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사코 나오하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코 나오하루는 사쓰마 번 출신의 일본 제국 육군 군인이다. 조시칸에서 수학하고 사쓰에이 전쟁과 보신 전쟁에 참전했으며, 육군 소장, 중장, 대장을 거쳐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1895년 남작, 1907년 자작 작위를 받았다. 1912년부터 1917년까지 학습원 원장을 역임했고, 1927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사쓰마의 노기 대장"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쓰에이 전쟁 관련자 - 이노우에 요시카
    이노우에 요시카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으로 사쓰마 번 출신이며 보신 전쟁에 참전, 운요호 사건을 일으키고 해군 대장과 원수까지 진급하여 자작의 작위를 받았다.
  • 사쓰에이 전쟁 관련자 - 이토 스케유키
    이토 스케유키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원수로, 사쓰마 번 해군에서 시작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원수 칭호와 백작 작위를 받았다.
  • 공2급 금치훈장 수훈자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공2급 금치훈장 수훈자 - 오쿠보 하루노
    오쿠보 하루노는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고 한국주둔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고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한국 병합 이후 조선주둔군 사령관을 지냈다.
  • 공3급 금치훈장 수훈자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공3급 금치훈장 수훈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오사코 나오하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사코 나오하루 장군
작위자작
본명오사코 나오토시 (大迫尚敏)
출생1844년 12월 24일
출생지사쓰마 번
사망1927년 9월 20일
별칭사쓰마의 노기 대장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871년 - 1907년
최종 계급육군 대장
주요 참전사쓰에이 전쟁
보신 전쟁
세이난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
기타 이력가쿠슈인 원장
가계
묘소가고시마시의 고코쿠지 묘지

2. 생애

오사코 나오하루는 사쓰마번(현재의 가고시마현)의 사무라이인 오사코 신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번의 소시칸 학교를 졸업하고 사쓰에이 전쟁보신 전쟁에서 사쓰마 사무라이로 참전했다. 1871년 3월 신생 일본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1873년부터 육군성에 배속되었고, 1874년 대위로 진급했다. 세이난 전쟁에서 사쓰마 씨족과 싸우기 위해 전투에 참가, 구마모토성 포위전에서 부상을 입었다. 전쟁 중 소령으로 진급하여 구마모토 수비대의 참모로 복무했다. 1883년 6월 소령으로 진급, 제6 보병 연대 사령관이 되었고, 1885년 5월부터 제1 근위 연대 지휘를 맡았다. 1887년 대령으로 진급, 1890년 10월부터 제4 보병 사단 참모장이 되었고, 이듬해 일본 제국 육군 참모 본부 제1 국장으로 임명되었다. 1892년 9월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5 보병 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청일 전쟁 동안 여단장으로 참전, 전쟁 후 화족 작위를 받아 남작(''단샤쿠'')이 되었고,[1] 금계훈장 3급을 수여받았다. 이후 참모 본부로 돌아갔고, 1900년 4월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7 보병 사단 사령관이 되었다.[1] 이 사단은 홋카이도 방어와 개척을 모두 담당한다는 점에서 특이했다.

러일 전쟁 발발, 노기 마레스케 장군의 제3군 지휘하에 뤼순항 포위전에 참여했다. 그의 부대는 203 고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 전투에서 셋째 아들을 잃었다.[1] 이후 봉천 전투에도 참전했다. 1906년 3월 일본으로 돌아왔고, 4월에 금계훈장 2급, 5월에 대장으로 진급했다. 1907년 9월 남작에서 자작 (''시샤쿠'')으로 승작되었다.[2] 1909년 4월 예비역으로 편입, 1914년 4월 퇴역했다.

1911년 11월부터 가쿠슈인 원장으로 노기 마레스케를 대신하여 1917년 8월까지 재임했다.[1] 1927년 9월 사망,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사쓰마번 출신 오사코 신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사쓰에이 전쟁보신 전쟁에 사쓰마 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였다. 1871년 신정부 육군에서 친위병으로 일했으며, 1873년 소위와 중위를 거쳐 1874년 육군 대위가 되었다.

