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렉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렉신은 1998년 발견된 뇌에서 생성되는 신경 펩타이드로, 각성, 수면, 음식 섭취, 기분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한다. 오렉신은 두 가지 유형(오렉신-A, 오렉신-B)이 있으며, 시상하부의 특정 뉴런에서 생성되어 뇌 전체로 신호를 전달한다. 오렉신 시스템의 기능 장애는 기면증, 타코츠보 증후군, ESSENCE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 있으며,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는 불면증 치료에 사용된다. 오렉신은 중독, 기분 장애, 인지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로펩타이드 - 옥시토신
옥시토신은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자궁 수축 유도, 유즙 분비 촉진, 사회적 유대감 형성, 불안 감소, 뇌 기능 보호 등 생리적, 정신의학적 기능에 관여한다. - 뉴로펩타이드 - 그렐린
그렐린은 1999년에 발견된 호르몬으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자극하며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분자신경과학 - NMDA 수용체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과 글리신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온 채널형 수용체로서, 뇌의 시냅스 가소성과 흥분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신경 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져 치료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분자신경과학 - 리간드 개폐 이온 통로
리간드 개폐 이온 통로는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리간드에 결합하여 열리는 이온 통로로, 리간드 결합에 의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이온이 세포 안팎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신경계의 시냅스 전달, 신경 회로 발달, 시냅스 가소성과 같은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고, 마취제, 에탄올,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의 작용 기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내분비학 - 저혈당증
저혈당증은 혈당 수치가 70 mg/dL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며, 뇌에 포도당 공급 부족으로 신경당결핍 증상과 교감신경성 증상이 나타나고,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인슐린 과다 복용 등이 주요 원인이다. - 내분비학 - 페로몬
페로몬은 동종 생물 간 정보 전달을 위해 분비되는 화학 물질로, 곤충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에서 사회적 행동, 짝짓기, 경고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집합, 경보, 길잡이, 성 페로몬 등으로 분류되어 해충 방제 등에 활용되지만 인간 페로몬의 존재와 기능은 논란이 있다.
오렉신 | |
---|---|
개요 | |
종류 | 신경펩티드 |
기능 | 각성, 깨어 있음, 식욕 조절 |
명칭 | |
다른 이름 | 하이포크레틴 (Hypocretin) |
발견 및 연구 | |
발견 연도 | 1998년 |
발견자 | 야나기사와 마사시 외 드 레세아 외 |
연구 | 수면-각성 조절 섭식 행동 조절 보상 회로 조절 |
기능 및 작용 기전 | |
주요 기능 | 각성 및 깨어 있음 유지 식욕 조절 (특히 탄수화물 섭취 욕구 증가) 동기 부여 및 목표 지향적 행동 촉진 감정 및 보상 처리 조절 |
작용 기전 | 오렉신 수용체 (OX1R, OX2R) 결합을 통해 신경세포 활성화 다양한 뇌 영역에 작용하여 신경 전달 물질 방출 조절 (예: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히스타민) |
관련 질병 및 장애 | |
기면증 | 오렉신 신경세포 손실 또는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 |
비만 | 오렉신 시스템 이상이 섭식 행동 조절 실패를 유발할 수 있음 |
불안 장애 및 우울증 | 오렉신 시스템이 스트레스 반응 및 감정 조절에 관여 |
약물 중독 | 오렉신이 보상 회로를 조절하여 약물 추구 행동 강화 |
2. 발견
1998년,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의 발견 보고가 거의 동시에 발표되었다. 두 연구팀은 서로 다른 접근 방식으로 발견을 하였다.
스크립스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1996년 쥐의 뇌에서 "클론 35"로 명명한 유전자를 포함한 여러 유전자의 발견을 보고했다.[11]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클론 35의 발현은 외측 시상하부에 국한되었다.[11] 연구팀은 외측 시상하부에서 발견된 특정 DNA를 추출하여 복제하고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연구했다. 이 영역에서 발견된 신경 전달 물질은 인크레틴 계열의 구성원인 장 호르몬 세크레틴과 유사하여, 시상하부의 인크레틴 계열 구성원이라는 의미로 하이포크레틴이라고 명명했다.[12] 이 세포들은 처음에는 외측 시상하부 영역 내에서만 존재하고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면역세포화학 기술을 통해 이 영역이 뇌의 다른 부분으로 실제로 다양한 투사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 투사의 대부분은 변연계 및 그와 관련된 구조(편도체, 중격, 기저 전뇌 영역 포함)에 도달했다.
