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예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예후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이스라엘 왕국의 군대 사령관이었다가 쿠데타를 통해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요람 왕과 아하시야 왕을 살해하고 이세벨을 처형하는 등 오므리 왕조를 몰락시키고 예후 왕조를 열었다. 예후는 바알 숭배자들을 처형하여 이스라엘에서 바알 숭배를 근절했지만, 금 송아지 숭배를 근절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예후는 아람의 침입과 앗시리아의 조공을 받는 등 외교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하는 모습이 검은 오벨리스크에 묘사되어 있다. 성경 외적으로는 이스라엘의 국력을 쇠퇴시킨 암군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왕기 - 솔로몬
    솔로몬은 다윗 왕의 아들로 이스라엘 왕국의 제3대 왕이었으며 뛰어난 지혜와 현명한 재판으로 유명하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스라엘은 경제적 번영과 국제적 명성을 누렸지만 사회적·종교적 갈등 또한 심화되었으며,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한 것으로도 유명하여 그의 삶은 다양한 전설과 신화, 문학 작품 등에서도 중요한 소재로 다뤄지고 있다.
  • 열왕기 - 바빌론 유수
    기원전 6세기 초 신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해 유다 왕국이 멸망하면서 유대인들이 바빌론으로 강제 이주된 바빌론 유수는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 문화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유대교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유대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이스라엘 국왕 - 사울
    사울은 사무엘상과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다윗을 질투하여 길보아 전투에서 자살했다.
  • 이스라엘 국왕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 군주 시역자 -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불가리아 출신으로, IMRO에서 활동하며 우스타샤와 협력하여 유고슬라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1세를 암살하고 체포 과정 중 사망했다.
  • 군주 시역자 - 리키메르
    리키메르는 5세기 서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서 게르만계 군사령관이었으며, 여러 황제를 꼭두각시로 내세워 권력을 행사하고 반달족과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안테미우스와의 갈등 끝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예후
기본 정보
[[살만에세르 3세]]의 흑색 오벨리스크에 묘사된
살만에세르 3세의 흑색 오벨리스크에 묘사된 "옴리의 땅의 백성 예후"(쐐기 문자: 𒅀𒌑𒀀 𒈥 𒄷𒌝𒊑𒄿)의 공물
칭호북이스라엘 왕
재위 기간기원전 841년 ~ 814년 경
즉위식길르앗 라못, 이스라엘
출생기원전 882년 경
사망기원전 814년 경
매장지사마리아, 이스라엘 왕국
부왕여호사밧
자녀여호아하스
통치
전임자요람
후임자여호아하스
기타 정보
아버지여호사밧
로마자 표기
히브리어예후
아카드어이야우아
라틴어이에후

2. 성경 속 예후

예후, 기욤 루이예의 ''유명 인물의 초상집''에 묘사됨


'''예후'''(히브리어: יֵהוּא|예후he, '야훼는 그이시다'라는 뜻)는 님시의 손자이자 여호사밧(동명이인)의 아들로, 요람 왕 때 군대 사령관이었다. 엘리사로부터 기름 부음을 받고 이스라엘의 새 왕이 되었다. 바알 숭배를 근절하고 아합 왕가를 몰락시킨 인물로, 구약 성경 열왕기하에 그의 행적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열왕기하에 따르면, 예후는 아합 가문을 멸망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그의 후손이 4대에 걸쳐 이스라엘 왕위를 이어갈 것이라는 약속을 받았다.[34] 그러나 여로보암 1세가 행했던 벧엘과 단의 금송아지 숭배를 근절하지 않았고, 야훼의 율법을 충실히 따르지 않았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받았다.[33]

예후는 통치 말년에 아람하사엘의 침입으로 요르단강 동쪽 영토를 빼앗기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31] 이는 예후가 아하시야 왕을 살해하여 남유다 왕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바알 숭배자들을 몰살하여 페니키아와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등 외교적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32]

