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선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선군은 조선 후기의 왕실 종친으로, 덕흥대원군의 7대손이며, 본관은 전주, 휘는 영(泳)이다. 숙종의 왕자 연령군의 계자인 낙천군 이온에게 입적되어 달선군에 봉해졌으나, 낙천군 부인 서씨의 투기로 인해 괴로움을 겪다 1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파양되어 본가로 돌아갔으며, 경기도 광주군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자살한 정치인 - 신립
    조선 중기 무장 신립은 무과 급제 후 북방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당시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하였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묘소는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조선의 자살한 정치인 - 서산군 (왕족)
    서산군 이혜는 조선 초 양녕대군의 서삼남이자 세종의 조카로, 1435년 서산군에 봉해졌으나 기행과 살인 등으로 탄핵과 복작을 반복하다 고성현에 안치되기도 했으며, 사후 소덕대부에 추증되었다.
  • 도정궁 - 이해찬
    이해찬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 7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한국 정치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진보 성향의 정치인이다.
  • 도정궁 - 홍언필
    홍언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갑자사화와 기묘사화에 연루되기도 했으나 여러 관직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고 을사사화에 가담하여 위사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시서화에도 능했던 인물이다.
  • 1748년 사망 - 요한 베르누이
    요한 베르누이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미적분학, 특히 미분 방정식과 변분법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사슬선의 방정식 발견과 지수 함수의 미적분법 확립 등으로 유명하지만, 가족과의 갈등과 업적 가로채기 시도는 그의 명성에 오점을 남겼다.
  • 1748년 사망 - 제임스 톰슨
    제임스 톰슨은 18세기 영국의 시인으로, 《계절》, 《자유》 등의 작품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대표작인 《계절》은 하이든의 오라토리오 《사계》의 대본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달선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군(君)
이영
李泳
아명이철해(李喆楷)
출생
출생일1731년 1월 22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
사망일1748년 11월 28일
사망지조선 한성부 연령군 가통 사저
사인음독 자살
가족 관계
왕조조선
왕가조선 왕조 전주 이씨
배우자군부인 거창 신씨
아버지 (양부)낙천군 이온
아버지 (생부)이형종
어머니 (양모)군부인 달성 서씨
어머니 (생모)은진 송씨 부인
자녀딸 이씨 부인
양자 이민식
친인척연령군 이훤(양조부)
이형종(친조부)
은신군 이진(양아우)
이종참(양손자)

2. 생애

달선군 이영은 조선 후기의 왕실 종친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영(泳), 초명은 철해(喆楷)이다. 덕흥대원군의 7대손이자 동지돈녕부사 이형종의 둘째 아들로, 1731년(영조 7) 1월 22일에 태어났다.[1] 1747년(영조 23) 이름을 철해에서 영으로 바꾸고 낙천군 이온의 양자로 입적되어 달선군에 봉해졌다.[1]

그러나 양어머니인 낙천군의 부인 서씨는 질투심이 강하여 달선군과 그의 아내 신씨를 심하게 괴롭혔다. 이를 견디다 못한 달선군은 결국 1748년(영조 24) 18세의 젊은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

2. 1. 가계

달선군 이영은 덕흥대원군의 7대손으로 왕실의 먼 친척이었다.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증 좌찬성 이형종이며, 양아버지는 낙천군 이온으로 숙종의 아들 연령군의 양자였다.[1]

2. 1. 1. 양가

달선군은 1731년(영조 7) 1월 22일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전주, 휘는 영(泳), 초명은 철해(喆楷)였다. 1747년(영조 23) 9월 4일에 이름을 철해에서 영으로 바꾸고, 숙종의 왕자 연령군의 양손자이자 낙천군 이온의 양자로 입적되어 달선군에 봉해졌다.[1]

낙천군은 연령군의 아들이었으나 일찍 사망하였다. 낙천군의 부인 달성 서씨는 질투심이 강하여 달선군과 그의 아내 신씨를 괴롭혔다. 달선군은 이를 견디다 못해 1748년(영조 24) 11월 28일 1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

