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베 회그굴드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베 회그굴드베르는 18세기 덴마크-노르웨이의 정치가로, 1772년 요한 프리드리히 스트룬제의 몰락 이후 실질적인 총리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1764년 율리아네 마리 왕비와 상속 왕자 프레데리크의 가정교사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으며, 보수적인 군주주의자로서 크리스티안 7세의 후견인에 대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통치했다. 굴드베르의 통치 시기는 평화와 안정을 특징으로 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 동안 중립을 지키며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그는 민족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재정 관리 실패, 부패, 스트룬제의 개혁 폐지 등으로 인해 인기가 하락했고, 1784년 왕세자의 쿠데타로 실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8년 사망 - 화완옹주
    화완옹주는 영조의 딸이자 소론 가문 정치달의 부인으로,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사도세자와의 불화와 양자 정후겸의 정치 활동으로 정조 즉위 후 옹주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를 갔다가 사면 후 파주에서 생을 마감하며 영조, 사도세자, 정조 시대 정치적 갈등과 관련된 삶을 살았다.
  • 1808년 사망 - 위베르 로베르
    위베르 로베르는 낭만적인 폐허 풍경을 주로 그린 18세기 프랑스 화가이자 판화가로, 로마 유적에서 영감을 받아 '유적지의 로베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 투옥 후 루브르 박물관 관리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1731년 출생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1731년 출생 - 달선군
    달선군 이영은 덕흥대원군의 7대손으로 동지돈녕부사 이형종의 아들이었으나 낙천군 이온에게 입양되어 달선군에 봉해졌고, 양어머니와의 불화로 요절 후 파양되어 본가로 돌아갔다.
  • 덴마크의 정치인 - 막스 아릴스코우
    막스 아릴스코우는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참전, DNSAP 활동, 신 덴마크 창당, 란스토르멘 지휘, 샬부르크 부대 공동 창설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종전 후 체포 및 사면, 그리고 1986년 사망했다.
  • 덴마크의 정치인 - 크리스티안 툴레센 달
    크리스티안 툴레센 달은 덴마크의 정치인으로, 덴마크 인민당 대표를 역임하며 2015년 총선에서 당을 원내 제2당으로 이끌었으나 2022년 정계에서 은퇴했고, 이민 문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오베 회그굴드베르
기본 정보
옌스 율이 그린 굴드베르 초상화
옌스 율이 그린 굴드베르 초상화
출생명오베 굴드베르
출생일1731년 9월 1일
출생지호르센스, 유틀란트 반도, 덴마크
사망일1808년 2월 7일
사망지비보르의 할드 영지, 덴마크
직위
직위명덴마크 추밀고문관
이전요한 프리드리히 스트루엔세
이후안드레아스 페터 베른스토르프
가족
배우자결혼: 카트리네 마리에 뇌를렘 (1762년 결혼, 1763년 사망)
결혼: 루시에 에머렌체 뇌를렘 (1769년 결혼, 1807년 사망)
자녀율리아네 마리에 회에그굴드베르
프레데리크 회에그굴드베르
페테르 회에그굴드베르
크리스티안 회에그굴드베르
율리우스 회에그굴드베르

2. 생애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생략)

2. 1. 초기 생애

회그굴드베르가 말년에 은퇴하여 거주했던 할드 영지


회그굴드베르(Ove Høegh-Guldberg|오베 회그굴드베르da)는 1731년 덴마크-노르웨이의 예틀란드 호르센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예르겐 페데르센 회그(Jørgen Pedersen Høg, 1683-1751)이며, 어머니는 헬레네 도르테아 오베스다터 굴드베르(Helene Dorthea Ovesdatter Guldberg, c. 1697-1742)이다. 그는 외삼촌인 길링의 사제 디네스 굴드베르(Dines Guldberg)의 도움으로 신학을 공부하여 1753년에 신학 학위를 받았다. 이후 역사학자로 활동하며 1761년에는 소뢰 아카데미의 교수가 되었다. 당시 다른 중산층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애국적인 실용주의자이자 정통 왕당파의 성향을 보였다.

