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임스크링글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임스크링글라는 아이슬란드 작가로 추정되는 익명의 저자가 쓴 노르웨이 왕들의 사가 모음집이다. 이 책은 13세기 초에 쓰여졌으며, 잉글링가 사가, 올라프 2세 사가, 하랄드 하르드라다 사가 등 여러 사가로 구성되어 있다. 헤임스크링글라는 스칸디나비아 신화와 중세 바이킹 시대의 역사, 왕들의 경쟁, 노르웨이 왕국의 건설, 바이킹의 원정 등을 다루고 있다. 이 사가는 역사적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중세 노르웨이 사회와 정치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쥘 베른의 소설에도 언급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문법을 보존하고 순수주의적 경향이 강하여 서면 언어의 변화가 적다는 특징을 가진 아이슬란드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다. - 노르드 신화의 문헌 - 고 에다
고 에다는 북유럽 신화와 영웅 전설을 담은 고대 노르드어 시가 모음집으로,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와 구별되며, 13세기 《왕의 사본》에 기록되어 신화시와 영웅시를 포함한 다양한 시가들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르드 신화의 문헌 - 룬석
룬석은 4~5세기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기원하여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950년에서 1100년 사이에 제작된 룬 문자가 새겨진 비석으로, 죽은 이를 기리고 업적을 기념하며 영토를 표시하는 등 역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헤임스크링글라 |
---|
2. 저술
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는 여러 사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종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전체 작품이 삼부작과 같은 성격을 띤다고 여겨진다.[4] 사가들은 왕들의 경쟁, 노르웨이 왕국의 건설, 그리고 팔레스타인까지 이르는 여러 유럽 국가로 향한 노르스인들의 원정을 서술한다. 십자군 지그루드 사가에서는 노르웨이 함대가 바이킹으로 언급되는 아랍 무슬림 해적들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5] 이야기는 역동적으로 전개되며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준다. 이 사가는 산문 서사시로서 스칸디나비아뿐만 아니라 중세 스칸디나비아 디아스포라 지역의 역사와도 관련이 깊다. 헤임스크링글라의 첫 부분은 노르드 신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우화와 사실이 섞이지만 점차 역사적 신뢰도가 높아진다.
첫 번째 사가인 《잉글링가 사가》는 스웨덴과 노르웨이 왕조의 신화적인 선사 시대를 다루며, 전설적인 아스가르드에서 오딘과 함께 스칸디나비아에 도착한 바나랜드 사람들의 후손인 프레이르(잉그베)까지 계보를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의 사가들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할프단 검은 수염부터 시작하여 개별 통치자들에게 초점을 맞춘다.
성인 올라프 2세에 관한 ''올라프스 사가 헬가''는 이 책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올라프의 15년간의 통치 이야기가 전체 작품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하랄드 하르드라다의 사가는 그의 동방 원정, 콘스탄티노플, 시리아, 시칠리아에서의 활약, 스칼드로서의 업적, 그리고 웨섹스 백작 고드윈의 아들 해롤드 고드윈손에 맞서 싸운 잉글랜드 전투 등을 서술한다. 하랄드는 1066년 스템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전사했는데, 이는 해롤드가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전사하기 불과 며칠 전이었다. 여러 다른 왕들을 소개한 후, 사가는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5세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19세기 중반까지 역사가들은 스노리의 서술과 다른 고대 노르드 사가들의 사실성에 대해 큰 신뢰를 보냈다. 그러나 20세기 초, 스웨덴 역사가 라우리츠와 쿠르트 바이불이 개척한 "사가 비판"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신뢰는 상당 부분 약화되었다. 이들은 스노리의 작품이 묘사하는 사건들보다 수 세기 후에 쓰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노르웨이 역사가 에드바르드 불은 "스노리의 위대한 서사시가 실제로 일어난 일과 깊은 유사성을 지닌다는 환상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1] 일부 역사가들은 스노리와 다른 사가 작가들이 등장인물에게 부여한 동기가 실제 그 시대보다는 13세기의 상황을 더 반영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헤임스크링글라』는 여전히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만 이전보다 신중하게 다루어진다. 역사 서술의 세부적인 정확성을 그대로 믿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초기 사가들의 역사적 진실성은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자들은 이 작품을 중세 노르웨이의 사회와 정치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여긴다.[12] 묘사된 사건과 사가 집필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짧을수록 전통이 비교적 정확하게 보존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12세기 노르웨이에서 최초의 현대적 서면 자료가 등장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후반부로 갈수록 작품의 사실적 내용은 더 신뢰할 만한 것으로 간주된다.