2. 1.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의학 센터
1998년, 루이스 드 레세아, 토마스 킬더프 등은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의학 센터의 마사시 야나기사와 연구실의 다케시 사쿠라이와 거의 동시에 하이포크레틴 시스템의 발견을 보고했다.[6] 사쿠라이는 펩타이드의 식욕 자극 활성을 반영하기 위해 '오렉신'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같은 해 이 신경 펩타이드를 설명하는 논문에서, 그들은 두 개의 오렉신 수용체( 오렉신 수용체 1형(OX1R 또는 OX1)과 오렉신 수용체 2형(OX2R 또는 OX2)) 발견도 보고했다.[6] 마사시 야나기사와와 엠마누엘 미뇨는 이 발견으로 2022년 브레이크스루 상을 수상했다.반면, 사쿠라이와 동료들은 고아 수용체로서 오렉신 시스템을 연구했다. 이를 위해, 그들은 개별 고아 수용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주를 사용한 다음, 서로 다른 잠재적 리간드에 노출시켰다. 그들은 오렉신 펩타이드가 오렉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시상하부에서 오렉신 펩타이드 발현을 특이적으로 발견했다. 또한, 오렉신 펩타이드를 쥐에게 투여했을 때 섭식을 자극하여 '오렉신'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6]
2. 2. 명명법
1998년, 루이스 드 레세아, 토마스 킬더프 등은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의학 센터의 마사시 야나기사와 연구실의 다케시 사쿠라이와 거의 동시에 하이포크레틴 시스템의 발견을 보고했다. 사쿠라이는 펩타이드의 식욕 자극 활성을 반영하기 위해 '오렉신'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998년 이 신경 펩타이드를 설명하는 논문에서, 그들은 오렉신 수용체 1형(OX1R 또는 OX1)과 오렉신 수용체 2형(OX2R 또는 OX2)의 발견을 보고했다.[6] 마사시 야나기사와와 엠마누엘 미뇨는 이 발견으로 2022년 브레이크스루 상을 수상했다.두 연구팀은 발견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달랐다. 스크립스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쥐의 뇌에서 "클론 35"로 명명한 유전자를 포함한 여러 유전자의 발견을 보고했는데,[11]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클론 35의 발현은 외측 시상하부에 국한되었다.[11] 그들은 외측 시상하부에서 발견된 특정 DNA를 추출하여 복제하고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연구했다. 이 영역에서 발견된 신경 전달 물질은 인크레틴 계열의 구성원인 장 호르몬 세크레틴과 유사하여, 시상하부의 인크레틴 계열 구성원이라는 의미로 하이포크레틴이라고 명명했다.[12]
반면에, 사쿠라이와 동료들은 고아 수용체로서 오렉신 시스템을 연구했다. 그들은 오렉신 펩타이드가 오렉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시상하부에서 오렉신 펩타이드 발현을 특이적으로 발견했다. 또한, 오렉신 펩타이드를 쥐에게 투여했을 때 섭식을 자극하여 '오렉신'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6]
현재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시스템의 명명법은 그 발견의 역사를 인정한다. "하이포크레틴"은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을 지칭하고 "오렉신"은 단백질을 지칭하며, 이는 발견을 이끈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반영한다.[8] "HCRT"는 GenBank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표준 유전자 기호이고 "OX"는 국제 기초 및 임상 약리학 연합에 의해 펩타이드 시스템의 약리학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9]
3. 종류
오렉신에는 오렉신-A와 오렉신-B (하이포크레틴-1 및 하이포크레틴-2) 두 가지 유형이 있다.[15][13] 이들은 단일 전구 단백질의 절단에 의해 생성되는 약 50%의 서열 동일성을 가진 흥분성 신경 펩타이드이다.[15] 이 전구 단백질은 '''프리프로-오렉신''' (또는 '''프리프로하이포크레틴''')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자 ''HRCT''에 의해 암호화되고 염색체 17 (17q21)에 위치한 130개의 아미노산 프리-프로-펩타이드이다.[14]
오렉신은 강하게 보존된 펩타이드이며, 모든 주요 척추동물 계급에서 발견된다.[18]
3. 1. 오렉신-A (하이포크레틴-1)
오렉신에는 오렉신-A와 오렉신-B (하이포크레틴-1 및 하이포크레틴-2) 두 가지 유형이 있다.[15][13] 이들은 단일 전구 단백질의 절단에 의해 생성되는 약 50%의 서열 동일성을 가진 흥분성 신경 펩타이드이다.[15] 오렉신-A는 33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내부 이황화 결합을 가지고 있다.[15] 이러한 펩타이드들은 시상하부의 외측 및 후방에 있는 매우 적은 수의 세포 집단에 의해 생성되지만, 뇌 전체로 신호를 전달한다. 오렉신 펩타이드는 두 개의 G 단백질 연결 오렉신 수용체인 OX1과 OX2에 결합하며, 오렉신-A는 OX1과 OX2 모두에 거의 동일한 친화도로 결합한다.[16][17]3. 2. 오렉신-B (하이포크레틴-2)
오렉신-A와 함께 오렉신의 두 가지 유형 중 하나인 오렉신-B (하이포크레틴-2)는 단일 전구 단백질의 절단에 의해 생성되는 약 50%의 서열 동일성을 가진 흥분성 신경 펩타이드이다.[15] 오렉신-B는 선형 28개 아미노산 잔기 펩타이드이다.[15] 이 펩타이드들은 시상하부의 외측 및 후방에 있는 매우 적은 수의 세포 집단에 의해 생성되지만, 뇌 전체로 신호를 전달한다. 오렉신 펩타이드는 두 개의 G 단백질 연결 오렉신 수용체인 OX1과 OX2에 결합하며, 오렉신-A는 OX1과 OX2 모두에 거의 동일한 친화도로 결합하는 반면, 오렉신-B는 주로 OX2에 결합하고 OX1에서는 5배 덜 강력하다.[16][17]3. 3. 수용체 결합
오렉신에는 오렉신-A와 오렉신-B(하포크레틴-1 및 하포크레틴-2) 두 가지 유형이 있다.[15][13] 이들은 단일 전구 단백질의 절단에 의해 생성되는 약 50%의 서열 동일성을 가진 흥분성 신경 펩타이드이다.[15] 오렉신 펩타이드는 두 개의 G 단백질 연결 오렉신 수용체인 OX1과 OX2에 결합한다. 오렉신-A는 OX1과 OX2 모두에 거의 동일한 친화도로 결합하는 반면, 오렉신-B는 주로 OX2에 결합하고 OX1에서는 5배 덜 강력하다.[16][17]4. 기능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은 오렉신-A/하이포크레틴-1 투여 시 음식 섭취가 증가한다는 초기 연구 결과와 달리, 각성과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기능이 추가적으로 밝혀졌다.[100][101]
오렉신은 식욕을 증가시키며, 렙틴과 그렐린의 영향을 받는다. 렙틴은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장기적인 에너지 수준을 조절하고, 그렐린은 식사 직전에 위에서 분비되어 식욕을 증가시킨다. 하이포크레틴 생성 세포는 렙틴에 의해 억제되지만, 그렐린이나 저혈당증(포도당은 오렉신 발생을 억제한다)에 의해 활성화된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은 2007년에 대사와 수면 조절에 중요한 연결 고리로 알려졌다.[38][39]
