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렌지 혁명은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의 부정 의혹에 항의하며 발생한 대규모 시위와 정치적 변화를 일컫는다. 선거 결과에 불복한 야당 지지자들은 수도 키이우를 중심으로 시위를 벌였고, 이는 재선거 실시로 이어져 빅토르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 혁명은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중요성, 서방 세계의 확장, 그리고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속에서 일어났으며, 미국의 지원과 러시아의 개입 등 국제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오렌지 혁명은 2004년 12월 재투표를 통해 평화적으로 마무리되었지만, 이후 우크라이나 헌법 개정, 정치적 동맹의 변화, 그리고 2010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누코비치의 재집권 등 복잡한 정치적 결과를 낳았다. 또한, 주변국에 색깔 혁명에 대한 경계심을 불러일으키는 등 국제적인 영향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우크라이나 -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빅토르 야누코비치와 빅토르 유셴코 간의 경쟁에서 부정 선거 논란과 시민들의 저항인 오렌지 혁명으로 이어져 우크라이나 민주주의 발전과 독립, 주권 수호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오렌지 혁명 - 독립광장 (키이우)
키이우 중심부에 위치한 독립광장은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 후 명명되었으며, 역사적 랜드마크와 현대 시설이 공존하고, 우크라이나 주요 정치적 사건의 중심 무대 역할을 해왔다. - 오렌지 혁명 -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빅토르 야누코비치와 빅토르 유셴코 간의 경쟁에서 부정 선거 논란과 시민들의 저항인 오렌지 혁명으로 이어져 우크라이나 민주주의 발전과 독립, 주권 수호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항의행동 - 유로마이단
유로마이단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 운동으로, 친EU 정책 철회, 러시아 압력, 사회 문제에 대한 반발로 인해 발생하여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사임과 친유럽 통합을 요구하며 격화되었고, 우크라이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돈바스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항의행동 - 쿠치마 없는 우크라이나
쿠치마 없는 우크라이나는 2000년 12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우크라이나에서 게오르기 공가제 실종 사건 수사를 촉구하며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한 시위 운동으로, 학생, 야당, 서방의 지지를 받았으나 2001년 3월 9일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로 종료되었고 이후 우크라이나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오렌지 혁명 | |
---|---|
개요 | |
![]() | |
명칭 | 오렌지 혁명 |
기간 | 2004년 11월 22일 – 2005년 1월 23일 |
장소 | 우크라이나, 주로 키이우 |
원인 | |
주요 원인 | 쿠치마게이트 위기로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과 "그의 후보"이자 총리인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정당성 심각하게 훼손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차 투표 결과에 대한 논란 |
목표 | 2004년 대통령 선거 2차 투표 결과 무효화 반재벌 및 반부패 조치 |
방식 | |
시위 방식 | 시위 시민 불복종 시민 저항 파업 |
결과 | |
최종 결과 | 우크라이나 대법원의 재투표 명령 빅토르 유셴코 당선 선언 |
주요 참여 세력 | |
오렌지 혁명 지지 세력 | 포라 우리 우크라이나 율리아 티모셴코 블록 UNA-UNSO 우크라이나 사회당 |
반대 세력 | 지역당 우크라이나 공산당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러시아 통합 |
주요 인물 | 지지 세력: 빅토르 유셴코 율리아 티모셴코 반대 세력: 레오니드 쿠치마 빅토르 메드베드추크 빅토르 야누코비치 블라디미르 푸틴 |
규모 및 피해 | |
시위 규모 | 키이우 중심부: 수십만 명에서 일부 추산으로는 100만 명 |
사망자 | 1명 (심장마비) |
기타 |
2. 배경
우크라이나에서 정권 교체와 혁명으로 이어진 극단적인 국가 대외정책 방향 전환은 많은 사람들에게 색깔 혁명을 떠올리게 했다. 이러한 현상은 세르비아에서 시작되어 조지아를 거쳐 우크라이나에서 계속 진행되었으며, 이들 국가 간의 유사성을 찾으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이후 색깔 혁명이 예상되는 국가의 정권들은 자국에서 이러한 혁명이 반복되지 않도록 여러 대응책을 강구했다.