헤임스크링글라 이전에도 왕들의 역사를 쓰려는 시도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헤임스크링글라 이후로는 이 작품이 아이슬란드에서 스칸디나비아 왕들에 대한 서술의 기준이 된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필사들은 헤임스크링글라를 완전히 개정하기보다는 확장하는 방식을 택했다. 14세기 말에 제작된 플라테이야르보크는 이러한 확장의 대표적인 예로, 헤임스크링글라 본문에 많은 사트르(þættir)와 오르크네이잉가 사가, 파레이잉가 사가, 포스트브뢰드라 사가 등 다른 완전한 사가들을 엮어 넣었다.[13]
이 책은 쥘 베른의 소설 지구 속 여행에서도 언급되는데, 주인공 리덴브록 교수가 아르네 삭누셈의 메모를 발견한 책이 바로 헤임스크링글라이다.
16세기 중반 무렵, 고대 노르드어는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독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언어가 되었다. 당시 노르웨이에서는 문학 언어였던 덴마크어로 여러 발췌본이 번역되었다. 최초의 완역은 1600년경 페데르 클라우스손 프리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1633년에 인쇄되었다. 이는 ''요프라스킨나(Jofraskinna)''로 알려진 사본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이후 스톡홀름 사본은 요한 페링스킬드에 의해 칼 11세의 명령으로 스웨덴어와 라틴어로 번역되어 1697년 스톡홀름에서 ''헤임스크링글라(Heimskringla)''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판본에는 고대 노르드어 텍스트가 최초로 인쇄되어 포함되었다. 고대 노르드어 텍스트와 라틴어 번역본을 포함한 새로운 덴마크어 번역본은 1777년에서 1783년 사이에 프레데리크 6세 왕세자의 명령으로 출판되었다. 새뮤얼 레잉의 영어 번역본은 1844년에 출판되었고, 1889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1960년대 이후 레잉 번역본의 개정판과 새로운 영어 번역본들이 등장했다.[14]
19세기, 노르웨이가 덴마크 및 스웨덴과의 오랜 연합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루면서, 독립적인 중세 노르웨이 왕국의 이야기는 노르웨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아이슬란드 작가가 쓴 『헤임스크링글라』는 낭만적 민족주의 시대에 노르웨이의 중요한 국가적 상징이 되었다.[15] 1900년, 노르웨이 의회인 스토팅은 "이 작품이 저렴한 가격에 널리 배포될 수 있도록" 노르웨이어의 두 가지 주요 표기법인 란스몰과 릭스몰로 된 『헤임스크링글라』의 새로운 번역본 출판을 지원했다.[16]
2. 1. 저자
현재까지 발견된 어떤 사본에도 『헤임스크링글라』의 저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앤서니 폴크스는 이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헤임스크링글라』의 저자는 본문이나 남아 있는 어떤 사본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중세 작품에서는 저자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흔하지만,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저자라는 통설에도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그를 저자로 인정한 최초의 기록물은 16세기 덴마크어로 번역된 『헤임스크링글라』인데, 노르웨이인 페데르 클라우스손 프리스와 로렌츠 한손이 번역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스노리를 저자로 지칭할 근거를 제시하는, 현재는 소실된 『헤임스크링글라』 사본을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진다."[1]2. 2. 제목
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는 이 책의 첫 번째 사가인 《잉글링가 사가》의 첫 문장인 Kringla heimsins|크링글라 헤임시나non("지구의 구체")에서 유래했다.[2]2. 3. 사본
가장 오래된 사본은 현재 아이슬란드 국립 대학교 도서관( National and University Library of Icelandeng )에 소장되어 있으며 Lbs fragm 82로 분류된 ''Kringla''이다. 이는 약 1260년경의 베이지 필사본 한 장으로, 올라프 성인 사가의 일부이다. 나머지 사본은 1728년 화재로 소실되었다.[3]3. 내용
알려진 어떤 사본에도 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의 저자에 대한 언급은 없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는 16세기 덴마크어 번역본에 근거한 추정이며, 해당 번역의 근거가 된 원본 사본은 현재 소실되었다.[1]
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는 여러 사가(saga) 모음집으로, 노르웨이 왕들의 경쟁, 왕국 건설 과정, 노르스인들의 유럽 각지로의 원정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내용은 노르드 신화에 뿌리를 둔 왕조의 기원부터 시작하여 역사 시대로 이어지며, 후반부로 갈수록 역사적 신뢰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성 올라프 2세와 하랄드 하르드라다의 이야기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역사적 사실성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있었다. 19세기 중반까지는 사가의 내용이 상당히 신뢰받았으나, 20세기 초 "사가 비평"의 등장으로 그 신뢰도는 크게 낮아졌다. 비판론자들은 사가가 묘사하는 사건들보다 수 세기 후에 기록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내용이 당대(13세기)의 관점을 반영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1] 그러나 오늘날에는 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를 완전히 배제하기보다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신중하게 접근하며 중세 노르웨이의 사회와 정치를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12] 특히 후반부 기록이나 사회상 묘사에 대해서는 여전히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받는다.
