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광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광만은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다. 총신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합동신학교, 총신대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장신신학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등에서 강사 및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성경주해아카데미 대표 및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 역서, 논문 등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학회 - 신원균 (신학자)
신원균은 대한민국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서, 안양대학교와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았고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성경신앙신학회 서기, 웨스트민스터 신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마음교회 목사로 섬기며 칼빈 신학,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등을 중심으로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 교단공역본 번역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개혁주의 신학에 기여하고 있다. - 신학회 - 조덕영
조덕영은 참기쁜교회 담임목사이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창조신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는 조직신학자로, 자연과학과 신학의 관계를 탐구하고 창조론 연구 및 알리기에 힘썼으며, 한국문학연구회와 기독월간지에서 활동하며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 총신대학교 동문 - 전승우
전승우는 1995년 록 밴드 컬트의 드러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며 S.E.S., 빅뱅, 아이유 등 다양한 가수들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총신대학교 동문 - 정준 (배우)
1988년 CF 모델로 데뷔한 정준은 MBC 특채 탤런트 출신으로 영화와 드라마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굿피플 나눔대사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팀 켈러
팀 켈러는 미국의 목사이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로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도시 중심 사역에 헌신했으며 복음 연합 공동 설립자로서 복음 중심 신앙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이유》, 《탕자의 하나님》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영향을 미쳤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박윤선
박윤선은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자 신학자로, 30여 년에 걸쳐 성경 66권 전체에 대한 주석을 완성하여 한국 교회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개혁주의 신학에 기반한 주석으로 목회자와 신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고려신학교와 총신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교회의 보수 신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오광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광만 |
활동 기간 | 1986년 ~ 현재 |
출생일 | 1958년 10월 05일 |
직업 | 대학 교수 목사 저술가 |
언어 | 한국어 영어 |
분야 | 신약신학 성서학 |
종교 | 기독교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Ph.D.) |
주요 저작 | 『영광의 복음 요한계시록』 『하나님의 비밀 그리스도』 외 다수 |
2. 학력 및 학위
총신대학교 신학과에서 B.A.영어(1981년)를,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M. Div.영어(1984년) 및 Th. M.영어 과정(1985년)을 이수하였다.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Th. M.영어(2004년)과 Ph. D.영어(2008년) 학위를 받았다.
2. 1. 학력
- 총신대학교 신학과 (1981년 B.A.)
-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1984년 M. Div., 1985년 Th. M. 과정 이수)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04년 Th. M.)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08년 Ph. D.)
2. 2. 학위 논문
- “바울과 ‘하나님의 비밀(μυστήριον) -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바울 복음과 사도직 이해.” Th. M.|영어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04.
- “골로새서에 나타난 지혜와 하나님의 비밀이신 그리스도.” Ph. D.|영어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08.
3. 경력
오광만은 합동신학교, 총신대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2018년부터는 성경주해아카데미 대표 및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3. 1. 강의 경력
기관명 | 기간 |
---|---|
합동신학교 강사 | 1986년-1988년 |
총신대학교 강사 | 1987년-1988년 |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교수 | 1989년-1997년 |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 | 1997년-1999년 |
장신신학원 교수 | 2000년-2002년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 2002년-2007년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2008년-2020년 |
성경주해아카데미 대표 및 교수 | 2018년~ |
3. 2. 기타 경력
연도 | 경력 |
---|---|
1986년 ~ 1988년 | 합동신학교 강사 |
1987년 ~ 1988년 | 총신대학교 강사 |
1989년 ~ 1997년 |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교수 |
1997년 ~ 1999년 |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 |
2000년 ~ 2002년 | 장신신학원 교수 |
2002년 ~ 2007년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
2008년 ~ 2020년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2018년 ~ 현재 | 성경주해아카데미 대표 및 교수 |
4. 저술 활동
오광만은 신학자로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저서, 역서, 논문은 신학의 여러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성경 해석과 관련된 연구가 많다.
오광만의 저술은 크게 저서, 역서, 논문으로 나눌 수 있다. 하위 섹션을 통해 저서, 역서, 논문의 상세 목록과 내용이 이미 제공되므로, 여기서는 각 분야별 주요 내용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저서'''는 헬라어 단어장부터 빌립보서 강해까지 다양하며, 성경 각 권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설과 주기도문 강해 등을 포함한다.