2. 1. 지정학적 중요성
우크라이나는 1991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으로부터 독립하였으나, 소련 붕괴 이후에도 흑해에 접해 있어 러시아에게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었다. 카스피해에서 생산되는 석유와 천연가스를 유럽 및 미국으로 수출하는 항구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우크라이나는 자체 에너지 자원을 생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에너지 분야에서 상당 부분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었다.2. 2. 서방 세계의 확장
동유럽 혁명 이후, 유럽 연합(EU)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동쪽으로 확장을 계속하였다. 2004년 5월 1일 폴란드, 슬로바키아 등 구 동유럽 8개국이 EU에 가입하면서 우크라이나는 EU와 직접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우크라이나는 EU와의 협정을 통해 서부 지역에 EU, 미국, 일본 자본을 유치하는 한편, 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불법 이민자 단속을 실시했다. 장기적으로 EU로부터 배제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 속에서, 우크라이나 내 EU 가입 논의가 발생했으며, 이는 서부 및 중부 지역에서 강한 지지를 받았다.[24]2. 3. 남동부 지역의 특성
우크라이나 남동부는 지역 산업이 우크라이나 전체 경제를 견인해 왔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 경제 호황으로 러시아와 거래가 많은 지역 산업 지대의 경기가 회복되고 있었다. 남동부에는 러시아인 인구가 많고 러시아어가 사용되어, 유럽 연합(EU) 편향 정권 탄생에 대한 불안감이 존재했다. 러시아는 남동부 출신 우크라이나 대통령 및 남동부 주민들과의 이해관계 일치를 구실로 남동부를 지원했다.[24]2. 4. 곤가제 암살 사건과 쿠츠마게이트
게오르기 곤가제는 우크라이나의 언론인이자 우크라이나 프라우다의 창립자로, 우크라이나 정치인들의 부패와 비윤리적인 행위를 폭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2000년에 곤가제는 납치되어 살해되었으며, 레오니드 쿠치마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살인을 지시했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었다.[13][14] 전직 경찰 간부였던 올렉시이 푸카치 장군은 2005년에 자살한 전 장관의 지시를 받고 살인을 저질렀다는 혐의를 받았으며, 2010년 체포되어[15] 2013년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16][17]이 사건은 2000년 쿠치마 반대 운동을 촉발시켰고, 이는 2004년 오렌지 혁명의 기원으로 볼 수 있다.[14] 2000년 카세트 스캔들로 인해 쿠치마는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19][20] 두 번의 대통령 임기(1994~1999)를 마친 후[18] 2004년 선거에서 3선 출마를 포기했다.[21] 대신 총리였던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우리 우크라이나-국민자위 연합의 빅토르 유셴코에 맞선 대선 후보로 지지했다.[22][23]
3.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여당 대표이자 총리였던 비크토르 야누코비치와 유럽 편입을 주장하는 야당 대표이자 전 총리였던 비크토르 유셴코 간의 치열한 접전으로 전개되었다.
11월 21일 개표 결과, 야누코비치의 당선이 발표되자 유셴코 지지층은 야누코비치 진영의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수도 키이우를 중심으로 총파업, 농성, 시위 등 대규모 정치 집회를 열어 선거 결과에 항의했다. 이들은 부정선거 해명과 재선거를 요구했다.
이 항의 운동은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 세계에 보도되며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유럽과 미국은 야당인 유셴코를, 러시아는 여당인 야누코비치를 지지하는 보도를 했다. 세계 여론은 민주주의적이지 않은 선거라는 입장을 취한 서구 언론에 기울었고, 러시아의 행동은 점차 제약되었다.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야누코비치 중심의 여당 세력은 선거 결과를 기정사실화하려 했지만, EU와 미국의 지원을 받은 야당은 결국 재투표를 이끌어냈다. 2004년 12월 28일 재투표 결과, 비크토르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한편, 미국의 투자가 조지 소로스[93] 등이 유셴코 진영에 개입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3. 1. 정치적 동맹
2002년 말,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 우리당), 올렉산드르 모로즈 (우크라이나 사회당), 페트로 시모넨코 (우크라이나 공산당), 율리아 티모셴코 (율리아 티모셴코 블록)는 "우크라이나에서 국가 혁명의 시작"에 관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31] 우크라이나 공산당은 동맹에서 탈퇴했고, 페트로 시모넨코는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동맹의 단일 후보를 반대했지만, 다른 세 정당은 2006년 7월까지 동맹을 유지했다.[31] 2001년 가을, 율리아 티모셴코와 빅토르 유셴코는 이미 그러한 연합을 구성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33]2004년 7월 2일, 우크라이나 우리당과 율리아 티모셴코 블록은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과 빅토르 야누코비치 총리가 이끌던 "현직 당국"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특징이 된 "파괴적인 과정"을 막기 위한 연합인 '국민의 힘'을 결성했다. 이 협약에는 빅토르 유셴코가 2004년 10월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율리아 티모셴코를 총리로 지명한다는 약속이 포함되어 있었다.[33]
3. 2. 선거 운동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친러시아 성향의 여당 후보이자 총리였던 빅토르 야누코비치와 친서방 성향의 야당 후보이자 전 총리였던 빅토르 유셴코 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전개되었다.2004년 11월 21일 개표 결과, 야누코비치의 당선이 발표되자, 유셴코 지지층은 야누코비치 진영의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수도 키이우를 중심으로 총파업, 농성, 시위 등 대규모 정치 집회를 열어 선거 결과에 항의했다.[1] 이들은 부정선거 해명과 재선거를 요구했다.
매스미디어를 통해 이 항의 운동은 전 세계에 보도되며 큰 관심을 받았다. 유럽과 미국은 야당인 유셴코를, 러시아는 여당인 야누코비치를 지지하는 보도를 했다. 세계 여론은 민주주의적이지 않은 선거라는 입장을 취한 서구 언론에 기울었고, 러시아의 행동은 점차 제약되었다.
