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오메츠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오메츠케는 에도 막부에서 다이묘, 고가, 조정을 감시하여 막부를 보호하는 감찰관이었다. 1632년 야규 무네노리 등 4명을 임명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소우메츠케라고 불렸다. 오오메츠케는 처음에는 하타모토 중에서 선발되어 소바슈, 루스이, 반가시라와 동등한 최고위직으로 여겨졌고, 다이묘와 동등한 녹봉을 받았다. 에도 시대 중기에는 감찰관으로서의 역할보다 전령이나 의례관으로서의 역할이 커져 명예직으로 여겨졌다. 녹봉은 3천 석이었고, 정원은 일정하지 않았으며, 도츄부교를 겸임하는 오오메츠케는 필두격으로 쇼군을 대리하기도 했다. 여러 번에서도 오오메츠케와 유사한 직책을 두었으나, 번에 따라 위상과 역할에 차이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막부 대목부 - 이노우에 마사시게
    이노우에 마사시게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으로, 오메쓰케로서 기독교 금지 정책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시마바라의 난에 파견, 다카오카 번의 초대 번주를 지냈다.
  • 에도 막부 대목부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 일본의 번 - 부번현 삼치제
    부번현 삼치제는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체제로, 막부 직할지를 부와 현으로 나누고 번을 존속시키다가 1871년 폐번치현으로 종료되었다.
  • 일본의 번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오오메츠케
대목반 (大目付)
직책 종류에도 막부의 직제
소속와카도시요리 지배하
정원4명
임명 자격하타모토
직무막부 고부교 및 다이묘 감찰
별칭오반메쓰케(御番目付), 오쓰케(御付)
개요
임무막부의 고부교를 감시하고 부정행위를 적발하는 것
다이묘의 동향을 감시하고 모반 등의 혐의를 발견하면 즉시 보고하는 것
막부의 인사에 관여하는 것
소송을 담당하는 것
설명에도 막부의 직제 중 하나
와카도시요리의 지휘를 받음
정원은 4명
하타모토 중에서 임명
막부의 고부교와 다이묘를 감찰하는 것이 주된 임무
역사
기원오다 노부나가 시대의 소메쓰케
초기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간토에 들어온 후 설치
초기에는 오반메쓰케라고 불림
강화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에 강화
직무 내용이 명확화되고 권한이 강화됨
변화시대에 따라 직무 내용과 권한에 변화가 있었음
직무 내용
감찰 대상막부 고부교의 부정행위 감시
다이묘의 동향 감시 및 모반 혐의 보고
인사 관여막부의 인사에 관여
소송 담당소송 관련 업무 처리
기타막부의 중요 정책 결정에 참여
참고
관련 직책소메쓰케: 대목반과 유사한 직책
메쓰케: 대목반의 하위 직책
현대적 해석현대의 감사 또는 정보기관과 유사한 역할

2. 에도 막부의 오오메츠케

오오메츠케는 다이묘ㆍ고가 및 조정을 감시하여, 이들의 역모로부터 막부를 지키는 감찰관 역할을 하였다. 간에이 9년(1632년) 12월 17일, 야규 무네노리, 아키야마 마사시게, 미즈노 모리노부, 이노우에 마사시게 등 4명을 임명한 것이 시작이었다. 설치 초기에는 '''소우메츠케 ()'''라고 불렸다.

당초에는 고쿠다카 3천석에서 5천석 급의 하타모토 중에서 선임되어, 하타모토의 관직 중에서도 소바슈, 루스이, 반가시라에 준하는 최고위로 여겨졌다. 그리고 하타모토이면서 10000석 급 (다이묘)을 감시함으로써 그 재임 중에는 다이묘와 동등하게 10000석 급의 녹봉을 부여받아 "○○노카미"의 관위가 서임되었다.

에도 시대 중기가 되면, 종래의 감찰관으로써의 색채보다 전령 (막부의 명령을 전국의 다이묘에게 전달하는 역)이나 덴츄 (에도성 안)에서의 의례관으로서의 색채가 짙어져 명예직ㆍ한직으로 간주하게 되어, 마치부교나 칸죠부교를 맡았던 하타모토가 노년에 와서 맡게 되는 직책이 되었다. 또한 겸대라 하여 도츄부교ㆍ슈몬아라타메ㆍ텟포아라타메 등 5개 역을 겸임하였다.

녹봉은 3천석으로 막부에서는 직제 상으로는 로쥬의 관할 지배하로 여겨졌다. 칸분 5년 (1665년)에 역료제도가 출범한 다음 해에 역고는 1000 가마로 정해졌다. 덴나 2년 (1682년)에 역료제도가 폐지되자 녹봉을 그대로 지행고에 추가하게 되었다.

