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웽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로웽카는 폴란드 마조비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1373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다. 15세기에는 마조비아 공국의 경제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16세기에는 번영을 누렸지만, 전염병과 화재로 쇠퇴했다. 17세기에는 스웨덴, 러시아, 작센 군대의 침략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의 지배 아래 여러 봉기가 일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큰 피해를 입었고,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에 점령당해 'Scharfenwiese'로 개명되기도 했다. 전쟁 이후 재건을 통해 산업화되었으며, 1975년부터 1998년까지 오스트로웽카 보이보드십의 수도였다. 현재는 다양한 스포츠팀과 교육 시설을 갖춘 도시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조프셰주의 도시 - 라돔
라돔은 폴란드 중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도시에서 기원하여 폴란드 왕국의 행정 중심지로 성장했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중요한 장소였으나, 근세에는 부침을 겪었으며, 현대에는 학술 및 상업 중심지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 마조프셰주의 도시 - 시에들체
시에들체는 폴란드 소폴란드 지역의 도시로, 15세기 이전 건설되어 1448년 문헌에 처음 등장,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고 사유 도시로 발전했으며, 격동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문화, 교육, 스포츠 중심지이자 시에들체 대학교를 비롯한 교육 기관이 있는 곳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행정 구역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행정 구역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오스트로웽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시장 | 파베우 니에비아돔스키 |
설립 | 11세기 |
시 승격 | 1373년 |
면적 | 33.46 km² |
인구 (2021년 12월 31일 기준) | 51012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CET (+1) |
서머타임 | CEST (+2) |
좌표 | 북위 53° 4' 동경 21° 34' |
해발고도 | 92 m |
우편번호 | 07-400 ~ 07-417 |
지역 번호 | +48 029 |
차량 번호판 | WO |
교통 | |
국도 | 국도 53호선 국도 61호선 |
지방도 | 지방도 544호선 지방도 627호선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오스트로웽카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오스트로웽카는 10세기 폴란드 미에슈코 1세 통치 시기 폴란드의 일부였으며, 12세기 왕국 분열 이후 마조비아 공국에 속했다. 1373년 마조비아 공작 시에모비트 3세의 주법에 처음 도시로 언급되었다.[2]
15세기 오스트로웽카는 튜턴 기사단과의 무역으로 마조비아 공국의 경제 중심지로 성장했다. 1526년 폴란드 왕국에 편입되어 경제 호황을 누렸으나, 1564년과 1571년 전염병과 화재로 쇠퇴했다. 1590년대 후반, 1980.5km2 규모 행정 구역의 중심지가 되었고, 마조비아 보이보드십 (1526–1795), 폴란드 왕국 왕관의 대폴란드주에 속한 폴란드 왕립 도시였다.
17세기 중후반 스웨덴 제국에 의해 황폐화되었고,[2] 1665년 베르나르도회 수도원이 세워졌다. 성 안토니오 교회는 후기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졌다.