여당 세력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며 선거 결과를 기정사실화하려 했지만, 야당은 EU와 미국의 지원을 받아 재투표를 이끌어냈다. 결국 2004년 12월 28일 재투표 결과, 빅토르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 운동은 유고슬라비아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에 대한 항의 운동과 조지아의 장미 혁명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러시아가 당시 우크라이나 남동부 정권을 노골적으로 지지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한편, 미국의 투자가 조지 소로스[93] 등이 유셴코 진영에 개입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3. 3. 부정선거 의혹과 시위
2004년 대통령 선거 2차 투표 결과, 비크토르 야누코비치의 당선이 발표되자 야누코비치 측의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되었다.[24] 출구조사 결과와 달리 공식 결과는 야누코비치의 승리로 나타나, 비크토르 유셴코 지지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시위를 시작했다. 2004년 11월 21일 개표 결과 발표 직후, 유셴코 지지 기반이었던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되었고, 수도 키이우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총파업, 농성, 시위 등 대규모 항의 운동이 일어났다.[24][25]2004년 11월 22일부터 시작된 시위는 우크라이나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특히 키이우 독립 광장에는 최대 50만 명의 시위대가 집결했다. 시위대는 유셴코 캠페인의 상징색인 주황색 옷을 입거나 주황색 깃발, 오렌지 등을 소지하여 '오렌지 혁명'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각 지방 의회는 선거 결과 불인정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유셴코는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며 맞섰다.
4. 혁명의 전개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친러시아 성향의 여당 후보 비크토르 야누코비치 총리와 친서방 성향의 야당 후보 비크토르 유셴코 전 총리의 대결이었다. 2004년 11월 21일 개표 결과 야누코비치의 당선이 발표되자, 유셴코 지지층은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총파업, 농성, 시위 등 항의 운동을 벌였다.
이 시위는 언론을 통해 전 세계에 보도되었는데, 특히 유럽과 미국은 유셴코를, 러시아는 야누코비치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러시아는 민족주의적 보도를 고집한 반면, 서구 언론은 선거의 비민주성을 지적하며 세계 여론을 주도했고, 이는 러시아의 행동을 제약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결국 러시아의 지원을 받던 야누코비치는 EU와 미국의 지지를 받은 야당의 요구를 수용, 재투표를 실시했고 2004년 12월 28일 유셴코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 사건은 유고슬라비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에 대한 항의 운동과 조지아의 장미 혁명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러시아의 노골적인 당시 정권 지원이 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지만,[93] 유셴코 진영에 대한 미국의 개입 의혹도 제기되며, 조지 소로스 등이 언급되기도 한다.[93]
이후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야누코비치가 대통령에 당선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2010년 9월 30일, 우크라이나 헌법재판소는 2004년 정치 개혁법을 위헌으로 판결하여 오렌지 혁명은 크게 후퇴하게 되었다.[94]
4. 1. 시위의 확산
2004년 대통령 선거 개표 결과, 비크토르 야누코비치의 당선이 발표되자 비크토르 유셴코 후보 지지층이 기반이었던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야누코비치 진영의 선거 부정을 주장하며 수도 키이우를 중심으로 총파업, 농성, 시위 등 대규모 정치 집회를 열어 선거 결과에 항의했다.[24][25] 이 시위는 전국적인 참여를 얻지는 못했지만, 주로 서부와 중부 우크라이나 사람들이 참여했다.[26]이 항의 운동은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 세계에 보도되며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는 야당 유셴코를, 러시아에서는 여당 야누코비치를 편드는 보도가 이루어졌다. 이 보도전에서는 민족주의적인 보도를 고집한 러시아에 반해, 일련의 대통령 선거가 민주주의적이지 않다는 입장을 취한 서구 언론에 세계 여론이 기울었고, 점차 러시아의 행동이 제약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4. 2. 정치적 발전
오렌지 혁명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 헌법이 개정되어 대통령의 권한이 의회로 이전되었다.[61] 이는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 당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올렉산드르 모로즈의 조건이었다. 우크라이나 공산당도 이러한 조치를 지지했다. 2006년 개정안이 발효되었고,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지역당이 의회 선거에서 승리하여 우크라이나 사회당, 우크라이나 공산당과 연정을 구성했다. 그 결과,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은 많은 주요 부처를 장악한 빅토르 야누코비치 총리와 협력해야 했다. 유셴코가 수개월 동안 의회 해산을 시도한 끝에 2007년 말 야누코비치의 총리직은 종료되었다. 선거 후 야누코비치의 당이 다시 최대 당이 되었지만, 율리아 티모셴코의 당이 유셴코의 당을 크게 앞서며 2위를 차지했다. 오렌지 혁명 세력이 근소한 다수를 확보하여 티모셴코가 이끄는 새 정부가 구성되었지만, 유셴코의 정치적 영향력은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의 부진한 성적과 함께 계속해서 감소했다.2010년 10월 1일, 우크라이나 헌법재판소는 2004년 개정안이 위헌이라고 판결하고 이를 무효화했다.[61][94]
4. 3. 우크라이나 정보기관의 역할
