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효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효세자는 조선 정조와 의빈 성씨의 아들이자 정조의 장남으로, 1782년에 태어나 3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5세에 홍역으로 요절했다. 정조는 그의 죽음을 크게 슬퍼했으며, 문효세자의 사후 '문효'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문효세자의 묘는 효창원에 조성되었으며, 그의 생애와 관련된 다양한 궁중 행사와 관련된 그림, 유물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조의 자녀 - 상계군
상계군은 사도세자의 서손자이자 은언군의 장남으로, 정조의 후궁 원빈 홍씨의 양자가 되어 왕세자 대우를 받았으나 홍국영 실각 후 상계군으로 작위가 변경되었고 독살 의혹 속에 사망했으며, 철종 때 복작되고 정1품 현록대부에 증작되었다. - 조선 정조의 자녀 - 숙선옹주 (왕녀)
정조와 수빈 박씨 사이에서 태어난 외동딸이자 순조의 유일한 동복 누이인 숙선옹주는 홍현주와 혼인하여 영명위부인이 되었고, 깍두기 유래 일화와 저서 《의언실권》으로 알려진 조선 왕족이다. - 조선의 왕세자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의 왕세자 - 덕종 (조선)
조선 덕종은 세조의 장남이자 성종의 아버지로,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9세에 요절하였으며, 그의 죽음은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여러 논란을 낳았고, 후에 아들 성종의 즉위로 추존되었다. - 1786년 사망 - 의빈 성씨
의빈 성씨는 조선 정조의 후궁으로, 문효세자를 낳았으나 요절했고, 임신 중에 사망하여 칠궁에 신위가 모셔졌다. - 1786년 사망 - 레 현종 (27대)
레 현종은 정씨 세력의 영향력 아래 실권 없이 47년간 재위한 대월 레 왕조의 27대 황제로, 떠이선 농민 운동 이후 친정을 시도했으나 곧 사망했다.
문효세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순 |
한글 이름 | 문효세자 |
한자 이름 | 文孝世子 |
한글 이름 (출생 시) | 이순 |
한자 이름 (출생 시) | 李㬀 |
로마자 표기 | Munhyo Seja, 후에 Munhyo Taeja |
로마자 표기 (출생 시) | I Sun |
일본어 표기 | ぶんこうせいし |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 | ムニョセジャ |
영어 표기 | Crown Prince Munhyo |
왕위 계승 | |
작위 | 조선의 왕세자 |
재위 기간 | 1784년 8월 17일 – 1786년 6월 6일 |
재위 유형 | 재임 |
책봉 | 창덕궁 선정전, 한성, 조선 |
책봉 유형 | 책봉식 |
선임자 | 사도세자 |
후임자 | 순조 |
사후 정보 | |
시호 | 문효세자 (조선) → 문효태자 (대한제국) "文孝世子" (조선) → "文孝太子" (대한제국) |
가문 | |
가문 | 전주 이씨 |
가문 유형 | 씨족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정조 |
어머니 | 의빈 성씨 (생모) 효의왕후 (양모) |
출생 및 사망 정보 | |
출생일 | 1782년 10월 13일 |
출생지 | 창덕궁 연화당, 한성, 조선 |
사망일 | 1786년 6월 6일 |
사망지 | 창경궁 장경전, 한성, 조선 |
매장지 | 효창원, 서삼릉, 고양, 경기도, 대한민국 |
종교 | |
종교 | 성리학 |
2. 생애
1782년 음력 9월 7일 정조와 의빈 성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조의 첫 아들이었으나 서자였다. 정조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매우 기뻐하며, 원자(元子)로 봉하고 3살 때 왕세자(王世子)로 책봉했다.[2]
> 비로소 아비라는 소리를 듣게 되었으니, 이것이 다행스럽다.
>
>
그러나 1786년 6월 6일(음력 5월 11일) 5세의 나이에 홍역으로 창경궁 자경전 동쪽 행각에서 갑자기 훙서하였다.[16][17]
1786년 5월 14일(정조 10년), 왕실에서는 세자의 추존호를 논의하였고, "온효(溫孝)"로 정하였다.[5] 이후 5월 22일에 "문효(文孝)"로 개정되었다.