결국 예후는 앗시리아 왕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쳐 위기를 모면하려 했다.[32] 블랙 오벨리스크에는 샬마네세르 3세에게 굴복하는 예후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여기서 그는 자신이 멸망시킨 오므리 왕조의 이름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는 오므리 왕조의 강력했던 국력 때문에 주변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오므리의 집'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2. 1. 왕위 찬탈

예후는 님시의 손자이자 여호사밧(동명이인)의 아들로, 요람 때 군대 사령관이었다. 아람 군과의 전쟁 중 길르앗 라못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이스라엘의 요람과 함께 전쟁을 치르던 유다의 아하지야 왕이 이스르엘 성으로 간 사이, 선지자 엘리사가 한 사람을 시켜 예후의 머리에 기름을 부어 새 왕으로 세우게 하였다.[5][6]

예후는 곧바로 군사를 일으켜 이스르엘 성으로 진군했고, 활을 쏘아 요람 왕과 아하지야 왕을 살해했다. 요람을 죽인 후 예후는 비드칼에게 요람의 시체를 나봇의 포도밭에 던지라고 명령했다.[7]

예후에 의해 처벌받는 여왕 이세벨. 안드레아 셀레스티(1637–1712).


이뿐만 아니라 전 왕 아합의 왕비 이세벨아합의 아들들 70명과 그의 집안을 겐 족속의 여호나답과 손을 잡고 모조리 몰살시켰고, 아하지야 왕의 형제들 42명도 죽였다.

또한 예후는 계책을 써서 이스라엘의 모든 바알 숭배자들까지 처형하여 이스라엘에는 단 한 명의 바알 숭배자도 남지 않게 되었다.[30] 그는 여호나답과 함께 바알 숭배자 전부와 바알을 섬기는 제사장들을 단 한 사람도 빠짐없이 불러 모아 번제를 드리게 하였다. 그들을 바알 신당에 가득 들어가게 하고는, 번제가 시작되자마자 신당 바깥에 80명을 배치해 그들이 한 사람이라도 빠져나가게 하면 죽을 것이라고 단단히 일렀다. 번제가 끝나자 예후는 파수꾼들과 장교들에게 바알 숭배자들을 죽이고 한 사람도 도망가지 못하게 하라고 명령했다. 그들은 바알 숭배자 및 제사장들을 다 칼로 쳐 죽이고, 바알 신당의 돌기둥과 아세라 여신을 상징하는 나무 기둥을 부수었다. 신당을 헐어 변소로 만들어 버렸다.[11][12]

upright

2. 2. 바알 숭배 근절

예후는 님시의 손자이자 여호사밧(동명이인)의 아들로 요람 때 군대 사령관이었다. 엘리사가 예후의 머리에 기름을 부어 새 왕으로 세웠다.[30]

예후는 군사를 일으켜 이스르엘 성으로 진군했고 활을 쏘아 요람 왕과 아하지야 왕을 살해했다. 요람의 시체는 나봇의 포도밭에 던져졌고,[7] 아하시야 왕은 므깃도로 도망쳐 그곳에서 죽었다.[5]

예후는 이스르엘 궁궐로 들어가 이세벨의 환관들에게 그녀를 궁궐 창밖으로 던지라고 명령했다. 이세벨은 즉사했고, 그녀의 시신은 개들에게 먹혔다.

사마리아의 지도자들은 예후의 명령에 따라 모든 왕자들을 찾아 죽였고, 70개의 머리를 성문 밖에 두 무더기로 쌓았다. 아합의 온 가족이 살해되었고, "목자들의 벳에케드"에서 42명의 "아하시야의 형제들"도 죽임을 당했다.[8]

예후는 레갑인인 여호나답과 동맹을 맺고, 바알 숭배자들을 의식에 초대하여 가두고 죽였다.[11] 그들의 우상과 성전은 파괴되었고, 그 성전은 변소로 바뀌었다.[12]

예후는 계책을 써서 이스라엘의 모든 바알 숭배자들을 처형하여 이스라엘에는 단 한 명의 바알 숭배자도 남아 있지 않게 되었다.[30] 그는 바알 숭배자들과 제사장들을 바알 신당에 모아 번제를 드리게 하고, 80명의 군사를 배치하여 한 사람도 빠져나가지 못하게 했다. 번제가 끝나자 예후는 파수꾼들과 장교들에게 바알 숭배자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 바알 신당의 돌기둥과 아세라 여신을 상징하는 나무 기둥은 부숴졌고, 신당은 헐려서 변소로 사용되었다.