우크라이나 국가보안국(SBU)과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GUR)은 오렌지 혁명에서 이례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이들은 야권에 조건부 지원을 제공했다.[49]2004년 11월 28일, 키이우 독립 광장에서 시위 진압을 위해 1만 명이 넘는 내무부(MVS) 병력이 동원되었으나,[50] SBU는 야권 지도자들에게 진압 작전을 경고했다. GUR 국장 올렉산드르 갈라카는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노력했고, SBU 국장 이호르 스메슈코와 군사 방첩국장 비탈리 로만첸코는 내무부 사령관 세르게이 팝코프에게 병력 철수를 경고, 결국 유혈 사태를 막았다.[50]
'''실로비키'''(구 소련 국가에서 보안 요원을 부르는 명칭)들은 비크토르 야누코비치가 대통령이 되는 것에 대해 개인적인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51] 야누코비치는 젊은 시절 강도 및 폭행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부패한 사업가들과 연루되어 있다는 의혹을 받았기 때문이다. 유셴코 진영은 선거 부정 증거를 제공받았는데, 이는 보안 기관 내부 동조자들에 의해 제공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1]
5. 국제 사회의 개입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당시, 국제 사회는 우크라이나의 정치 상황에 깊숙이 개입했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는 각자 지지하는 후보를 지원하며 대립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민주주의를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상당한 자금을 투입했다.[53][55] 프리덤 하우스와 같은 단체들은 우크라이나 시민 단체와 정치 엘리트들을 지원하고, 선거 감시단을 지원하며 활동가들을 위한 훈련 캠프를 운영했다.[54][56]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년 전, 미국은 우크라이나 정치 단체를 지원하기 위해 6500만달러를 지출했다.[55]
러시아는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지지하며 선거에 영향을 주려 했다.[29][30]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선거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를 여러 차례 방문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는 1991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으로부터 독립했지만, 흑해에 접해 있어 러시아에게 지정학적으로 중요했고, 카스피해산 석유와 천연가스의 유럽 및 미국 수출 항구로서 중요한 위치였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에너지 자원 자체 생산 능력이 없어 러시아에 의존했다.
11월 21일 개표 결과 야누코비치의 당선이 발표되자, 빅토르 유셴코 지지층은 선거 부정을 주장하며 키이우를 중심으로 항의 시위를 벌였다. 매스미디어를 통해 이 사건이 전 세계에 보도되면서, 유럽과 미국은 유셴코를, 러시아는 야누코비치를 지지하는 보도 경쟁을 벌였다. 세계 여론은 민주주의적이지 않은 선거라는 서구 언론의 입장에 기울었고, 러시아의 행동은 제약받았다. 결국 EU와 미국의 지원을 받은 야당의 압력으로 재투표가 실시되었고, 12월 28일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러시아의 노골적인 우크라이나 남동부 정권 지원은 비판을 받았지만, 유셴코 진영에 대한 미국의 개입 의혹도 제기되었다.[93]
5. 1. 미국의 역할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민주주의를 지원하기 위해 상당한 자금을 지출했다.[53][55] 프리덤 하우스의 수석 연구원 애드리안 카라트니키는 우크라이나를 여러 차례 방문하여 시민 단체 및 정치 엘리트들과 회의를 가졌고,[54] 빅토르 유셴코가 뉴욕을 방문했을 때 미국 주요 유대인 단체 회장 회의(Conference of Presidents of Major American Jewish Organizations)와 같은 미국 단체들과의 회의를 주선하기도 했다.[54]미국은 우크라이나 선거 감시단을 지원하고, 활동가들을 위한 훈련 캠프를 운영했다.[54] 2004년 8월, 우크라이나 활동가들을 위한 훈련 캠프에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에 대한 시민 저항을 이끈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세르비아 출신 지도자들이 참여하여 우크라이나 젊은이들에게 시위 군중의 '온도 조절' 방법을 가르쳤다.[54]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년 전,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정치 단체를 지원하기 위해 6500만달러를 지출했는데, 이는 빅토르 유셴코를 미국 지도자들과 만나게 하고, 그가 분쟁이 된 결선 투표에서 승리했다는 여론 조사 결과를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55] 프리덤 하우스와 국립 민주 연구소(National Democratic Institute)는 투표를 집계하고 출구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시민 단체에 자금을 지원했다.[56]
리처드 루거 상원의원은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대표로 키이우를 방문,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선거가 민주적이고 사기 및 조작이 없는 선거가 되도록 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불명예스러운 선거는 우리가 우크라이나와의 관계를 재검토하게 할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57]
5. 2. 러시아의 역할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당시,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선거에 영향을 주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여러 차례 방문했다.[29][30] 우크라이나는 1991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으로부터 독립했지만, 흑해에 접해 있어 러시아에게 지정학적으로 중요했고, 카스피해산 석유와 천연가스의 유럽 및 미국 수출 항구로서 중요한 위치였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에너지 자원 자체 생산 능력이 없어 러시아에 의존했다.우크라이나 남동부는 러시아인 인구가 많고 러시아어가 사용되었으며, 러시아 경제 호황으로 러시아와의 거래가 많은 지역 산업 지대는 경기 회복을 누리고 있었다. 이들은 유럽 연합(EU) 편향 정권 탄생에 불안감을 느꼈고, 러시아는 이들을 지원했다.