> 꿈인가, 참인가, 꿈이라 하여 반드시 꿈도 아닐 것이고 참이라 하여 반드시 참도 아닐 것이다. [6]
>
>
세자의 찬사인 「문효세자진향문」은 박지원이 짓고, 묘갈명인 「문효세자지문」은 김종수 (1728년)|김종수한국어가 지었다. 시 「문효세자만장」은 이성원이 지은 시문집 「정접」에 수록되어 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7]
2. 1. 탄생과 세자 책봉
1782년 음력 9월 7일 새벽, 정조와 의빈 성씨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조선 제22대 임금인 정조의 서자이지만 장남으로 태어났다. 문효세자가 태어났을 당시 정조는 매우 기뻐했다.[14] 수빈 박씨에게서 태어나는 순조의 이복 서형이 된다.> 비로소 아비라는 소리를 듣게 되었으니, 이것이 다행스럽다.[15]
아들이 없던 정조는 아들의 탄생을 소원하였고 따라서 원자(元子)로 봉하고 그가 3살(22개월 만 1세) 때 바로 왕세자(王世子)로 책봉했다.[15]
그러나 문효세자는 1786년 6월 6일(음력 5월 11일) 미시(未時)에 5세의 나이에 홍역으로 창경궁 자경전 동쪽 행각에서 갑자기 훙서하였다.[16][17]
3. 사후
1786년(정조 10) 정조는 문효세자의 죽음에 대해 "꿈인가, 참인가, 꿈이라 하여 반드시 꿈도 아닐 것이고 참이라 하여 반드시 참도 아닐 것이다."라며 슬퍼하였다.[22] 그의 사당 문희묘는 경모궁 남쪽 담장 건너편에 세워졌다가, 어머니 의빈 성씨의 사당 근처로 옮겨졌다. 1870년(고종 7) 1월 한성부 안국방에서 창의궁 궁내 의소묘 안에 있는 별묘에 옮겨졌고, 1900년 의소묘와 함께 영희전으로 옮겨졌다. 1908년 7월 의소묘와 문희묘의 신위를 매장하면서 같이 철폐되었다.
3. 1. 시호 추증
1786년(정조 10) 5월 14일 시호를 의논하여 온효(溫孝)라고 하였다가[21] 뒤에 개정하였다. 1786년(정조 10) 5월 22일 문효(文孝)로 개정하였다.[23] 연암 박지원이 <문효세자진향문>을 썼고, 몽오 김종수가 <문효세자지문>을 썼다.[24] 정조 대의 문신 이성원이 쓴 시문집 《조은집》에 <문효세자만장>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25]3. 2. 문희묘
1786년(정조 10) 5월 22일 시호를 문효(文孝)로 개정하였다.[23] 연암 박지원이 <문효세자진향문>을 썼고, 몽오 김종수가 <문효세자지문>을 썼다.[24] 정조 대의 문신 이성원이 쓴 시문집 《조은집》에 <문효세자만장>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25]문희묘는 경모궁 남쪽 담장 건너편에 세워졌다가, 어머니 의빈 성씨의 묘(廟, 사당) 근처로 옮기는 것이 좋겠다는 건의로 영건 및 신위가 옮겨졌다. 1870년(고종 7) 1월 한성부 안국방(安國坊)에서 창의궁 궁내 의소묘 안에 있는 별묘(別廟)에 옮겨졌고, 1900년 의소묘와 함께 한성부 남부 훈도방(薰陶坊) 앞에 있는 영희전(永禧殿)으로 옮겨졌다. 1908년 7월 의소묘와 문희묘의 신위를 매장하면서 같이 철폐되었다.