3. 1. 구성
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는 여러 사가(saga)를 엮은 모음집으로, 종종 세 부분으로 나뉘어 삼폭화(트립티크) 같은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여겨진다.[4] 이 사가는 왕들의 경쟁, 노르웨이 왕국 건설, 팔레스타인까지 이어진 노르스인들의 유럽 원정 등을 다룬다. 십자군 지그루드 사가에서는 노르웨이 함대가 바이킹으로 불린 아랍 무슬림 해적에게 공격받는 내용도 나온다.[5] 이야기는 역동적으로 전개되며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산문 서사시 형태인 이 사가는 스칸디나비아뿐 아니라 중세 스칸디나비아 디아스포라 지역의 역사와도 관련이 깊다.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의 첫 부분은 노르드 신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스웨덴과 노르웨이 왕조의 신화적 선사 시대를 다룬다. 전설적인 아스가르드에서 오딘과 함께 스칸디나비아에 도착했다고 전해지는 바나랜드 사람들의 프레이르(잉그베)까지 그 계보를 거슬러 올라간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우화와 사실이 섞이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기록은 점차 역사적으로 신뢰할 만해진다. 초기 신화 시대를 지나면 주로 할프단 검은 수염부터 시작하여 개별 통치자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성 올라프 2세에 관한 올라프스 사가 헬가는 작품의 중심이며, 올라프의 15년 통치 기간 이야기가 전체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후 하랄드 하르드라다 사가에서는 그의 동방 원정(콘스탄티노플, 시리아, 시칠리아에서의 눈부신 업적), 그의 스칼드적 업적, 그리고 웨섹스 백작 고드윈의 아들 해롤드 고드윈손에 대항한 잉글랜드 전투를 서술하며, 1066년 스템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전사한 이야기 등이 담겨 있다. 이는 해롤드가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전사하기 불과 며칠 전의 일이었다. 여러 왕의 이야기를 거쳐 사가는 마그누스 에를링손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3. 1. 1. 잉글링 일족의 사가
잉글링 사가[19]는 스웨덴과 노르웨이 왕조의 신화적인 선사 시대를 다룬다. 이 사가는 전설적인 아스가르드에서 오딘과 함께 스칸디나비아에 도착했다고 전해지는 프레이르(잉그베)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왕가의 계보를 설명한다.3. 1. 2. 개별 왕들의 사가
Heimskringla|헤임스크링글라is에는 다음과 같은 사가들이 포함되어 있다(노르웨이 국왕 목록 참조).# 잉글링 사가[19]