18세기 후반 경제가 회복되어 그단스크, 바르샤바 등과 무역을 재개했다.[2] 코시치우슈코 봉기 동안 제1 대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이 주둔했다.[3]
19세기 초 프랑스 제1제국에 점령되었다가 바르샤바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831년 11월 봉기 중 오스트로웽카 전투 (1831년)가 벌어졌는데, 요제프 벰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폴란드는 패배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도시가 쇠퇴했고, 독일 점령기에는 숲이 크게 착취되었다.[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독립과 함께 재건되었으나,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동안 다시 격전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에 합병되어 ''Scharfenwiese''로 개명되었고, 유대인 추방[9]과 폴란드인 학살이 자행되었다.[10]
전후 공산 정권 하에서 재건되었고, 1959년 펄프 및 제지 공장이 건설되었다. 1975년부터 1998년까지 오스트로웽카 보이보드십의 수도였다. 1989년 이후 자본주의 시대로 전환되었고, 1996년 "안토니 마달린스키 다리"가 건설되었다. 2010년 워터파크가 개장했으며, 새로운 발전소가 건설 중이다.[16][17]
2. 1. 설립 초기
이 지역은 10세기 폴란드 최초의 역사적 통치자 미에슈코 1세 치하에서 부상하는 폴란드 국가의 일부가 되었으며, 12세기 왕국의 분열 이후에는 폴란드 마조비아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도시의 이름은 수 세기 동안 봄에 정기적으로 범람했던 나레프 강 왼쪽 둑에 위치한 모래 진흙 평원을 지칭한다. 11세기 또는 12세기에 현재 현대 도시 중심에서 서쪽으로 불과 1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에 작은 요새가 건설되었다. 이 요새는 당시 나레프 강을 따라 드문드문 지어진 몇 안 되는 요새 중 하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요새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오스트로웽카의 초기 정착지로 여겨진다. 오스트로웽카의 건립 정확한 날짜는 없지만, 1373년 마조비아 공작 시에모비트 3세의 주법에 처음 도시로 언급되었으며, 따라서 1373년은 일반적으로 도시 권한 획득과 관련된 날짜가 되었다.[2]
2. 2. 15-16세기: 황금기
15세기 초, 오스트로웽카는 인근의 튜턴 기사단과의 무역을 통해 마조비아 공국의 중요한 경제 중심지로 성장했다. 목재, 호박, 꿀이 가장 흔하게 거래되는 품목이었다. 1526년, 공국은 폴란드 왕국에 직접 편입되었다. 이는 경제적 호황을 가져왔으며, 오늘날 오스트로웽카의 황금기로 가장 흔하게 알려져 있다. 이때, 보나 스포르차 여왕은 당시 인접한 정착지였던 포미안에 폴바르크(영농장)를 설립했는데, 현재는 현대 도시의 경계 내에 위치해 있다. 황금기는 약 4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1564년과 1571년에 발생한 세 번의 주요 재앙으로 그 종말을 맞이했다. 1564년, 전염병으로 인해 도시와 주변 지역의 인구가 심각하게 감소했다. 같은 해, 화재가 도시를 휩쓸어 대부분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1571년, 도시가 이전 두 재앙으로부터 회복할 시간도 갖기 전에 또 다른 전염병이 발생하여 지역의 인구를 더욱 감소시켰고, 공식적으로 도시의 황금 시대가 끝났음을 알렸다. 그러나 20년 이내에, 오스트로웽카 최초의 학교 건설을 포함하여 도시가 재건되었다. 1590년대 후반, 도시는 약 1980.5km2 규모의 큰 행정 구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오스트로웽카는 폴란드 왕립 도시였으며, 행정적으로는 마조비아 보이보드십 (1526–1795)에, 폴란드 왕국 왕관의 대폴란드주에 위치해 있었다.2. 3. 17-18세기: 쇠퇴와 정체
17세기 초 오스트로웽카는 빠르게 회복되었으나, 17세기 중후반에는 쇠퇴와 정체의 시기를 겪었다. 1656년 7월 25일, 대홍수 와중에 스웨덴 군대에 의해 황폐화되었다.[2] 1665년에는 토마시 고츠워프스키에 의해 수도원이 세워진 후 베르나르도회 수사들이 도시에 정착했다. 성 안토니오 교회는 후기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졌다.1676년에는 400명만이 거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워음자 지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로 여겨졌다. 이후 스웨덴, 러시아, 작센 군대에 의해 여러 번 파괴되었다. 그 결과, 추가적인 경제 개발이 방해받았고, 도시는 수십 년 동안 정체 상태로 남아 있었다. 18세기 후반에는 도시의 경제가 회복되었고 지역 상인들은 그단스크, 바르샤바, 쾨니히스베르크와 같은 주요 도시들과의 무역을 재개했다.[2]
코시치우슈코 봉기 동안 제1 대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이 오스트로웽카에 주둔했다.[3] 안토니 마달린스키가 이끄는 제1 여단은 코시치우슈코 봉기를 지원하기 위해 1794년 3월 12일 크라쿠프로 진군하기 시작했다. 프로이센군은 나레프 강까지 빠르게 진격하여 도시 북쪽 외곽, 나레프 강 우안에 도착했지만, 도시 안으로 직접 진군하거나 완전히 점령한 적은 없었다. 봉기는 실패했고, 2년 후 제3차 폴란드 분할의 결과로 오스트로웽카는 10년 동안 프로이센의 국경 안에 놓이게 되었다. 19세기 초, 최초의 독일 및 유대인 가족들이 도시와 주변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2. 4. 19세기: 외세의 지배와 봉기
1806년 말부터 1807년 6월까지 오스트로웽카는 프랑스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1807년 2월 16일에는 오스트로웽카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 전투에서 안느 장 마리 르네 사바리 장군 휘하의 프랑스군이 승리하여 파리의 개선문에 오스트로웽카가 기록되었다. 1807년 5월에는 오스트로웽카 최초의 지도가 제작되었으며, 현재 파리의 ''공병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807년부터 1815년까지 이 도시는 바르샤바 공국의 일부였다.1826년에는 폴란드의 산업화 계획에 따라 리넨과 면 공예 장인을 위한 대규모 정착지가 나레프 강 우안에 건설되었다. 장인의 수가 증가하고 노동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훈련받았으며, 도시는 두 개의 다리와 바르샤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결하는 새로운 도로가 건설되었다.