'''역서'''는 구속사 관련 서적부터 요한계시록, 로마서 주석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룬다. 헤르만 리델보스, 팔머 로벗슨, 존 칼빈 등 저명한 신학자들의 저서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했다.
'''논문'''은 "하나님 나라"와 "성경 해석"을 주제로 한 초기 논문부터 마가복음 우선설 비판, 골로새서 분석, "생명나무"의 의미 연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4. 1. 저서
- 헬라어 단어장. 서울: 여수룬, 1989.
- 그리스도와 교회. 서울: 웨스트민스터출판부, 1997.
- 이스라엘과 교회. 서울: 여수룬, 1997.
- 시편강설: 구약 성도는 무엇을 기도했나. 서울: 여수룬, 1997.
- 베드로전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울: 그리심, 2001, 2014.
- 그러므로 이렇게 기도하라. 주기도문 강해.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7.
- 쉬운큐티: 마가복음. 서울: 아가페, 2008.
- 쉬운큐티: 마태복음. 서울: 아가페, 2010.
- 영광의 복음 요한계시록. 서울: 생명나무, 2011.
- 그의 시간 속에 - 은석 김의환 박사의 삶과 신학. 서울: 토라, 2012.
- 하나님의 비밀, 그리스도. 서울: 생명나무, 2012.
- 헌상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 서울: 생명나무, 2014.
- 주기도문으로 기도하기: 소요리문답과 마태복음 관점에서 본 주기도문 이해. 서울: 생명나무, 2016.
- 빌립보서 강해: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라. 서울: 생명나무, 2023.
4. 2. 역서
출판 연도 | 도서명 | 원제 (존재하는 경우) | 저자 | 출판사 |
---|---|---|---|---|
1986 | 구속사와 하나님의 나라 | 리델보스, 클리우니, 레커, 프랑스 | 풍만 | |
1989 | 구속사적 성경해석학 | D. L. 베이커 | 엠마오 | |
1989 | 바울의 종말론 | 게할더스 보스 (공역) | 엠마오 | |
1990 | 마태복음 (상, 하) | 헤르만 리델보스 | 여수룬 | |
1991 | 바울의 그리스도와의 연합 사상 | 루이스 B. 스미디즈 | 여수룬 | |
1991 | 성경과 하나님의 경륜 | 필립 E. 휴스 | 여수룬 | |
1991 | 성경과 하나님의 나라 | 죠지 비슬리-머리 | 여수룬 | |
1991 | 예수님께서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셨는가 | 로버트 스타인 | 엠마오 | |
1991 | 교회의 진정한 표상 | 데이비드 왓슨 | 여수룬 | |
1991 | 콘사이스 성경핸드북 | 도날드 거스리 외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
1992 | 베드로전서 | 에드문드 P. 클라우니 | 여수룬 | |
1993 | 성경 교향곡 | 마크 스트롬 | IVP | |
1994 | 구속사와 은혜언약 | 케이 엠 캠벨 외 | 웨스트민스터출판부 | |
1994 | 요한계시록 (주석) | 필립 휴스 | 여수룬 | |
1995 | 바울의 두세대 구조와 변증학 | 윌리암 데니슨 | 웨스트민스터출판부 | |
2001 |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고든 피/D. 스튜어트 | 성서유니온 | |
2001 | 신약시대의 사회와 문화 | 엘버트 벨 | 생명의말씀사 | |
2001 | 쉬운성경 (공역, 요한복음-고린도후서) | 아가페출판사 | ||
2002 | 언약이란 무엇인가? | 팔머 로벗슨 | 그리심 | |
2002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 성경 | 라이온 | 몽당연필 | |
2003 | 하나님의 이스라엘 | 팔머 로벗슨 | CLC | |
2003 | 성경지리 이해 | 팔머 로벗슨 | CLC | |
2004 | 기독 지성의 책임 | 코넬리우스 플래팅가 | 규장 | |
2009 | 하나님 나라 (개정번역) | 헤르만 리델보스 | 솔로몬 | |
2010 | 칼빈주석: 요한복음 I, II | 존 칼빈 | 규장 | |
2013 | 은혜 언약: 성경신학적 연구 | Knowing the Times 3(2013): 77-127. | 존 머리 | |
2016 | 요한계시록 상, 하, NIGTC | 그레고리 K. 비일 | 새물결플러스 | |