오렉신/하이포크레틴 기반 약물은 기면증 치료에 도움을 주고, 뇌에서 암페타민의 부작용 없이 각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1. 갈색 지방 활성화
많은 연구에 따르면 오렉신 뉴런은 교감 신경계를 통해 갈색 지방 조직(BAT) 활동을 조절하여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20][21] 오렉신 유전자 제거 마우스는 갈색 지방 조직(BAT)의 발달 부전을 보인다고 보고되었지만,[22] 이후 보고에서는 BAT의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다.[23]4. 2. 각성
오렉신은 각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시스템의 주요 역할은 신진대사, 일주기 리듬, 수면 부채의 영향을 통합하여 동물이 깨어있거나 활동해야 할 때를 결정하는 것이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히스타민, 아세틸콜린 시스템과 같이 각성에 관여하는 다양한 뇌 영역의 중요 세포들을 자극하며,[100][101] 각성과 수면을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오렉신 수용체 돌연변이가 수면 장애인 개 기면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도베르만 핀셔에서 밝혀졌고,[26] 오렉신 유전자가 결손된 유전자 변형 쥐도 기면증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7] 수면과 각성 사이를 자주, 빠르게 전환하는 이 쥐들은 기면증의 여러 증상을 보인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기면증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질병을 연구하고 있다.[28] 기면증은 과다 수면, 낮 동안 각성을 유지하지 못함(그리고 밤에 잠들지 못함), 탈력발작 등을 유발한다. 오렉신에 대한 기능적 수용체가 없는 개와 오렉신 신경펩티드 자체가 없는 동물 및 사람은 기면증을 앓는다. 기면증이 있는 유기체는 하루 중 언제든지 렘수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렘수면 기능 변화를 시사하며, 입면 환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29]
오렉신-A/하이포크레틴-1의 투여는 각성과 함께 체온과 운동성 증가, 에너지 방출에 있어서 큰 증가를 나타나게 한다. 수면 부족 또한 오렉신-A 전달을 증가시킨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1 시스템은 음식 섭취보다 에너지 방출 조절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이 없는 기면증 환자는 BMI가 줄어들기 보다는 비만 위험이 많은데, 이는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이 식욕을 자극하는 펩티드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 결핍으로 인한 기면증의 다른 시사점은 원숭이를 30-36시간 동안 자지 못하게 하고 신경화학물을 투여했을 때 비교군에 비해 인식에 대한 장애가 줄어들었다는 것이다.[102][103]
인간의 경우, 기면증은 사람 백혈구 항원(HLA) 복합체의 특별한 다양성과 관련되어 있다.[104] 더욱이, 유전체 전반적인 분석에서 HLA 다양성과 더불어 기면증 환자는 T 세포 T 세포 수용체 알파 위치에서 특이적인 유전적 돌연변이를 보인다.[105] 이러한 유전적 이상은 자가면역을 유발하거나 중요한 하이포크레틴 신경세포를 죽인다. 그래서 기면증 환자에서 하이포크레틴을 발생하는 뉴런의 결실은 자가면역증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105]
DARPA의 연구에서, 메타볼릭 도미넌스라고 불리는 "병사가 최고 수준의 컨디션을 유지하면서 작전을 수행하는" 프로젝트가 있었으며, 이 안에서 오렉신을 스프레이화하여 흡입함으로써 수면을 대체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95]
4. 3. 음식 섭취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은 오렉신-A/하이포크레틴-1을 투여하면 음식 섭취가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 음식 섭취의 자극 요인에 근본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처음에 알려졌었으나, 추가적 연구를 통해 각성과 에너지 소비를 촉진한다는 것이 밝혀졌다.오렉신은 식욕을 증가시킨다. 렙틴은 지방 세포에서 발생되는 호르몬 중 하나로 에너지 수준의 긴 시간 작용하는 내적 조절을 활성화한다. 그렐린은 단시간 작용하는 인자로 강한 식욕을 느끼거나 식사를 기대하기 바로 전에 위에서 분비된다. 하이포크레틴을 발생하는 세포는 최근에 렙틴에 의해 억제되는 것이 보이는데(렙틴 수용체 경로로 인해), 그렐린이나 저혈당증(포도당은 오렉신 발생을 억제한다)에 의해서는 활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은 2007년에 대사와 수면 조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연결 고리라고 알려졌다.[38][39] 이런 관계는 장기간 수면을 취하지 못한 쥐에게서 음식 섭취와 에너지 대사가 급격히 증가한 것을 관찰함으로 더 긴밀하게 생각할 수 있다. 수면 박탈은 에너지 부족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에너지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은 고탄수화물, 고지방 음식을 섭취하는데, 이는 결국 건강 악화와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오렉신은 음식에 대한 갈망을 증가시키고, 오렉신 생산을 촉진하는 물질의 기능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오렉신은 또한 억제적인 섭식 후 피드백을 억제하여 식사량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35]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오렉신의 섭식 자극 효과가 전반적인 음식 섭취를 반드시 증가시키지 않고 일반적인 각성에 기인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36]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습관적인 고지방 식단으로 인해 쥐에게서 발생하는 고혈당증은 오렉신 수용체-2에 의한 신호 전달을 감소시키며, 오렉신 수용체가 미래의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37] 다른 식이 영양소인 아미노산도 오렉신 뉴런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생리적 농도에서 오렉신 뉴런의 포도당 반응을 억제하여 오렉신이 유지하는 에너지 균형이 정상적인 사이클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40]