2. 2. 정치 경력

1764년 율리아네 마리 왕비와 그녀의 아들 프레데리크 왕세자의 가정교사로 임명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771년에는 프레데리크 왕세자의 비서가 되었고, 그의 국가주의적이고 보수적인 견해는 왕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회그굴드베르는 보수적이고 헌신적인 군주주의자로서, 요한 프리드리히 스트룬제(1737–1772)의 통치에 반대했다. 그는 스트룬제를 혁명가이자 찬탈자로 여겼으며, 1771년 스트룬제를 몰아내기 위한 음모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2]

1772년 스트룬제가 실각하자 회그굴드베르는 새로운 정부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되었다. 공식적으로 내각 장관으로 임명된 것은 실각 직전이었지만, 1772년부터 1784년까지 섭정인 프레데리크 왕세자 뒤에서 사실상의 총리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주로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크리스티안 7세 국왕의 후견인에 대한 영향력을 통해 내각 명령으로 통치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여러 요직을 거쳤는데, 1773년 재무부 평가관, 1774년 국왕 비서, 1776년 국무 비서로 임명되었다. 1777년에는 '회에흐-굴드베르'라는 이름으로 귀족 작위를 받았고, 1780년에는 의회 비서관 직함을 얻었다.

'굴드베르 통치기'는 평화와 안정을 특징으로 했으며, 초기에는 경제 상황도 좋았다. 덴마크-노르웨이미국 독립 전쟁 동안 중립을 유지하며 무역 호황을 누렸다. 외교적으로는 스웨덴에 대해서도 평화적인 정책을 유지했다. 국내 정치에서는 민족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많은 평민의 지지를 얻었다. 특히 1776년에 제정된 시민권 법은 외국인을 공직에서 배제하는 내용을 담아 인기가 높았다. 또한 요르겐 조에가(1755–1809)와 같은 덴마크 시인과 작가들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통치에는 여러 문제점도 있었다. 재정 관리에 실패했고 부패가 증가했다. 농민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지 못했으며, 스트룬제가 추진했던 개혁의 상당 부분을 폐지했다. 또한 지방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수도 코펜하겐을 편애하여 지방을 소외시켰다. 하인리히 카를 폰 쉬멜만(1724–1782)이나 안드레아스 페터 베른스토르프(1735–1797) 같은 정부 내 동료들이 사망하거나 제거되면서 그의 입지는 넓어졌지만, 동시에 비판에 더 취약해졌다.[3][4][5]

미국 독립 전쟁 이후 경제 침체로 그의 인기는 하락했다. 결정적으로 왕세자(프레데리크 6세)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회그굴드베르와 그의 정치적 후원자인 율리아네 마리 왕대비, 프레데리크 왕세자는 커져가는 반대 여론을 무시하는 듯 보였다. 1784년 4월, 그가 장관으로 임명된 직후 왕세자가 주도한 쿠데타로 인해 사임해야 했다.

실각 후 그는 오르후스주의 고위 관료(amtmand)로 좌천되어 1802년까지 근무했다. 이후 1798년에 구입한 비보르 근처의 할드 영지(Hald Hovedgaard)로 은퇴했다.[6]

3. 정책

오베 회그굴드베르가 실권을 잡은 시기('굴드베르 통치')의 정책은 국내적으로는 보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띠었으며, 외교적으로는 중립 정책을 통해 평화와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이전 스트룬제 시기의 급진적인 개혁과는 다른 양상이었다.

3. 1. 국내 정책

1772년 스트룬제 몰락 이후 실권을 장악한 회그굴드베르의 통치 시기('굴드베르 통치')는 초기에는 평화와 경제적 안정을 누렸다. 그는 덴마크-노르웨이의 중립 정책을 유지하며 미국 독립 전쟁 기간 동안 무역 호황을 이끌었다.

국내적으로 회그굴드베르는 보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특히 1776년에 제정한 시민권 법은 외국인을 공직에서 배제하고 덴마크인의 권익을 우선시하는 내용으로 많은 평민의 지지를 받았다.[3] 그는 또한 요르겐 조에가 (1755–1809)와 같은 덴마크 출신 시인과 작가들을 지원하며 민족주의적 정서를 고취시키려 했다.[3]

그러나 그의 정책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는 진보적인 성격의 스트룬제 개혁 대부분을 폐지하여 사회 개혁을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3][4] 또한 농민들의 어려운 처지를 외면했으며, 지방을 희생시키고 수도 코펜하겐을 중심으로 한 정책을 펼쳤다.[3] 그의 통치 후반기에는 재정 관리 실패와 부패 문제가 심화되었고,[3] 하인리히 카를 폰 쉬멜만 (1724–1782)이나 안드레아스 페터 베른스토르프 (1735–1797) 같은 유능한 동료 관료들이 제거되면서 정치적 기반마저 약화되었다.[3][5]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닥친 경제 침체는 그의 인기를 더욱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3]

3. 2. 외교 정책

회그굴드베르의 외교 정책은 평화를 지향했으며, 이는 스웨덴과의 관계에서도 명확히 드러났다. 특히 미국 독립 전쟁 기간 동안 덴마크-노르웨이는 중립국의 지위를 유지했다. 이러한 중립 정책 덕분에 당시 덴마크-노르웨이의 무역은 호황을 누릴 수 있었다.