# 하프단 검은 수염 사가 ("검은 자")[20]
# 하랄드 1세 사가 ("아름다운 머리카락") (931년경 사망)[21]
# 하콩 선왕 사가 ("선왕") (961년경 사망)[22]
# 하랄드 회색외투 사가 ("회색 외투") (970년경 사망)[23]
# 올라프 트뤼그바손 왕 사가 (1000년 사망)[24]
# 성 올라프 하랄드손 왕 사가 (1030년 사망)[25]
# 마그누스 선왕 사가 ("선왕") (1047년 사망)[26]
# 하랄드 하르드라다 사가 ("엄격한 통치자") (1066년 사망)[27]
# 올라프 하랄드손 온화왕 사가 ("온화한 자") (1093년경 사망)[28]
# 마그누스 맨발 사가 ("맨발") (1103년 사망)[29]
# 마그누스의 아들들 사가 (시구르드 예루살렘 순례자(1130년 사망), 에이스테인(1122년 사망), 올라프 마그누손(1116년 사망))[30]
# 마그누스 맹인 (1135년 폐위)과 하랄드 길리 (1136년 사망) 사가[31]
# 하랄드의 아들들 사가 (잉게(1161년 사망), 시구르드(1155년 사망), 에이스테인(1157년 사망))[32]
# 하콩 광견 사가 ("넓은 어깨") (1162년 사망)[33]
# 마그누스 에를링손 사가 (1184년 사망, 사가는 1177년까지 다룸)[34]
4. 역사적 신뢰성
19세기 중반까지 역사가들은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서술과 다른 고대 노르드 사가들이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다고 크게 신뢰했다. 그러나 20세기 초, 스웨덴 역사가 라우리츠 바이불과 쿠르트 바이불이 시작한 "사가 비평"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신뢰는 상당 부분 사라졌다. 이들은 『헤임스크링글라』에 기록된 사건 대부분이 실제 발생 시점보다 수 세기 후에 쓰여졌다는 점을 지적했다. 노르웨이 역사가 에드바르드 불은 "스노리의 위대한 서사시가 실제로 일어났던 일과 깊은 유사성을 지닌다는 환상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1] 일부 역사가들은 스노리를 비롯한 사가 저술가들이 등장인물에게 부여한 동기가 실제 그 시대보다는 저술 시점인 13세기의 상황을 더 많이 반영한다고 보았다.
오늘날 『헤임스크링글라』는 과거보다 훨씬 신중하게 다루어지지만, 여전히 역사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서술된 내용의 세부적인 정확성을 그대로 믿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초기 사가들에 대해서는 역사적 사실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자들은 이 책이 중세 노르웨이의 사회와 정치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평가한다.[12] 특히 후반부 사가들은 묘사된 사건과 사가가 쓰인 시점 사이의 시간적 거리가 비교적 짧고, 12세기부터 노르웨이에서 현대적인 의미의 서면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에, 사실적인 내용 면에서 더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5. 영향
헤임스크링글라 이전에도 왕들의 역사를 기록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 아이슬란드에서 스칸디나비아 왕들에 대한 서술은 헤임스크링글라를 기초로 삼게 되었다. 헤임스크링글라는 완전히 개정되기보다는 필사가들에 의해 내용이 확장되는 방식으로 전해졌다. 14세기 말에 제작된 플라테이야르보크는 이러한 확장의 대표적인 예시로, 헤임스크링글라 본문에 많은 싸가(þættir, 짧은 이야기)와 다른 완전한 사가들, 특히 오르크네이잉가 사가(Orkneyinga saga), 파레이잉가 사가(Færeyinga saga), 그리고 포스트브뢰드라 사가(Fóstbrœðra saga)를 엮어 넣었다.[13]
또한, 프랑스 작가 쥘 베른(Jules Verne)의 소설 《지구 속 여행》에서도 헤임스크링글라가 언급된다. 작중 리덴브록 교수가 아르네 삭누셈의 비밀 메모를 발견하는 책이 바로 헤임스크링글라이다.