도시 시민들은 1830-1831년의 11월 봉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이전 전쟁들과 마찬가지로 도시가 파괴될 것을 우려했다. 1831년 5월 18일, 헨리크 뎀빈스키 장군이 오스트로웽카를 점령했으나, 얀 지그문트 스크시네츠키 장군은 우위를 활용하지 못하고 롬자 근처의 러시아군 공격을 결정하지 못해 롬자가 파괴되었다.
1831년 5월 26일 오스트로웽카 전투 (1831년)가 벌어졌다. 얀 지그문트 스크시네츠키는 한스 카를 폰 디비치가 이미 도시 외곽에 도착했다는 사실을 믿지 못하고 제4 보병 연대에 도시 방어를 명령했다. 주요 방어군은 베르나르딘 수도원에 요새화했지만, 러시아군은 대포를 이용해 폴란드 부대를 압도했다.
폰 디비치는 도시 중심부를 장악했지만, 전투는 나레프 강 우안에서 계속되었다. 스크시네츠키와 그의 부대는 다리를 방어하며 러시아군의 강 도하를 막으려 했다. 요제프 벰 중령과 그의 제4 포병대가 다리 방어를 도왔고, 벰은 러시아군을 막아냈지만, 이 전투는 폴란드의 패배로 언급되며 봉기의 종말을 알렸다. 이 전투로 쿠르피에를 포함한 6000명의 폴란드 군인이 사망했고, 벰은 용감함을 인정받아 포병 사령관으로 임명되고 비르투티 밀리타리 십자 훈장을 받았다. 이 전투는 11월 봉기에서 가장 크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다.
2. 5. 20세기: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오스트로웽카는 비교적 작은 마을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경제가 황폐화되고 필수품 가격이 상승하는 등 도시가 쇠퇴했다. 1915년 8월, 독일군이 나레프 강을 건너 폐허가 된 도시에 진입했다. 독일 점령기 동안 오스트로웽카의 삶은 러시아 점령 시대만큼이나 고통스러웠다.[4] 1916년과 1918년 사이에 독일군은 목재를 얻기 위해 숲을 크게 착취했고, 40km의 도로와 협궤 철도 노선을 건설했다.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 폴란드가 독립하면서 오스트로웽카는 비아위스토크 주에 편입되었다. 도시와 인구의 75%가 황폐화되었으나, 재건되면서 새로운 학교와 부서가 문을 열었다.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동안 오스트로웽카는 다시 군사 작전의 중심지가 되었다. 1920년 8월 4일, 소비에트군은 요새를 점령하고 볼레스와프 로야 장군의 부대를 학살했다.[5] 소비에트 점령은 바르샤바 전투 (1920년) 이후 폴란드군이 진격하면서 8월 20일에 끝났다.[5]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이후, 오스트로웽카는 산업화되기 시작했다. 1923년에는 영화관이, 1928년에는 발전소가 문을 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폴란드 침공 기간 중, 1939년 9월 10일 독일군은 오스트로웽카에 도착했다.[8] 폴란드 점령 (1939–1945) 하에서 이 도시는 독일에 합병되었고, 1940년에는 ''Scharfenwiese''로 개명되었다. 독일군은 유대인들을 추방했으며,[9] 이들은 대부분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에서 학살되었다. 오스트로웽카는 국경 도시가 되었고, 가장 동쪽 지역은 소련에 속했다.