2004년 대선에서 러시아는 여당 대표이자 총리인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지지했고, 유럽 편입을 주장하는 야당 대표 빅토르 유셴코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11월 21일 개표 결과 야누코비치 당선이 발표되자, 유셴코 지지층은 선거 부정을 주장하며 키이우를 중심으로 항의 시위를 벌였다.
매스미디어를 통해 이 사건이 전 세계에 보도되면서, 유럽과 미국은 유셴코를, 러시아는 야누코비치를 지지하는 보도 경쟁을 벌였다. 세계 여론은 민주주의적이지 않은 선거라는 서구 언론의 입장에 기울었고, 러시아의 행동은 제약받았다.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야누코비치는 선거 결과를 기정사실화하려 했지만, EU와 미국의 지원을 받은 야당의 압력으로 재투표가 실시되었고, 12월 28일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는 러시아가 당시 우크라이나 남동부 정권을 노골적으로 편들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그러나 유셴코 진영에 대한 미국의 개입 의혹도 제기되었으며, 조지 소로스와 같은 투자가의 이름이 거론되기도 한다.[93]
6. 결과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이후 재선거가 실시되고, 비크토르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오렌지 혁명은 평화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유셴코는 2005년 11월 22일을 '자유의 날'로 지정했으나, 이후 비크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이를 통일의 날과 통합했다.[69][70][71][72]
오렌지 혁명 이후 공개적인 투표 조작은 감소했으나,[74][75][76][77] 2004년 선거 부정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없었다.[78][79][80] 오렌지 혁명에 대한 여론은 지리적으로 나뉘어, 서부와 중부 우크라이나는 긍정적인 반면 남부와 동부 우크라이나는 회의적이었다.[1]
6. 1. 재선거 실시
2004년 12월 26일, 국내외 관찰자들의 감시하에 재선거가 실시되었다. 중앙선거위원회는 12월 18일 예비 결과를 발표했는데, 비크토르 유셴코와 비크토르 야누코비치가 각각 51.99%와 44.2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11월 투표 결과와 비교하여 유셴코는 5.39% 증가, 야누코비치는 5.27% 감소한 수치이다.[44] 야누코비치 측은 우크라이나 법원과 선거위원회의 민원 절차를 모두 이용하여 선거 결과에 대해 법적 이의를 제기했으나, 우크라이나 대법원과 중앙선거위원회는 이를 모두 근거 없다고 기각했다.[45]2005년 1월 10일, 선거위원회는 유셴코를 대통령 선거 승자로 공식 선포했으며,[45] 최종 결과는 예비 결과와 0.01%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이 발표[46]로 유셴코의 우크라이나 대통령 취임이 확정되었다. 2005년 1월 23일 베르호브나 라다 의사당에서 공식 취임식이 거행되었고, 이후 수십만 명의 지지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마이단 네잘레즈노스티(''독립 광장'')에서 새 대통령의 "공개 취임식"이 이어졌다.[47] 이로써 우크라이나 오렌지 혁명은 평화적으로 종결되었다.[48]
6. 2. 오렌지 혁명의 유산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은 2005년 11월 22일을 '자유의 날'로 지정했다.[69] 그러나 2011년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자유의 날'을 1월 22일 통일의 날과 통합했다.[70][71][72]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대중의 수많은 요청" 때문에 '자유의 날'을 변경했다고 밝혔다.[71]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이후 공개적인 투표 조작은 감소했다.[74][75][76][77] 그러나 오렌지 혁명 이전 2004년 선거와 관련된 사람들 중 선거 부정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없었다.[78][79][80]
2007년 연구에 따르면 오렌지 혁명에 대한 여론은 2004년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고, 주로 지리적으로 나뉘어 있었다. 서부와 중부 우크라이나는 긍정적인 반면, 남부와 동부 우크라이나는 회의적이었다(고령층도 마찬가지였다).[1] 이 연구는 또한 우크라이나 국민 전체가 2005년보다 2007년에 오렌지 혁명에 대해 덜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1]
2012년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선거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지역당은 "5년간의 오렌지 지도부의 혼란과 폐허"에 집중했다.[81][82]
7. 오렌지 혁명 이후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비크토르 야누코비치의 당선 발표 후, 야당 후보 비크토르 유셴코 지지층은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재선거를 요구했다. 이들은 수도 키이우를 중심으로 총파업, 농성, 시위를 벌이며 항의했고, 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다. 유럽과 미국은 유셴코를, 러시아는 야누코비치를 지지하는 보도를 했지만, 세계 여론은 민주주의적이지 않은 선거라는 서구 언론 쪽에 기울었다. 결국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야누코비치 측은 재투표를 수용했고, 2004년 12월 28일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 운동은 유고슬라비아의 항의 운동과 조지아의 장미 혁명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러시아가 당시 정권을 노골적으로 지지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한편, 미국의 투자가 조지 소로스 등이 유셴코 진영에 개입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93]
