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1929년 J. 그레샴 메이컨의 지도력과 자금 지원으로 설립된 개혁주의 신학교이다. 프린스턴 신학교의 자유주의적 경향에 반대하여 설립되었으며, 프린스턴 신학의 전통을 계승한다. 캘리포니아, 댈러스 등에 분교를 설립했으며, 국제 개혁 복음주의 신학교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현재는 피터 릴백이 총장으로 재직 중이며, 개혁주의 신학을 기반으로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하여 복음주의 및 한국 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통장로교회 - 존 그레섬 메이천
    존 그레샴 메이천은 미국의 장로교 신학자이자 목사로서,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약성경을 가르치며 자유주의 신학에 맞서 보수적인 개혁신학을 옹호했고,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와 정통 장로교회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정통장로교회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1643년 영국 의회가 소집한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작성되어 칼뱅주의 신학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성경의 권위, 삼위일체, 예정론 등의 교리를 담고, 미국과 한국의 장로교회에서 교리적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기독교 - 빌라노바 대학교
    빌라노바 대학교는 1842년 아우구스티노회 수사들이 펜실베이니아주에 설립한 사립 가톨릭 대학교로, 남북전쟁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2차 세계 대전 이후 성장하여 다양한 학과와 대학원 프로그램을 갖춘 종합대학교가 되었으며, 1968년 남녀공학으로 전환, 높은 입학 경쟁률과 농구 프로그램으로 유명하고 2023년 카브리니 대학교와의 통합 계획을 발표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기독교 - 깨어라!
    《깨어라!》는 여호와의 증인 관련 잡지로, 1919년 창간되어 다양한 언어로 발행되며, 사회, 종교, 건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2022년부터 연 1회 발행되고 무료로 배포된다.
  • 장로교 신학교 - 프린스턴 신학교
    프린스턴 신학교는 1812년 미국 장로교회에서 설립되어 칼뱅주의 장로교 신학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20세기 초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을 겪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과 연구 활동, 방대한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 등을 통해 신학 교육과 연구의 중심지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 장로교 신학교 - 유니언 신학교 (뉴욕시)
    유니언 신학교 (뉴욕시)는 1836년에 설립된 미국의 신학 대학으로, 자유주의 기독교의 중심지였으며, 라인홀드 니부어와 폴 틸리히를 배출하고 컬럼비아 대학교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문장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문장
표어ΠΑΣΑ Η ΒΟΥΛΗ ΤΟΥ ΘΕΟΥ (그리스어)
표어 (로마자 표기)PASA HĒ BOULĒ TOU THEOU
표어 (번역)하나님의 온전한 뜻
설립일1929년
종류사립 신학교
종교적 소속개혁주의, 개신교
위치글렌사이드, 펜실베이니아주, 미국
캠퍼스교외
총장피터 릴백
학생 수 (2017년)692명
웹사이트웨스트민스터 신학교

2. 역사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1929년 프린스턴 신학교와의 신학적 차이로 인해 그래함 메이첸 박사와 코닐리어스 밴틸 박사를 주축으로 설립되었다. 그래함 메이첸 박사는 이 학교가 심오하고 그리스도 중심적인 훈련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2][3]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기며, 개혁신학과 구 프린스턴 신학교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과 코닐리어스 밴틸의 전제주의 변증으로 유명하며, 스톤하우스, 에드워드 J. 영, 존 머레이, 간하배, 래이몬드 딜라드, 리차드 게핀 등이 교수로 재직했다.

초대 총장은 에드먼드 클로니 (1966년-1984년 재임)였으며, 이후 조지 C. 풀러, 사무엘 T. 로건이 총장직을 역임했다. 현재 총장은 역사신학 교수 피터 릴백이다.[4]

연도사건
1929년J. 그레샴 메이첸의 지도 아래 설립. 프린스턴 신학교의 신학 전통 계승을 목표로 함. 정통 장로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음.
1954년대학교 및 학교 중부 미국 연맹으로부터 특별 공인 획득
1982년캘리포니아 분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캘리포니아로 독립
1986년미국 및 캐나다 신학교 연맹으로부터 공인 획득
2009년댈러스 분교, 리디머 신학대학으로 설립 (2017년 개혁 신학대학 댈러스 캠퍼스로 변경)
2011년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국제 개혁 복음주의 신학교와 양해 각서 체결. 국제 개혁 신학 및 생명 저널, Unio Cum Christo 저널 발행.[5] 스태판 통 개혁 신학 석좌 기금 교수직 설치.[6]


2. 1. 설립 배경 (1929년)

1929년 프린스턴 신학교와의 신학적 차이로 인해 그래함 메이첸 박사와 코닐리어스 밴틸 박사를 주축으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가 설립되었다.[2] 그래함 메이첸 박사는 이 학교가 심오하고 그리스도 중심적인 훈련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3]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기며, 개혁신학과 구 프린스턴 신학교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과 코닐리어스 밴틸의 전제주의 변증으로 유명하다.