곧, 폴란드 저항 운동이 설립되었다. 독일군은 ''Intelligenzaktion'' 동안 폴란드인들을 수용하는 법원 감옥을 설립하고 운영했다.[10] 1940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약 500명의 폴란드인들이 인근 숲에서 학살되었다.[11] 1940년 4월 5일에서 6일, 독일군은 약 200명의 폴란드인을 추가로 대량 체포했다.[12] 독일군은 또한 1940년부터 1944년까지 강제 노동 수용소를 운영했다.[13] 1940년 12월, 독일 경찰은 약 1,150명의 폴란드인을 추방했다.[14]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인들은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몇몇 지역 유대인들은 폴란드인에 의해 구조되었다.[15] 독일 점령은 1944년 9월에 종료되었고, 도시는 폴란드로 반환되었지만, 소련이 설치한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2. 6. 현대: 재건과 발전
오스트로웽카는 전쟁의 상처로부터 매우 느리게 회복되었다. 폴란드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경제 상황이 개선되었고, 이는 오스트로웽카 재개발의 기회가 되었다. 오스트로웽카는 바르샤바 지역의 중심 도시로 성장하였다. 1959년에는 펄프 및 제지 공장이 건설되었다. 나레프 강둑을 따라 하수 정제 시설이 건설되어 나레프 강의 생태계를 보존하면서 물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16] 1973년에는 보이치호비체 지구에 기포 콘크리트 공장이 건설되었다. 새로운 일자리는 사람들을 도시로 불러들였고, 이는 식료품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1970년대에는 목재 제품을 생산하는 "Future" 공장이 문을 열었다. 또한, 새로운 수영장, 5,000명 규모의 경기장, 휴양 시설, 그리고 새로운 병원이 건설되었다. 1975년부터 1998년까지는 오스트로웽카 보이보드십의 수도였다.1989년, 오스트로웽카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자본주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같은 해 오스트로웽카는 주(provincial) 지위를 얻었다. 사유화 이후 제지 공장인 Cellulose는 대규모 감축을 겪었다. Future 공장은 파산했지만, 일반 시민들이 투자할 수 있는 소규모 서비스 시설들이 문을 열었다. 새로운 병원이 새 세기에 건설되었고, 경제도 발전하였다. 3개의 새로운 무역관이 건설되었다. "Cellulose"는 "Intercell"로 이름을 변경했고(이후 핀란드 회사인 스토라 엔소에 인수됨), 기포 콘크리트 공장은 Ytong 회사에 인수되었다. 도시의 중심지는 무역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1996년에는 두 번째 영구 다리인 "안토니 마달린스키 다리(Most im. Antoniego Madalińskiego)"가 건설되었다. 1999년, 도시는 군(district) 도시가 되었다. 2010년 9월에는 새로운 워터파크가 개장했다. 이번 10년 동안 도시 경기장의 현대화 또는 완전히 새로운 경기장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며, 현재 축구를 위한 두 개의 새로운 현대식 훈련장이 건설 중이다. 새로운 발전소가 현재 건설 중이며, 2015년까지 완공되어 1000MW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16][17] 또한, 기존 발전소는 다음 10년 동안 현대화될 예정이다.
3. 인구
4. 교육
- 행정학 공립 고등학교
- 경제 사회 고등학교

5. 스포츠
오스트로웽카에는 축구, 배구, 핸드볼, 농구 팀이 있다.
5. 1. 축구
- 나레프 오스트로웽카는 1962년에 창단된 축구팀으로, 현재 5부 리그인 마조비아 I조에서 활동하고 있다.
- 코로나 오스트로웽카는 1998년에 창단되어 2020년에 해체된 축구팀(주 팀)으로, 마지막으로 4부 리그인 마조비아 북부 조에서 활동했다.