4. 4. 중독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오렉신/하이포크레틴 기반 약물이 발작성 수면증 치료에 도움이 되고, 뇌에서 암페타민 부작용 없이 각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이전 연구들은 알코올 중독 치료에 오렉신 길항제의 잠재성을 제시했다. 오렉신 시스템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 투여된 실험용 쥐는 알코올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해도 흥미를 잃는 것을 보였다.[106][107]예비 연구에 따르면 코카인, 오피오이드, 알코올 중독 치료에 오렉신 차단제의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1][42][43] 예를 들어, 오렉신 시스템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투여받은 갈색쥐는 실험에서 자유롭게 알코올에 접근할 수 있었음에도 알코올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44][45] 오렉신을 생성하지 않는 쥐와 비교했을 때, 모르핀으로 치료받은 야생형 쥐는 중독 발병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46]
니코틴 중독에 대한 오렉신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예를 들어, 선택적 오렉신 길항제인 SB-334,867로 오렉신-1 수용체를 차단하면 쥐의 니코틴 자기 투여가 감소했으며, 갈망을 조절하고 오렉신-1 수용체를 포함하는 뇌 영역인 insula에 손상을 입은 흡연자는 담배를 피우고 싶은 욕구를 잃었다.[47] 그러나 이중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 TCS 1102를 사용한 쥐에 대한 다른 연구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48]
4. 5. 지질 대사
오렉신-A(OXA)는 지질 대사의 한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XA는 3T3-L1 지방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며, 증가된 에너지 흡수는 지질(트리아실글리세롤) 형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OXA는 지방 생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지방 분해를 억제하고 아디포넥틴의 분비를 자극한다. 이러한 효과는 주로 PI3K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이유는 이 경로의 억제제(LY294002)가 지방 세포에서 OXA의 효과를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이다.[49] OXA와 지질 대사 사이의 연관성은 현재 연구 중에 있다.4. 6. 기분
높은 수준의 오렉신-A는 사람에게 행복감을 주는 반면, 낮은 수준은 슬픔과 관련이 있다.[50] 오렉신-A 수치를 높이면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할 수 있어, 우울증과 같은 질병의 치료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오렉신은 복측 창백에서 GABAergic 뉴런을 활성화하여 우울 증상을 줄이는 것으로 밝혀져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회복력 발달을 돕는 것으로 추정된다.[51]오렉신은 중독과 우울증, 그리고 ADHD에서 쾌락 상실의 발현에 관련되어 있다. 오렉신이 적절하게 기능하면, 유기체가 굶주릴 때 음식을 찾는 것과 같이 생존에 필요한 행동에 대해 상당한 통제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렉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유기체는 강하게 동기 부여된 행동에서 쾌락을 느끼는 능력이 손상된다.[52]
5. 오렉신 뉴런
오렉신 신경세포는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53]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1 등 다양한 물질의 영향을 받으며,[54][55][56] 아데노신 A1 수용체,[57] 무스카린 M3 수용체,[58] 세로토닌 5-HT1A 수용체,[59] 신경펩타이드 Y 수용체,[60] 콜레시스토키닌 A 수용체, 카테콜아민,[62][63] 그렐린, 렙틴, 포도당[64] 등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자체적으로 아세틸콜린,[65][66]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67] 분비를 조절한다.
오렉신은 포스포리파아제 C와 칼슘 의존적인 Gq 알파 서브유닛 연결 수용체 신호를 전달한다. 이는 단백질 키나아제 C, 단백질 키나아제 A, MAPK를 포함하는 일시적수용체포텐셜기전(TRPC)의 L-타입 칼슘 채널, G단백질공역 안쪽 정류자 포타슘 채널(GIRK), 그리고 소듐-칼슘 교환(NCX)의 활성 및 비선택적 양이온성 전도도를 포함한다. 중추신경계에서 오렉신의 시냅스후 활성은 대부분 흥분성 신호이다.[122]
오렉신 신경세포는 연결성과 기능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뉜다. 외측 시상하부 그룹은 조건부 선호와 같은 보상 관련 기능과 관련이 깊으며, 복측 피개 영역 및 복내측 전전두피질에 주로 분포한다. 이 뉴런들은 중독 및 흥분성 약물(예: 암페타민)에 대한 민감화에 관여하며,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 신호에 의해 자극을 받을 때 탐색 행동을 유발한다. 반면, 복측-주변-배측 그룹은 각성 및 자율 신경 반응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며, 시상하부 내부 및 뇌간으로 투사되어 다양한 자율적 과정을 조절한다.[69][70]
5. 1. 신경전달물질
오렉신 신경세포는 III군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53]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1 및 수용체 이종이량체,[54][55][56] 아데노신 A1 수용체,[57] 무스카린 M3 수용체,[58] 세로토닌 5-HT1A 수용체,[59] 신경펩타이드 Y 수용체,[60] 콜레시스토키닌 A 수용체 및 카테콜아민[62][63] 뿐만 아니라 그렐린, 렙틴 및 포도당[64]에 대한 입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렉신 신경세포는 자체적으로 아세틸콜린,[65][66]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67]의 분비를 조절한다.오렉신은 포스포리파아제 C와 칼슘 의존을 통한 Gq 알파 서브유닛과 연결된 수용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은 단백질 키나아제 C, 단백질 키나아제 A, 미토겐 관련 단백질 키나아제(MAPK)를 포함하는 일시적수용체포텐셜기전(TRPC)의 L-타입 칼슘 채널, G단백질공역 안쪽 정류자 포타슘 채널(GIRK) 그리고 단백질 키나아제에서의 활성과 같은 전기적인 소듐-칼슘 교환(NCX)의 활성과 비선택적 양이온성 전도도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계를 통한 많은 신경성 타겟에 있는 시냅스후부의 오렉신 활성은 거의 전부가 흥분성 신호다.[122]
5. 2. 그룹