6. 판본 및 번역
16세기 중반 무렵, 구 노르드어는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독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언어가 되었다. 당시 노르웨이에서는 문학 언어였던 덴마크어로 여러 발췌본이 번역되었다. 최초의 완역은 1600년경 페데르 클라우스손 프리스에 의해 덴마크어로 이루어졌으며, 1633년에 인쇄되었다. 이는 ''요프라스킨나''(Jofraskinna)로 알려진 사본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이후 스톡홀름 사본은 요한 페링스킬드에 의해 스웨덴의 칼 11세의 명령으로 스웨덴어와 라틴어로 번역되어 1697년 스톡홀름에서 ''헤임스크링글라''(Heimskringla)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판본에는 구 노르드어로 된 텍스트의 최초 인쇄본도 포함되어 있다. 구 노르드어 텍스트와 라틴어 번역본이 포함된 새로운 덴마크어 번역본은 왕세자였던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6세의 명령으로 1777년에서 1783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새뮤얼 레잉의 영어 번역본은 1844년에 처음 출판되었고, 1889년에 두 번째 판이 나왔다. 1960년대부터 레잉의 영어 번역본을 개정한 판본들과 새로운 영어 번역본들이 등장했다.[14]
19세기, 노르웨이는 덴마크와 스웨덴과의 수 세기 동안의 연합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루면서, 독립적인 중세 노르웨이 왕국의 이야기는 노르웨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아이슬란드 작가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쓴 ''헤임스크링글라''는 낭만적 민족주의 시대에 노르웨이의 중요한 국가적 상징이 되었다.[15] 1900년, 노르웨이 의회인 스토팅은 "이 작품이 저렴한 가격에 널리 배포될 수 있도록" 노르웨이어의 두 가지 주요 표기법인 뉴노르스크(당시 란드스말)와 보크말(당시 리스말)로 된 ''헤임스크링글라''의 새로운 번역본 출판을 지원했다.[16]
가장 최근의 영어 번역본은 앨리슨 핀레이(Alison Finlay)와 앤서니 폴크스(Anthony Faulkes)가 번역한 것으로, 온라인에서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일본어 번역본으로는 타니구치 유키오가 번역한 《헤이름스크링글라 - 북유럽 왕조사》가 있다.
참조
[1]
서적
(서적 제목이 없음)
2011
[2]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Old Icelandic
http://www.northvegr[...]
Clarendon
1910
[3]
웹사이트
Manuscript Details: Ólafs saga helga — Heimskringla
https://handrit.is/e[...]
[4]
서적
Heimskringla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2011-2015
[5]
위키소스
Heimskringla/Saga of Sigurd the Crusader and His Brothers Eystein and Olaf
:s:Heimskringla/Saga[...]
[6]
서적
Heimskringla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2011-2015
[7]
서적
Heimskringla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2011-2015
[8]
서적
Heimskringla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2011-2015
[9]
서적
Särkland och dess källmaterial
Göteborgs universitet. CLTS
2011
[10]
서적
Att tolka Svitjod
Göteborgs universitet. CLTS
2012
[11]
서적
Det norske folks liv og historie gjennom tidene bd. 2
Oslo
1931
[12]
서적
Society and Politics in Snorri Sturlusons Heimskringla
Berkeley
1991
[13]
서적
Heimskringla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2011-2015
[14]
서적
The Heimskringla: Or, The Sagas of the Norse Kings from the Icelandic of Snorre Sturlason / Heimskringla: Sagas of the Norse Kings / Heimskringla: The Olaf Sagas / Heimskringla: History of the Kings of Norway / King Harald's Saga: Harald Hardradi of Norway
Scribner & Wellford, Dent,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and University of TX Press, Penguin
1889, 1961, 1964, 1964, 1966
[15]
학술지
Gustav Storm's Heimskringla as a Norwegian Nationalist Genesis Narrative
https://rjh.ub.rug.n[...]
2019-05-22
[16]
서적
Kongesagaer
Kristiania
1900
[17]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一)
[1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新潮社
1973
[19]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一)/ オージンのいる風景
[20]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一)
[21]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一)/ オージンのいる風景
[22]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一)/ サガ選集 / オージンのいる風景
[23]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一)/ オージンのいる風景
[24]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二)/ オージンのいる風景
[25]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 オージンのいる風景
[26]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三)
[27]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28]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29]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30]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31]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32]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オージンのいる風景
[33]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オージンのいる風景
[34]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四)
[35]
웹사이트
プレスポート・北欧文化通信社の概要
http://www.nordicpre[...]
プレスポート・北欧文化通信社
2016-02-28
[36]
문서
2022년 3월 현재, Amazon.co.jp에서 제3권 이외 종이책 버전과 별도 페이지이므로 ASIN을 병기.
[37]
웹사이트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https://ci.nii.ac.jp[...]
2016-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