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천 문효세자 태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천 문효세자 태실은 1783년(정조 7)에 조성된 조선 정조의 맏아들인 문효세자의 태실이다. 용문사 뒷산 중턱에 위치하며, 1930년대에 태항아리가 서삼릉으로 이장된 후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태실비는 뒤로 약간 기운 상태로 방치되어 있으며, 태실비와 태지석에는 문효세자의 출생 및 태를 묻은 시기에 대한 기록이 새겨져 있다. 조선 왕실 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3년 작품 - 세 개의 피아노 소나타, WoO 47 (베토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13세 무렵에 작곡한 세 개의 피아노 소나타, WoO 47은 C.P.E. 바흐, 스카를라티, 모차르트의 영향을 받아 1번 내림마장조, 2번 바단조, 3번 라장조로 구성되었으며, 어린 베토벤의 재능과 음악적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 태실 - 월산대군 이정 태실
    조선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 이정의 태를 묻어 보관하던 서울 내 유일하게 원형이 보존된 태실로, 태비와 석함이 남아있어 조선 왕실의 안태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서울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태실 - 중종대왕 태봉
    중종대왕 태봉은 중종의 태를 봉안하기 위해 조성되어 서울특별시 향토유적 제15호로 지정되었으며, 석재 태 항아리, 태실비, 난간석으로 구성되어 조선 시대 묘제 및 왕실 의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고, 가평현이 가평군으로 승격되는 배경이 되었다.
  • 예천군의 문화유산 - 예천 함취정
    함취정은 경상북도 예천군에 위치한 정자이며, 조선시대 누정 건축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권의, 권장, 권욱 3인을 향사하는 제향적 기능도 수행한다.
  • 예천군의 문화유산 - 예천 초간정 원림
    예천 초간정 원림은 권문해가 건립한 조선 시대 정자로, 기암괴석과 계류가 어우러진 경관과 함께 학문 연구 및 무위자연 사상을 보여주는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예천 문효세자 태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이름예천 문효세자 태실
로마자 표기Yecheon Munhyo Seja Taesil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산82
상세 정보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173
지정일2016년 4월 28일
소유자용문사
면적3,174m2

2. 역사

2. 1. 조성 및 수난

2. 2. 지정 및 보존

이 태실은 1783년(정조 7)에 조성된 문효세자의 태실이다. 문효세자는 조선 22대 왕인 정조의 맏아들로서 1784년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786년 5세의 나이로 죽었다.[1] 태실은 용문사 경내에서 약 100m 정도 떨어진 뒷산 중턱에 있다. 1930년대에 발굴조사 되어 태항아리는 경기도 서삼릉으로 이장되었으며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1] 태실지에는 비신(碑身) 높이 100cm, 너비 52cm 크기의 태실비가 뒤로 약간 기운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1]

태실의 주요 유물인 태항아리와 태지석 등은 다른 곳으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으나, 조선 왕실문화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판단되므로 기념물(記念物)로 지정한다.[1]

일련번호명칭재료구조·형식·형태규격(cm)수량기타 특징
記念物173醴泉 文孝世子 胎室태실비<비신>높이 100cm 너비 52cm 두께 20cm3,174 m2제작연대 :1783년(정조 7)乾隆四十八年九月初六日立


3. 구조 및 유물

3. 1. 태실의 위치 및 구조

예천 문효세자 태실은 용문사 경내에서 약 100m 정도 떨어진 뒷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태실비는 비신 높이 100cm, 너비 52cm, 두께 20cm 크기로, 1783년(정조 7)에 건립되었다. 태실비는 뒤로 약간 기운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다.

3. 2. 태실비

태실비 앞면에는 '건륭 47년생 9월 초7일 인시생 원자아기씨 태실(乾隆四十七年九月初七日寅時生元子阿只氏胎室)'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건륭 48년생 9월 초6일 립(乾隆四十八年九月初六日立)'이라고 새겨져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다.

3. 3. 태지석

태지석 앞면에는 '임인년 9월 초7일 인시 생/원자아기씨 태(壬寅年九月初七日寅時 生/元子阿只氏胎)'라고 새겨져 문효세자의 출생 기록을 담고 있다. 뒷면에는 '건륭 48년 9월 초6일생 오시장(乾隆四十八年九月初六日午時藏)'이라고 새겨져 태를 묻은 시기를 알 수 있다.

4. 의의 및 평가

참조

[1] 간행물 도지정문화재 지정고시(안) http://www.gb.go.kr/[...] 경상북도지사 2016-04-28
[2] 웹인용 예천군청 http://www.ycg.kr/op[...]
[3] 뉴스 왕실 자손의 胎(태)를 묻고 福(복)을 기원하다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4-06-16
[4] 뉴스 "<예천서 사도세자·문종 태실서 석물 무더기 발견>"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