J. 그레샴 메이컨 기념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주로 J. 그레샴 메이컨의 지도력과 자금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2] 독립적인 기관이지만, 메이컨이 1936년에 설립을 도운 정통 장로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신학교는 프린스턴 신학교가 자유주의적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하면서 벌어진 논쟁 이후, 프린스턴 신학교 교수진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다.[3]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스스로 프린스턴의 역사적인 신학 전통을 충실히 계승한다고 여긴다. 메이컨을 비롯하여 존 머레이, 오스왈드 앨리스, 로버트 딕 윌슨, 코넬리우스 반 틸 등 웨스트민스터 설립자 다수가 논쟁 이전에 프린스턴의 교수였다.[3]

2013년 캠퍼스

2. 2. 초기 발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1929년, 주로 J. 그레샴 메이컨의 지도력과 자금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2] 독립적인 기관이지만, 메이컨이 1936년에 설립을 도운 정통 장로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신학교는 프린스턴 신학교가 자유주의적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하면서 벌어진 논쟁 이후, 프린스턴 신학교 교수진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다.[3]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스스로 프린스턴의 역사적인 신학 전통을 충실히 계승한다고 여긴다. 존 머레이, 오스왈드 앨리스, 로버트 딕 윌슨, 코넬리우스 반 틸 등 웨스트민스터 설립자 다수가 논쟁 이전에 프린스턴의 교수였다.[3] 초대 신학교 총장은 에드먼드 클로니였으며, 1966년부터 1984년까지 재임했다. 그의 뒤를 이어 조지 C. 풀러와 사무엘 T. 로건이 총장을 역임했다. 현 총장은 역사신학 교수이기도 한 피터 릴백이다.[4]

2. 3. 분교 설립 및 확장



1982년, 웨스트민스터의 캘리포니아 분교는 독립 기관인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캘리포니아가 되었다. 2009년에는 댈러스 분교가 리디머 신학대학으로 설립되었고, 2017년부터는 개혁 신학대학의 댈러스 캠퍼스가 되었다.

2011년, 웨스트민스터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있는 국제 개혁 복음주의 신학교와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두 학교는 국제 개혁 신학 및 생명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and Life)과 Unio Cum Christo라는 저널을 발행하고 있다.[5] 같은 해 웨스트민스터는 기금 교수직인 스태판 통 개혁 신학 석좌를 만들었다.[6]

2. 4. 최근 동향

1982년, 웨스트민스터의 캘리포니아 분교는 독립 기관인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캘리포니아가 되었으며, 2009년에는 댈러스 분교가 리디머 신학대학으로 설립되었고, 2017년부터는 개혁 신학대학의 댈러스 캠퍼스가 되었다.

2011년, 웨스트민스터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있는 국제 개혁 복음주의 신학교와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두 학교는 국제 개혁 신학 및 생명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and Life)과 Unio Cum Christo라는 저널을 발행하고 있다.[5] 웨스트민스터는 같은 해에 스태판 통 개혁 신학 석좌라는 기금 교수직을 만들었다.[6]

3. 신학적 입장

1929년 프린스턴 신학교와의 신학적 차이로 인해 그래함 메이첸 박사와 코닐리어스 밴틸 박사를 중심으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가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그래함 메이첸은 관습적이고 피상적인 훈련이 아닌, 심오하고 그리스도 중심적인 훈련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7]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기며, 개혁주의 신학과 구 프린스턴 신학교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과 코닐리어스 밴틸의 전제주의 변증으로 유명하다. 스톤하우스, 에드워드 J. 영, 존 머레이, 간하배, 래이몬드 딜라드, 리차드 게핀 등이 주요 교수로 활동했다.