2017 |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님의 비유 | 케네스 베일리 | 이레서원 | |
2019 | 야고보서, NIGTC | 피터 데이비스 | 새물결플러스 | |
2019 | 예수님의 비유 해석학 입문 | 로버트 스타인 | 이레서원 | |
2019 | 바울복음의 심장 | 데이비드 드실바 | 이레서원 | |
2020 | 로마서 상, 하, NIGTC | 리처드 롱네커 | 새물결플러스 | |
2020 | 칭의와 하나님 나라 | 김세윤 | 두란노 | |
2020 | 하나님의 영광과 존귀 | 조나단 에드워즈 | 규장 | |
2021 | 예수와 십자가 처형 | 플레밍 러트리치 (공역) | 새물결플러스 | |
2022 | 하나님의 임재 신학 | J. 스캇 듀발, J. 대니얼 헤이즈 | 새물결플러스 | |
2023 |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 크레이그 S. 키너 | 새물결플러스 |
4. 3. 논문
발표 연도 | 논문 제목 및 출처 |
---|---|
1989 | “하나님 나라와 교회, 세상.” 새로운 지성 II. 3 (1989년 8월 15일): 5-33. |
1991 | “하나님 나라와 이 세상 -현대 사회를 보는 크리스챤의 시각과 사명.” 목회와 신학 24 (1991년 6월): 65-82. |
1992 | “성경 해석과 설교: 본문의 의미와 그 의의의 관계.” 개혁신학 제8집 (1992년 9월): 57-79. |
1994 | “성경 저자들의 해석학적 관점의 다양성: 바울(롬 9:25)과 베드로(벧전 2:10)의 호세아 2:23 인용 비교.” 개혁신학 제9집 (1994년 6월): 27-59. |
1998 | “성령과 교회: 오순절 사건의 교회론적 의의.” 개혁신학 제10집 (1998년 12월): 37-75. |
1999 |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요일 1:5-10 주해.” 교회와 신앙 (1999년 3월): 124-134. |
1999 | “가계에 흐르는 저주 이론은 과연 성경적인가?.” 교회와 신앙 (1999년 10월): 116-131. |
2000 | “박철수 목사의 신약 강해 비판-성경 주해를 중심으로.” 교회와 신앙 (2000년 8월): 128-141. |
2001 | “다시 신비적, 영적 해석으로의 복귀인가?: 이광복 목사의 해석학실제 비평.” 교회와 신앙 (2001년 3월): 128-141. |
2001 | “오광만의 성경해석(연재).” 교회와 신앙 2001년 4월-2002년 3월. |
2003 | “마태복음 6:19-34의 구조와 메시지.” 진리와 학문의 세계 제9권 (2003년 가을): 13-47. |
2004 |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의 문학적 관계.” 프로에클레시아 제5호 (2004 봄): 208-259. |
2006 | “로마서 3:22의 πίστις (’Ιησου̑) Χριστου̑: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인가? ‘그리스도의 신실함’인가?” 진리와 학문의 세계 15 (2006, 가을): 21-48. |
2007 | “창조와 구속: 구속과 새 창조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에덴’.” 진리와 학문의 세계 17 (2007, 가을): 211-87. |
2008 | “'하늘’ 나라와 재물: 마태복음 6:19-34을 중심으로.” 성경신앙 23 (2008): 167-208. |
2009 | “칼빈의 제네바 시편찬송가 - 평가와 21세기 한국장로교회 찬송을 위안 제안.” 개혁논총 11 (2009): 87-128. |
2009 | “역사적 예수 탐구 재조명-옛 탐구에서 제3의 탐구까지.” 대한논총 2 (2009): 75-101. |
2010 | “마가복음 우선설 비판.” 개혁논총 14 (2010): 323-64. |
2011 | “바울과 유대문헌 비교 연구: 연속성인가? 불연속성인가?.” 대한논총 3 (2011): 73-115 |
2012 | “라이트(N. T. Wright)의 역사적 예수 연구와 그 비평.” 대한논총 4 (2012): 145-86. |
2013 | “존 머리 교수의 은혜 언약에 대해서.” Knowing the Times 3 (2013. 10): 70-76. |
2017 | “골로새서 1:15-20(그리스도 찬양시) 분석과 주해.” 대한논총 5 (2017): 119-64. |
2018 | “인간과 음악: 번민과 그 번민의 극복.” 기독교철학 25 (2018): 135-70. |
2020 | “‘생명나무’의 기독론적, 종말론적 의의.” Knowing the Times 14 (2020): 83-11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