하지만 유셴코 정권은 맹우였던 율리아 티모셴코와의 갈등 등으로 내부 항쟁이 계속되었고, 지지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7. 1. 2010년 대통령 선거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승리했다. 일부 야누코비치 지지자들은 이를 "오렌지 악몽의 종식"으로 규정했다.[65] 야누코비치는 당선 직후 "오렌지 정권 시절 발생한 오해와 오래된 문제들의 잔해를 청산하겠다"고 약속했다.[66] 한편, 현직 대통령이었던 빅토르 유셴코는 이 선거에서 5.45%라는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다.[63]유셴코는 투표소에서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민주 국가입니다. 자유로운 국가이며 자유로운 국민입니다."라고 말하며, 이것이 오렌지 혁명의 위대한 업적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64]
지역당 의원인 리나트 아흐메토프는 오렌지 혁명의 이상이 2010년 선거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공정하고 민주적인 독립적인 선거를 치렀습니다. 전 세계가 이를 인정했고, 국제 관찰자들도 결과를 확인했습니다."라고 말했다.[67] 반면, 율리아 티모셴코는 2010년 선거를 통해 "유럽 가족의 당당한 일원이 되고 과두정치의 지배에 종지부를 찍을 기회"를 놓쳤다고 평가했다.[68]
2010년 9월 30일, 우크라이나 헌법재판소는 2004년 정치 개혁법을 위헌으로 판단하고, 이 법으로 인해 이루어진 헌법 개정을 무효로 하는 판결을 내렸다.[94] 이로써 오렌지 혁명은 크게 후퇴하게 되었다.
7. 2. 국제적 영향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보리스 타라시우크는 2005년 3월 우크라이나가 혁명을 수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83]2011년 1월 22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의 벨라루스 대통령 취임식에서 루카셴코는 벨라루스가 오렌지 혁명이나 조지아의 2003년 장미 혁명과 같은 사건을 겪지 않을 것이라고 서약했다.[84]
2011년 12월 2011년 남오세티야 대통령 선거 이후와 2011년 러시아 선거 이후 시위 동안 남오세티야의 러시아 연방 대사 드미트리 메도예프와 러시아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및 푸틴 지지자들은 오렌지 혁명을 자국에 대한 불길한 전조로 언급했다.[85][86] 푸틴은 또한 2011년 12월 러시아 시위의 주최자들이 유셴코 대통령 시절 그의 (러시아) 고문들이었으며 오렌지 혁명을 러시아로 이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85]

2012년 2월 4일 푸틴을 지지하는 집회는 “반오렌지 시위”로 불렸다.[87]
2013년 러시아 국가 두마 의원 올레그 닐로프와 전 러시아 정치인 세르게이 글라제프는 정치적 반대자들을 "어떤 종류의 오렌지색이나 밝은 반바지를 입은 다른 인물들"과 "'오렌지' 광풍 이후 나타난 외교관과 관료들"이라고 언급했다.[88][89]
러시아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오렌지 혁명은 파시즘과 연관되어 왔는데, 비록 미미하지만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극우파 단체들과 우크라이나계 미국인들(빅토르 유셴코의 아내인 카테리나 유셴코를 포함, 미국에서 태어났다)이 시위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러시아 민족주의 단체들은 이 둘을 파시즘이라는 같은 나무의 가지로 본다.[91] 우크라이나계 미국인들의 참여는 그들이 오렌지 혁명이 CIA에 의해 조종되었다고 믿게 만들었다.[91]
참조
[1]
논문
The Colour Revolution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Successes and Failures
https://www.academia[...]
Routledge
[2]
웹사이트
Интервью украинским телеканалам «УТ-1», «Интер» и «1+1»
https://web.archive.[...]
2004-10-26
[3]
뉴스
Ukraine profile
https://www.bbc.co.u[...]
BBC News
[4]
논문
Ukrainian Politics, Energy and Corruption under Kuchma and Yushchenko
http://www.taraskuzi[...]
Harvard University
2008-03-07
[5]
뉴스
Savik Shuster: I'm the only thing to remain after 'orange revolution'
http://en.novayagaze[...]
Novaya Gazeta
2008-02-02
[6]
학술지
Oligarchs, Tapes and Oranges: 'Kuchmagate' to the Orange Revolution
http://www.tandfonli[...]
2007-03
[7]
학술지
Ukraine's Orange Revolution
https://www.jstor.or[...]
2005
[8]
서적
Civil Resistance and Power Politics: The Experience of Non-violent Action from Gandhi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9]
뉴스
Ukraine's Orange Revolution
https://www.foreigna[...]
2015-09-15
[10]
뉴스
The Orange Revolution
http://content.time.[...]