4. 평가

회그굴드베르가 실질적으로 정권을 장악했던 시기는 '굴드베르 통치'로 불리며, 대체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한 시기로 평가받는다. 특히 미국 독립 전쟁 기간 동안 덴마크-노르웨이가 중립을 지키면서 무역이 호황을 누리는 등 초기에는 경제적으로도 양호한 상황을 보였다. 외교적으로는 스웨덴에 대해서도 평화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국내 정치에서는 덴마크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정책을 펼쳐 많은 평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특히 1776년에 제정된 시민권 법은 외국인을 공직에서 배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당시 덴마크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그는 또한 요르겐 조에가 (1755–1809)와 같은 재능 있는 덴마크 시인과 작가들을 지원하며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기여했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정책은 그의 통치를 선전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2]

그러나 그의 통치에는 여러 한계와 문제점도 지적된다. 우선 재정 관리에 실패했고 점차 부패가 심화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농민들의 어려운 현실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했으며, 스트룬제가 추진했던 개혁의 상당 부분을 폐지하여 사회 발전을 후퇴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지방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수도인 코펜하겐을 중심으로 정책을 펼쳐 지방을 소외시켰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그의 정부에서 함께 일했던 하인리히 카를 폰 쉬멜만 (1724–1782)이나 안드레아스 페터 베른스토르프 (1735–1797) 같은 인물들이 사망하거나 제거되면서 그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좁아지고 비판에 취약해졌다.[3][4][5]

회그굴드베르는 보수적이고 헌신적인 군주주의자로서, 스트룬제를 혁명가이자 찬탈자로 여겨 그를 몰아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작 그 자신도 정신 질환을 앓던 크리스티안 7세 국왕 뒤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직접적인 내각 명령을 통해 통치하는 방식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미국 독립 전쟁 이후 경제 침체가 닥치면서 그의 인기는 하락했으며, 왕세자(프레데리크 6세)와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결국 1784년 쿠데타로 실각하게 되었다.[6]

5. 가족 관계

그는 두 번 결혼했다. 1762년, 뷔홀름(Bygholm)의 수탁자였던 페데르 옌센 뇌를렘(Peder Jensen Nørlemdan, 1680-1738)과 크리스텐체 한스다터 레소(Christence Hansdatter Læssøedan, 1701-1769)의 딸인 캐트린 마리 뇌를렘(Cathrine Marie Nørlemdan, 1736-1763)과 처음 결혼했다. 첫 부인이 사망한 후, 1769년에는 그녀의 여동생인 루시 에머렌체 뇌를렘(Lucie Emerentze Nørlemdan, 1738-1807)과 두 번째 결혼을 했다.

그는 군 장교인 율리우스 회그굴드베르(Julius Høegh-Guldbergdan, 1779–1861)의 아버지였으며, 예술가인 에머리크 회그굴드베르(Emmerich Høegh-Guldbergdan, 1807–1881)의 할아버지였다.[7][8]

또한, 그의 이름을 딴 호주의 생물학자 오베 호그굴드베르(Ove Hoegh-Guldbergeng)를 포함하여 여러 직계 후손을 두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ve Høegh-Guldberg https://runeberg.org[...] 2019-10-01
[2] 웹사이트 Johann Friedrich Struensee http://blogs.bu.edu/[...] 2019-10-01
[3] 웹사이트 Zoega, Georg (Jørgen), 1755-1809 https://runeberg.org[...] 2019-10-01
[4] 웹사이트 Schimmelmann, Heinrich Carl Greve, 1724-82 https://runeberg.org[...] 2019-10-01
[5] 웹사이트 A.P. Bernstorff http://denstoredansk[...] 2019-10-01
[6] 웹사이트 Om Hald Hovedgaard http://haldhovedgaar[...] 2019-10-01
[7] 웹사이트 Julius Høegh-Guldberg https://aarhuswiki.d[...] 2019-10-01
[8] 웹사이트 Emmerik Lucian Høegh-Guldberg https://aarhuswiki.d[...] 2019-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