오렉신 신경세포는 연결성과 기능성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외측 시상하부 그룹의 오렉신 신경세포는 조건부 선호와 같은 보상 관련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신경세포들은 복측 피개 영역 및 복내측 전전두피질에 우선적으로 분포한다. 복측 피개 영역, 복내측 전전두피질 및 측좌핵 껍질에서 발견되는 뉴런은 중독 및 흥분성 약물(예: 암페타민)에 대한 뉴런의 민감화에 강력하게 관여한다. 이 영역에서 오렉신을 생성하는 뉴런은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 신호에 의해 외부적으로 자극을 받을 때 주로 탐색 행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8] 이 뉴런들은 각성 및 자율 신경 반응과 관련된 기능에 관여하는 오렉신 신경세포의 복측-주변-배측 그룹인 외측 시상하부 뉴런과는 대조적이다. 이 뉴런들은 시상하부 내부로 투사될 뿐만 아니라 뇌간에도 투사되어 오렉신의 방출이 다양한 자율적 과정을 조절한다.[69][70]6. 오렉신 시스템 기능 장애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시스템 기능 장애는 여러 질환 및 의학적 상태와 관련될 수 있다.[71][72]
6. 1. 타코츠보 증후군 (Takotsubo syndrome)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시스템 기능 부전은 타코츠보 증후군(급성 심부전 증후군)의 새로운 병태생리학적 모델로 제안되었다.[73]6. 2. ESSENCE
ESSENCE (조기 증상 증후군 유발 신경 발달 임상 검사)는 ADHD, 발달성 협응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포함한 광범위한 신경 발달 장애 및 어려움뿐만 아니라 ESSENCE 관련 질환(행동 표현형 증후군, 일부 신경 질환 및 장애, 심각한 조기 발병 정신 질환)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시스템 기능 장애는 다양한 ESSENCE의 여러 증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74]7. 임상적 이용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은 각성을 유도하며, 이 시스템은 대사, 생체 주기, 수면 빚 사이의 연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은 뇌의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히스타민, 아세틸콜린 시스템 등 각성에 관여하는 세포들을 자극하고, 각성과 수면을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0][101]
오렉신-A/하이포크레틴-1 투여는 각성, 체온 및 운동성 증가, 에너지 방출 증가를 유발한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시스템은 음식 섭취보다 에너지 방출 조절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이 결핍된 기면증 환자는 체질량 지수(BMI)가 낮아지기보다는 비만 위험이 높은데, 이는 오렉신/하이포크레틴이 식욕을 자극하는 펩티드이기 때문이다. 오렉신/하이포크레틴 결핍으로 인한 기면증은 원숭이 실험에서 인지 장애를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102][103]
인간의 기면증은 인간백혈구항원(HLA) 복합체의 특정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104] 기면증 환자는 T세포 수용체 알파 위치에서 특이적인 유전적 돌연변이를 보이며, 이는 자가면역 반응을 유발하여 하이포크레틴 신경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기면증 환자의 하이포크레틴 생성 신경세포 결손은 자가면역 질환의 결과로 볼 수 있다.[105]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연구는 초기 단계이지만, 오렉신 기반 약물이 기면증 치료에 도움을 주고 암페타민의 부작용 없이 각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알코올 중독 치료에 오렉신 길항제가 잠재적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06][107] 쥐의 뇌교핵 망상체에 오렉신/하이포크레틴 뉴런을 이식하는 것은 기면증 치료의 대안적 전략으로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다.[108]
하이포크레틴-1 수용체가 코카인 재탐색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니코틴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하이포크레틴-1 수용체를 억제하면 니코틴 자가 투여와 약물 추구 의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뇌섬엽(insula)의 하이포크레틴-1 수용체 억제는 자가 투여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뇌섬엽 손상 흡연자는 흡연 욕구를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109]
최근 텍사스 대학교 건강 과학 센터에서 코카인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수보렉산트 사용에 대한 임상 시험을 진행하여 단서 반응성, 불안 및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있다.[79]
7. 1.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
몇 가지 오렉신 시스템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면증과 같은 질환 치료를 위한 오렉신 효능제나 불면증 치료를 위한 길항제 등이 있다. 비-펩티드 효능제는 아직 없지만, 합성 오렉신-A 폴리펩티드는 비강 분무 형태로 개발되어 원숭이 실험을 거쳤다.몇 가지 비-펩티드 길항제가 개발 중인데, SB-649, 868은 수면 장애 치료제로, 비선택적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에서 개발 중이다. 악텔리온(Actelion)에서는 알모렉산트(almorexant, ACT-078573)와 같은 오렉신1 및 오렉신2 수용체 길항제를 불면증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머크(Merck & Co.)에서는 MK-4305를 개발 중이다. 오렉신 시스템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리간드는 내생적 효능제인 오렉신-A와 오렉신-B에서 변형된 폴리펩티드이지만, 연구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선택적 비-펩티드 하위 길항제도 있다.
- '''SB-334, 867''' - 선택적 오렉신1 길항제
- '''SB-408, 124''' - 선택적 오렉신1 길항제
- '''TCS-OX2-29''' - 선택적 오렉신2 길항제
오렉신/하이포크레틴 시스템은 불면증 치료제인 수보렉산트(Belsomra)의 표적이며, 두 오렉신 수용체를 모두 차단하여 작용한다.[75] 수보렉산트는 3번의 3상 임상 시험을 거쳤으며, 201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76] FDA가 승인한 다른 오렉신 길항제로는 렘보렉산트(Dayvigo)[77]와 다리도렉산트(Quviviq)가 있다.[78]
2016년, 텍사스 대학교 건강 과학 센터는 코카인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수보렉산트 사용에 대한 임상 시험을 등록했다. 이들은 단서 반응성, 불안 및 스트레스를 측정할 계획이다.[79]
2022년, 유럽 의약품청은 수면 개시 및 유지 장애에 대한 다리도렉산트(Quviviq)의 사용을 승인했다.[80]
각성 상태 유지에 관여하는 [오렉신]을 표적으로 하여, 오렉신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인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가 몇 가지 개발되었다.