4. 문효세자 태실
왕실 자녀의 태를 봉안한 곳을 태실이라고 한다. 1783년(정조 7년) 문효세자의 태를 봉안하였다. 용문사 대장전 뒷산 두운암 근처 50m 거리에 봉안하였다. 태실은 일제강점기 때 이왕직에서 그 내부를 수거해 가고 비석만 남아 있다. 다소 파괴된 것을 1977년에 복원하였다.[18] 경북 예천군 용문사길 285-30번지 용문면 내지리 산 81에 위치하고 있다.[19] 예천은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 태실이 있어서 정조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지역이다.[20]
한국 문화에서 왕실 아이의 태반은 아이의 생명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믿어지는 신성한 물체로 여겨진다. 이는 종종 "태실"이라는 특별한 장소에 안치된다. 1783년, 조선의 왕세자였던 문효세자의 태반은 경북 예천군 용문사에 안치되었다. 태실은 대장전 뒷산 근처, 두운암에서 50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1]
일제강점기 동안 이왕직(왕실재산관리처)은 태실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비석만 남겼다. 태실은 일부 파손된 후 1977년에 복원되었다. 현재 위치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리 용문사길 285-30이다.[1]
5. 효창원
문효세자의 무덤은 생모 의빈 성씨의 무덤과 함께 서울 용산구 효창동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으로 강제 이장되었다. 현재는 의령원(의소세자의 무덤)과 함께 있다. 효창원의 옛 터는 현재 효창공원 자리이다.[1]
6. 문효세자 관련 궁중행사도
정조는 왕세자의 통과의례를 궁중행사도로 남겼다. 《문효세자책례계병(1784)과 《문효세자보양청계병(1784)[27]은 왕세자 책봉례와 보양관 상견례를 그린 병풍이다. 원자가 왕세자로 책봉되는 의례인 책례를 기념하여 병풍을 제작한 경우가 이전[28] 이후[29]에도 있었지만 책례 장면을 주제로 삼은 것은 이 병풍이 유일하다. 《진하도(1783)》와 《을사친정계병(1785)》은 문효세자 탄생을 기념하여 왕실 어른에게 존호를 올린 의례와 세자궁인 중희당에서 펼쳐진 친림 도목정사를 그렸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문효세자와 관련되어 있다. 현존하는 정조시대 행사도 병풍은 《화성원행도병》을 제외한 4점이 모두 문효세자와 직·간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후에 왕세자두후평복진하도병(1879)이 문효세자책례계병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고 한다.[30]
18세기 이후 왕세자 책봉식이나 왕세자 교육과 관련된 동궁(東宮) 의례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이 점차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문효세자 책봉식을 묘사한 ‘문효세자 의궤’와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식을 묘사한 ‘왕세자입학도첩’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두 그림은 조선시대 궁중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 자료이다.[8]
7. 관련 장소
한국 문화에서 왕실 아이의 태반은 아이의 생명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믿어지는 신성한 물체로 여겨져 "태실"이라는 특별한 장소에 안치되었다. 1783년 문효세자의 태반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안치되었는데, 대장전 뒷산 근처 두운암에서 50미터 떨어진 곳이었다.[1] 일제강점기 이왕직(왕실재산관리처)은 태실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비석만 남겼으며, 태실은 일부 파손된 후 1977년에 복원되었다. 현재 위치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리 용문사길 285-30이다. 예천이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출생지가 있는 곳으로 정조와 깊은 관련이 있어 태실의 위치로 선정되었다.[1]
18세기 이후 왕세자 책봉식이나 왕세자 교육과 관련된 동궁(東宮) 의례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이 점차 많아졌는데, ‘문효세자 의궤’와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식을 묘사한 ‘왕세자 입학도첩’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두 그림은 조선시대 궁중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 자료이다.[8]
7. 1. 승가사
정조와 의빈 성씨의 장남인 문효세자의 세자 책봉 때, 청나라 황실은 문효세자의 장수를 기원하는 미얀마산 옥불을 선물했다고 한다. 정조는 이 옥불을 보관하기 위해 승가사를 중건했으나 오늘날 그 옥불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다.[31]7. 2. 거둥고개