겐로쿠 5년 (1692년)에 역료제도가 부활되었고, 이때 제도에서는 오오메츠케의 녹봉은 3천석으로 정해져 녹봉이 3천석 이하인 지행자에게만 700 가마가 지급되었다.

정원은 정하지 않았고, 이에미츠 ~ 이에츠나 시기에는 2~3명, 츠나요시 ~ 이에시게 시기에는 3~4명, 이에하루 ~ 이에요시 시기에는 4~5명이며, 가케 신설 등에 의해서도 설치 인원은 변화하였다. 도츄부교를 겸대하는 오오메츠케는 필두격으로, 교토쇼시다이, 오사카 죠다이 등과 마찬가치로 쇼군을 대리하는 입장이었다.

2. 1. 역할과 임명

오오메츠케는 다이묘ㆍ고가 및 조정을 감시하여, 이들의 역모로부터 막부를 지키는 감찰관 역할을 하였다. 간에이 9년(1632년) 12월 17일, 야규 무네노리, 아키야마 마사시게, 미즈노 모리노부, 이노우에 마사시게 등 4명을 임명한 것이 시작이었다. 초기에는 '''소우메츠케 ()'''라고 불렸다.

당초에는 고쿠다카 3천석에서 5천석 급의 하타모토 중에서 선임되어, 소바슈, 루스이, 반가시라에 준하는 최고위직으로 여겨졌다. 하타모토이면서 10000석 급 (다이묘)을 감시함으로써 그 재임 중에는 다이묘와 동등하게 10000석 급의 녹봉을 부여받아 "○○노카미"의 관위가 서임되었다.

에도 시대 중기가 되면, 종래의 감찰관으로써의 색채보다 전령 (막부의 명령을 전국의 다이묘에게 전달하는 역)이나 덴츄 (에도성 안)에서의 의례관으로서의 색채가 짙어져 명예직ㆍ한직으로 간주하게 되어, 마치부교나 칸죠부교를 맡았던 하타모토가 노년에 와서 맡게 되는 직책이 되었다. 또한 겸대라 하여 도츄부교ㆍ슈몬아라타메ㆍ텟포아라타메 등 5개 역을 겸임하였다.

녹봉은 3천석으로 막부에서는 직제 상으로는 로쥬의 관할 지배하로 여겨졌다. 칸분 5년 (1665년)에 역료제도가 출범한 다음 해에 역고는 1000 가마로 정해졌다. 덴나 2년 (1682년)에 역료제도가 폐지되자 녹봉을 그대로 지행고에 추가하게 되었다.

겐로쿠 5년 (1692년)에 역료제도가 부활되었고, 이때 제도에서는 오오메츠케의 녹봉은 3천석으로 정해져 녹봉이 3천석 이하인 지행자에게만 700 가마가 지급되었다.

정원은 정하지 않았고, 이에미츠 ~ 이에츠나 시기에는 2~3명, 츠나요시 ~ 이에시게 시기에는 3~4명, 이에하루 ~ 이에요시 시기에는 4~5명이며, 가케 신설 등에 의해서도 설치 인원은 변화하였다. 도츄부교를 겸대하는 오오메츠케는 필두격으로, 교토쇼시다이, 오사카 죠다이 등과 마찬가치로 쇼군을 대리하는 입장이었다.

2. 2. 변천 과정

오오메츠케는 다이묘, 고가 및 조정을 감시하여 역모로부터 막부를 지키는 감찰관 역할을 하였다. 간에이 9년 (1632년) 12월 17일, 야규 무네노리, 아키야마 마사시게, 미즈노 모리노부, 이노우에 마사시게 등 4명을 임명한 것이 시작이었다. 초기에는 '''소우메츠케 ()'''라고 불렸다.

에도 시대 중기가 되면서 감찰관으로서의 색채보다 전령 (막부의 명령을 전국의 다이묘에게 전달하는 역)이나 덴츄 (에도성 안)에서의 의례관으로서의 색채가 짙어져 명예직ㆍ한직으로 간주하게 되었다. 마치부교나 칸죠부교를 맡았던 하타모토가 노년에 와서 맡게 되는 직책이 되었고, 도츄부교ㆍ슈몬아라타메ㆍ텟포아라타메 등 5개 역을 겸임하였다.

녹봉은 3천석으로 막부에서는 직제 상으로는 로쥬의 관할 지배하로 여겨졌다. 칸분 5년 (1665년)에 역료제도가 출범한 다음 해에 역고는 1000 가마로 정해졌다. 덴나 2년 (1682년)에 역료제도가 폐지되자 녹봉을 그대로 지행고에 추가하게 되었다. 겐로쿠 5년 (1692년)에 역료제도가 부활되었고, 이때 제도에서는 오오메츠케의 녹봉은 3천석으로 정해져 녹봉이 3천석 이하인 지행자에게만 700 가마가 지급되었다.