; 수보렉산트
: 머크 앤 컴퍼니(MSD)가 개발했으며, 일본에서는 2014년에 MSD가 [벨솜라]라는 상품명으로 불면증 치료약으로 승인을 받았다.
; 렘보렉산트
7. 2. 기타 잠재적 용도
오렉신 시스템에 작용하는 몇 가지 약들이 개발 단계에 있으며, 기면증과 같은 질환 치료를 위한 오렉신 작용제와 불면증 치료를 위한 길항제가 개발 중이다. 비-펩티드 작용제는 아직 없지만, 합성 오렉신-A 폴리펩티드는 비강 분무 형태로 만들어져 원숭이에게 실험되었다. 몇 가지 비-펩티드 길항제도 개발 중인데, SB-649, 868은 수면 장애 치료제로, 비선택적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개발 중이다. 다른 오렉신1과 오렉신2 수용제 길항제(ACT-078573, almorexant)는 Actelion에서 개발 중인 불면증 치료제이다. 오렉신 수용체 관련 약물의 세 번째는 Merck & Co.의 MK-4305이다. 오렉신 시스템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리간드는 내생적 작용제인 오렉신-A와 오렉신-B로부터 변형된 폴리펩티드들이지만, 연구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몇 가지 선택적 비-펩티드 하위 길항제가 있다.- '''SB-334, 867''' - 선택적 오렉신1 길항제
- '''SB-408, 124''' - 선택적 오렉신1 길항제
- '''TCS-OX2-29''' - 선택적 오렉신2 길항제
비강 흡입 오렉신은 특히 수면 부족 상황에서 영장류의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81] 이는 과도한 주간 졸림증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한다.[82]
한 연구에 따르면 쥐의 뇌교 그물 형성체에 오렉신 신경세포를 이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기면증 치료를 위한 약리학적 방법 외에 다른 치료 전략 개발을 시사한다.[83]
오렉신은 또한 학습에 잠재적 영향을 미치고 치매 및 인지 능력을 손상시키는 기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4]
- DARPA의 연구에서, "병사가 최고 수준의 컨디션을 유지하면서 작전을 수행하는" 메타볼릭 도미넌스 프로젝트에서 오렉신을 스프레이 형태로 흡입하여 수면을 대체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95]
- 오렉신은 뼈 대사에 관해 말초와 중추신경계에서 상반된 작용을 한다. 오렉신 수용체 OXR1 및 OXR2 녹아웃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에서 중추신경계가 우세함이 시사되었다.[96]
8. 진화
오렉신의 엑손 구조는 모든 척추동물에서 보존된다.[84]
참조
[1]
서적
Handbook of Behavior, Food and Nutrition
Springer
[2]
웹사이트
FAQ
http://med.stanford.[...]
2012-03-27
[3]
논문
The hypocretins: excitatory neuromodulatory peptides for multiple homeostatic systems, including sleep and feeding
2000-10-01
[4]
논문
Orexin receptors: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opportunities
2011-02-10
[5]
서적
The Orexin/Hypocretin System: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Springer
[6]
논문
Orexins and orexin receptors: a family of hypothalamic neuropeptides and G protein-coupled receptors that regulate feeding behavior
1998-02-01
[7]
논문
The hypocretins: hypothalamus-specific peptides with neuroexcitatory activity
1998-01-01
[8]
웹사이트
The brain chemicals that control what we enjoy
https://www.chemistr[...]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22-11-07
[9]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LXXXVI. Orexin receptor function, nomenclature and pharmacology
2012-07-01
[10]
논문
Recent trends in orexin research--2010 to 2015
2015-08-01
[11]
논문
Overview of the most prevalent hypothalamus-specific mRNAs, as identified by directional tag PCR subtraction
1996-08-01
[12]
논문
The hypocretin/orexin system
2002-05-01
[13]
Review
Targeting Orexin Receptors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From Physiological Mechanisms to Current Clinical Evidence and Recommendations
2023-01-22
[14]
서적
Handbook of Hormones
Elsevier
2021-01-01
[15]
논문
The physiological role of orexin/hypocretin neurons in the regulation of sleep/wakefulness and neuroendocrine functions
[16]
논문
Characterisation of the binding of [3H]-SB-674042, a novel nonpeptide antagonist, to the human orexin-1 receptor
2004-01-01
[17]
논문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human orexin receptor pharmacology in a Chinese hamster ovary cell-line using FLIPR
1999-09-01
[18]
논문
Orexins and their receptors from fish to mammals: a comparative approach
2011-04-01
[19]
논문
Activation of the rostral nucleus accumbens shell by optogenetics induces cataplexy-like behavior in orexin neuron-ablated mice
2023-02-01
[20]
논문
A Functional Link between AMPK and Orexin Mediates the Effect of BMP8B on Energy Balance
2016-08-01
[21]
논문
An orexinergic projection from perifornical hypothalamus to raphe pallidus increases rat brown adipose tissue thermogenesis
2011-11-01
[22]
논문
Orexin is required for brown adipose tissue developmen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2011-10-01
[23]
논문
Differential Roles of Each Orexin Receptor Signaling in Obesity
2019-10-01
[24]
논문
Innervation of histaminergic tuberomammillary neurons by GABAergic and galaninergic neurons in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of the rat
1998-06-01
[25]
논문
Selective activation of the extended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during rapid eye movement sleep
2002-06-01
[26]
논문
The sleep disorder canine narcolepsy is caused by a mutation in the hypocretin (orexin) receptor 2 gene
1999-08-01
[27]
논문
Narcolepsy in orexin knockout mice: molecular genetics of sleep regulation
1999-08-01
[28]
논문
Behavioral state instability in orexin knock-out mice
2004-07-01
[29]
논문
Orexin receptors: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opportunities
2011-02-10
[30]
잡지
Snorting a Brain Chemical Could Replace Sleep
https://www.wired.co[...]