Time
2004-11-28
[11]
논문
Ukraine is Not Russia:Comparing Youth Political Activism
http://www.taraskuzi[...]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12]
뉴스
Yanukovich declared winner in Ukraine poll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0-02-15
[13]
웹사이트
Suspected killers of journalist Georgy Gongadze named
https://rsf.org/en/n[...]
2005-08-09
[14]
뉴스
Murdered journalist buried in Ukraine 16 years after beheading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3-22
[15]
뉴스
Georgiy Gongadze murder tied to late Ukrainian minister
https://www.bbc.com/[...]
BBC News
2010-09-14
[16]
웹사이트
Kiev police chief jailed for Gongadze murder
https://www.ft.com/c[...]
[17]
웹사이트
Ukrainian policeman gets life for murder of journalist
http://www.theguardi[...]
2013-01-30
[18]
웹사이트
Leonid Kuchma
https://www.britanni[...]
[19]
웹사이트
Moroz says leaked audiotapes link Kuchma to Gongadze's disappearance - Nov. 28, 2000
https://archive.kyiv[...]
2000-11-28
[20]
웹사이트
Kuchmagate: Political Crisis in Ukraine?
https://carnegieendo[...]
2001-02-14
[21]
뉴스
Ukraine: Kuchma Cleared To Run For Third Term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8-04-09
[22]
웹사이트
Orange revolution
https://www.uvm.edu/[...]
[23]
웹사이트
Presidential Election, 31 October, 21 November and 26 December 2004
https://www.osce.org[...]
[24]
논문
Ukraine's Orange Revolution: Causes and Consequences
University of Ottawa
2005-04-28
[25]
뉴스
Widespread Vote Fraud Is Alleged In Ukrain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4-11-23
[26]
학술지
Nationalism, identity and civil society in Ukraine: Understanding the Orange Revolution
https://www.jstor.or[...]
2010
[27]
웹사이트
The Orange Revolution: 'People's Revolution' or Revolutionary Coup?
https://commonweb.un[...]
[28]
웹사이트
Ukraine Country Profile
http://news.bbc.co.u[...]
BBC News
2012
[29]
뉴스
Putin's Kiev visit 'timed to influence Ukraine pol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4-10-27
[30]
웹사이트
President Vladimir Putin laid a wreath at the Grave of the Unknown Soldier by the Kremlin wall in honour of Victory Day in the Great Patriotic War
http://en.kremlin.ru[...]
2004-05-08
[31]
서적
Understanding Ukrainian Politics: Power, Politics, and Institutional Design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6
[32]
뉴스
Ukraine coalition born in chao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7-11
[33]
서적
Revolution in Orange: The Origins of Ukraine's Democratic Breakthrough
https://books.googl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06
[34]
간행물
The Orange Ribbon: A Calendar of the Political Crisis in Ukraine Autumn 2004
https://www.files.et[...]
Centre for Eastern Studies
2005
[35]
뉴스
С Президентом на «вы»
http://focus.in.ua/D[...]
Фокус
2007-04-02
[36]
서적
Civil Resistance and Power Politics: The Experience of Non-violent Action from Gandhi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7]
서적
Ukraine 2004: Informal Networks, Trans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Coloured Revolutions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09-06-01
[38]
뉴스
New Kids On the Bloc
https://select.nytim[...]
The New York Times
2004-11-26
[39]
뉴스
Protest grows in western city
http://www.timesonli[...]
The Times
2004-11-26
[40]
뉴스
Yushchenko takes reins in Ukrain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1-23
[41]
간행물
Democracy Rising (PDF)
http://www.usaid.gov[...]
USAID
[42]
웹사이트
Supreme Court of Ukraine decision regarding the annulment of 21 November vote
http://www.skubi.net[...]
[43]
뉴스
Yanukovych says presidential election scenario of 2004 won't be repeated in 2010
http://www.interfax.[...]
Interfax-Ukraine
2009-11-27
[44]
웹사이트
Results of Voting in Ukraine Presidential Elections 2004
http://www.cvk.gov.u[...]
Central Election Commission of Ukraine
[45]
뉴스
Timeline: Battle for Ukrain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1-23
[46]
웹사이트
Official CEC announcement of results as of 10 January 2005
http://www.cvk.gov.u[...]
Central Election Commission
2005-01-10
[47]
뉴스
In a Final Triumph, Ukrainian Sworn In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5-01-24
[48]
서적
Ukraine: A History 4th E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9
[49]
뉴스
BACK CHANNELS: A Crackdown Averted; How Top Spies in Ukraine Changed the Nation's Path
https://web.archive.[...]
The New York Times
2005-01-17
[50]
서적
The Transition to National Armie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1988–2005
Routledge
2013
[51]
뉴스
How Yanukovych Forged the Elections. Headquarters' Telephone Talks Intercepted
http://www2.pravda.c[...]