2. 3. 아람의 침입과 앗시리아에 대한 조공

열왕기하에 따르면, 예후의 말년에 하나님아람의 왕 하사엘에게 힘을 주어 온 이스라엘 영토를 공격하게 하여 요르단강 동쪽과 갓 지파, 르우벤 지파, 므낫세 지파가 사는 길앗의 모든 땅, 곧 아르논 강 곁의 아로엘에서 길앗과 바산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공격당하였다고 한다.[31]

신학자 버나드 W. 앤더슨은 이 당시 아람의 침입이 예후의 외교정책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32] 예후는 혁명 과정에서 아하지야를 죽이면서 남유다 왕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페니키아 사람이거나 페니키아에 가까웠던 바알 숭배자들을 모두 죽임으로써 페니키아와의 관계도 단절되었다.[32] 예후의 혁명으로 오므리아합 때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외교관계가 단절되자, 아람 왕이 요단강 동부 지역을 공격했던 것이다.[32]

상황이 어려워지자 예후는 기원전 841년에 당시 강대국이었던 앗시리아의 왕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쳤다.[32] 샬마네세르 3세는 카르프(님루드)에 군사령부와 무기고를 포함한 요새를 건설하였고, 이것은 현재 샬마네세르 요새라 불리고 있다. 이 요새에 있는 옥좌에는 이스라엘 왕 예후가 샬마네세르 3세에 평복하고 공물을 헌상하는 모습 등이 새겨져 있다.

블랙 오벨리스크의 릴리프에는 살만에세르 3세에게 굴복하여 조공하는 예후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여기서 예후는 아이러니하게도 '오므리의 집의 예후'라고, 자신이 멸망시킨 전 왕조의 이름 아래 소개되고 있는데, 이는 오므리의 치세가 뛰어났기 때문에, 인접 국가들은 이스라엘의 대명사로 '오므리의 집'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쳐 시리아의 침공으로부터 벗어난 후 예후왕은 남유다를 속국으로 삼는 기반을 만듦과 동시에 예후왕조의 가장 위대한 왕인 여로보암 2세의 찬란한 미래를 위한 기반을 다졌다.

W. 디트리히는 가나안인이나 아람인과의 교류·동맹을 통해 국력을 높이고, 카르카르 전투에서는 다마스쿠스 다음으로 10,000명의 병사와 2,000대의 전차 부대를 제공하며, 북 팔레스타인의 지역 대국 중 하나로 아시리아를 저지한 아합의 치세[28]와 비교하면, 예후는 반대로 근시안적인 야훼 신앙 중시의 이스라엘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가나안인과 아람인을 적대시하여 국력을 쇠퇴시키고, 멀리 떨어진 대국 아시리아에 굴복했다고 평가한다. 이로 인해 아시리아의 이 지역 침입을 도왔다는 점에서 후퇴를 보였으며, 이스라엘의 최종적인 멸망을 앞당겼다고 평가한다.[29]

2. 4. 열왕기하의 평가

구약 성경 열왕기하에서는 예후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이스라엘을 바로 잡고 옳은 일을 하였지만, 여로보암 1세가 행했던 벧엘과 단의 금송아지 숭배에서는 돌아서지 않았고 하나님의 율법에 따라 걷는 일도 충실히 하지 않아 문제가 되었다고 평가했다.[33]