1877년 세이난 전쟁 당시 육군 소좌로 진급하여 구마모토 진대 참모(鎭臺參謨)로 일했다. 이때 구마모토 성 농성전에 참가하여 쿠사바 학교 제압을 지휘하다가 얼굴에 부상을 입기도 하였다.[10] 1883년 육군 중좌, 1887년 육군 대좌로 진급하였으며, 1892년에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보병 제5여단을 이끌게 되었다.

소장 시대의 오사코 나오토시

2. 2.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오사코는 청일 전쟁에서 보병 제5여단장으로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1895년에는 그 공으로 남작 작위를 받고 화족의 일원이 되었으며, 금계훈장 3급을 수여받았다.[1]

1900년 4월, 오사코는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홋카이도 방어와 개척을 담당하는 제7사단장에 취임했다.[1]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오사코는 노기 마레스케 장군이 지휘하는 제3군 소속으로 뤼순항 포위전에 참전했다. 특히, 그의 부대는 203고지 전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오사코는 셋째 아들을 잃었다.[1] 이후 봉천 전투에도 참전했다.

1906년 3월, 오사코는 일본으로 돌아왔고, 4월에는 금계훈장 2급을 수여받았으며, 5월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1907년 9월에는 남작에서 자작으로 승작되었다.[2]

2. 3. 군 퇴역 이후

1907년 자작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 11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1] 1909년 4월 1일에는 후비역이 되었고,[12] 1914년 4월 1일에 완전히 퇴역했다.[13]

1912년 메이지 천황을 따라 자살한 노기 마레스케의 후임으로 가쿠슈인의 원장이 되어 1917년까지 황태자 히로히토의 교육을 책임졌다. 1927년 83세(만 82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망 당일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3. 업적 및 평가

와카(일본 전통 시)와 한시에 능했으며, 아들을 뤼순 전투에서 잃었고, 노기 마레스케의 후임으로 학습원장을 맡는 등 여러 경력으로 인해 "사쓰마의 노기 대장"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동생오사코 나오미치육군 대장
아내야마모토 모리히데 육군 중좌의 딸
셋째 아들미츠지육군사관학교 14기, 육군 중위, 전사
다섯째 아들모토오농림 기술자
손자오사코 타츠오일본 교통공사 직원,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난민 수송에 헌신
하야시 센시 육군 대장의 아내


5. 서훈

수여 일자훈격
1885년 (메이지 18년) 11월 19일훈3등 욱일중수장[20]
1889년 (메이지 22년) 11월 29일대일본제국 헌법 발포 기념장[21]
1895년 (메이지 28년) 5월 23일훈2등 수보장[22]
1895년 (메이지 28년) 8월 20일남작, 공3급 금계훈장, 욱일중광장[23]
1903년 (메이지 36년) 5월 16일훈1등 수보장
1906년 (메이지 39년) 4월 1일공2급 금계훈장, 욱일대수장, 메이지 37·38년 종군기장[24]
1907년 (메이지 40년) 9월 21일자작[25]
1915년 (다이쇼 4년) 11월 10일대례 기념장[26]
1927년 (쇼와 2년) 9월 20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1899년 (메이지 32년) 7월 4일대청제국: 제2등 제1쌍룡보성[27]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2] 간행물 授爵敍任及辞令 『官報』 1907-09-23
[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6-01-21
[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5-06-05
[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5-08-21
[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5-08-21
[7] 간행물 号外 『官報』 1906-12-30
[8] 간행물 号外 『官報』 1906-12-30
[9]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大迫尚敏」 https://kotobank.jp/[...]
[10] NDLDC 熊本籠城談
[11] 간행물 『官報』 1907-11-14
[12] 간행물 『官報』 1909-05-05
[13] 간행물 『官報』 1914-04-14
[14] 간행물 叙任 『官報』 1883-08-10
[1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2-09-27
[1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7-11-22
[1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2-08-21
[18]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5-08-29
[1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7-12-11
[2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6-01-21
[2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9-12-06
[2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5-06-05
[2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5-08-21
[2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6-12-30
[25] 간행물 授爵敍任及辞令 『官報』 1907-09-23
[26] 간행물 辞令 『官報』 1916-12-13
[27] 간행물 敍任及辞令 『官報』 1899-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