2. 2. 혼인과 죽음

1747년(영조 23) 9월 4일 이름(名字)을 철해(喆楷)에서 영(泳)으로 바꾸고, 낙천군 이온(李縕)에게 입양되어 달선군(達善君)에 봉해졌다.[1] 숙종의 왕자 연령군의 양자였던 낙천군은 일찍 죽었고, 그의 부인 서씨(徐氏)는 질투심이 강해 달선군(이영)과 그의 아내 신씨(愼氏)를 괴롭혔다. 달선군은 이를 견디지 못하고 약을 먹어, 1748년(영조 24) 11월 28일 1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2. 3. 사후

시신은 경기도 광주군 왕륜면(현 경기도 의왕시 이동)에 안장되었으며, 후일 군부인 신씨와 합폄되었다.

1750년(영조 26) 2월 7일 양어머니 낙천군부인 서씨가 상언(上言)하여 파양을 청하자 상이 이를 수락, 달선군(達善君) 이영(李泳)은 파양(罷養)되어 본가로 돌아갔다.[2]

3. 가족 관계

달선군 이영의 가족 관계는 친가, 양가, 처가, 자녀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내용
친가상세 내용 참조
양가상세 내용 참조
처가상세 내용 참조
자녀상세 내용 참조


3. 1. 친가

구 분내용
생조부덕흥대원군의 아들 하원군의 6대손 이명회(李明會, 1685년 - 1727년)
친아버지(생부)증 좌찬성(左贊成) 이형종(李亨宗, 1706년 - 1759년), 도정궁 사손(都正宮 祀孫)
친어머니(생모)증 정경부인 은진송씨(貞敬夫人 恩津宋氏, 1703년 - 1736년), 송서석(宋叙錫)의 딸 (은진인(恩津人))
친어머니(생계모)증 정경부인 여흥민씨(貞敬夫人 驪興閔氏, 1716년 - 1784년), 민심(閔鐔)의 딸 (여흥인(驪興人))
친형제자매* 형: 이풍(이례)(李灃, 1727년 - 1795년)
이복형제자매* 이복동생: 이굉(李浤, 1746년 - 1803년)
양부모* 양할아버지: 연령군 훤(延齡君 昍, 1699년 ~ 1719년), 숙종의 서자
양형제* 양동생: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1월 11일 ~ 1771년 3월 29일), 사도세자의 서2남
처자* 부인: 달선군부인 신씨(郡夫人 愼氏, 1730년 10월 9일 ~ 1786년 7월 13일), 신세동(愼世東)의 딸 (거창인(居昌人))
장인신세동(愼世東, 주부(主簿))


3. 2. 양가

3. 3. 처가

달선군은 신세동(愼世東)의 딸인 거창인(居昌人) 달선군부인 신씨(郡夫人 愼氏, 1730년 10월 9일 ~ 1786년 7월 13일)와 혼인하였다.[1]

3. 4. 자녀

이풍의 차남 이민식(1753년 - 1817년)을 양자로 들였다. 양손자는 완성군 이희(1771년 - 1830년)이다. 딸은 박종요(朴宗堯)에게 출가하였고, 외손자는 박경수(朴景壽)이다. 외손녀 반남 박씨는 각각 이관회(李觀會)와 조명환(趙明煥)에게 출가하였다.[1]

참조

[1] 서적 영조 실록 66권, 23년(1747 정묘/청 건륭 12년) 9월 4일 (신묘) 4번째 기사 동돈녕 이형종의 차남 이철해를 개명하여 낙천군 이온의 후손으로 삼다 1747-09-04
[2] 서적 영조 71권, 26년(1750 경오/청 건륭 15년) 2월 7일 (경진) 1번째 기사-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고, 달선군의 파양·성이홍에의 부조 등을 명하다 1750-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