그럼에도 열왕기하는 하나님이 예후가 바알 숭배를 찬양하던 아합의 가문을 멸망시킨 것을 인정하여, 예후의 후손이 4대에 걸쳐 이스라엘 왕위를 이어갈 수 있게 하였다고 기록한다.[34] 예후의 피 묻은 권력 찬탈과, 야훼 신앙에 대한 "이단적" 해석으로 비판받은 단과 벧엘의 황금 송아지에 대한 관용 외에는 그의 치세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아람하사엘에게 시달렸는데, 하사엘은 요르단 강 너머 길르앗, 갓 지파, 르우벤 지파, 므낫세 지파 땅에 걸쳐 "이스라엘의 모든 영토"에서 그의 군대를 격파했다.[13]

예후가 아람에 대항하기 위해 강력한 동맹을 얻고자 살만에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쳤다는 점은 검은 오벨리스크에 묘사되어 있다. ''빗-후므리''는 디글라트-필레세르 3세에 의해 옴리 왕조가 아닌 왕들인 베가 (733) & 호세아 (732)에게 사용되었으며,[14] 따라서 오므리의 집/땅/왕국은 반드시 오므리의 후손이 아닌 후기 이스라엘 왕들에게 적용될 수 있었다. 다른 사람들에 따르면, 이 묘사는 이 시기에 아시리아인들이 이 지역의 사건들을 매우 면밀히 따랐고, 나중에 통제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매우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한다.[15]

아합 왕가의 멸망은 열왕기 저자에 의해 신의 처벌 형태로 칭찬받았다. 야훼는 예후가 신의 심판을 기꺼이 집행했기에 이스라엘 왕좌에 4대에 걸쳐 왕이 앉도록 허락함으로써 그에게 보상했다.[16] 예후와 그의 후손 여호아하스, 요아스, 여로보암 2세, 스가랴는 102년 동안 이스라엘을 통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세아서에 따르면, 하느님은 예후의 집을 아시리아인의 손을 통해 예스라엘에서의 예후의 학살에 대해 벌하셨고,[17] 일부 성서 주석가들은 이것이 예후의 학살 동기가 완전히 순수하지 않았을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추론했다.[18]

3. 성경 외 기록

예후는 히브리 성경 뿐만 아니라 아시리아의 기록에서도 나타난다. 검은 오벨리스크에는 "예후의 공물 ... 많은 은"이라는 기록과 함께 샬마네세르 3세의 발 앞에 엎드려 입을 맞추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오므리의 아들"[36][37]이라고 적혀있다. 이는 오므리 왕가의 인물임을 나타내기 위해 이렇게 적은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페니키아유다 왕국과 단교하고 아시리아의 속국으로 자청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오벨리스크는 기원전 841년의 것으로[38] 추정되는 만큼, 지금까지 발견된 이스라엘에 대한 성경 외 고고학적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39]



샬마네제르 3세 앞에 나아온 예후의 행렬. 앞에서 엎드려 바닥에 입 맞추는 인물이 예후.


1993년에 발견된 텔 단 비문에는 유다 왕 아하지야가 이스라엘 왕 요람을 방문했을 때 습격해 둘을 살해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학계에서는 이 비문의 저자를 예후가 아니라 아람 왕 하사엘로 본다.

가나안인이나 아람인과의 교류·동맹을 통해 국력을 높이고, 카르카르 전투에서는 다마스쿠스 다음으로 10,000명의 병사와 2,000대의 전차 부대를 제공하며, 북 팔레스타인의 지역 대국 중 하나로 아시리아를 저지한 아합의 치세[28]와 비교하면, 예후는 근시안적인 야훼 신앙 중시의 이스라엘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가나안인과 아람인을 적대시하고 국력을 쇠퇴시켰으며, 멀리 떨어진 대국 아시리아에 굴복했다. W. 디트리히는 이로 인해 아시리아의 이 지역 침입을 도왔다는 점에서 후퇴를 보였으며, 이스라엘의 최종적인 멸망을 앞당겼다고 평가한다.[29]