Montgomery Library 입구


현재 이사회와 교직원은 설립 당시의 비전을 유지하고 있다. 모든 이사와 교직원은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대요리 문답, 소요리 문답에 명시된 신학적 관점에 동의해야 하며, 이는 많은 장로교 교단의 핵심 교리이다.[8]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웨스트민스터 표준과 개신교 신학을 엄격하게 준수해왔으나, 1980년 이후 여러 종신 교수들이 해고되었다. 1981년 노먼 셰퍼드 교수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 교리에 대한 견해 차이로 해고되었고,[9] 2008년 피터 엔스 교수는 저서 ''영감과 성육신: 복음주의와 구약성경 문제''에서 표현한 논란이 되는 견해로 인해 해고되었다.[10][11] 2014년에는 더글러스 그린 교수가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한 견해로 인해 해고되었다.[12]

1990년대 초, 미들 스테이츠 칼리지 및 학교 협회는 여성에게 이사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정책에 이의를 제기하며 분쟁을 벌였다.[13] 그러나 미국 교육부가 신학교의 편을 들면서 해당 인증 기관은 물러섰다.[14]

4. 교육 과정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1930년 펜실베이니아 연방으로부터 인가를 받아 상담학 석사, 문학 석사(종교), 신학 석사, 신학 박사, 목회학 박사 및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15]

1954년부터 미들 스테이츠 고등 교육 위원회의 인증을 받았으며,[16][17] 미국 및 캐나다 신학 대학 협회의 인증도 받았다.[18] 현재 제공하는 학위는 다음과 같다.[18][19]


  • 문학 석사 (MA)
  • 목회학 석사 (M.Div.)
  • 신학 석사 (Th.M.)
  • 목회학 박사 (D.Min.)
  • 철학 박사 (Ph.D.)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연 2회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을 출판한다.[20][21]

5. 영향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복음주의 진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든 콘웰 신학교풀러 신학교를 창설하고 초대 학장을 지낸 헤롤드 옥켄가, 훼이스 신학교를 설립하고 학장으로 섬겼던 칼 매킨타이어, 저명한 신학자 프란시스 쉐퍼가 이 학교 출신이다. 팀 켈러 목사와 휘튼 대학교 총장 필립 라이켄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수학했다.

박윤선 박사와 황성수 박사를 비롯하여 국내 대학의 약 20명 이상의 전·현직 총장들과 많은 신학교수들이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출신으로, 한국의 신학 대학교수와 지도자들을 다수 배출하였다.

5. 1. 학문적 영향

로저 E. 올슨에 따르면, 웨스트민스터는 그 규모를 훨씬 뛰어넘는 영향력을 복음주의에 미쳤다.[22] 웨스트민스터의 신학적 영향력 외에도, J. 앨런 그로브스와 그의 제자들이 수행한 선구적인 작업은 모든 현대 성경 소프트웨어의 기반이 되는 웨스트민스터 레닌그라드 코덱스의 코드화를 만들어냈다.[23]

5. 2.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는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한국 신학계와 교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29년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한국인 졸업생을 배출했는데, 이들은 국내 대학 및 신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한국 교회 발전에 기여했다.

시기주요 인물
1929~50년대박윤선, 김치선, 명신홍, 황성수, 한태동, 박희천, 한철하
1960~70년대김의환, 손봉호, 김명혁, 박형용, 이종윤, 최낙재, 정규남, 박희천, 서영호, 전호진, 한태동, 황창기, 손석태, 옥한흠
1980~1999년대오덕교, 황규명, 서영일, 신국원, 오광만, 김광열, 이광희, 안명준, 원종천, 김성환, 김재성, 박응규, 권성수, 김길성, 김정우, 이영훈, 김의원, 김인환, 장동민, 성종현, 김준, 김준수, 김추성, 김현성, 이만수, 노진산, 박영돈, 장동민, 오창록, 신문철, 강웅산, 정승원, 이상원, 채규현, 김한요, 장은일, 김진규, 오창록, 박노철, 허주, 신문철, 안승준, 최순진, 최창호, 한상화, 홍철, 이만수, 조진모, 이학민, 이성재, 이종민, 임건택, 장우천, 최재호
2000년대 이후이강택, 정성국, 박덕준, 홍승민, 권경철, 송영재, 김의창, 김두환, 김준, 안창민, 이정민, 이한석, 권혁민, 김상순, 양대식, 강명옥, 신호섭, 이국진, 전형준, 정영교, 박순오, 황영아, 황준식, 도지원, 오병제, 오원석, 유영택, 이규한, 임대규, 조영천, 최병남, 최지훈, 한규삼, 김진수, 김망규, 김대언, 이승남, 황현조, 조성훈, 김대호, 안상준, 이진영, 박 바울, 서광옥, 차주엽, 유선명, 이종인, 이종식



