...]
BRILL
[30]
서적
The Beloved Disciple in Conflict?: Revisiting the Gospels of John and Thoma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31]
서적
Who Killed Kit Marlowe?: A Contract to Murder in Elizabethan England
2002
[32]
서적
King James and Letters of Homoerotic Desi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owa Press
[33]
서적
The Queer Question: Essays on Desire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34]
서적
Encyclopedia of Homosexual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5]
문서
Mary Magdalene, Author of the Fourth Gospel?
1998
[36]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the Gnostic Gospels
[37]
성경
[38]
성경
[39]
간행물
Why All the Controversy? Mary in the Gospel of Mary. "Which Mary? The Marys of Early Christian Tradition"
Brill
[40]
웹사이트
The Gospel of Philip
http://www.gnosis.or[...]
[41]
성경
[42]
성경
[43]
서적
A Dictionary of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OneBook Daily-Weekly, The Gospel of John
Seedbed Publishing
[45]
서적
The Mystery of the Beloved Disciple: New Evidence, Complete Answer
https://books.google[...]
Infinity Pub
[46]
간행물
With the Oldest Monks...? Light from Essene History on the Career of the Beloved Disciple?
[47]
간행물
Was John written by a Sadducee?
De Gruyter, Berlin, Germany
[48]
간행물
Jesus, Virtuoso Religion and Community of Goods.
Eerdmans, Grand Rapids
[49]
서적
Jesus and the Eyewitnesses: The Gospels As Eyewitness Testimony
Eerdmans, Grand Rapids
[50]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Fortress Press
[51]
서적
The Jesus Dynasty: The Hidden History of Jesus, His Royal Family, and the Birth of Christianity
Simon & Schuster
[52]
성경
[53]
성경
[54]
웹사이트
Peter Kirby
http://www.earlychri[...]
[55]
간행물
Jesus, Virtuoso Religion and Community of Goods.
Eerdmans, Grand Rapids, Michigan
[56]
서적
A Season for the Spirit
Cowley Publications
[57]
성경
[58]
서적
Jesus Predicts His Betrayal.
Intervarsity Press
[59]
문서
21:2
[60]
성경
[61]
성경
[62]
성경
[63]
성경
[64]
성경
[65]
문서
18:15
[66]
성경
[67]
성경
[68]
문서
21:15-19
[69]
문서
21:20-22
[70]
문서
19:27
[71]
성경
21:23
[72]
성경
18:15-18
[73]
성경
19:26-27
[74]
성경
13:23-25
[75]
성경
19:25-27
[76]
성경
이러 한 일 에 증명 을 해, 그것 을 쓴 것 은 이 제자 이다. 우리 는 그의 증명 이 진실한 것 을 알고 있다.
[77]
성경
21:2
[78]
성경
마르코 9:2 외
[79]
성경
루카 22:8
[80]
성경
사도 3:1 등
[81]
성경
마태 17:1-13 등
[82]
성경
마태 26:36-45 등
[83]
성경
18:15
[84]
성경
사도 12:12 등
[85]
성경
마르코 14:51
[86]
성경
21:15-19
[87]
성경
21:20-22
[88]
성경
19:27
[89]
성경
21:23
[90]
성경
18:15-18
[91]
성경
19:26-27
[92]
성경
13:23-25
[93]
성경
19:2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