Wired News, Condé Nast
2007-12-28
[31]
논문
Systemic and nasal delivery of orexin-A (Hypocretin-1) reduces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ognitive performance in nonhuman primates
2007-12-01
[32]
논문
The HLA system. Second of two parts
2000-09-01
[33]
논문
Narcoleps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T-cell receptor alpha locus
2009-06-01
[34]
웹사이트
Narcolepsy is an autoimmune disorder, Stanford researcher says
http://www.eurekaler[...]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9-05-03
[35]
논문
Orexin-A hyperphagia: hindbrain participation in consummatory feeding responses
2009-03-01
[36]
논문
Effect of lateral 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the appetite-stimulating neuropeptide, orexin and neuropeptide Y, on the various behavioral activities of rats
1999-03-01
[37]
논문
Role of orexin in the regulation of glucose homeostasis
2010-03-01
[38]
논문
Promotion of sleep by targeting the orexin system in rats, dogs and humans
2007-02-01
[39]
논문
The neural circuit of orexin (hypocretin): maintaining sleep and wakefulness
2007-03-01
[40]
논문
The physiological role of orexin/hypocretin neurons in the regulation of sleep/wakefulness and neuroendocrine functions
2013-03-06
[41]
뉴스
Neurotransmitter Orexin Associated With Pleasure And Reward Pathways In The Brain
https://www.scienced[...]
2018-05-08
[42]
논문
A role for lateral hypothalamic orexin neurons in reward seeking
2005-09-01
[43]
논문
Orexin/hypocretin signaling at the orexin 1 receptor regulates cue-elicited cocaine-seeking
2009-08-01
[44]
뉴스
Hope in fight against alcoholism
http://www.worldcamp[...]
The Herald
2007-02-11
[45]
논문
The orexin system regulates alcohol-seeking in rats
2006-07-01
[46]
논문
Orexin System: The Key for a Healthy Life
2017-05-31
[47]
웹사이트
Blocking A Neuropeptide Receptor Decreases Nicotine Addiction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LLC
2009-02-11
[48]
논문
The dual orexin receptor antagonist TCS1102 does not affect reinstatement of nicotine-seeking
2017-01-01
[49]
논문
Orexin A stimulates glucose uptake, lipid accumulation and adiponectin secretion from 3T3-L1 adipocytes and isolated primary rat adipocytes
2011-07-01
[50]
논문
Human hypocretin and melanin-concentrating hormone levels are linked to e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50]
보도자료
Is this peptide a key to happiness? Findings suggests possible new treatment for depression, other disorders
https://www.scienced[...]
2013-03-07
[51]
논문
Orexin prevents depressive-like behavior by promoting stress resilience
2019-02-01
[52]
논문
Neurobiology of the Orexin System and Its Potential Role in the Regulation of Hedonic Tone
2022-01-01
[53]
논문
Group III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maintain tonic inhibition of excitatory synaptic input to hypocretin/orexin neurons
2004-03-01
[54]
논문
Cannabinoid-hypocretin cross-talk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hat we know so far
2013-12-01
[55]
논문
OX1 and OX2 orexin/hypocretin receptor pharmacogenetics
[56]
논문
Human orexin/hypocretin receptors form constitutive homo- and heteromeric complexes with each other and with human CB1 cannabinoid receptors
2014-03-01
[57]
논문
Adenosine inhibits activity of hypocretin/orexin neurons by the A1 receptor in the lateral hypothalamus: a possible sleep-promoting effect
2007-01-01
[58]
논문
Cholinergic regulation of orexin/hypocretin neurons through M(3) muscarinic receptor in mice
2008-03-01
[59]
논문
Serotonergic regulation of the orexin/hypocretin neurons through the 5-HT1A receptor
2004-08-01
[60]
논문
Neuropeptide Y inhibits hypocretin/orexin neurons by multiple presynaptic and postsynaptic mechanisms: tonic depression of the hypothalamic arousal system
2004-10-01
[61]
논문
Cholecystokinin activates orexin/hypocretin neurons through the cholecystokinin A receptor
2005-08-01
[62]
논문
Direct and indirect inhibition by catecholamines of hypocretin/orexin neurons
2005-01-01
[63]
논문
Orexin neurons are directly and indirectly regulated by catecholamines in a complex manner
2006-07-01
[64]
논문
Orexin neuronal circuitry: role in the regulation of sleep and wakefulness
2008-01-01
[65]
논문
Hypocretin-1 causes G protein activation and increases ACh release in rat pons
2003-10-01
[66]
논문
Food-elicited increases in cortical acetylcholine release require orexin transmission
2007-11-01
[67]
논문
Pharmacological characterisation of the orexin receptor subtype mediating postsynaptic excitation in the rat dorsal raphe nucleus
2004-06-01
[68]
서적
Orexin/Hypocretin System
2012-01-01
[69]
논문
Lateral hypothalamic orexin/hypocretin neurons: A role in reward-seeking and addiction
2010-02-01
[70]
논문
Orexin/hypocretin system and autonomic control: new insights and clinical correlations
2014-01-01
[71]
저널
Involvement of orexinergic system in psychiatric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 scoping review
2020-06-26
[72]
저널
Physiological Role of Orexinergic System for Health
2022-07-00
[73]
저널
Orexin/hypocretin system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Takotsubo syndrome: A novel pathophysiological explanation
2022-11-03
[74]
저널
Orexin/Hypocretin System Dysfunction in ESSENCE (Early Symptomatic Syndromes Eliciting Neurodevelopmental Clinical Examinations)
2022-11-15
[75]
웹사이트
BELSOMRA® (suvorexant) C-IV
http://www.belsomra.[...]