- 얀타르 오스트로웽카는 2010년에 창단된 여자 축구팀으로,[19] 현재 3부 여자 축구 리그 I조에서 활동하고 있다.
5. 2. 배구
- 에네르가 네트 오스트로웽카는 폴란드 2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남자 배구팀이다.
- OTPS 나이키 오스트로웽카는 폴란드 3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여자 배구팀이다.
5. 3. 핸드볼
트루이카 오스트로웽카는 현재 2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남자 핸드볼 팀이다.5. 4. 농구
팀명 | 성별 | 비고 |
---|---|---|
OTK 오스트로웽카 | 남자 | |
OKK 오스트로웽카 | 남자 | |
MUKS 우니아 바스켓 오스트로웽카 | 여자 |
6. 정치
오스트로웽카는 폴란드 마조프셰주에 위치한 도시로, 정치적으로는 오스트로웽카-셰들체 선거구에 속한다. 이 선거구에서는 여러 정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선출되었다.[1]
하위 섹션에서 오스트로웽카-시에들체 선거구 출신 하원의원 명단을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정당별 의원 수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시민 플랫폼(PO) 1명, 폴란드 인민당(PSL) 3명, 자위(Samoobrona) 2명, 폴란드 가족 연맹(LPR) 1명, 민주 좌파 동맹-노동 연합(SLD-UP) 4명, 법과 정의(PiS) 1명이 선출되었다.[1]
6. 1. 오스트로웽카-시에들체 선거구 출신 하원의원
정당 | 의원 |
---|---|
시민 플랫폼(PO) | 지비그니에프 흐르자노프스키 |
폴란드 인민당(PSL) | 지비그니에프 뎁툴라, 야로스와프 칼리노프스키, 마레크 사비츠키 |
자위(Samoobrona) | 지비그니에프 지에불스키, 크시슈토프 필리페크 |
폴란드 가족 연맹(LPR) | 가브리엘 야노프스키 |
민주 좌파 동맹-노동 연합(SLD-UP) | 지비그니에프 크루트첸코, 스타니스와프 쿠르피에프스키, 유제프 올렉시, 스타니스와바 프젇카 |
법과 정의(PiS) | 마리안 피우카 |
참조
[1]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8-19
[2]
뉴스
Historia miejscowości
https://sztetl.org.p[...]
2020-04-15
[3]
서적
Rodowody pułków polskich i oddziałów równorzędnych od r. 1717 do r. 1831
Towarzystwo Wiedzy Wojskowej
[4]
서적
Germany Ascendant, The Eastern Front 1915
Osprey Publishing
2017
[5]
서적
White Eagle, Red Star
Macdonald & Co
[6]
간행물
Okupacja sowiecka Mazowsza Północnego podczas najazdu 1920 r.
Muzeum Niepodległości w Warszawie
[7]
문서
Szczepański, p. 19
[8]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9]
문서
Wardzyńska (2009), p. 123
[10]
문서
Wardzyńska (2009), p. 224, 227
[11]
문서
Wardzyńska (2009), p. 227
[12]
문서
Wardzyńska (2009), p. 230
[13]
웹사이트
Straf- bzw. Arbeitserziehungslager Scharfenwiese
https://www.bundesar[...]
2021-02-06
[14]
서적
Wysiedlenia ludności polskiej z okupowanych ziem polskich włączonych do III Rzeszy w latach 1939-1945
IPN
[15]
서적
Las sprawiedliwych
Książka i Wiedza
[16]
뉴스
Energa upgrading Ostroleka power station
http://www.construct[...]
PMR
2008-06-30
[17]
뉴스
Polish coal miner Bogdanka to supply Ostroleka power plant
http://www.platts.co[...]
Platts
2010-10-20
[18]
서적
Zarys historyczny dziejów miasta Ostrołęki do 1945 roku
2019
[19]
웹사이트
Jantar Ostrołęka - informacje o klubie
https://kuazsuw.futb[...]
2021-07-26
[20]
뉴스
Historia miejscowości
https://sztetl.org.p[...]
2020-04-15
[21]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