3. 1. 검은 오벨리스크

예후는 히브리 성경 뿐만 아니라 아시리아의 기록에서도 나타난다. 1846년 님루드에서 발굴된 검은 오벨리스크에는 "예후의 공물 ... 많은 은"이라는 기록과 함께 샬마네세르 3세의 발 앞에 엎드려 입을 맞추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mār Ḫumri|italic=yesakk "오므리의 아들"[36][37]이라고 적혀있는데 오므리 왕가의 인물임을 나타내기 위해 이렇게 적은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페니키아유다 왕국과 단교하고 아시리아의 속국으로 자청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오벨리스크가 기원전 841년의 것으로[38] 추정되는 만큼 지금까지 발견된 이스라엘에 대한 성경 외 고고학적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39]

검은 오벨리스크에 따르면 예후는 페니키아유다 왕국과의 동맹을 끊고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아람-다마스쿠스의 북쪽 공격과 동쪽의 모압인들의 반란(메사 석비 참조)에 직면한 예후는 아시리아에 굴복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었을 것이며, 아시리아는 아람-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압박을 완화시켰다.

고대 오리엔트 역사에 근거한 이스라엘의 지위를 보면, 가나안인이나 아람인과의 교류·동맹을 통해 국력을 높이고, 카르카르 전투에서는 다마스쿠스 다음으로 10,000명의 병사와 2,000대의 전차 부대를 제공하며, 북 팔레스타인의 지역 대국 중 하나로 아시리아를 저지한 아합의 치세[28]와 비교된다. 반면 예후는 근시안적인 야훼 신앙 중시의 이스라엘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가나안인과 아람인을 적대시하여 국력을 쇠퇴시키고, 멀리 떨어진 대국 아시리아에 굴복했다. 이로 인해 아시리아의 이 지역 침입을 도왔다는 점에서 후퇴를 보였으며, 이스라엘의 최종적인 멸망을 앞당겼다고 W. 디트리히는 평가한다.[29]

아시리아 왕 살만에세르 3세의 비문에서는 아시리아에 조공한 지중해 연안 지방의 한 왕으로 예후가 언급되어 있다. 또한, 님루드 (아시리아의 수도 칼후의 유적)에서 출토된 검은 오벨리스크의 릴리프에는 살만에세르 3세에게 굴복하여 조공하는 예후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여기서 예후는 자신이 멸망시킨 전 왕조의 이름인 '오므리의 집의 예후'로 소개되고 있는데, 이는 오므리의 치세가 뛰어났기 때문에 인접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오므리의 집'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3. 2. 텔 단 비문

1993년에 발견된 텔 단 비문의 저자는 유다 왕 아하지야가 이스라엘 왕 요람을 방문했을 때 습격해 둘을 살해했다고 기록하는데, 학계에서는 이 비문의 저자를 예후가 아니라 아람 왕 하사엘로 본다.[1] 텔 단 비문(기원전 9세기, 1993년과 1994년에 발견)의 저자는 유다 왕 아하시야와 이스라엘 왕 여호람을 모두 죽였다고 주장했다.[2] 대부분의 학자들은 다마스쿠스하사엘(기원전 842년 ~ 806년경)을 저자로, 즉 이스라엘과 유다와 큰 전쟁을 벌였던 다마스쿠스 왕으로 본다.[2] 아합과 하닷에제르 사이에 맺어진 동맹은 카르카르 전투에서 아시리아 왕 살만에세르 3세를 막는 주요 세력을 제공했지만, 그들의 후계자들 아래서 와해되었고, 이어진 이스라엘-유다와 아람-다마스쿠스 사이의 전쟁에서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이 죽임을 당했다.[2] 이미 중요한 군사 지도자였던 예후는 이 사건 이후 왕이 되었다.[2]

4. 예후에 대한 평가

아합가나안인이나 아람인과의 교류·동맹을 통해 국력을 높이고, 카르카르 전투에서는 다마스쿠스 다음으로 의 병사와 의 전차 부대를 제공하며, 북 팔레스타인의 지역 대국 중 하나로 아시리아를 저지했다.[28] 그러나 예후는 근시안적인 야훼 신앙 중심의 이스라엘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가나안인과 아람인을 적대시하여 국력을 쇠퇴시키고, 멀리 떨어진 대국 아시리아에 굴복했다. W. 디트리히는 이로 인해 아시리아의 이 지역 침입을 도왔다는 점에서 예후의 정책은 후퇴를 보였으며, 이스라엘의 최종적인 멸망을 앞당겼다고 평가한다.[29]