정원은 정하지 않았고, 이에미츠 ~ 이에츠나 시기에는 2~3명, 츠나요시 ~ 이에시게 시기에는 3~4명, 이에하루 ~ 이에요시 시기에는 4~5명이며, 가케 신설 등에 의해서도 설치 인원은 변화하였다.

2. 3. 녹봉과 정원

오오메츠케의 녹봉은 3천 석이었으며, 막부에서는 직제상 로쥬의 관할이었다. 간분 5년(1665년)에 역료제도가 출범한 다음 해에 역고는 1000 가마로 정해졌다. 덴나 2년(1682년)에 역료제도가 폐지되자 녹봉을 그대로 지행고에 추가하게 되었다. 겐로쿠 5년(1692년)에 역료제도가 부활되었고, 이때 제도에서는 오오메츠케의 녹봉은 3천 석으로 정해져 녹봉이 3천 석 이하인 지행자에게만 700 가마가 지급되었다.

정원은 정해져 있지 않았고, 이에미츠 ~ 이에츠나 시기에는 2~3명, 츠나요시 ~ 이에시게 시기에는 3~4명, 이에하루 ~ 이에요시 시기에는 4~5명이며, 가케 신설 등에 의해서도 설치 인원은 변화하였다. 도츄부교를 겸대하는 오오메츠케는 필두격으로, 교토쇼시다이, 오사카 죠다이 등과 마찬가지로 쇼군을 대리하는 입장이었다.

2. 4. 주요 오오메츠케

야규 무네노리, 이노우에 마사시게 등은 에도 막부 초기에 오오메츠케로 활동했다. 나가이 나오유키는 막부 말기 외국과의 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중도 개혁파의 입장을 대변하며 막부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야마오카 타카유키(텟슈) 또한 1868년 오오메츠케를 역임했다.

3. 여러 번의 오오메츠케

아이즈번, 오가키번, 요네자와번, 히고번 등, 여러 번에서도 이러한 직책을 두는 번이 존재했다.[2] 아이즈번에서는 2명, 오가키번에서는 5명에서 8명까지 임명되었으며, 인원은 번이나 시대에 따라 다양했다.

중로, 반토, 구미가시라보다 격이 낮은 번사 중에서 선발된 번이나 요네자와번처럼 무감에서 용인으로 게재되는 번도 있는가 하면, 아이즈번처럼 가로, 와카도시요리, 봉행 다음가는 중직으로, 가로 후보인 번도 존재했다. 히고번에서도 가로, 중로 다음가는 중직(다이부교와 함께)으로 여겨졌으며, 메쓰케, 요코메를 부하로 거느렸다.[2] 이처럼 번에 따라 같은 직책명이라도 위상이 달랐다.

한편 야나가와번처럼 처음에는 오메쓰케역이 존재했지만 전횡을 부려 폐지된 번도 있는가 하면, 조슈번이나 센다이번처럼 오메쓰케 직책이 존재하지 않는 번도 있었다.

3. 1. 번별 특징

아이즈번, 오가키번, 요네자와번, 히고번 등 여러 번에서 오오메츠케를 두었다.[2] 아이즈번에서는 2명, 오가키번에서는 5명에서 8명까지 임명하는 등 번이나 시대에 따라 인원이 다양했다.

중로, 반토, 구미가시라보다 낮은 번사 중에서 선발하거나 요네자와번처럼 무감에서 용인으로 게재하기도 했다. 아이즈번처럼 가로, 와카도시요리, 봉행 다음 가는 중직으로 가로 후보가 맡는 경우도 있었다. 히고번에서도 가로, 중로 다음 가는 중직(다이부교와 함께)으로 여겨졌으며, 메쓰케, 요코메를 부하로 거느렸다.[2] 이처럼 번에 따라 같은 직책명이라도 위상이 달랐다.

한편 야나가와번처럼 처음에는 오메쓰케가 있었지만 전횡을 부려 폐지된 번도 있었고, 조슈번이나 센다이번처럼 오메쓰케가 없는 번도 있었다.

4. 한국 역사와의 비교 (한국의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大目付(おおめつけ)/ 時代劇用語指南(2010年4月1日) https://imidas.jp/ji[...] 2021-10-01
[2] 웹사이트 第3章 近世の地方制度 p.18. https://www.pref.kum[...] 2021-11-12
[3] 문서 徳川家光により特別に監察権限(老中支配の大目付ではなく将軍直属の監察機構)を与えられた。
[4] 문서 姓は「寛政重修諸家譜」などでは「加々爪」とも表記される場合あり。
[5] 문서 軍学者・兵法家としても知られる。
[6] 문서 旗本藤枝教行の心中改易事件を裁く。
[7] 문서 87歳になるまで勤めた最高齢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