2015-10-31
[76]
웹사이트
FDA approves new type of sleep drug, Belsomra
https://www.fda.gov/[...]
2015-10-31
[77]
웹사이트
Dayvigo- lemborexant tablet, film coated
https://dailymed.nl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1-09-30
[78]
웹사이트
Quviviq- daridorexant tablet
https://www.accessda[...]
[79]
임상시험
Role of the Orexin Receptor System in Stress, Sleep and Cocaine Use
[80]
웹사이트
Quviviq
https://www.ema.euro[...]
2022-02-22
[81]
저널
Sleep disorders, obesity, and aging: the role of orexin
2015-03-00
[82]
저널
Narcolepsy: current treatment options and future approaches
2008-06-00
[83]
저널
Transplantation of hypocretin neurons into the pontine reticular formation: preliminary results
http://www.journalsl[...]
2004-12-00
[84]
저널
Organization of the orexin/hypocretin system in the brain of two basal actinopterygian fishes, the cladistians Polypterus senegalus and Erpetoichthys calabaricus
2014-11-00
[85]
저널
Sakurai et al. (1998) Cell 92: 573-585
[86]
저널
[87]
서적
Handbook of Behavior, Food and Nutrition
Springer
[88]
웹사이트
FAQ
http://med.stanford.[...]
2012-03-27
[89]
저널
The hypocretins: excitatory neuromodulatory peptides for multiple homeostatic systems, including sleep and feeding
2000-10-00
[90]
서적
The Orexin/Hypocretin System: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Springer
[91]
저널
Orexins and orexin receptors: a family of hypothalamic neuropeptides and G protein-coupled receptors that regulate feeding behavior
1998-02-00
[92]
저널
The hypocretins: hypothalamus-specific peptides with neuroexcitatory activity
1998-01-00
[93]
저널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LXXXVI. Orexin receptor function, nomenclature and pharmacology
2012-07-00
[94]
저널
Recent trends in orexin research--2010 to 2015
2015-08-00
[95]
웹사이트
Snorting a Brain Chemical Could Replace Sleep
http://www.wired.com[...]
[96]
저널
Orexin regulates bone remodeling via a dominant positive central action and a subordinate negative peripheral action.
[97]
저널
Orexins and orexin receptors: a family of hypothalamic neuropeptides and G protein-coupled receptors that regulate feeding behavior
[98]
저널
The hypocretins: hypothalamus-specific peptides with neuroexcitatory activity
[99]
저널
Characterisation of the binding of [3H]-SB-674042, a novel nonpeptide antagonist, to the human orexin-1 receptor
[100]
저널
Innervation of histaminergic tuberomammillary neurons by GABAergic and galaninergic neurons in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of the rat
http://www.jneurosci[...]
[101]
저널
Selective activation of the extended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during rapid eye movement sleep
http://www.jneurosci[...]
[102]
웹인용
Snorting a Brain Chemical Could Replace Sleep
http://www.wired.com[...]
Wired News, Condé Nast
2007-12-28
[103]
저널
Systemic and nasal delivery of orexin-A (Hypocretin-1) reduces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ognitive performance in nonhuman primates
[104]
저널
The HLA system. Second of two parts
[105]
웹인용
Narcolepsy is an autoimmune disorder, Stanford researcher says
http://www.eurekaler[...]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9-05-03
[106]
뉴스
Hope in fight against alcoholism
http://www.worldcamp[...]
The Herald
2011-12-17
[107]
저널
The orexin system regulates alcohol-seeking in rats
[108]
저널
Transplantation of hypocretin neurons into the pontine reticular formation: preliminary results
http://www.journalsl[...]
2016-02-08
[109]
웹사이트
Blocking A Neuropeptide Receptor Decreases Nicotine Addiction
http://www.scienceda[...]
ScienceDaily LLC
2009-02-11
[110]
저널
Orexin neuronal circuitry: role in the regulation of sleep and wakefulness
[111]
저널
Group III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maintain tonic inhibition of excitatory synaptic input to hypocretin/orexin neurons
[112]
저널
Adenosine inhibits activity of hypocretin/orexin neurons by the A1 receptor in the lateral hypothalamus: a possible sleep-promoting effect
[113]
저널
Cholinergic regulation of orexin/hypocretin neurons through M(3) muscarinic receptor in mice
http://joi.jlc.jst.g[...]
2016-02-08
[114]
저널
Serotonergic regulation of the orexin/hypocretin neurons through the 5-HT1A receptor
[115]
저널
Neuropeptide Y inhibits hypocretin/orexin neurons by multiple presynaptic and postsynaptic mechanisms: tonic depression of the hypothalamic arousal system
[116]
저널
Cholecystokinin activates orexin/hypocretin neurons through the cholecystokinin A receptor
[117]
저널
Direct and indirect inhibition by catecholamines of hypocretin/orexin neurons
[118]
저널
Orexin neurons are directly and indirectly regulated by catecholamines in a complex manner
[119]
저널
Hypocretin-1 causes G protein activation and increases ACh release in rat pons
[120]
저널
Food-elicited increases in cortical acetylcholine release require orexin transmission
[121]
저널
Pharmacological characterisation of the orexin receptor subtype mediating postsynaptic excitation in the rat dorsal raphe nucleus
[122]
저널
Hypocretins: the timing of sleep and wak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