예후와 그가 지배하는 이스라엘의 국제적 지위는 성경 외의 자료에도 나타난다. 아시리아 왕 살만에세르 3세의 비문에서는 아시리아에 조공한 지중해 연안 지방의 한 왕으로 예후가 언급되어 있다. 님루드 (아시리아의 수도 칼후의 유적)에서 출토된 블랙 오벨리스크의 릴리프에는 살만에세르 3세에게 굴복하여 조공하는 예후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여기서 예후는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멸망시킨 전 왕조의 이름인 '오므리의 집의 예후'로 소개되는데, 이는 오므리의 치세가 뛰어났기 때문에 인접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오므리의 집'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성경의 기술에서도 이러한 조짐이 나타났다는 점이 지적되며, 역사상의 예후는 완고한 야훼 신앙에 기초한 정책으로 이스라엘의 지위와 국력을 저하시킨 암군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아합처럼, 성경의 시각에 기초한 인물상과 역사적 사실이 일치하는 것을 보여준다.

참조

[1] 문서
[2] 논문 Jehuites, Ahabites, and Omrides: Blood Kinship and Bloodshed 2017
[3]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Grand Rapids: Zondervan/Kregel 1983
[4] Bible
[5] 웹사이트 Jehu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0-01-07
[6] 웹사이트 2 Kings 9:1-13 https://www.biblegat[...]
[7] Bible
[8] Bible
[9] 서적 Neo-Assyrian Historical Inscriptions and Syria-Palestine: Israelite/Judean-Tyrian-Damascene Political and Commercial Relations in the Ninth-Eighth Centuries BCE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10] 서적 Assyrian Reliefs from the Palace of Ashurnasirpal II: A Cultur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UPNE 2010
[11] Bible
[12] Bible
[13] Bible
[14] 간행물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Cambridge, Eerdmans 2003
[15] 웹사이트 Balancing evidence about Jehu and Joash in ancient near east texts - Critical reassessment https://www.research[...]
[16] Bible
[17] Bible
[18] 웹사이트 Hosea 1:4 Commentaries: And the LORD said to him, "Name him Jezreel; for yet a little while, and I will punish the house of Jehu for the bloodshed of Jezreel, and I will put an end to the kingdom of the house of Israel. https://biblehub.com[...] 2022-04-07
[19] 서적 Babel and Bible; https://archive.org/[...] Chicago, The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06
[20] 논문 An Additional Chronological Note on “Yaw, Son of 'Omri.” https://doi.org/10.2[...] 1976
[21] 서적 Bible Chronology: Carefully Unfolded ... to which is Added a Restoration of Josephus United States: Fleming H. Revell 1896
[22] 웹사이트 Cuneiform Parallels to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23] 서적 Catalogue of the Cuneiform Tablets in the Kouyunjik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Department of Ancient Egypt and Sudan 1889
[24] 간행물 Ancient Records of Assyria and Babylonia, Volume I, §672 London: Histories and Mysteries of Man Ltd 1989
[25] 간행물 Discoveries from Bible Times Oxford, Lion 1997
[26] 웹사이트 Drive Like Jehu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10-01-13
[27] 웹사이트 Album Review: Drive Like Jehu - Yank Crime http://pitchfork.com[...] Pitchfork 2010-01-18
[28] 서적 イスラエルとカナン-二つの社会原理の葛藤 新地書房 1991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서적 구약성서 이해 클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33] 문서
[34] 문서
[35] 서적 Babel and Bible; https://archive.org/[...] Chicago, The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06
[36] 서적 Cuneiform Parallels to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37] 서적 Catalogue of the Cuneiform Tablets in the Kouyunjik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Department of Ancient Egypt and Sudan 1889
[38] 서적 Discoveries from Bible Times Lion 1997
[39] 서적 Assyrian Reliefs from the Palace of Ashurnasirpal II: A Cultur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UPNE 20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