Ukrainska Pravda
2014-04-07
[52]
서적
Russia, the US, “the Others” and the “101 Things to Do to Win a (Colour)Revolution”: Reflections on Georgia and Ukraine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11-10-26
[53]
뉴스
A Chestnut Revolution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24-11-16
[54]
뉴스
Our Man at Ukraine’s Orange Revolution
https://www.aei.org/[...]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2024-11-16
[55]
서적
Attention Deficit Democracy
[56]
뉴스
US campaign behind the turmoil in Kiev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11-16
[57]
서적
The Color Revolutions
[58]
논문
Transitions from Postcommunism
2005
[59]
간행물
The Role of Digital Networked Technologies in the Ukrainian Orange Revolution
Berkman Center
2007
[60]
서적
Harnessing the Mobile Revolution
The New Policy Institute
2008
[61]
뉴스
Update: Return to 1996 Constitution strengthens president, raises legal questions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0-10-01
[62]
뉴스
Court forbade Maydan after first tour of election
http://www.unian.net[...]
UNIAN
2010-01-13
[63]
웹사이트
Central Election Commission Candidate Results
http://www.cvk.gov.u[...]
CEC Ukraine
2010-01-19
[64]
뉴스
Ukraine. Farewell to the Orange Revolution
http://www.europarus[...]
EuropaRussia
2010-01-19
[65]
뉴스
Ukraine election: Yanukovych urges Tymoshenko to quit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2-10
[66]
뉴스
Yanukovych appeals to the nation, asks Tymoshenko to step down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0-02-10
[67]
뉴스
Akhmetov: Ideals of 'Orange Revolution' won at election in 2010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0-02-26
[68]
웹사이트
Yulia Tymoshenko’s address to the people of Ukraine
https://web.archive.[...]
Yulia Tymoshenko official website
2010-02-22
[69]
뉴스
Day of Freedom: here comes the end to revolutions
http://en.for-ua.com[...]
ForUm
2011-11-23
[70]
뉴스
Yanukovych signs decree on new holiday replacing Ukrainian Independence Day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1-12-30
[71]
뉴스
Yanukovych cancels Freedom Day on 22 Nov.
http://zik.ua/en/new[...]
Z I K
2011-12-31
[72]
뉴스
Yanukovych abolishes Day of Liberty on 22 November
http://eng.obozrevat[...]
Observer
2011-12-30
[73]
뉴스
Ukrainians to celebrate Day of Dignity and Freedom on November 21, Unity Day on January 22
http://en.interfax.c[...]
Interfax-Ukraine
2014-11-13
[74]
서적
Understanding Ukrainian Politics:Power, Politics, And Institutional Design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6
[75]
뉴스
EU endorses Ukraine election result
http://euobserver.co[...]
euobserver
2010-02-08
[76]
뉴스
International observers say Ukrainian election was free and fair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0-02-09
[77]
뉴스
European Parliament president greets Ukraine on conducting free and fair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0-02-09
[78]
서적
Ukraine on its meandering path between East and West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9
[79]
뉴스
Ukraine:Has Yushchenko Betrayed The Orange Revolution?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5-09-30
[80]
뉴스
Independent standpoint on Ukraine:Dismissal of Prosecutor-General, Closure of Poroshenko Case Create New
http://en.for-ua.com[...]
ForUm
2005-10-28
[81]
간행물
The upcoming parliamentary elections in Ukraine [Summary]
http://www.partyofre[...]
WSN
2012-10-23
[82]
뉴스
Q&A:Ukrainian parliamentary election
https://www.bbc.co.u[...]
BBC News
2012-10-23
[83]
뉴스
BEREZOVSKY HOPES TO SELL ORANGE REVOLUTION TO RUSSIA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05-03-17
[84]
뉴스
Lukashenko Growls at Inauguration
http://www.themoscow[...]
The Moscow Times
2011-01-24
[85]
뉴스
Putin calls 'color revolutions' an instrument of destabilisation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1-12-15
[86]
뉴스
'Orange' methods will fail in South Ossetia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1-12-02
[87]
뉴스
Антиоранжевый митинг проходит на Поклонной горе
http://ria.ru/societ[...]
RIAN
2012-02-04
[88]
뉴스
«В оранжевых и радужных трусах» 'In orange and red shorts'
http://vz.ru/politic[...]
Vzglyad
2013-01-25
[89]
뉴스
Putin’s aide calls opinion that all Ukrainians want European integration "sick self-delusion"
http://www.interfax.[...]
Interfax-Ukraine
2013-08-21
[90]
뉴스
Russian media's love affair with Trump
https://www.bbc.com/[...]
BBC News
2016-11-02
[91]
간행물
New Extremely Right-Wing Intellectual Circles in Russia: The Anti-Orange Committee, the Isborsk Club and the Florian Geyer Club
https://www.academia[...]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ecurity Network
2013-08-05
[92]
웹사이트
Putin said that the Russian Federation was not given a chance to build normal relations with the Ukrainian people
https://tass.ru/poli[...]
TASS
2023-06-13
[93]
뉴스
コーカサス安定化作戦
http://tanakanews.co[...]
田中宇の国際ニュース解説
2004-04-29
[94]
웹사이트
http://www.ua.emb-j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