박윤선, 옥한흠, 이종윤, 이원상은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여의도 순복음교회 담임 이영훈 목사, 어바인 벧엘교회 김한요 목사 등이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출신이다.[25][26] 2024년 12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한국동문회 회장은 아신대학교박응규 박사이다.[27]

로저 E. 올슨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가 그 규모를 넘어 복음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22] 또한, J. 앨런 그로브스와 그의 제자들이 수행한 선구적인 작업은 모든 현대 성경 소프트웨어의 기반이 되는 웨스트민스터 레닌그라드 코덱스의 코드화를 만들어냈다.[23]

5. 3. 사회적 영향

로저 E. 올슨에 따르면, 웨스트민스터는 그 규모를 훨씬 뛰어넘는 영향력을 복음주의에 미쳤다.[22] 웨스트민스터의 신학적 영향력 외에도, J. 앨런 그로브스와 그의 제자들이 수행한 선구적인 작업은 모든 현대 성경 소프트웨어의 기반이 되는 웨스트민스터 레닌그라드 코덱스의 코드화를 만들어냈다.[23]

6. 역대 총장

이름재임 기간
에드먼드 클라우니1966년 ~ 1984년
조오지 C. 풀러1984년 ~ 1991년
사무엘 T. 로간1991년 ~ 2005년
피터 릴백2005년 ~ 현재


참조

[1] 웹사이트 The Westminster Seal http://www.wts.edu/a[...]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10-12-26
[2] 서적 Reforming Fundamentalism: Fuller Seminary and the New Evangelicalism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3]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wts.edu/[...] 2019-10-22
[4] 웹사이트 Faculty Profile: Peter Lillback http://www.wts.edu/f[...]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11-08-21
[5] 웹사이트 Sekolah Tinggi Teologi Reformed Injili Internasional https://sttrii.ac.id[...] 2023-05-17
[6] 웹사이트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augurates The Stephen Tong Chair of Reformed Theology http://www.gospelher[...] 2011-11-03
[7] 서적 What is Christianity? And Other Addresses Eerdmans
[8] 웹사이트 Board Affirmations and Denials http://files.wts.edu[...]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08-12-03
[9] 서적 The Hope Fulfilled: Essays in Honor of O. Palmer Robertson P&R Publishing 2008
[10] 서적 Consider no evil: two faith traditions and the problem of academic freedom in religious higher education Cascade Books 2014
[11] 저널 Westminster Theological Suspension http://www.christian[...] 2008-01-04
[12] 웹사이트 How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Came to Define Fundamentalism for Me https://www.huffpost[...] 2014-07-29
[13] 뉴스 Seminary, Agency Spar on Diversity 1991-05-31
[14] 웹사이트 Religious Liberty: Big Problems on Campus https://www.christia[...] 1992-05-18
[15] 웹사이트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 Accreditation https://students.wts[...]
[16] 웹사이트 Westminster's accreditation {{!}} WTS Info Center https://info.wts.edu[...]
[17] 웹사이트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https://www.msche.or[...]
[18] 웹사이트 Member Schools: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http://www.ats.edu/M[...] Association of Theolog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 웹사이트 Degree Programs https://www.wts.edu/[...]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23-05-04
[20] 웹사이트 Th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http://www.wts.edu/r[...]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1] 서적 Th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WorldCat
[22] 서적 Pocket History of Evangelical Theology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07
[23] 웹사이트 Top 10 Evangelical Seminaries in the U.S. https://successfulst[...] 2018-05-15
[24] 웹사이트 The Westminster Seal http://www.wts.edu/a[...]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10-12-26
[25] 웹인용 남부개혁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s://srsem.org/%E[...] 2017-08-06
[26] 웹인용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http://www.wscal.edu[...] 2017-08-06
[27] 웹인용 이영훈 목사 초청 부흥회 - 미주 한국일보 http://m.koreatimes.[...] 2021-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