정조는 문효세자와 의빈 성씨의 묘에 몇 번이나 거둥(왕의 행차)하였고, 이 때문에 오늘날 용산구 효창동에 있는 고개의 이름이 '''거둥고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32] 정조는 문효세자의 능을 여러 차례 방문하였는데, 이 때문에 용산구 효창동에 있는 언덕의 이름이 ‘거둥고개’(거둥고개, lit. ‘임금이 다닌 고개’)로 불리게 되었다.[10]7. 3. 홍예동
마포구 신공덕동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효창공원이 된 정조의 맏아들 문효세자와 그의 생모인 의빈 성씨의 묘소인 효창원으로 가는 길목에 있던 마을 이름이다. 효창원의 봉분을 멀리서 보면 무지개처럼 보여 홍예분(紅霓墳)이라고도 불렀다.[33] 이 마을은 효창궁의 봉분 모양에서 유래했는데, 봉분의 모양이 무지개 같아 세자의 좋은 징조라고 여겨졌다.[11]8. 가족 관계
구분 |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조부모 | 장조의황제 | 1735년 2월 13일 | 1762년 7월 12일 | |
헌경의황후 풍산 홍씨 | 1735년 8월 6일 | 1816년 1월 13일 | ||
양조부모 | 진종 | 1719년 4월 4일 | 1728년 12월 16일 | |
효순왕후 조씨 | 1716년 1월 8일 | 1751년 12월 30일 | ||
아버지 | 제22대 정조선황제 | 1752년 10월 28일 | 1800년 8월 18일 | |
어머니 | 효의선황후 청풍 김씨 | 1754년 1월 5일 | 1821년 4월 10일 | |
외조부모 | 증 찬성 성윤우 | 1709년 | 1769년 | |
증 정경부인 부안 임씨 | 1722년 | 1756년 | ||
생모 | 의빈 성씨 | 1753년 8월 6일 | 1786년 11월 4일[12] | |
동복 동생 | 옹주 | 1784년 | 1784년 | |
(복중 사망) | 1786년 | 1786년 |
9. 문효세자가 등장하는 작품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2
[2]
웹사이트
조은집
https://100.daum.net[...]
1999-04-03
[3]
웹사이트
연구성과 - 한국학진흥사업성과포털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aks.aks.ac.k[...]
[4]
웹사이트
문희묘영건청등록(文禧廟營建廳謄錄)
http://waks.aks.ac.k[...]
[5]
웹사이트
빈청에서 왕세자의 시호를 정하다
http://sillok.histor[...]
1786-05-14
[6]
웹사이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
[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조은집
http://100.daum.net/[...]
[8]
서적
왕과 국가의 회화
https://web.archive.[...]
돌베개
2011
[9]
뉴스
청나라 황실이 보냈다는 장수불은 어디로 갔을까?
https://news.v.daum.[...]
2016-12-31
[10]
뉴스
거둥고개
http://100.daum.net/[...]
1992-11-19
[11]
뉴스
홍예동
https://100.daum.net[...]
1992-11-19
[12]
웹사이트
자료목록::해외한국학자료센터
http://kostma.korea.[...]
[13]
웹사이트
문희묘영건청등록(文禧廟營建廳謄錄)
http://waks.aks.ac.k[...]
[14]
웹사이트
문효세자의 탄생을 기뻐하다
http://sillok.histor[...]
1782-09-07
[15]
웹사이트
원자를 책봉하여 왕세자로 삼다
http://sillok.histor[...]
1784-07-02
[16]
웹사이트
왕세자가 훙서하다
http://sillok.histor[...]
1786-05-11
[17]
웹인용
문희묘일기
https://web.archive.[...]
2017-04-02
[18]
웹인용
예천군청
http://www.ycg.kr/op[...]
[19]
뉴스
왕실 자손의 胎(태)를 묻고 福(복)을 기원하다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4-06-16
[20]
뉴스
예천서 사도세자·문종 태실서 석물 무더기 발견
https://news.naver.c[...]
[21]
웹사이트
빈청에서 왕세자의 시호를 정하다
http://sillok.histor[...]
1786-05-14
[22]
웹인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
[23]
웹사이트
왕세자의 시호를 ‘문효’로 개정하다
http://sillok.histor[...]
1786-05-22
[24]
웹인용
<문효세자지문>
https://web.archive.[...]
2016-08-29
[25]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조은집>
http://100.daum.net/[...]
[26]
서적
왕과 국가의 회화
https://web.archive.[...]
돌베개
2011-05-09
[27]
웹사이트
문효세자보양청계병
https://www.museum.g[...]
[28]
기타
[29]
기타
[30]
논문
정조의 세자 위상 강화와 〈문효세자책례계병〉(1784)
https://web.archive.[...]
2016
[31]
뉴스
승가사
https://news.v.daum.[...]
[32]
웹사이트
서울지명사전 - 거둥고개
http://100.daum.net/[...]
[33]
웹사이트
서울지명사전 - 홍예동
http://100.daum.net/[...]
[3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